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059B1 - 전원공급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원공급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059B1
KR950012059B1 KR1019930008655A KR930008655A KR950012059B1 KR 950012059 B1 KR950012059 B1 KR 950012059B1 KR 1019930008655 A KR1019930008655 A KR 1019930008655A KR 930008655 A KR930008655 A KR 930008655A KR 950012059 B1 KR950012059 B1 KR 95001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gic
signal
power suppl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059B1/ko

Links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공급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이 전원공급 장치의 개략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제어회로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코더 로직 20 : 푸직 스위치
30 : 논리수단 40 : 릴레이
50 : 전원장치 55, 60 : 다이오드
70 : 버퍼
본 발명은 컴퓨터등의 장치에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보드를 이용하여 전원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전원공급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등의 장치에 있어서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시키기 위해서는 본체등에 부착되어 있는 전원공급용 스위치 키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여부를 결정하였다. 즉, 현재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원공급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은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처럼 사용자에 의한 스위칭 조작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장치로 유입되는 AC전원의 차단여부를 결정하여 전원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전원공급 제어장치는 단순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의 온/오프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다는 장점은 가지고 있지만 시스템의 보안차원의 관점에서 고려할 때 일반인의 부주의한 전원조작을 금지시킬 수 있는 어떠한 차단장치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또한 전원스위치가 자체가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본체와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와 키보드등이 본체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을 온/오프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공급의 제어를 키보드상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키의 조작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는 전원공급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보드상의 키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의 온/오프 동작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임으로 전원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 보안기능을 갖출 수 있는 전원공급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제어회로는 키보드상에 장착되어 전원의 온동작을 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위치; 스위치로 부터의 신호와 상기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시스템제어명령을 해석하여 전원의 온/오프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출력제어신호(/PWROFF)를 발생하는 디코더로직; 디코더로직으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PFROFF)와 스위치로 부터의 신호를 논리연산하는 논리수단; 및 논리수단으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전원장치에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스위칭하는 릴레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항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제2도에서 10은 데이타 입력장치인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키보드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신호를 받아서 이를 해석하여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로직, 20은 키보드상에 설치되어 있어 전원과 온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푸쉬타입의 스위치, 30은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어논리신호를 발생하는 논리수단, 40은 권선과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 50은 컴퓨터등의 장치에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이다. 이외에도 Vcc1은 시스템이 온 되면 키보드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5V 전원이고, Vcc2는 재충전 가능한 NiCd 배터리로서 키보드 내의 전원의 온/오프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다이오드(D1)은 VCC2의 전압이 키보드회로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논리수단(30)은 두개의 다이오드(55, 60)와 1개의 버퍼(7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제어회로의 동작은 전원이 온되는 경우와 오프되는 경우의 두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에 대한 온/오프명령이 내려지기 전에 본 장치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디폴트상태의 값을 가지게 된다.
1. /PWROFF와 ERST는 로우
2. D_IN단자를 통하여 유입되는 데이타의 PARITY, START 및 STOP 비트는 로우상태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기본 상태하에서 전원을 온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장치(50)를 온시키기 위하여 키보드상에 위치한 푸쉬스위치(20)를 누르게 되면 ERST는 하이로 변하게 되고 이 값이 디코더로직(10)에 공급된다. ERST는 푸쉬 스위치(20)가 눌려서 접점에 연결되는 경우에만 하이상태의 논리를 가지므로 눌린 후 다시 떨어진다면 로우상태의 논리로 다시 바뀐다.
또한 디코더 로직(10)에서 출력되는 /PWROFF신호는 디폴트로 로우논리를 가지도록 되어있으나 하이논리의 ERST신호가 입력되면 하이논리상태로 변환되어 출력되고, 본 발명에서의 사용되는 논리수단(30)에서는 이들 신호 즉, 푸쉬 스위치 (20)로부터의 신호와 디코더로직(10)으로 부터의 신호(/PWROFF)의 논리연산에 의하여 하이논리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40)가 온(ON)의 위치로 전환하도록 하여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논리수단(30)에서의 논리연산은 다양한 논리게이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푸쉬스위치(20)가 눌려질때, 하이논리의 신호가 다이오드(55)에 입력되고, 디코더로직(10)으로 부터의 하이논리의 신호가 다이오드(60)로 입력되어 하이논리의 신호가 버퍼(70)에 입력된다.
최종적으로 버퍼(70)는 하이논리의 제어신호를 릴레이(40)로 공급한다. 따라서, 릴레이 (40)의 접점이 AC 전원에 연결되어 AC 전원이 전원장치(50)로 공급되는 동시에 Vcc1도 하이상태가 되어 키보드상에 전원이 공급되었다는 표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는 푸쉬스위치(20)에 의하여 동작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키보드에서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전원을 오프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시스템에서 키보드로 전원오프명령을 내리면 이 명령이 디코더로직(10)에 입력되는 클럭에 맞추어 데이타 입력단자(D_IN)를 통하여 직렬로 입력이 된다.
통상적으로 데이타의 입력은 클럭신호에 맞추어 시작비트, 8비트의 데이타비트, 패리티비트, 스톱비트의 총 11비트를 카운트하여 데이타가 입력되면 이는 디코더로직(10)에서 해석된다. 해석된 명령이 전원오프(본 발명에서는 오프명령으로서 코드A5h를 사용하였다)를 나타내는 경우에, 디코더로직(10)에서의 출력신호인 /PWROFF가 로우가 된다.
논리수단(30)에서는 푸쉬스위치(20)로 부터의 신호와 디코더로직(10)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PWROFF)를 논리연산에 의하여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푸쉬스위치(20)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푸쉬스위치(20)가 눌려질 때만 하이상태의 논리를 가지고 통상의 경우에는 로우상태의 논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논리수단(30)으로 로우논리의 신호가 입력되어 논리수단(30)에서는 디코더로직(10)으로 부터의 로우논리의 신호와 푸쉬스위치(20) 쪽으로 부터의 로우논리의 신호가 각각 다이오드(55, 60)에 의해 차단되어, 로우논리의 신호가 버퍼(70)에 입력되고, 최종적으로 로우논리의 신호가 릴레이(40)로 공급된다.
로우상터의 전원제어신호가 출력되면 릴레이(40)에서의 스위치단자는 AC전원쪽에서 다른 접점으로 스위칭되어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ERST신호는 로우상터이므로 전원이 다시 켜비는 경우는 없게된다.
상기에서는 전원을 오프하도록 시스템에서 오프명령을 보낸 경우를 살펴보았지만, 입력되는 명령이 전원오프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명령이 유효하지 않으므로 /PWROFF는 개속 하이상태를 유지할 것이므로 시스템의 전원에는 어떠한 변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코더로직(10)은 다양한 형태로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미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N85C060칩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칩의 경우에는 클럭단자가 2개이므로 하나의 클럭입력을 두개로 나누어 접속하여 사용한다. 이 칩은 28핀으로 구성되며 외부입력을 받는 단자로는 전원단자(Vcc), 데이타관련단자, 키보드입력 표시용단자(M_Vcc), 푸쉬스위치(20)로 부터의 신호입력단자(ERST)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단자들(Q0, Q1, Q2, Q3)과 출력 신호단자(/PVE0FF)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칩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제어회로의 신호들에 따라 전원제어신호(/PWROFF)가 일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TOP : = D_DIN * M_Vcc * /ERST STOP.CLKF=CLK1
PARITY : = STOP * M_Vcc * /ERST PARITY.CLKF=CLK1
D7 : = PARITY * M_Vcc * /ERST D7.CLKF=CLK1
D6 : = D7 * M_Vcc * /ERST D6.CLKF=CLK1
D5 : = D6 * M_Vcc * /ERST D5.CLKF=CLK1
D4 : = D5 * M_Vcc * /ERST D4.CLKF=CLK1
D3 : = D4 * M_Vcc * /ERST D3.CLKF=CLK1
D2 : = D3 * M_Vcc * /ERST D2.CLKF=CLK1
D1 : = D2 * M_Vcc * /ERST D1.CLKF=CLK1
D0 : = D1 * M_Vcc * /ERST D0.CLKF=CLK1
Q3 : = /IRST * Q3 * /Q0 + /IRST * Q3 * /Q1 +
/IRST * Q3 * /Q2 + /IRST * Q3 * Q2 * Q *Q0
Q3.CLKF=CLK2
Q2 : = /IRST * Q2 * /Q0 + /IRST * Q2 * /Q1 +
/IRST * Q2 * /Q1 + Q0
Q2.CLKF=CLK2
Q1 : = /IRST * Q1 * /Q0 + /IRST * Q1 * /Q0
Q1.CLKF=CLK2
Q0 : = /IRST * Q0
Q0.CLKF=CLK2
IRST=Q3 * /Q2 * /Q1 * /Q0 + /M_Vcc + ERST
PWROFF=D7 * /D6 * /D5 * /D4 * /D3 * /D2 * /D1 * /D0
PARITY * STOP * /Q3 * /Q2 * /Q1 * /Q0 * /ERST
이러한 논리에 따라 위에서 사용되는 칩이외에도 다양하게 디코더로직(10)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의 온/오프시 전원스위치를 누르는 대신에 키보드상의 스위치와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시스템 전원의 파워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원의 온/오프시 단순한 동작으로서 전원의 온/오프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의 전원의 오프를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별도의 명령으로서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타인이 임의로 실시할 수 없는 시스템 보안차원의 효과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키보드상에 장착되어 전원의 온동작을 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위치(20); 상기 스위치(20)로 부터의 신호와 상기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시스템제어명령을 해석하여 전원의 온/오프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출력제어신호(/PWROFF)를 발생하는 디코더로직(10); 상기 디코더로직(10)으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PWROFF)와 상기 스위치(20)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논리연산하는 논리수단(30); 및 상기 논리수단(30)으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전원장치(50)에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스위칭하는 릴레이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20)는 푸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수단은 상기 스위치(20)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1다이오드(55); 상기 디코더로직(10)으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다이오드(60); 및 상기 제1다이오드(55) 및 상기 제2다이오드(60)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릴레이수단(40)으로 공급하기 위한 버퍼(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제어회로.
KR1019930008655A 1993-05-20 1993-05-20 전원공급 제어회로 KR95001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655A KR950012059B1 (ko) 1993-05-20 1993-05-20 전원공급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655A KR950012059B1 (ko) 1993-05-20 1993-05-20 전원공급 제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59B1 true KR950012059B1 (ko) 1995-10-13

Family

ID=1935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655A KR950012059B1 (ko) 1993-05-20 1993-05-20 전원공급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05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801B1 (ko) 전원 공급의 자동 차단을 위한 제어 장치
US7594126B2 (en) Processor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idle mode
KR20080024097A (ko)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그 관련 기술
KR100798020B1 (ko) 데이터 처리 회로, 데이터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그리고 장치를 위한 컴퓨터 독출 가능 저장 매체
KR20020014534A (ko) 저전력 오디오 프로세서
US55155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peripheral devices after downloading a program therefrom
KR0162599B1 (ko) 단순한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US5237698A (en) Microcomputer
KR950012059B1 (ko) 전원공급 제어회로
EP1837972A2 (en) Power supply unit for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uner
JP2715671B2 (ja) 表示制御装置
US7191352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cut-off protection circuit
CZ302029B6 (cs) Programovatelné ovládací zarízení
KR900004004B1 (ko) 작동 기능 회로의 선택 및 로킹 회로
KR950007113B1 (ko) 컴퓨터의 전원 제어 장치
KR930005648B1 (ko) 입력절환장치
KR100186640B1 (ko) 시스템 전원제어장치
KR0134250Y1 (ko) 데이타 유실 방지회로
KR0132475B1 (ko) 피엘씨(plc)의 릴레이 수명 감지방법 및 그 장치
KR940006805B1 (ko)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스캔너를 이용한 전력차단 및 공급상태 선택방법
KR920001331A (ko) 프로세서
KR0119588Y1 (ko) 원칩구현이 가능한 백업마이콤
KR0179688B1 (ko) 삼중화 장치의 선택 제어회로
KR920002107Y1 (ko) 컴퓨터 시스템의 리세트 방지회로
JP2775536B2 (ja) 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