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469B1 -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 Google Patents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469B1
KR950012469B1 KR1019920008044A KR920008044A KR950012469B1 KR 950012469 B1 KR950012469 B1 KR 950012469B1 KR 1019920008044 A KR1019920008044 A KR 1019920008044A KR 920008044 A KR920008044 A KR 920008044A KR 950012469 B1 KR950012469 B1 KR 950012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male
row
ja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588A (ko
Inventor
노부오 야쓰
히데오 미야자와
고우지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기아시
세끼자와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기아시, 세끼자와 다다시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기아시
Publication of KR92002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9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wires separated by conductive housing 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 콘넥터의 전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플러그 콘넥터 부재의 부분 확대 절개도.
제3도는 제1도의 잭 콘넥터 부재의 부분 확대 절개도.
제4도는 제1도와는 역전된 위치에서 도시한, 플러그 콘넥터 부재와 잭 콘넥터 부재가 결합된, 제1도의 전기 콘넥터의 황단면도.
제5도는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를 통한, 제4도의 콘넥터의 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잭 콘넥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콘넥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제8a-8c도는 종래 기술의 콘넥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임피던스 정합(matched)프린트 배선 기관들간의 전기접속을 위한, 플러그 콘넥터 부재와 이 플러그 콘넥터 부재와 짝이 될 수 있는 잭 콘넥터 부재를 구비한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서 고속신호처리가 발전함에 따라서 컴퓨터용 다중전극 콘넥터는, 콘넥터들에서 신호가 반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프린트 배선기판과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와 정합되는 특성 임피던스를 갖을 것이 요구됨과 동시에 상기 콘넥터들이 신호간의 누화(crosstalk)가 적을 것이 요구돼 왔다.
고속신호처리를 위한 상기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 케이블의 배선, 전기 콘넥터의 단자들이 단순이 전기접속 수단 뿐만 아니라 송신선일 필요가 있다.
즉, 신호선들을, 접지 도전체에 대하여 일정위치(또는 횡단면형상)로 배치하는 것이 신호선 둘레의 전자파들을 교란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신호송신에는 주로 2종류, 즉, (a) 신호 도전체와 접지 도전체를 사용하는 언밸런스(unbalanced)송신과, (b) 정(+)신호 도전체와 부(-)신호 도전체를 사용하는 밸런스 송신이 있다. 언밸런스 송신은, 프린트 회로기판과, 디지털 신호 송신용 전기케이싱에 자주 사용된다. 이 언밸런스 송신은, 상기 신호 도전체와 접지 도전체의 배치에 따라서 3유형으로 나뉜다 : 즉 코어신호 도전체가 사이에 유전재(절연재)가 채워진 상태로, 원통형 접지 도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동축 구조체와; 신호도전체 1쌍의 접지면 사이에 유전재가 이들 사이에 채워진 상태로 샌드위치돼 있는 스트립 라인(strip line)구조체와, 신호 도전체가, 사이에 유전재가 매입된 상태로 하나의 접지면에만 평행하게 배치돼 있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체가 있다.
상기 스트립라인 구조체와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체는 송신 특성이 다르다. 이 스트립 라인 구조체에서는 잡음과 누화의 발생이 비교적 적다. 신호들은 외부 전자계에 의해 영향을 덜 받으며, 임피던스 특성이 안정하다.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체에서는, 신호들이 외부 전자계에 의해서 비교적 영향을 받는다. (차폐 효과가 작다.) 잡음 발생이 높고, 임피던스 특성이 불안정하다. 또한, 상기 신호들은, 상기 유전재와 도전체의 배치에 따라서 신호 도전체 자체로부터 출사된 전자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누화의 발생률이 비교적 높다.
대응하는 소자들의 치수조건들이 동일한때에 스트립 라인 구조체와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체간에서 임피던스가 변한다. 상기 임피던스 Z0를 하기관계식에 의하여 산술할 수 있음이 잘 알려져 있으며, 하기 식에서, ε는 유전재의 유전상수 ; d는 횡단면을 갖는 경우 신호도전체의 직경이고 ; h는 상기 신호 도전체의 중심과 접지면간의 거리이다.
상기 스트립 라인 구조체의 임피던스 Z0는 하기와 같다 :
상기 마이크로 라인 구조체의 임피던스 Z0는 하기와 같다 :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들은, 외측 도전층과 최내측 도전층을 갖으며 이들간에 유전층이 삽입된 다층 구조체로 형성한다. 상기 접지 도전체와 전원 도전체는 통상 최내측 도전층상에 배치돼 있고, 신호 도전체의 일측상에만 접지면이 배치돼 있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체를 구성하고 있다.
전기 콘넥터가 부착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임피던스와 정합되는 매칭 특성을 갖는 전기 콘넥터가 제안된바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49-6543호에는,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체를 갖는 프린트 배선 기판용 전기 콘넥터가 개시돼 있다. 이 전기 콘넥터는, 제8a~8c도에 도시돼 있으며, 플러그 콘넥터 부재(50)와 이 플러그 콘넥터 부재(50)와 접속될 수 있는 잭 콘넥터 부재(52)를 구비하고 있다.
제8b도는, 상기 잭 콘넥터 부재(52)를 통한 횡단면도이고, 제8c도는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50)를 통한 횡단면도이다.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50)는, 3열의 통공을 갖는 절연재로된 플러그 하우징(54)을 구비하고 있고, 제1웅형(male)신호 단자열(56), 제2웅형신호 단자열(58) 및 대략 평탄하고 연장된 웅형 도전체(60)가 상기 3열의 통공내에 각각 끼워진다.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60)는, 웅형신호단자(56,58)간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체가 구성된다. 상기 잭 콘넥터 부재(52)는, 3열의 통공(64,66,68)을 갖는, 절연재로 된 잭 하우징(62)을 구비하고 있다. 대략 평탄하고 연장된 자형(female)도전체(70)는,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60)를 수납하는 중심 통공(68)에 삽입되어 서로 정합된다. 상,하의 자형 단자(72,74)가, 상기 상,하부의 통공(64,66)에 각각 삽입되어, 웅형신호단자(56,58)와 각각 접합된다. 상기 연장된 자형 도전체(70)는 또한, 자형 신호단자(72,74)와 함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체를 구성한다. 잭 하우징(62)상에는 쉴드 케이스(76)가 부착돼 있다. 이 차폐케이스(76)는, 외부 전자파를 차폐하며, 스트립 라인 구조체의 경우와 같이 임피던스를 제어하도록 설계돼 있지 않다.
상기 콘넥터에서는, 상기 웅형 도전체(60)가 상기 웅형 신호단자(56,58)보다 더 긴 길이를 갖음으로써, 상기 웅형 도전체(60)가 먼저, 상기 잭 하우징(62)의 중심 통공(68)과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50)가 상기 잭 콘넥터 부재(52)와 접합될 때 가이드(guide)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웅형 도전체(60)는 중심 슬릿(78)을 갖고 있으며, 이 슬릿은 상기 중심 통공(68)의 불연속부에서 잭 하우징(62)의 가이드 벽(78)과 협동하여,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50)가 상기 잭 콘넥터 부재(52)와 접합할 때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또한, 미국 특허 4,762,500호 공보에는,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를 갖는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가 개시돼 있다. 이 콘넥터는 또한, 평탄하게 연장된 접지 도전체와 이접지도전체의 양측상의 2열의 신호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체를 구성하고 있다.
최근, 다층 프린트 배선 기판이 개발되고 있고, 프린트배선 기판의 도전층수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접지 도전체와 전원 도전체는, 최내측 도전층상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수개의 층상에 분배되어, 신호 도전체들이 상기 접지도전체와 전원 도전체간에, 또는 접지 도전체들간에 배치된다. 이 경우, 스트립 라인 구조는, 정전압 전원이, 고주파수 신호처리의 경우를 고려하면 접지와 동등한 것으로 보여진다.
바람직한 다층 프린트 배선기판의 임피던스에 정합되는 특정 임피던스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구조체를 갖는 전기 콘넥터를 설계하는 것이 원리상 가능하다.
또한, 신호 도전체와 접지면간의 거리 d를 신호 도전체의 직경에 관련하여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는, 상기 신호 도전체의 밀도가 커지면, 신호 도전체의 직경이 작아지고, 이웃한 신호 도전체들간의 피치가 작아진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선택되는 특정 임피던스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체를 갖는 전기 콘넥터는, 그 임피던스가 비교적 불안정하고, 누화의 발생률이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피던스가 비교적 안정하고, 누화의 발생이 적은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트 배선기판간의 전기접속을 위한, 플러그 콘넥터 부재와, 이 플러그 콘넥터 부재와 접합될 수 있는 잭 콘넥터 부재를 구비한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가, 축과, 이 축주위의 외주면과, 상기 축에 평행하는 제1평면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통공과 상기 제1평면에 평행하는 제2평면내에 배치된 제1열의 소통공 및, 상기 제1열의 소통공들로부터 원격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통공의 측면상에서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한 제3평면내에 배치된 제2열의 소통공을 갖으며; 상기 외주면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통공과 제1열과 제2열의 소통공과 중첩되는 관계를 갖는 상태로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과 제2의 대향된 평탄 외면부를 구비하고 있는, 절연재로 된 플러그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통공에 끼워 맞춰지는 대략 평탄하고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웅형 도전체와; 상기 제1열의 소통공들에 각각 끼워지는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들과; 상기 제2열의 소통공들에 각각 끼워지는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들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전성 접지 셸을 구비하며, 이 접지 셸은, 제1평탄 셸부와 제2평탄 셸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평탄셸부가, 이 제1평탄 셸부와 상기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간의 거리가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와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간의 거리와 실질상 동등하도록 상기 제1평탄 외면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평탄 셸부가, 이 제2평탄셸부와 상기 제2열의 웅형 신호 단자간의 거리가, 상기 제2열의 웅형 신호 단자와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간의 거리와 실질상 동등하도록 상기 제2평탄 외면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의 임피던스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웅형 도전체와 접지 셸에 의하여 제어되는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잭 콘넥터 부재는, 절연재로 된 잭 하우징과,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와 접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와, 상기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와 접합 결합되는 제1열의 자형 신호단자 및, 상기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와 접합 결합되는 제2열의 자형 신호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도전성 접지셸과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에 의하여, 이들 사이에서 상기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와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들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절연재를 통하여 각각 배열돼 이슨 스트리프 라인 구조체가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웅형 도전체가, 상기 제1평면내에 일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웅형 접지 도전체와 적어도 하나의 웅형 전원 도전체를 구비하며, 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가, 한 평면내에 일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자형 접지 도전체와 적어도 하나의 자형 전원 도전체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 셸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웅형 도전체와 접속되어, 이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돼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접속돼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 셸이 연속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프린트 배선 기판쪽으로 배향된 제1단부와, 잭 콘넥터 부재쪽으로 배향된 제2단주와, 상기 제1단부에 인접한 외주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지 셸이 상기 외주 견부와 인접된 관계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면 상에 배치돼 있다. 상기 접지 셸은, 그의 일단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 견부와 대면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제2단부를 넘어서 상기 잭 하우징까지 뻗치는 길이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잭 하우징은, 외주면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 쪽으로 배향된 제1단부와, 다른 프린트 배선 기판쪽으로 배향된 제2단부 및, 상기 잭 하우징의 제2단부에 인접한 외주 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지 셸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제2단부를 넘어서 상기 잭 하우징까지 뻗어 있고, 상기 잭 하우징의 제1단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제2단부와 인접돼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 셸이, 상기 잭 하우징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 커버함으로써 상기 접지 셸의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위에 중첩된다.
상기 접지 셸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견부와 상기 잭 하우징의 외주견부간에 뻗어 있다.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도전체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제2단부를 넘어서 뻗어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 셸에 가이드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잭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웅형 도전체와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의 접합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연동가이드 수단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양호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할 수 있다.
제1도와 제4도는, 프린트 배선 기판(도시안함)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플러그 콘넥터 부재(30)와, 이 플러그 콘넥터 부재(30)와 접합될 수 있는 잭 콘넥터 부재(35)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전기 콘넥터(10)를 나타내고 있다.
제1,2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30)는, 제1도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축을 갖는, 절연재로 된 플러그 하우징(31)을 구비하고 있고, 이 하우징을 따라서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30)가 상기 잭 콘넥터 부재(35)와 접합된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은 대략 장방형 횡단면 형상의 외주면(31a)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일단부에 인접한 외주 견부(31b)를 갖고 있다. 상기 외주면(31a)은, 장방형 횡단면 형상의 장변측을 따라 뻗은 제1과 제2대향된 평탄 외면부(31c,31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은 또한 상기 축과 상기 외면부(31c,31d)에 평행한 제1평면내에 배치된 복수의 연장된 통공(31e)과, 상기 제1평면에 평행한 제2평면내에 배치된 제1열의 소통공(31f)과, 상기 제1열의 소통공(31g)으로부터 원격된 연장된 통공(31e)의 측면에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한 제3평면내에 배열된 제2열의 소통공(31g)을 갖고 있다. 상기 제1과 제2의 대향된 평탄 외면부(31c,31d)와, 상기 연장된 통공(31e), 제1과 제2열의 소통공(31f,31g)이 모두 제4도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고, 따라서 중첩된 관계로 서로 평행하게 돼 있다.
평탄하고 연장된 웅형 도전체들(32)은 상기 연장된 통공들(31e)내에 각각 끼워 맞춰진다.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들(32)은, 상기 제1평면내에 일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웅형 접지 도전체와 적어도 하나의 웅형 전원 도전체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들(32) 각각은, 대응하는 자형 도전체와의 접속을 위한 첨예한 단부 또는 접점(32a)과, 프린트 배선기판(도시안함)과의 접속을 위한 분기된 단부 또는 접점(32b)을 갖고 있다.
상기 분기된 단부들(32b)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외주견부(31b)로부터 뻗어 있다.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들(33)은, 제1열의 소통공들(31f)에 각각 끼워 맞춰지며,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들(33)은 제2열의 소통공들(31g)내에 각각 끼워 맞춰진다. 웅형 신호단자들(33) 각각은, 대응하는 자형 신호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첨예 단부 또는 접점(33a)과, 프린트 배선기판과의 접속을 위한 다른 단부 또는 접점(33b)을 갖고 있다. 상기 웅형 신호단자들(33)의 단부들(33b)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외주견부(31b)로부터 뻗어있고, 돌출단부들은 Z형 어레이로 굽어 있다. 상기 웅형 도전체들(32)은 도전성이 양호한 강인한 평판으로 된 것이고 상기 웅형 신호단자들(33)은 도전성이 양호한 작은 로드(rod)로부터 구성된 것이다.
도전성 양호한 도전성 접지 셸(ground shell)(34)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외주면(31a)에 부착돼 있다. 상기 접지셸(34)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외주면(31a)을 둘러싸는 연속 폐쇄된 형상으로 돼있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상에 끼워지기 위한 대략 장방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 셸(34)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제1평탄 외면부(31c)를 커버하는 제1평탄 셸부(34a)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제2평탄 외면부(31d)를 커버하는 제2평탄 셸부(34b)를 갖고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 셸(34)은 신호단자들(33)에 대해 스트리프 라인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평탄셸부(34a)는, 상기 제1평탄셸부(34a)와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33)간의 거리가, 상기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들(33)과,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들(32)간의 거리와 실질상 동등하도록 배치돼 있고, 상기 제2평탄 셸부(34b)는, 상기 제2평탄 셸부(34b)와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들(33)간의 거리가 상기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들(33)과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32)간의 거리와 실질상 동등하도록 배치돼 있다.
상기 접지 셸(34)은, 상기 외주 견부(31b)와 접촉관계로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외주면(31a)상에 배치돼 있고, 상기 접지 셸(34)은, 상기 접지 셸(34)이 그 일단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외주 견부(31b)와 대면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단부(31h)를 넘어서 뻗어있다.
상기 접지 셸(34)은, 상기 접지 셸(34)의 단변측에 텅(tongue)(34C)을 갖고 있고; 이 텅(34c)의 내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통공을 통해서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32)에 접속돼 있다. 상기 텅(34c)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벽과 결합되며, 또한 접지 셸(34)을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에 기계적으로 접속시키는데 기여한다.
상기 접지 셸(34)은 또한, 장방형 형상의 일변을 따라 상기 접지 셸(34)의 대향하는 모서리들에 1쌍의 외향돌출 아치형 가이드 벽(34d)을 갖고 있고, 이 벽들은, 상기 웅형 도전체들(32)과 상기 잭 콘넥터 부재(35)의 대응하는 자형 도전체들의 집합 결합을 보조한다.
제1,3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잭 콘넥터 부재(35)는, 절연재로 된 잭 하우징(36)과, 상기 연장 된 웅형 도전체(32)와, 접합 결합되는 연장된 자형 도전체(37)와, 상기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33)와 접합 결합되는 제1열의 자형 신호단자(38) 및, 상기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33)와 접합 결합되는 제2열의 자형 신호단자(3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잭 하우징(36)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외주면(31a)과 일치하는 대략 장방형 횡단면 형상의 외주면(36a)을 갖고 있고,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이 상기 잭 하우징(36)과 결합될 때 단부대 단부 관계로 인접한다. 상기 잭 하우징(36)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과 결합될 때 이 플러그 하우징(31)으로부터 원격된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일단부에 인접되는 외주 견부(36b)를 갖고 있다.
상기 외주면(36a)은, 제1과 제2의 대향된 평탄 외면부(36c,36d)와, 상기 연장된 자형 도전체(37)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연장된 통공(36e) 및, 상기 자형 신호 단자들(38)을 삽입키 위한 제1열과 제2열의 소통공(36f,36g)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장된 자형 도전체들(37) 각각은, 상기 자형 도전체들(32)의 첨예 단부(32a)를 수납키 위한 분기된 자형 단부 또는 접점(32a)과 다른 프린트 배선기판(도시안함)과의 접속을 위한 분기된 리드 단부 또는 접점(32b)을 갖고 있다. 자형 신호단자(38) 각각은, 웅형 신호단자(38)의 첨예단부(33a)를 수납키 위한 자형 단부 또는 접점(38a)과, 다른 프린트 배선기판과의 접속을 위한 다른 단부 또는 접점(37b)을 갖고 있다. 상기 자형 신호단자들(38)의 단부들(38b)은 Z형 어레이로 굽혀 있다. 상기 자형 도전체들(37)은, 도전성이 양호한 탄성평판이 조합으로 구성돼 있고, 상기 자형 신호단자들(38)은, 도전성이 양호한 작은 로드들로 구성돼 있다.
상기 잭 하우징(36)은, 상기 잭 하우징(36)의 대향하는 모서리에 1쌍의 릿지(ridge)(36c)를 갖고 있다. 이 릿지들(36c)은, 상기 웅형 도전체들(32)과 상기 잭 콘넥터 부재(35)내의 대응 자형 도전체들(37)의 접합 결합을 보조하고, 부정확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 셸(34)의 가이드벽들(34d)과 접합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 셸(34)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단부를 넘어서 상기 잭 하우징(36)까지 뻗어 있고, 이 잭 하우징(36)의 일단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제2단부와 인접돼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 셸(34)은, 상기 잭 하우징(36)의 외주면(36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접지 셸(34)의 일부가 상기 자형 도전체(37)위에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 셸(34)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외주 견부(31b)와 상기 잭 하우징(36)의 외주견부(36b)간에 뻗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 셸(34)은 또한, 상기 잭 하우징(36)내의 연장된 자형 도전체들(37)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자형 신호단자들(38)에 대해 스트리프라인 구조체를 구성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잭 콘넥터 부재(35)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잭 콘넥터 부재(35)는, 이 잭 콘넥터 부재(35)가 제3도의 잭콘넥터 부재보다 더 길고, 상기 접지 셸(34)이 상기 잭 하우징(36)내의 연장된 자형 도전체를 완전 커버할 수 없는 외에는, 제3도의 잭 콘넥터 부재(36)의 구성과 유사하다. 이 경우는, 부가적인 도전성 접지 셸(34)이 상기 잭 하우징(36)에 부착돼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접지 셸(34)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을 확장시키고 상기 잭 하우징(36)의 외주견부(36b)와 인접되도록 배치돼 있고, 상기 제2접지 셸은 상기 잭 하우징(36)의 외주견부(36b)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과 제2접지 셸들(34,39)이 실질상 연속돼 있다. 상기 제2접지 셸(39)은, 상기 연장된 자형 도전체(37)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상기 접지 셸(39)의 단변측에 텅(39a)을 갖고 있다.
하기의 표는 3개의 전기 콘넥터(A~C)에 대한 임피던스와 누화 시험 결과이다. 상기 콘넥터(A)는, 제1실시예의 콘넥터(10)이고, 상기 콘넥터(B)와 (C)는, 상기 콘넥터(10)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콘넥터(B)의 접지 셸(34)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에는 부가돼 있으나, 접지에는 접속돼 있지 않다. 상기 접지 셸(C)는, 그 접지 셸(34)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에 부착돼 있지 않고,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구조를 갖고 있다.
[표 1]
가까운 단부 누화는, 펄스 입력측(잭측)에서 측정한 값이고, 먼 단부 누화는 플러그측에서 측정한 값이다. 다른 콘넥터에 비하여, 상기 콘넥터(A)는 누화를 소량으로 할 수 있음을 명백히 할 수 있다. 상기 콘넥터(B)의 임피던스는 콘넥터(A)와 유사했다. 그 이유는 분명치 않으나, 상기 시험에서는 소수의 신호단자가 작동되고 상기 접지 셸(34)의 크기가 커서, 상기 접지 셸(34)이, 접지에 접속된 것처럼, 상기 시험중 전위가 안정하다는 사실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상기 접지 셸(34)이 실제 사용시에 접지에 접속돼야 바람직한 것임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 신호단자(33,38)의 열이, 상기 연장된 도전체(32,37)와 접지 셸(34)의 평탄 셸부(34a,34b)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누화량을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콘넥터(10)는, 예를 들어 장변 길이가 64mm이고 단변길이가 4mm인 플러그 하우징(31)내에 배치된 100개의 신호단자(33)를 갖고 있다. 상기 전기 콘넥터(10)의 높이는 대략 20mm이다. 상기 전기 콘넥터(10)는, 예를 들어 대략 1GHZ레벨의 고속신호 처리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주파수 레벨에 적합한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절연재료를 상기 플러그 하우징(31)과 잭 하우징(36)의 절연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누화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31)과 잭 하우징(36)의 절연재료용으로 액정중합체가 적합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상기 액정중합체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31)과 잭 하우징(36)이 상기와 같은 얇은 벽 구조를 갖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으며, 납땜 공정중의 열을 견디는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상기 액정중합체는 성형공정중 유동성이 양호하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콘넥터 부재(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30)는, 플러그 하우징(31), 연장된 웅형 도전체(32), 접지 셸(34) 및 신호단자등의 기타 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제2도의 플러그 콘넥터 부자(30)와 유사하다. 제2도의 텅(34c)이 제7도의 텅(41)으로 대체돼 있다. 이 텅(41)의 상기 접지 셸(34)의 일단부로부터 뻗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단부면을 따라 굽어 있고, 이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32)의 분기된 단부들(32b)이 돌출돼 있다. 상기 텅(41)은 통공(40)을 갖고 있고, 이 통공(40)를 통해서,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32)의 분기된 단부들(32b)중 하나가 통과하여, 상기 접지 셸(34)과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32)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접지 셸(34)을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에 기계적으로 접속시킨다. 상기 외주견부(31b)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31)의 단부에 인접 설치되면, 상기 텅(41)의 통로용으로 외주견부(31b)에 슬릿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6도의 텅(39a)은, 제7도의 텅(41)과 유사한 텅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임피던스 특성을 정합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스트리프라인 구조의 전기 콘넥터를 제공할 수 있고, 외부 잡음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 안정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전기 콘넥터를 실현할 수 있고, 상기 스트리프 라인 구조에 의하면 누화량이 비교적 적다.

Claims (14)

  1. 플러그 콘넥터 부재와, 이 플러그 콘넥터 부재와 접합될 수 있으며, 프린트 배선기판간의 전기접속을 위한 잭 콘넥터 부재를 구비한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가; 축, 이 축 주위의 외주면, 상기 축에 평행한 제1평면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통공, 상기 제1평면에 평행한 제2평면내에 배치된 제1열의 소통공 및, 상기 제1열의 소통공들로부터 원격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통공의 측면상에서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한 제3평면내에 배치된 제2열의 소통공을 가지며; 또한 외주면이, 적어도 소통공과 중첩되는 관계를 갖는 상태로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의 대향된 평탄외면부를 구비하고 있는 절연재로 된 플러그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통공에 끼워맞춰지는 대략 평탄하고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웅형 도전체와; 상기 제1열의 소통공들에 각각 끼워지는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들과; 상기 제2열의 소통공들에 각각 끼워지는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들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외주면에 부착된 도전성 접지 셸을 구비하며, 상기 접지 셸은 제1평탄 셸부와 제2평탄 셸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평탄 셸부와 상기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간의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와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간의 거리와 실질상 동등하도록 상기 제1평탄 셸부가 상기 제1평탄 외면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평탄부 셸부와 상기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간의 거리가 상기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와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간의 거리와 실질상 동등하도록 상기 제2평탄 셸부가 상기 제2평탄 외면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웅형신호단자의 임피던스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웅형 도전체와 접지 셸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잭 콘넥터 부재가 절연재로 된 잭 하우징과 상기 연장된 웅형 도전체와 접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와 상기 제1열의 웅형 신호단자와 접합 결합되는 제1열의 자형 신호단자 및, 상기 제2열의 웅형 신호단자와 접합 결합되는 제2열의 자형 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잭 콘넥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가 대략 평탄하고 연장된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웅형 도전체가 상기 제1평면내에 일렬로 배열 ; 된 적어도 하나의 웅형 접지 도전체와 적어도 하나의 웅형 전원 도전체를 구비하며, 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가 한 평면내에 일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자형 접지 도전체와 적어도 하나의 자형 전원 도전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셸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웅형 도전체와 접속돼 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셸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웅형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돼 있고, 상기 접지 셸과 전기적으로 접속돼 있고, 상기 접지 셸을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접속시킨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셸이 연속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프린트 배선기판쪽으로 배향된 제1단부와, 잭 콘넥터 부재쪽으로 배향된 제2단부와, 상기 제1단부에 인접한 외주 견부를 갖고 있고 ; 상기 접지 셸이 상기 외주 견부와 인접된 관계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면상에 배치돼 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셸은 그의 일단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견부와 대면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견부와 대면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제2단부를 넘어서 상기 잭 하우징까지 뻗치는 길이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잭 하우징은 외주면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쪽으로 배향된 제1단부와, 다른 프린트 배선기판쪽으로 배향된 제2단부 및, 상기 잭 하우징의 제2단부에 인접한 외주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지 셸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제2단부를 넘어서 상기 잭 하우징까지 뻗어있고, 상기 잭 하우징의 제1단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제2단부와 인접돼 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셸이 상기 잭 하우징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 커버함으로써 상기 접지 셸의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위에 중접되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셸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주견부와 상기 잭 하우징의 외주견부간에 뻗어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콘넥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도전체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제2단부를 넘어서 뻗어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셸이 가이드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잭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웅형 도전체와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의 접합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연동 가이드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셸이 가이드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잭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웅형 도전체와 적어도 하나의 자형 도전체의 접합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연동 가이드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인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KR1019920008044A 1991-05-13 1992-05-13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KR950012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7437 1991-05-13
JP10743791 1991-05-13
JP91-107437 1991-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588A KR920022588A (ko) 1992-12-19
KR950012469B1 true KR950012469B1 (ko) 1995-10-18

Family

ID=1445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044A KR950012469B1 (ko) 1991-05-13 1992-05-13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95899A (ko)
EP (1) EP0514055B1 (ko)
KR (1) KR950012469B1 (ko)
DE (1) DE6921628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8251A (en) * 1992-08-10 1994-05-03 The Whitaker Corporation Mounting bracket with ESD protection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3108239B2 (ja) * 1993-02-19 2000-11-13 富士通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整合型電気コネクタ
US5356300A (en) * 1993-09-16 1994-10-18 The Whitaker Corporation Blind mating guides with ground contacts
US5413491A (en) * 1993-10-13 1995-05-09 Burndy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connectors with center ground plate
JP3112791B2 (ja) * 1994-01-31 2000-11-27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
US5399105A (en) * 1994-04-29 1995-03-21 The Whitaker Corporation Conductive shroud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547385A (en) * 1994-05-27 1996-08-20 The Whitaker Corporation Blind mating guides on backwards compatible connector
US5478260A (en) * 1994-07-29 1995-12-26 The Whitaker Corporation Ground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470259A (en) * 1994-12-05 1995-11-28 The Whitaker Corporation Grounding shroud for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6159021A (en) * 1995-02-09 2000-12-1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817973A (en) * 1995-06-12 1998-10-06 Berg Technology, Inc. Low cross talk and impedance controlled electrical cable assembly
US6939173B1 (en) 1995-06-12 2005-09-0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Low cross talk and impedance control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older masses
TW267265B (en) * 1995-06-12 1996-01-01 Connector Systems Tech Nv Low cross talk and impedance controlled electrical connector
US6210182B1 (en) 1995-06-12 2001-04-03 Berg Technology, Inc. Low cross talk and impedance controlled electrical connector
US6139364A (en) * 1995-09-08 2000-10-31 Motorola, Inc. Apparatus for coupling RF signals
JP3836512B2 (ja) * 1995-09-15 2006-10-25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US5685721A (en) * 1995-11-06 1997-11-11 American Research Corporation Of Virginia Refreshable braille-cell display implemented with shape memory alloys
US5813871A (en) * 1996-07-31 1998-09-29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797770A (en) * 1996-08-21 1998-08-25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823795A (en) * 1996-10-30 1998-10-20 Hewlett-Packard Company Connector between a daughterboard and a motherboard for high-speed single-ended electrical signals
JP3685908B2 (ja) 1997-05-30 2005-08-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5882227A (en) * 1997-09-17 1999-03-16 Intercon Systems, Inc.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 block
US5944541A (en) * 1997-12-23 1999-08-31 Alcatel Usa Interleaved power and impedance control using daughtercard edge connector pin arrangement
JP2000067955A (ja) * 1998-08-17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ジャック、プラグ、及びコネクタ装置
JP2000068007A (ja) 1998-08-20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ケーブル付き平衡伝送用コネクタ
JP2000068006A (ja) 1998-08-20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ライトアングル型コネクタ
JP2000067956A (ja) 1998-08-24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プラグ、ジャック、及びコネクタ装置
JP2000106250A (ja) * 1998-09-30 2000-04-11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板付き多極コネクタ
US6379184B1 (en) 1999-07-16 2002-04-30 Molex Incorporated Connectors with reduced noise characteristics
TW504111U (en) * 2001-12-03 2002-09-21 Delta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device
SG101536A1 (en) * 2002-03-30 2004-01-30 Inst Of Microelectronics A high frequency board-to-board connector
KR100600221B1 (ko) * 2003-04-23 2006-07-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실드 및 그라운드 접속의 양 기능을 향상시킨 전기커넥터
US6884094B1 (en) * 2003-11-10 2005-04-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hermaphroditic center ground plane
US7223915B2 (en) * 2004-12-20 2007-05-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assembly with opposed inverse wire management configurations
JP4295270B2 (ja) * 2005-11-16 2009-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の組立体
US8092235B2 (en) * 2008-07-24 2012-01-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grouped contacts
JP4613235B2 (ja) * 2008-09-11 2011-01-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12012005420B4 (de) * 2011-12-21 2020-02-06 Samtec, Inc. Abstimmkörper mit unterschiedlichen Impedanzen und Verbinder mit einstellbarer Impedanz
US8986030B2 (en) * 2012-12-06 2015-03-24 Phoenix Cont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c. Modula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US9022800B2 (en) * 2013-05-23 2015-05-0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heat-dissipation feauter thereof
CN105470690A (zh) * 2014-09-05 2016-04-06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9337585B1 (en) * 2014-12-05 2016-05-10 All Best Precision Technology Co., Ltd. Terminal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same
KR102522299B1 (ko) * 2018-06-27 2023-04-1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기 커넥터 세트
CN111755916B (zh) * 2019-03-28 2022-02-08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DE102019135651A1 (de) * 2019-12-22 2021-06-24 Thomas Kliem Bodenplat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805A (en) * 1971-10-26 1975-08-19 Coaxial Dynamics Directional coupler for transmission lines
JPS5753490B2 (ko) * 1972-03-21 1982-11-13
US4941848A (en) * 1984-01-16 1990-07-17 Stewart Stamping Corp. Shielded plug jack connector
US4806110A (en) * 1986-06-19 1989-02-21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s
US5057028A (en) * 1986-11-18 1991-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eptacle having a nosepeice to receive cantilevered spring contacts
US4762500A (en) * 1986-12-04 1988-08-09 Amp Incorporated Impedance matched electrical connector
US4992061A (en) * 1989-07-28 1991-02-12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filter connector
US5035632A (en) * 1989-10-10 1991-07-30 Itt Corporation Card connector with interceptor plate
US4950172A (en) * 1989-10-10 1990-08-21 Itt Corporation Connector with interceptor plate
US5104329A (en) * 1990-09-21 1992-04-14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116230A (en) * 1991-04-09 1992-05-26 Molex Incorporated Coaxial cable connector
US5137472A (en) * 1991-11-01 1992-08-11 Amp Incorporated Means for securing ground plates to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588A (ko) 1992-12-19
EP0514055B1 (en) 1997-01-02
EP0514055A2 (en) 1992-11-19
US5195899A (en) 1993-03-23
DE69216288D1 (de) 1997-02-13
DE69216288T2 (de) 1997-04-24
EP0514055A3 (en) 199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469B1 (ko) 임피던스 정합 전기 콘넥터
US6132255A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and insulation
KR100456490B1 (ko) 임피던스가 조정되는 커넥터
US6454605B1 (en) Impedance-tuned termination assembly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US5730609A (en) High performance card edge connector
JP3889447B2 (ja) シールドされたモジュール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4914062A (en) Shielded right angled header
US6945796B2 (en) Impedance-tuned connector
US3689865A (en) Connector
US6575789B2 (en) Impedance-tuned termination assembly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JPS6030074B2 (ja) 電気コネクタ
KR19980070470A (ko) 전기 커넥터
US7145083B2 (en) Reducing or eliminating cross-talk at device-substrate interface
US6547593B1 (en) Sub-miniature, high speed coaxial pin interconnection system
JP2528234B2 (ja) インピ―ダンス整合型電気コネクタ
US20140248803A1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23199827A1 (ja) ケーブル組立体及びコネクタ
WO2023243333A1 (ja) ケーブル組立構造体及びコネクタ
TWI819829B (zh) 電連接器
JPH0521111A (ja) コネ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