KR950012473B1 -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473B1
KR950012473B1 KR1019870006205A KR870006205A KR950012473B1 KR 950012473 B1 KR950012473 B1 KR 950012473B1 KR 1019870006205 A KR1019870006205 A KR 1019870006205A KR 870006205 A KR870006205 A KR 870006205A KR 950012473 B1 KR950012473 B1 KR 95001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pin
coaxial cable
inle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072A (ko
Inventor
마리아 페르회벤 라우렌티우스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늘드 에이 호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늘드 에이 호우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2Ada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관통핀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관통핀이 삽입된 상태를 일부 점선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클램핑 부재의 양호한 실시예의 분해 및 일부 절단 상태로 제2도의 장착된 상태의 분기 커넥터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클램핑 부재의 일부가 하우징 위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3도에 따른 커넥터의 양호한 실시예의 부분 절단 사시도.
제5도는 접촉 동축 케이블이 분기 커넥터 안에 유폐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양호한 실시예의 부분 절단 확대도.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관통핀과 지지 디스크 구조물을 다방면에서 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2개의 동축 케이블을 접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의 분해, 부분 절단 사시도.
제9도는 부분적으로 끼워진, 제8도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양호한 실시예의 부분 절단 사시도.
제10도는 제4도 및 제9도에 따른 분기 커넥터에 의한 동축 케이블의 분기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8 : 하우징 3, 23 : 노치
4, 25, 49, 61 : 인입 채널 5, 72 : 치형부
8, 9, 26, 27, 41, 45, 70 : 구멍 10, 11, 18 : 슬리트
12, 51, 64 : 관통핀 6, 13 : 전도점
15, 50 : 지지 디스크 16, 55 : 소켓
17, 28 : 돌출부 19, 56 : 슬리이브
20, 60 : 캡 24 : 지지면
29 : 경사면 30 : 수직면
31 : 압력부 32 : 폐쇄 단면
34, 36 : 피복물 35,37 : 전도체
40 : 운반 스트립 42, 44 : 립부(lip)
58 : 홈 68, 69 : 케이블
본 발명은 내부 절연 피복물(sheath)에 의해 피복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분기 커넥터는 영국특허 출원 제GB-A-2 082 850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케이블은 내부 절연 피복물로 에워싸인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도체를 가지며, 내부 피복물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도체와 외부 절연 피복물로 각각 에워싸이며, 분기 커넥터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신장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전기 전도성 관통핀, 그리고 접촉된 케이블을 하나의 인입 채널에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신장된 하우징의 적어도 한 단부에는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한 인입 채널(feed-through channel)과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치형부(tooth)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관통핀의 적어도 한 단부는 케이블의 내부 전도체와 접촉하며 그리고 하나의 인입 채널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전도점과 접촉된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와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피복물을 구비한다.
마이크로 컴퓨터, 가정용 컴퓨터, 워드프로세스 및 그것에 수반되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단말기, 프린터 유니트, 메모리 장치 등의 급격한 사용증가로 인하여, 실제 문제로서, 여러 사용자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해서, 이러한 장치를 상호 접속할 수 있는 국소적 접속 네트워크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사무소와 같은 환경에 있어서, 장치를 접속하기 위해서 이러한 접속 네트워크를 임의의 소정 지점에서 분기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대부분의 유니트는 동축 케이블에 의해 상호 접속되고 또한 그러한 목적을 위해 적당한 동축 접속 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국소적 상호 접속 네트워크는 대부분 동축 케이블로 조립되어 있다.
현재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장치는 일반적으로 단자 박스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T형 상호 접속 부재를 의미하는데, 상기 T형 상호 접속 부재는 동축 접속 박스를 구비하며, 또한 그 단말부에 동축 케이블이 동축 플러그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방식은 국소적 접속 네트워크를 조립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들며, 또한 이곳을 흐르고 있는 정보 스트림(stream)을 중단시키지 않고 사용중의 케이블에 분기(分技)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 영국특허 출원에 의해 개시된 분기 커넥터에 의하면, 사용중의 케이블을 분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것에는 2개의 연속 조작이 필요하다. 먼저, 분기될 동축 케이블을 손가락 압력을 이용하여 인입 채널 안에 압입시켜야 하지만, 이 경우에 케이블을 접촉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힘을 필요로 한다. 특히, 뻣뻣한 케이블, 즉, 재료를 뚫기에는 역학적으로 어려운 절연 시이트를 갖는 케이블 또는 비교적 두꺼운 전도체를 갖는 케이블의 경우에는 상당히 큰 힘을 필요로 한다.
케이블이 인입 채널 안에 안착된 후, 케이블이 인입 채널로부터 가압되어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 커버가 인입 채널 위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커넥터 커버를 끼우기 위해서, 커넥터의 하우징을 종방향에서 볼 때, 케이블은 인입 채널 안에 완전히 수납되어야 한다. 케이블의 주변 일부가 인입 채널로부터 돌출하는 경우에, 커넥터 커버를 끼우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상당히 어려우며, 또한 커넥터 커버가 케이블의 위에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케이블의 외부 절연 피복물이 손상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커넥터 커버는 케이블의 종방향으로의 인장력에 대해 안전하지 못하다. 이러한 인장력은 관통핀과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에 완전히 전달되므로, 이것은 전기적 접속부의 신뢰성과 내구성에 이롭지 않다.
상술된 결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된 형태의 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분기 커넥터를 이용하면 동축 케이블을 신속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내구성 및 신뢰성이 있게 분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특징은 상기 하우징의 형상이 원통형이며, 관통핀이 하우징 내부에서 절연재로 된 횡방향 지지 디스크상에 고정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가 그 일단부에 대응하는 1개의 인입 채널을 구비하고, 또한 원통형 하우징의 자켓부(jacket)위에 끼워지는 스크류 슬리이브(screwed sleeve)와, 케이블을 하나의 인입 채널 안에 접촉시키고 또한 확고히 보유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 슬리이브와 결합하는 스크류 캡(cap)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 슬리이브와 스크류 캡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의 반경방향으로 어떤 힘이 부가된다. 이러한 힘의 영향으로, 관통핀과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가 각각 내부 및 외부 전도체와 접촉하기 위해 케이블 안으로 뚫고 들어간다. 접촉 상태에서, 케이블은 스크류 캡과 스크류 슬리이브 사이에서 확실하게 유폐되어 그 결과 전기적 접속부가 케이블의 종방향 인장력에 대해 안전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특징은 하우징과 스크류 슬리이브에는, 끼워진 상태에서 한 개의 인입 채널이 동축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개방되는 방식으로 스크류 슬리이브를 보유 및 위치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하우징의 종방향으로의 케이블 이동이 또한 배제되어 있다.
상술된 영국특허 출원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은 손가락 힘에 의해 인입 채널 안에 수용 및 접촉된다. 이렇게 제어되지 않는 상태로 밀어 넣는 방법은 케이블을 변형시키기 쉽고, 관통핀도 케이블 안에 정확히 반경방향으로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내부 전도체가 불충분하게 접촉되어서, 결코 확실한 접속이 되지 않거나 관통핀이 내부 전도체와 접촉하지 않은채 내부 전도체와 인접해 있는 내부 절연 피복물까지 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중에 케이블의 변형을 가능한 제한하면서 힘이 케이블상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관형 압력 부재가 스크류 캡 내부에 동심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압력 부재는 하우징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압력 부재의 한 개의 폐쇄 단부는 스크류 캡의 개방 단부와 부합한다. 또한, 거의 U자형 지지면이 스크류 슬리이브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U자형 지지면에는 관통핀과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에 인입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은 스크류 슬리이브의 나사산이 형성된 한 단부에 있는 U자형 노치와 함께 대응하는 인입 채널을 형성한다.
접촉 상태에서 관통핀은 그 전도점(conducting point)에 의해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전도체와만 접촉한다. 오접촉을 극력 회피하기 위하여, 관통핀이 하우징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핀이 운반 스트립(carrier strip)에 부착되는데, 절연재로 된 횡방향 지지 디스크상에서 관통핀이 축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방향 지지 디스크의 절연재가 스트립을 파지하고, 케이블 속으로 들어간 상기 관통핀의 단부가 지지 디스크의 절연재에 의하여 그 일부를 에워싸서, 접촉된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와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한다.
관통핀의 다른 단부를 접속 소켓 또는 접속핀으로 설계함으로써, 이것은 하나의 인입 채널을 구비하지 않는 둥근 원통형 하우징의 다른 단부와 더불어, 동축 결합소켓 또는 동축 플러그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여, 케이블 또는 장치를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분기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용 단부 커넥터로 적절히 사용 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핀을 갖는 지지 디스크가 하우징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어느 한 타입의 하우징 및 클램핑 수단으로 관통핀을 갖는 지지 디스크를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동축 결합 소켓 또는 동축 플러그 출력부중 어느 하나를 갖는 분기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러그 접속부를 갖는 분기 커넥터가 희망 또는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예를 들면 추가적인 동축 케이블이 연결을 위해 분기점과 접속용 장치 사이에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의 다른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를 갖는 동일한 형태의 제2인입 채널이 제공되며, 관통핀의 다른 단부가 또한 첨단부로서 설계되어 제2동축 케이블이 상기 제2인입 채널 안에 수납되어 동일한 형태의 제2클램핑 부재와 접촉 및 보유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양호한 실시예는 종방향 접합부(seam;2)를 갖는 스프링 부하식 도전재료로 된 원통형 하우징(1)이 도시되어 있다. 종방향 접합부는 하우징 자체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폐쇄된다. 하우징의 한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입 채널(4)이 U자형 노치(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U자형 노치의 저부에는 인입 채널 안으로 돌출하고, 전도점(6)과 예리한 가장자리(7)를 갖는 치형부(5)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외주변을 따라 원형상으로 열을 이루고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구멍(8,9)이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의 양 단부로부터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다수의 슬리트(10,11)가 제공되어 있는데, 그 슬리트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접합부(2)와 일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트는 하우징의 단부에서 일정한 길이에 걸쳐 확장되어 있다.
하우징(1)안에 끼워지는 도전재의 관통핀(12)에는 피접촉 동축 케이블 안으로 들어가는 단부에 예리하게 테이퍼진 전도점(13)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전도점과 횡방향 지지 디스크(15)의 관통 절연재(14)(핀 둘레에 원추형으로 테이퍼짐)와 더불어 평활한 외면을 형성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통핀의 다른 단부는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리트(18)를 갖는 소켓(16)으로 설계된다.
지지 디스크 둘레에 끼워진 관통핀은 하우징의 스프링력을 이겨내면서 하우징 안에 끼워지는데, 지지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돌출부(17)가 하우징의 구멍(9)과 결합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태의 치수가 구멍(19)과 일치한다. 구멍(9)과 돌출부(17)는 관통핀이 하우징 안에 끼워진 후 전도점(13)이 인입 채널(4) 안으로 치형부(5)보다 외측으로 더욱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재료에 의한 스프링력은, 한편으로는 지지 디스크가 손의 힘으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디스크가 분기 커넥터의 사용중에 지지 디스크상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축방향과 접선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멍(9)안에 결합하는 돌출부(17)에 의해 고정되는 강도를 가져야 하는 것은 명백하다. 돌출부(17)와 구멍(9)의 형상은 원형으로 설계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장방형, 정사각형 등등)도 사용될 수 있다.
제2도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켓(16)은 인입 채널이 제공되지 않은 하우징의 단부와 함께 동축결합 소켓을 형성한다. 소켓으로 설계되는 대신, 관통핀의 단부를 접촉핀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면 동축 플러그가 형성된다(비도시). 관통핀과 하우징의 치형부에 의해 접촉된 동축 케이블은 이러한 방식으로 피접속 장치 일부의 동축 접속 박스에 간단히 접속될 수 있다. 슬리트(11,18)에 의해 발생하는 허용 공차는 간단하게 극복될 수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끼워진 분기 커넥터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클램핑 부재의 일부는 클램핑 부재의 내부 구조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절단되어 있다. 장착된 상태의 하우징 좌측에는, 피접촉 동축 케이블을 인입 채널 안에 유폐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의 두 이격 부품, 즉, 스크류 슬리이브(19)와 스크류 캠(20)이 도시되어 있다. 스크류 슬리이브의 내경은 하우징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스크류 캡(20)은 스크루 슬리이브(19)의 외부나사산(22)과 결합할 수 있는 내부 나사산(21)을 갖는다. 스크류 슬리이브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는 대응하는 인입 채널(25)이 있는데, 그 인입 채널은 U자형 노치(23)와 거의 U자형 지지면(24)에 의해 형성되어 피접촉 동축 케이블을 수용 및 인입시킨다. 지지면(24)에는 그 주변을 따라 구멍(26)과 그 중심에 구멍(27)이 있으며 이것을 관통하여 (스크류 슬리이브가 하우징에 끼워진 후) 치형부(5)와 관통핀(12)이 대응하는 인입 채널(25)안으로 돌출한다.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크류 슬리이브 단부의 내측면상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사다리꼴 돌출부(28)가 형성되는데, 그 중 한 경사면(29)은 스크류 슬리이브의 개방 단부쪽으로 놓여 있으며, 그중 다른 수직면(30)은 지지면(24)의 볼록면과 인접하고 있다. 이러한 사다리꼴 돌출부(28)중 하나만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사다리꼴 돌출부(28)는 하우징의 외주변을 따라 그 쟈켓부에 제공된 장방형 구멍(8)과 결합하여, 스크류 슬리이브가 인입 채널이 제공된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끼워지면, 돌출부(28)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8)과 결합한다. 각각의 사다리꼴 돌출부(28)의 수직면(30)과 지지면(24)의 볼록면에 의하여, 끼워진 스크류 슬리이브는 사용중에 그 위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사다리꼴 돌출부(28)의 하우징에 있는 구멍(8)의 각 위치와 치수는 하우징의 인입 채널(4,25) 및 스크류 슬리이브가 각각 서로 대향하여 놓이는 위치에서만 스크류 슬리이브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지지면(24)의 볼록면과 하우징의 U자형 노치(3)는 지지면의 볼록부분이 이들 노치 안으로 끼워질 수 있는 치수를 갖는다. 사다리꼴 돌출부(28)와 더불어, 이것은 효과적인 방식으로 스크류 슬리이브가 접선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여 스크류 캡이 스크류 슬리이브상에 나사결합 되도록 한다.
지지 디스크(15)상의 돌출부(17)와 이것과 결합하는 하우징의 구멍(9)은 관통핀이 구멍(8)에 결합하는 돌출부(17)를 통하여 하우징 안으로 잘못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 슬리이브(19)의 돌출부(28) 및 이것과 결합하는 구멍(8)과 비교하여 상이한 형상으로 선택된다.
지지면(24)의 주변을 따라 있는 구멍(70)은 사다리꼴 돌출부(28)의 형성중에 제조상의 이유로 발생된다. 스크류 슬리이브(19)의 벽에 있는 홈(71)은 단순히 재료를 절약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 캡은 관 형태로 스크류 슬리이브의 내부에 동심으로 끼워지는 압력부(31)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부에 폐쇄 단면(32)은 스크류 캡 개방 단부의 가장자리(33)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면과 일치한다.
제4도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스크류 캡을 스크류 슬리이브 상에 조임으로써 동축 케이블이 대응하는 인입 채널(25)에 삽입되면, 케이블은 폐쇄 단면(32)과 가장자리(33)에 의해 부가되는 압력의 영향을 받아서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먼저, 관통핀의 전도점(13)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의 절연 외부 피복물(34)에 관입한다. 또한 스크류 캡을 조임으로써 전도점(13)이 외부 전도체(35)와 내부 전도체 피복물을 통하여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전도체(37)를 관통한다. 이후, 치형부(5) 또한 외부 피복물, 외부 전도체와 내부 피복물을 관통한다.
치형부(5)의 전도점(6)과 전도점(13)의 저면 사이의 거리가 피접촉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35)의 두께보다 크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전도점(13)과 치형부(5)가 외부 전도체와 동시에 접촉될 수 없어서, 치형부와 관통핀의 단락이 방지된다. 제5도에 도시된 최종 상태에서, 케이블은 스크류 슬리이브와 스크류 캡의 조임 작용의 영향하에서 인입 채널(25)안에 안착 및 확고히 보유된다.
케이블이 단일의 작동, 즉, 스크류 캡을 스크류 슬리이브 상에 조임으로써 인입 채널 안에 접촉 및 고정되는 것은 명백하다. 압력부(31)와, 스크류 슬리이브(19)안의 지지면(24) 및 원형 케이블과 일치하는 인입 채널(25)의 형태에 의하여, 케이블의 접속중 변형되지 않게 되는데, 이는 관통핀의 전도점(13)이 케이블 안으로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지 않고 따라서 케이블의 내부 전도체(37)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스크류 슬리이브와 스크류 캡에는 스크류 캡을 스크류 슬리이브상에 손으로 고정하기 위해 충분히 파지되도록 각각의 외부 융기부(38,39)가 제공되어 있다. 스크류 캡과 스크류 슬리이브는 금속 또는(사출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의 치형부(5)는 변형되지 않고 외부 절연 피복물(34)과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일반적으로 편조선 막(braided uire screen) 및/또는 얇은 구리 박판으로 되어 있다)(35)를 통해 변형없이 관통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관통핀의 전도점(13)을 뾰족하게 하는 것은 단단한 내부 전도체(37)로 이루어진 동축 케이블과 또한 결속선으로 이루어진 내부 전도체(37)로 이루어진 동축 케이블 둘다 접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관통핀 역시 변형되지 않고 케이블을 관통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제6a도 내지 제6d도는 관통핀(12), 소켓(16) 그리고 지지 디스크(15)가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호 접속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전 재료로 이루어진 운반 스트립(40)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제6a도의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구부러진 립부(42)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멍(41)이 제공되어 있다. 전기 전도성 관통핀(12)은 운반 스트립(4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상기 굽어진 립부(42) 사이에 고정된다. 그 연장부(43)가 제6a도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소켓(16)은 관통핀의 전도점(13)의 반대편 단부 상에서 소켓 둘레에 립부(도면으로 평면과 직각 내측으로 굽어진)(44)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6b도는 이와 같이 형성된 시스템을 관통핀의 전도점(13)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디스크(15)가 예를 들면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관통핀과 소켓(16)의 일부 둘레에 형성된다. 이 공정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를 형성하는 재료가 운반 스트립의 구멍(41)과 소켓의 구멍(45)안으로 관통하여, 소켓과 지지 디스크에 있는 관통핀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효과적인 방식으로 장벽을 제공한다. 그 다음, 그 전체는 측면(46)의 높이에서 양쪽 측면상의 인접 운반 스트립과 분리되는데, 상기 측면은 운반 스트립이 지지 디스크의 주변에 대해 내측으로 놓이도록 지지 디스크의 형성중에 만들어진다. 운반 스트립의 절편(切片) 표면은 참조부호 47로 지시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됨) 절편 표면(47)은 지지 디스크의 주변에 대해 내측으로 놓인다는 사실은 절편 표면이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과의 전기적 접촉이 방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부분 절단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통형 하우징의 일단부에, 돌출 치형부(72)와 더불어 인입 채널(49)을 하우징 안에 형성하는 U자형 노치가 제공된다. 관통핀(51)이 인입 채널(49)안으로 돌출하는 지지 디스크(50)는 여기서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내향 돌출하는 스프링 가압 립부(52)와 돌출부(53)의 열(row) 사이에(서로에 대해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파지되어 고정된다. 이들 립부와 돌출부는 하우징의 원통형 쟈켓중의 굴곡 부분으로 형성된다. 인입 채널이 제공되는 하우징(48)의 단부에 짧게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립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핀(51)은 케이블을 관통하는 단부에서 그리고 소켓(55)이 제공되어 있는 다른 단부에서 제1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절연된다. 스크류 슬리이브(56)의 형상은 원통형이며, 그 내경은 하우징(48)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다. 스크류 슬리이브의 나사산(59)이 형성된 단부는 U자형 노치에 의해 형성된 대응하는 인입 채널(57)을 구비하며, 제3도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은 내부 지지면(24)은 없다. 스크류 슬리이브의 동일한 측면의 가장자리 내측에는 그 종방향으로 짧은 홈(58)이 제공되며, 그 치수는 하우징(48)의 립부(54)가 홈(58)안으로 끼워질 수 있는 치수를 갖고 있다. 이들 립부와 홈은 함께 작용함으로써 스크류 슬리이브가 인입 채널이 제공되지 않은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하우징 위로 미끄럼 이동할 때, 스크류 슬리이브가 파지 및 위치 설정되고 하우징(48)과 스크류 슬리이브(56)의 인입 채널(49,57)이 서로 마주보게 놓여 동축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인입 채널을 형성한다. 스크류 캡(60)의 형상은 제3도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캡(20)과 동일하다. 즉, 스크류 캡(60) 내부에 있는 압력부의 직경은 압력부가 하우징(48)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인입 채널에 삽입된 케이블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된다. 스크류 캡(60)이 스크류 슬리이브(56)상에 나사결합되면, 스크류 슬리이브는 접선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립부(54)와 홈(58)에 의해 고정된다.
제8도는 두 개의 개별 동축 케이블을 접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도 역시 제1도에 있는 단일 인입 채널(4), 치형부(5) 그리고 구멍(8)을 갖는 분기 커넥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의 다른 단부에 치형부(62)와 구멍(67)을 갖는 유사한 제2인입 채널(61)이 제공된다. 횡방향 지지 디스크(63)에 의해 지지되는 관통핀(64)은 그것이 두 개의 뾰족한 전도점(65,66)을 갖는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각각의 전도점은 하우징의 두 단부에서 인입 채널 안으로 돌출한다. 지지 디스크(63)는 제1도에 따른 분기 커넥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안에 고정된다. 스크류 슬리이브(19)는 제4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고정된다.
동축 케이블이 두 인입 채널(4,61)안에 삽입될 수 있으며, 단일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된다. 서로 대향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를 갖는 두 개의 동일한 스크류 슬리이브(19)가 끼워진 조립체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는 분기 커넥터가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식으로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예를들면, 링 회로로 설계된 동축 케이블(68)은 제8도에 따른 분기 커넥터에 의해 분기되는 반면, 접속용 케이블(69)의 다른 단부에는 제3도 또는 제7도에 따른 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 단부는 접속될 장치의 동축 접속 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2)

  1. 케이블이 내부 절연 피복물로 에워싸인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도체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피복물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도체와 외부 절연 피복물로 각각 에워싸이고,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신장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전기 전도성 관통핀, 그리고 접촉된 케이블을 하나의 인입 채널에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된 하우징의 적어도 한 단부에는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한 인입 채널과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치형부가 제공되며, 상기 관통핀의 적어도 한 단부는 케이블의 내부 전도체와 접촉하며 그리고 하나의 인입 채널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도점과, 접촉된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와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피복물을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형상은 둥근 원통형이며, 상기 관통핀은 하우징 내부에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횡방향 지지 디스크상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는 그 일단부에 대응하는 인입 채널이 있고 원통형 하우징의 쟈켓위로 끼워지는 스크류 슬리이브와, 상기 스크류 슬리이브와 결합하여 케이블을 하나의 인입 채널안에서 접촉 및 단단히 보유하기 위하여 스그류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인입 채널은 하우징의 한 단부로부터 출입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는 인입 채널 안으로 들어간 관통핀의 전도점 보다 짧게 돌출하고, 상기 하나의 인입 채널은 원통형 하우징의 쟈켓 안에 서로 대향 배치된 두 개의 거의 U자형 노치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노치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가장자리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스크류 슬리이브는 끼워진 상태에서 하나의 인입 채널이 동축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방식으로 스크류 슬리이브를 보유 및 위치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거의 U자형 지지면이 스크류 슬리이브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U자형 지지면은 관통핀과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를 인입시키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면은 스크류 슬리이브의 나사산이 형성된 한 단부에 있는 U자형 노치와 더불어 대응하는 인입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리이브의 단부와 지지면의 볼록면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 슬리이브의 주변을 따라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다리꼴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다리꼴 돌출부는 하나의 인입 채널을 갖는 하우징의 단부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캡 내부에는 관형 압력부가 동심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압력부는 스크류 슬리이브 또는 하우징 안으로 끼워지고, 상기 압력부의 한 폐쇄 단부면이 스크류 캡의 개방 단부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핀은 지지 디스크 내부에서의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횡방향 지지 디스크가 파지하는 운반 스트림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블을 관통하는 관통핀의 단부는 피접촉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와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디스크의 절연재료에 의해 일부가 에워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관통핀의 축방향 및 접선 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관통핀을 갖는 지지 디스크가 하우징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지지 디스크의 주변상에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 하우징의 쟈켓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관통핀의 다른 단부는 소켓으로 설계되며, 상기 소켓은 인입 채널이 제공되지 않은 둥근 원통형 하우징의 다른 단부와 더불어 동축 결합 소켓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관통핀의 다른 단부는 접속핀으로 설계되며, 하나의 인입 채널이 제공되지 않은 둥근 원통형 하우징의 다른 단부와 더불어 동축 플러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다른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를 갖는 동일 형태의 제2인입 채널이 제공되며, 상기 관통핀의 다른 단부 역시 전도점으로 설계되며, 제2동축 케이블은 상기 제2인입 채널 안에 수용되고, 동일형태의 제2클램핑 부재와 접촉 및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KR1019870006205A 1986-06-20 1987-06-19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KR950012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601616A NL8601616A (nl) 1986-06-20 1986-06-20 Aftakconnector voor coaxiale kabel.
NL8601616 1986-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072A KR880001072A (ko) 1988-03-31
KR950012473B1 true KR950012473B1 (ko) 1995-10-18

Family

ID=1984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205A KR950012473B1 (ko) 1986-06-20 1987-06-19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251396B1 (ko)
JP (1) JP2513698B2 (ko)
KR (1) KR950012473B1 (ko)
AT (1) ATE80757T1 (ko)
AU (1) AU602900B2 (ko)
BR (1) BR8703061A (ko)
CA (1) CA1288489C (ko)
DE (1) DE3781727T2 (ko)
HK (1) HK6593A (ko)
NL (1) NL8601616A (ko)
SG (1) SG1139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7970B1 (fr) * 1989-05-31 1991-08-16 Cegelec Prise de raccordement pour cable, notamment pour cable pair blinde
GB9212625D0 (en) * 1992-06-15 1992-07-29 Raychem Sa Nv Cable sealing device
GB9927925D0 (en) * 1999-11-25 2000-01-26 Radiall Limited Coaxial connector link
US7650055B2 (en) 2007-05-31 2010-01-19 Corning Cable Systems Llc Terminal with internal environmental seal
CN103221863B (zh) 2010-10-28 2016-06-01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抗冲击光纤外壳及相关方法
US9069151B2 (en) 2011-10-26 2015-06-30 Corning Cable Systems Llc Composite cable breakout assembly
US8873926B2 (en) 2012-04-26 2014-10-2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enclosures employing clamping assemblies for strain relief of cabl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DE102017214767B4 (de) * 2017-08-23 2019-12-0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Abschirmhülse für abgeschirmte elektrische Kabel mit einer Aufnahme für eine Spreizzange
CN116111412B (zh) * 2022-12-30 2023-09-29 宁远县硕宁电子有限公司 一种电源插座分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8213A (en) * 1959-02-18 1962-01-31 Ass Elect In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ing devices
US4365859A (en) * 1980-08-22 1982-12-28 Bunker Ramo Corporation Coaxial tap connector
DE3340943A1 (de) * 1983-11-11 1985-05-2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trennfreien kontaktierung des innen- und aussenleiters eines koaxialkab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703061A (pt) 1988-03-08
AU602900B2 (en) 1990-11-01
NL8601616A (nl) 1988-01-18
JP2513698B2 (ja) 1996-07-03
EP0251396A1 (en) 1988-01-07
DE3781727D1 (de) 1992-10-22
JPS6366867A (ja) 1988-03-25
AU7441787A (en) 1987-12-24
HK6593A (en) 1993-02-05
KR880001072A (ko) 1988-03-31
ATE80757T1 (de) 1992-10-15
CA1288489C (en) 1991-09-03
EP0251396B1 (en) 1992-09-16
DE3781727T2 (de) 1993-04-01
SG113992G (en) 199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3321A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coaxial cables
US6705884B1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3781762A (en) Connector assembly
US6137056A (en) Construction for processing a shield layer of a shielded cable
US4834677A (en) Male and/or female electrical connectors
US4255007A (en) Multi-terminal rotary connector
US7669316B2 (en) Method for assembling coaxial cable Y-splitter assembly
JPS5928891B2 (ja) 光フアイバ用コネクタ
KR20010106225A (ko) 인쇄회로기판에 동축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장치
JPS6323625B2 (ko)
KR950012473B1 (ko) 동축 케이블용 분기 커넥터
JPH02132781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用の金属ケーシングスリーブ
KR890004248Y1 (ko) 동축 케이블용 접속 플러그
US5514001A (en) Security coaxial connector
US5085594A (en) Solder-free plug-cable connection system
US3358266A (en) Positive retention disconnectable wire splice
US5273457A (en) Contact arrangement between a coax cable and the blades of a wiring backplane
US6056599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atable contact assembly
US4699592A (en) Rotatable connector
US3560909A (en) Terminal connector
US5104337A (en) Strain relief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A2065216A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plug
KR920000714B1 (ko) 절연물 제거 접속기
US6881090B1 (en) Rotatable no strip no crimp electrical connector for wires
US4775329A (en) Branch connector for coaxial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