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750B1 -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750B1
KR950011750B1 KR1019930001381A KR930001381A KR950011750B1 KR 950011750 B1 KR950011750 B1 KR 950011750B1 KR 1019930001381 A KR1019930001381 A KR 1019930001381A KR 930001381 A KR930001381 A KR 930001381A KR 950011750 B1 KR950011750 B1 KR 95001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isinfection
crushing
waste disposal
disposa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364A (ko
Inventor
데루키요 기타자와
Original Assignee
산케 코오교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키요 기타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케 코오교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키요 기타자와 filed Critical 산케 코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3000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750B1/ko
Publication of KR94001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75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medical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기물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정면도.
제3도는 가열수단으로서의 소독용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제4도는 파쇄수단의 설명도로,
a도는 파쇄수단의 구성하는 한쌍의 유날 롤러의 사시도.
b도는 유날 롤로를 2쌍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c, d도는 각각 컷터 구조의 평면도 및 일부 절개 종단면도.
제5도는 최종 처리공정을 끝낸 분쇄돈 상태의 폐기물이 수지포대에 충진밀봉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독수단 2 : 파쇄수단
3 : 분별수단 4 : 밀봉수단
본 발명은, 의료현장에서 사용되어 세균, 바이러스등에 오염된 주사침, 주사기, 폐기되는 메스 등의 의료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현장에서는, 여러가지 의료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의료종사자들 사이에 환자로 부터의 감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B형 간염, 에이즈등,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력이 극히 강한 경우에 특히 문제가 현저하다.
예를들면, B형 간염 혹은 에이즈의 감염자에게 사용한 주사기 등에는 혈액을 비롯한 체액이 부착되어 있고, 이들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는 점막, 미세한 상처등을 침입경로로 하여 건강한 사람의 세포내에 용이하게 침입한다. 따라서, 사용에 의해 오염된 주사기, 그 밖의 것에 대한 취급, 폐기에 관해서는 세심한 주의와 특별한 조치가 취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감염의 유무에 관계없이 극히 일반적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즉, 사용이 끝난 주사기등은, 통상의 쓰레기 용기에 버려지고, 이것이 가득차게 되면 수지로 만든 비닐봉지에 넣어져 통상의 쓰레기처리경로로 반출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위험을 고려하여 나름대로의 주의를 기울이고 있지만,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습관으로, 주의를 해도 주사침등에 찔려 감염될 우려가 항상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배경에 기초한 것으로,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 오염된 주사기, 그밖의 의료폐기물을 소독하여 2차 감염의 우려를 제거하고, 이들을 분쇄하고, 이어서, 금속과 그밖의 파쇄물로 분별하여 각각의 수지로 만든 포대에 밀봉하는 것에 의해, 의료폐기물의 안전 신속한 처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세균, 바이러스등으로 오염된 주사기등에 폐기물을 가열 혹은 약품에 침지하는 것에 의해 소독하는 소독수단과, 소독된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파쇄수단과, 금속, 수지, 유리등이 혼재된 파쇄물을 금속과 그밖의 것으로 분별하기 위한 분별수단과, 분별된 파쇄 폐기물을 각각의 수지제의 포대에 충진 밀봉되는 밀봉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제5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1은 주사기등의 폐기물의 소독수단, 2는 소독된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파쇄수단, 3은 분쇄된 폐기물을 금속과 그밖의 것으로 선별하기 위한 분별수단, 4는 분별된 페기물을 각각의 수지제 포대등에 충진봉입하기 위한 밀봉수단, 5는 파쇄수단(2), 분별수단(3), 밀봉수단(4)을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모터이다.
제2도는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정면도이다. 1은, 소독수단으로서 삶아서 소독하는 가압형 소독용기로, 저부에는 열원으로서 전기히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1b는, 삶아서 소독작업을 마친 폐기물을 다음단의 파쇄수단으로 투입하기 위해 소독용기(1)를 역전시키기 위한 회전 핸들이다.
11은, 소독용기(1)로부터 송출되는 폐기물을 파쇄수단(2)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판, 2는 서로 맞물리는 유날 롤로(R1 및 R2)로 이루어진 파쇄수단이다. 유날 롤러(R1 및 R2)의 사이를 통과하여 분쇄된 폐기물은, 가이드판(22)에 의해 분별수단으로서의 원심분리기(3)에 투입된다.
원심분리기(3) 의해 금속과 그밖의 물질로 분별된 분쇄된 상태 내지 가는 조각상태가 된 폐기물은 송출관에 의해 밀봉수단으로 보내진다. 송출관, 3a는 금속용, 3b는 그 밖의 물질용이다.
4는, 폐기물의 밀봉수단으로서의 포대 충진기로, 분쇄된 상태 혹은 가는 조각상태의 것을 플라스틱 포대에 자동적으로 봉입해가는 것으로 주지의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충진용의 플라스틱 포대는, 안전성을 위하여 두꺼운 것, 혹은 금속 포일(foll)을 안쪽에 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0은 장치의 몸통체이다.
제3도는, 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가압형의 소독용기(1)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0a는 장치 몸통체(30)의 덮개로, 이 덮개(30a)의 내면에는, 소독용기(1)의 가압덮개(1a)가 설치되어 있다.
제4도는, 파쇄수단(2)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파쇄수단(2)은 동 도면(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유날 롤로(R1, R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롤러(R1,R2)는 각각의 표면에 나선형의 날부분(2a)을 갖고 있고, 각 롤러의 날부분이 서로 맞불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유날 롤러(R1,R2)의 주사침의 금속제도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도록 초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파쇄수단(2)을 구성하는 유날 롤러는 한쌍으로 되어 있지만,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하단에 각 한쌍씩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 파쇄수단(2)에는, 상술한 유날 롤러(R1,R2)에 부가하여 컷터기구(c)를 전처리단계로서 설치해도 좋다. 즉 제4c, d도는, 파쇄수단(2)을 구성하는 컷터기구(c)의 설명도로 동도면(c)는 평면도, (d)는 총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3은 외부통, 24는 그 내주면에 복수의 컷터(25)를 갖고 고속회전하는 내부통이다. 컷터(25)의 하부에는, 각각 삼각형의 관통구멍부(25a)가 내부통의 내부통의 벽에 설치되어 있어 컷터(25)에 의한 피파쇄물이, 이 관통구멍부(25a)로 부터 외부통(23)으로 분출된다.
외부통(23)으로 분출된 피파쇄물은, 상술한 유날 롤러(R1,R2)로 송출되고, 이어서 파쇄되어 용이하게 잘게 부서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을 마친 주사기등의 폐기물을 소독용기(1)에 투입하고, 이어서, 소량의 물을 주입하고 몸통체의 덮개(30a)을 닫는 것에 의해 가압덮개(1a)가 소독용기를 밀봉한다.
도시하지 않은 전기히터의 스위치를 온(ON)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폐기물은 고온·고압하에서 완전하게 소독된다. 이어서 몸통체의 덮개(30a)를 열고, 회전핸들(1b)을 돌려 소독용기(1)를 반전시켜 폐기물을 파쇄수단(2)으로 보낸다.
폐기물은, 서로 맞물리는 유날 롤러(R1,R2)에 의해 분쇄되어 분별수단으로서의 원심분리기(3)에 투입된다. 또한, 폐기물을 파쇄수단(2)으로 보낼때, 피파쇄물이 원활·용이하게 각 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어떤 누름 또는 압축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원심분리기(3)에 있어서, 분쇄된 상태 또는 가는 조각상태의 금속재와 그 밖의 물질은, 금속재와 그밖의 물질로 분별된다. 여기에서 분별된 폐기물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수단(4)에 의해 금속제는 금속재만의 팩(40)으로, 플라스틱재와 그밖의 것은 다른 팩(50)으로 자동적으로 밀봉처리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가열수단은 삶는 것에 의한 경우를 서술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의 전자파에 의해 폐기물을 가열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소독수단은 삶는 수단에 의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고주파의 전자파, 자외선의 조사, 열풍에 의한 것, 그밖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소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소독수단은 가열에 의하지 않고, 폐기물을 약품에 침지하는 형식의 것이라도 좋다. 어떤 경우에도, 그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없다.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구성에 의해, 세균, 바이러스등에 오염된 의료폐기물을 안전·확실·용이하게, 또한 저단가로 처리할 수 있어, 의료폐기물로 부터 발생하는 감염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된 폐기물을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세균, 바이러스등이 부착된 폐기물의 소독수단과,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파쇄수단과, 분쇄된 폐기물의 분별수단과, 분별된 각각의 분쇄폐기물의 밀봉수단으로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단은, 가열수단으로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은, 삶는 수단과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은, 고주파의 전자파에 의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은, 열풍에 의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소독수단은, 폐기물의 소독액 침지장치로 구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파쇄수단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유날 롤러를 갖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KR1019930001381A 1993-02-02 1993-02-02 폐기물 처리장치 KR95001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381A KR950011750B1 (ko) 1993-02-02 1993-02-02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381A KR950011750B1 (ko) 1993-02-02 1993-02-02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364A KR940019364A (ko) 1994-09-14
KR950011750B1 true KR950011750B1 (ko) 1995-10-10

Family

ID=1935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381A KR950011750B1 (ko) 1993-02-02 1993-02-02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8097B1 (en) 1999-01-08 2002-12-03 Pnm, Inc. Fire protection sprinkler head support
MX364612B (es) 2014-06-27 2019-05-02 Anvil Int Llc Abrazadera ajustable y cubo para soporte de manguera flexi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364A (ko) 199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3231A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by microwave autoclaving
US7550111B2 (en) Treatment of biomedical waste
US5348235A (en) Medical waste disposal system
US5424033A (en) Process and autoclave system for size reducing and disinfecting contaminated hospital refuse
ES2629865T3 (es) Material plástico recuperado a partir de residuos médicos infecciosos y dispositivos médicos fabricados a partir del mismo
JPH0659293B2 (ja) 医療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US4905916A (en) Syring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JPH04501675A (ja) 感染性廃棄物を処理しかつ処分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CN114291453A (zh) 一种医疗废物自清洁灭菌桶
KR950011750B1 (ko) 폐기물 처리장치
AU678986B2 (en) Trea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decontaminating materials, preferably solids such as waste materials
JPH01113053A (ja) 廃棄物処理装置
KR20100100065A (ko) 감염성 폐기물 처리 장치 및 감염성 폐기물 처리 방법
WO1993013861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used medical instruments
JP3011786U (ja) 廃棄物処理装置
CA2038298A1 (en) Bag with disinfectant for sterilizing infectious waste
KR102437474B1 (ko) 의료용 폐기물 분쇄 멸균장치
CN215612121U (zh) 一种废弃口罩回收处理装置
US20230173114A1 (en) Smart device and method for safe disposal of infectious medical waste using uv light
CN211489006U (zh) 一种护理用废弃物处理装置
JP3000807U (ja) 廃棄物処理装置
JPH0678983A (ja) 医療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9069860A1 (en) Infectious waste processing apparatus
CN218798071U (zh) 一种移动式医疗废弃物智能处理机
TR2023005570U5 (tr) Tibbi̇ ve bi̇yoloji̇k kati atiklarin steri̇li̇zasyonu ve bertaraf edi̇lmesi̇ i̇çi̇n ci̇ha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