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631B1 -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低抗線卷裝機) - Google Patents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低抗線卷裝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631B1
KR950011631B1 KR1019940035006A KR19940035006A KR950011631B1 KR 950011631 B1 KR950011631 B1 KR 950011631B1 KR 1019940035006 A KR1019940035006 A KR 1019940035006A KR 19940035006 A KR19940035006 A KR 19940035006A KR 950011631 B1 KR950011631 B1 KR 95001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wire
core
winding
supply nozzle
wir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히로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히로 요코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8710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95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7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812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히로 요코야마 filed Critical 미쓰히로 요코야마
Priority to KR101994003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抵抗線券裝耭)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抵抗線券裝耭)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기 권장기에 사용되는 지님수단의 구조를 보이는 일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제1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에 사용되는 권심(素體)지님부 및 권심 공급부의 일 실시예를 일부 생략하여 보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에 사용되는 저항선 공급부와 용접용 전극부를 보이는 개념도로서, 용접용 전극부를 구성하는 상방측 전극본체 및 하방측 전극본체에 권심이 움켜잡혀 있고, 저항선 공급부를 구성하는 저항선 공급노즐이 저항성 공급노즐 진퇴기구에서 나와, 저항선을 권심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6도 내지 제16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저항선 권장기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님수단에 지지된 권심에 대하여, 저항선 공급부를 구성하는 저항선 공급노즐로부터 저항선을 공급하여, 저항선을 권장(卷裝)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제6도 내지 제11도는 하나의 권심에 대하여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하여 일방향에 소정의 피치로 저항선을 권장하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이고,
제6도는, 한쌍의 보지수단에 의해 보지된 소체에 대하여 저항선 공급노즐이 사이띄어 위치하고, 저항선의 공급을 준비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7도는, 저항선 공급노즐이 권심에 접근하여, 권심의 선단측 캡부 상면측에 저항선을 닿게하고, 상방측 전극본체 및 하방측 전극본체가 돌출하여, 상면측 전극본체가 저항선을 끼고 선단측 캡부 상측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하방측 전극본체가 선단측 캡부의 하면측에 맞닿은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8도는, 상방측 전극부 및 하방측 전극부가 후퇴함과 동시에 지님수단 회동부가 작동함에 의하여 , 지님수단에 의해 지지된 권심이 권심 주면(周面) 방향에 회동하고 선단측 캡부에 저항선의 감기 시작함 부가 융착된 저항선이 저항선 공급노즐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권심의 후단부에 향하여 권심부의 주면에 소정의 피치로 권장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9도는, 저항선 공급노즐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된 저항선이, 권심본체의 후단부에까지 권장되어, 저항선이 권심의 후단측 캡부에 도달하고, 저항선 공급노즐 장착부가 전극본체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에 회동한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10도는, 제9도에 있어서 저항선 공급노즐이 전극본체를 회동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에 회동하고, 저항선이 후단측 캡부에 비스듬히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방측 전극본체 및 하방측 전극본체가 재차 돌출하고, 권심의 후단측 캡부를 상 하 방향에 있어서 끼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11도는, 상방측 전극본체 및 하방측 전극본체에 통전되어, 권심의 후단측 캡부위에 저항선이 용접됨과 동시에, 저항선 진퇴기구가 작동하고, 저항선 고정기구에 의해 저항선이 고정된 상태로 저항선 공급노즐이 권심에서 후퇴하면서, 저항선이 후단측 캡부에 있어서의 용접점에 있어 후방으로 잡아 끌림에 의해 용접된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12도 내지 제16도는, 제6도 내지 제11도에 보이는 권심과는 별개의 권심에 대하여 연속하여 전회의 감기 끝남 위치로부터 저항선을 권장하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으로서,
제12도는, 권심 지님부에 새로운 권심이 지지되어 저항선 공급노즐이 제11도에 보이는 상태로부터 소정각도 반시계방향에 회동하고, 권심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상태로 저항선 공급을 준비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13도는, 권심 공급노즐이 권심에 접근하고, 선단측 캡부의 상면측에 저항선을 맞닿게하여, 상방측 전극부 및 하방측 전극부가 돌출함에 의해, 권심을 상하방향에 있어 끼고 있고, 상방측 전극본체 및 하방측 전극본체에 통전시킴에 의하여, 저항선을 선단측 캡부에 용접한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14도는, 지님수단 회동부가 작동하여 권심을 회동시킴과 동시에, 저항성 공급노즐이 권심에 대하여 직각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권심 후단측에 향에 슬라이드하고, 권심에 대해 저항선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권장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15도는, 저항선 공급노즐이 권심본체의 후단부에 이르고, 저항선의 감기 끝남부를 후단측 캡부에 용착하는 상태를 보이는 그림으로서,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가 작동하고 저항선 공급노즐을 저항선 공급노즐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전극본체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에 소정각도 회동시키어, 저항선의 공급방향을 변화시킨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16도는, 상방측 전극본체 및 하방측 전극본체가 돌출하여 권심(11)을 끼고, 상방측 전극본체 및 하방측 전극본체에 통전하여 저항선을 후단측 캡부에 용접하고, 저항선 고정기구에 의해 저항선을 고정한 상태로 저항선 공급노즐이 후퇴하여, 저항선을 용접한 상태를 보이는 그림.
제17도 및 제18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저항선권장기를 이용하여 권심에 대해 저항선을 권장한 경우의 방법의 타의 실시예를 보이는 그림으로서,
제17도는, 저항선을 교차시켜 권장시킨 권선저항기를 보이는 측면도.
제18도는, 가늘은 경의 저항선을 2본 밀착시켜 소정의 피치로 권장한 권선저항기를 보이는 측면도.
제19도는, 일반의 권선저항기를 구성하는 권심에 대하여, 저항선을 권장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권심(卷芯) 16 : 자동 저항선 권장기
17 : 권심 지님부 18 : 저항선 공급부
19 : 용접용 전극부 20 : 슬라이드 기부
21, 21 : 지님수단 22, 22 : 척
23, 23 : 지님수단 구동부 24, 24 : 지님수단 회동부
25 : 저항선 고정기구 27, 27a : 전극본체
31 : 저면판 프레임 32a, 32b : 측면판 프레임
34, 35 : 가이드 레일 36 : 슬라이드 기부 구동부
37 : 필스 모터 38 : 피드 스크루 부
39 : 저항선 40 : 벨트
53 : 스핀들 부 55 : 역나사부
58, 58 : 스핀들 부 59, 59 : 척 고정부
60, 60 : 케이싱 부 66 : 권심본체
67 : 장방형 공부(孔部) 68 : 프레임
69 : 암 부 70 : 나사구멍
73, 74 : 용접용 전극부 75a, 75b : 보디 부
77 : 저항선 공급노즐 80 : 풀리
84 : 구동부 85 : 기어 부
87 : 원통모양축부 89 : 원동 기어
90 : 클램퍼 94 : 고정용 로드
본 발명은 자동 저항선 권장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저항기를 형성하는 권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어느 방향에도 연속하여 저항선을 권심에 권장할 수 있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양각색의 전자기기나 VTR에 내장된 전자회로에는 이른바 권선저항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제19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와같은 권선저항기(10)은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소형의 시래믹스 제의 권심(11)과, 이 권심의 양단부에 씌워진 캡부(12a, 12b)와, 이 캡부(12a, 12b)로부터 권심 축방향에 따라서 권심(11)과, 이 권심의 양단부에 씌워진 캡부(12a, 12b)와 이 캡부(12a, 12b)로부터 권심 축방향에 따라서 권심(11)의 양단에 돌출된 리드선(13, 13)과, 이 권심(11)의 주면에 소정의 피치로 권장된 저항선(39)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종래부터 이와같은 권선저항기(10)에 상기 저항선(39)를 권장하는 경우에는, 권선저항기(10)을 형성하는 권심(11)을 적의의 척 기구를 가진 기기에 고정하고, 권심(11)을 고정한 척 기구를 회전운동 시키면서, 권심(11)을 축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면서 사람의 손을 통하여 저항선(39)를 권심(11)를 주면에 감아서 고정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하여, 저항선(39)를 권심(11)에 감는 경우에는 권심(11)의 양단부에 씌워져 있는 캡부(12a, 12b)의 어느 일방에 저항선(39)의 감시 시작함 부를 용접하여 감기시작하고, 그 후 저항선(39)의 감기 끝남 부를 권심(11)의 양단부에 씌워져 있는 캡부(12a, 12b)의 어느 일방에 저항선(39)의 감기 시작함부를 용접하여 감기시작하고, 그후 저항선(39)의 감기 끝남 부를 권심(11)의 양단부에 씌워져 있는 캡부(12a, 12b)의 어느 타방에 용접하면서 절단하여, 감아 고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권심(11)에 저항선(39)를 감아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번잡하고, 권선저항기(10)의 제작효율이 대단히 낮은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선저항기를 형성하는 권심에의 저항선의 감는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하고, 권선저항기의 제작효율은 향상시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권선저항기를 형성하는 권심에의 저항선의 감기 작업의 자동화를 도모하고, 권선저항기의 제작효율이 향상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공급장치는, 저항기를 형성하는 원기둥 모양의 권심의 축 방향 양단부를 끼고, 권심을 주면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권심 지님부와, 상기 권심 지님부에 지지된 권심의 주면에 권장하는 저항선을 송출하는 저항선 공급노즐을 가지고 있는 저항선 공급부와,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로부터 송출된 저항선을 권심 선단부 및 권심 후단부에 용착할 수 있는 용접용 전극부와, 상기 저항선 공급부와 용접용 전극부가 장착되고, 권심 지님부에 지지된 권심의 축방향에 따라서, 왕복움직임을 할 수 있는 슬라이드 기부(基部)를 갖추고, 상기 권심 지님부는, 권심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어 상대해서 배치된 한쌍의 지님수단과, 이 지님수단을 권심축방향에 있어서 접근 또는 이간 시킬 수 있는 지님수단 구동부와, 상기 지님수단에 의해 지지된 권심을 권심 주면 방향에 회전움직임 시킬 수 있는 지님수단 회동부를 가지고, 상기 저항선 공급부는, 권심에 송출되는저항선을 일시 고정할 수 있는 저항선 고정기구와, 저항선 공급부를 권심으로부터 이간 시킬 수 있는 저항선 공급노즐 진퇴기구로 구성되는 장력부여 수단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은, 상기 용접용 전극부와 권심 지님부에 지지된 권심측 방향에 있어서 동위치가 되도록 슬라이드 기부에 배설되고, 상기 용접용 전극부는, 권심 지님부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 권심의 상방부 및 하방부에 배치되고, 용접시에는 권심 상방 및 권심 하방으로부터 권심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접하여 맞닿아, 저항선을 권심 선단부 및 권심 후퇴부에 용착시킬 수 있는 한쌍의 전극본체와 상기 한쌍의 전극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전극구동부를 가지는 자동 저항성 권장기로서, 상기 저항선 공급부에는, 저항선 공급노즐을 권심 지님부에 지지된 권심 축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방향으로도 소정각도 회전시켜서 저항선 공급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제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은, 저항기를 형성하는 원기둥 모양의 권심(11)의 축 방향 양단부를 끼고, 권심(11)을 주면방향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권심 지님부(17)과, 상기 권심 지님부(17)에 지지된 권심(11)의 주면에 권장하는 저항선(39)를 송출하는 저항선 공급노즐(77)을 가지고 있는 저항선 공급부(18)과,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77)로부터 송출된 저항선(39)를 소체 선단부 및 소체 후단부에 용착할 수 있는 용접용 전극부(19)와, 상기 저항선 공급부(18)과 용접용 전극부(19)가 장착되어, 권심 지님부(17)에 지지된 권심(11)의 축방향에 따라서, 왕복움직임 할 수 있는 슬라이드 기부(2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제1도 및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에 있어서는, 저면이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저면판 프레임(31)이 마련돼 있다. 그리하여, 이 저면판 프레임(3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측면판 프레임(32a, 32b)가 세워져 있고, 이들 서로 대향하여 마련된 측면판 프레임(32a, 32b)의 사이는 로드(33)에 의해 접속 고정돼 있다.
그리고, 이들 측면판 프레임(32a, 32b)의 높이방향 중간부위에는 각각 권심 지님부(17)이 장착 고정돼 있다.
이 권심 지님부(17)은,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권심(11)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상대하여 동축상에 배치된 한쌍의 지님수단(21, 21)과, 이 지님수단(21, 21)을 권심(11)의 축방향에 있어서 접근 또는 이간시킬 수 있는 지님수단 구동부(23, 23)과, 상기 지님수단(21, 21)에 의해 지지된 권심(11)을 권심(11)이 주면방향에 회전움직임 시킬 수 있는 지님수단 회동부(24, 2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지님수단(21)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척(22, 22)와 이 척(22, 22)를 고정할 수 있는 척 고정부(59, 59)와, 이 척 고정부(59, 59)가 선단에 돌설된 스핀들 부(58, 58)과, 이 스핀들 부(58, 58)이 진퇴가능하게 내장된 케이싱 부재(60, 6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부재(60, 60)내에 진퇴가능하게 내장된 스핀들 부(58, 58)의 후단부에는, 펄스 모터로 이루어지는 지님수단 회동부(24, 24)가 마련돼 있음과 동시에, 또한 이 지님수단 회동부(24, 24)의 외방에는, 각각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지님수단 구동부(23, 23)이 마련돼 있다.
상기 척(22)는,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측면이 가늘고 긴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돼 있고, 선단부는 끝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돼 있음과 동시에 이 선단부에는 개구부(62)가 형성돼 있다. 그리고, 이 척(22)의 내부에는, 척(22)의 내부에는 척(22)의 축방향에 따라서 권심(11)의 리드선(13)의 지경보다 약간 큰 경으로 형성된 장공부(61)이 축방향에 따라서 마련돼 있다. 그리하여 이 장공부(61)의 내측면부의 선단 개구부(62) 부근에는, 선단 개구부(62)로 감에 따라 서서히 경이 커지는 테이퍼부(63)이 형성돼 있다.
한편, 상기 척(22)의 기단부(64)는, 척 고정부(59) 주면부에 마련된 고정수단(65)에 의해 척 고정부(59)에 되어 고정돼 있다.
따라서, 제2도 및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척(22, 22)에 의해 권심(11)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장공부(61)의 개구부(62) 부근에 파지부(63)이 형성돼 있기 때문에, 권심본체(66)의 양단에 돌설된 리드 선(13, 13)이 개구부(62)로부터 삽입되기 쉽고, 개구부(62)를 통하여 장공부(61)내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움켜쥠부(63)에 인도되어서 장공부(61)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움켜쥠부(63)은 상기 권심(11)에 마련된 리드 선(13, 13)이 삽입되는 때의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척(22, 22)는 권심(11)의 권심본체(66)의 양단부를 용이하게 압접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척(22, 22)내에는 가늘고 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척(22, 22)의 축방향에 따라서, 리드선(13) 보다도 큰 경으로 형성된 장공부(61)이 마련돼 있고, 이와같은 척(22, 22)에 의해 권심(11)의 리드선(13)을 통하여 권심본체(66)을 지지하게 되기 때문에, 권심(11)의 축방향에 있어서 권심(11)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권심(11)의 이른바 센터 잡힘이 확보된 상태로 중공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케이싱 부재(60, 60)은 전체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단부가 측면판 프레임(32a, 32b)를 관통하여 마련돼 있다. 또 이 케이싱 부재(60, 60)의 내부에는, 스핀들 부(58, 58)이 회전가능하게 삽통 배치돼 있고, 이 스핀들 부(58, 58)의 선단부에는 스핀들 부(58, 58)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상기 척 고정부(59, 59)가 고정돼 있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 부(58, 58)의 후단부에는, 지님수단 회동부(24, 24)가 장착 고정돼 있다. 그리하여, 이 지님수단 회동부(24, 24)는 펄스 모터로 이루어지고, 스핀들 부(58, 58)의 선단부에 고정된 척 고정부(59, 59) 및 척(22, 22)를 회전움직임 시키도록 구성돼 있다.
또한, 상기 지님수단 회동부(24, 24)의 외방에는 각각 지님수단 구동부(23, 23)이 마련돼 있다. 이 지님수단 구동부(23, 23)은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각각, 측면판 프레임(32a, 32b)에 4본의 고정용 로드(94)를 통하여 고정된 장착용 플레이트(93, 93)에 고정되어,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님수단 회동부(24, 24)와 접합돼 있다.
그리하여, 이 지님수단 구동부(23, 23)이 작동한 경우에는, 상기 지님수단 회동부(24, 24), 지님수단 회동부(24, 24)가 후단부에 장착된 스핀들 부(58, 58), 스핀들 부(58, 58)에 고정된 척 고정부(59, 59), 및, 이 척고정부(59, 59)에 고정된 척(22, 22)를 자동 저항선 권장기(16) 안쪽의, 권심(11)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까지 직선상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원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따라서,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척(22, 22)가 권심(11)을 중공에 지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지님수단 구동부(23, 23)을 작동시키고, 척(22, 22)를 잇는 중심선 상에 권심 공급부(44)에 의해 내밀어진 권심(11)의 리드선(13, 13)의 선단방향으로부터 각각 척(22, 22)를 접근시켜서, 권심(11)을 권심본체(66)의 양단부에 있어서 끼는 것이다.
한편, 제1도 및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로 대향으로 세워진 측면판 프레임(32a, 32b)의 배면접근의 부위에는, 상하 방향에 각각 가이드 레일(34, 35)가 가설돼 있다. 이 가이드 레일(34, 35)의 중간에는, 슬라이드 기부(20)이 마련돼 있다. 이 슬라이드 기부(20)은 전체 장방형 형상으로 구성돼 있고, 아울러 내부에 장방형 공부(孔部)(67)이 형성된 프레임(68)로 이루어지고, 이 프레임(68)의 배면측 네 구석부에는, 각각 슬라이드 장착부(56)이 돌설돼 있다. 그리하여, 이 슬라이드 장착부(56)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기부(20)은, 가이드 레일(34, 35)에 따라서 왕복움직임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기부(20)의 배면측에는, 슬라이드 기부 구동부(36)이 마련돼 있다. 상기 슬라이드 기부 구동부(36)은, 징 역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펄스 모터(37)과, 이 펄스 모터(37)의 스핀들에 연설(延說)된 피드 스크루부(38)과, 이 피드 스크루 부(38)에 교합하여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기부(20)의 배면측에 돌설된 역 스크루 부(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기부 구동부(36)을 구성하는 펄스 모터(37)은 측면판 프레임(32a)의 외측면 후방접근의 상단부에 장착 고정돼 있다. 그리고, 상기 피드 스크루부(38)은, 상기 펄스 모터(37)의 스핀들에 접합 고정돼 있음과 동시에, 측면판 프레임(32a)를 관통해 있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고, 주면에는 나사홈이 각설돼 있다.
또, 상기 역 스크루 부(55)는, 슬라이드 기부(20)을 구성하는 프레임(68)의 배면측에 돌설된 측면 대략 장방형 형상의 암 부(69)와, 이 암 부(69)에 개설된 나사 구멍(7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이 나사 구멍(70)에는, 상기 피드 스크루 부(38)에 각설된 나사홈에 교합할 수 있도록 피드 스크루 부(38)에 각설된 나사홈과 동일한 피치로 나사홈이 각설돼 있다.
그리고,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기부(20)을 구성하는 프레임(68)의 정면측에는, 상방 장착면부(71)과 하방 장착면부(72)가 형성돼 있다. 그리하여, 상기 상방 장착면부(71)에는, 용접용 전극부(19)를 구성하는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이 장착 고정됨과 함께, 상기 하방측 장착면부(72)에는, 용접용 전극부(19)를 구성하는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가 장착 고정돼 있다.
상기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는, 상기 슬라이드 기부(20)을 구성하는 프레임(68) 정면측에 거의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의 하단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의 상단에는, 각각 전극본체(27a, 27b)가 돌설돼 있다.
그리고,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는, 직방체로 형성된 보디부(75a, 75b)와, 이 보디부(75a, 75b)의 각각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된 전극부 구동부(28, 28)과, 상기 보디부(75a, 75b)의 각각 하단부 및 상단부에 마련된 전극본체(27a, 27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극본체(27a, 27b)는 수직방향에 있어서 동축상에 마련돼 있음과 동시에, 상기 척(22, 22)의 중심축을 잇는 선과, 전극본체(27a, 27b)의 중심축을 연장한 선이 직각으로 교차할 수 있는 위치에 배설 고정돼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용 전극부(19)를 구성하는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과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의 중간에는, 저항선 공급부(18)이 마련돼 있다. 이 저항선 공급부(18)은,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측면 대략 ㄷ자 상으로 형성된 저항선 공급노즐 장착부(78)과, 이 저항선 공급노즐 장착부(78)에 장착 고정된 저항선 공급노즐(7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 장착부(78)은,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의 보디부(75a)의 하단부에 접합된 장착용 플레이트 부(52)와, 장착용 플레이트(52)에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의 보디부(75b)의 상단부에 접합된 장착용 플레이트(76)과, 상기 장착용 플레이트 부(52, 76)의 후단부에 마련된 저항선 공급노즐 고정부(7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정용 플레이트 부(52, 76)은 저항성 공급노즐 장착부(78)이, 각각 상기 전극본체(27a, 27b)를 회전중심으로하여 수평방향에 있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의 보디 부(75a, 75b)에 장착돼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 고정부(79)에는 저항선 공급노즐(77)이 고정돼 있다.
이 저항선 공급노즐(77)은, 장착용 플레이트 부(76) 후단부에 마련된 슬라이드 기부(82) 상에,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전후방향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돼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77)의 후단부에는, 풀리(80)이 축받이 되어있고, 실감는 자세모양으로 형성된 저항선 보빈(도시하지 않음)에 감긴 저항선(39)가 풀리(80)을 거쳐 저항선 공급노즐(77) 내부를 축방향에 따라서 통하고, 선단부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송출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돼 있다.
또,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77)에는, 저항선 고정기구(25)가 마련돼 있다. 이 저항선 고정기구(25)는 저항선 클램퍼(90)과, 저항선 클램퍼(9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구동기구(81)에 의해 구성되고, 저항선(39)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돼 있다.
나아가,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77)에는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전후방향에 진출 또는 후퇴시킬 수 있도록 저항선 공급노즐 진퇴기구(26)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저항선 고정기구(25)와 저항선 공급노즐 진퇴기구(26)는 장력부여 수단이다.
상기 장력부여수단의 저항선 공급노즐 진퇴기구(26)은, 상기 슬라이드 기부(82)와 이 슬라이드 기부(82)상에 있어서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진퇴움직임 시킬 수 있는 구동부(83)으로 이루어지고, 이 구동부(83)은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성돼 있다.
즉, 저항선 공급노즐 진퇴기구(26)은 용접용 전극부(19)에 의해 저항선(39)를 권심(11)에 용접하는 경우에, 저항선 공급노즐(77)을 권심(11)으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그 후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재차, 권심(11)에 접근시킬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77)이 장착된 저항선 공급노즐 장착부(78)은,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의 보디(75a, 75b)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내장된 원통 모양의 측부(86, 87)에 고정됨에 의해, 상기 원통 모양의 축부(86, 87)이 내장된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를 거쳐, 장착부(50, 50)에 의해 프레임(68)이 고정돼 있다.
즉,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77)이 장착된 고정용 플레이트 부(52, 76)은, 각각 선단부에 있어서 원통 모양의 축부(86, 87)에 고정돼 있다.
나아가,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의 상단 및 하방에 마련된 전극본체(27a, 27b)는 상기 원통 모양의 축부(86, 87)내에 내장되고, 일방의 단부가 각각 전극 구동부(28, 28)에 접합된 암(88, 88)의 타방의 단부에 고정돼 있다. 또, 상기 원통모양의 축부(86, 87)은, 주면 방향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보디(75a, 75b)에 내장돼 있다. 그리고,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에 내장된 암 부(88)의 상단부는, 보디 부(75) 외방에 돌출하고, 소정의 폭에 걸쳐 기어 부(85)가 형성돼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항선 공급부(18)에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전극본체(27a, 27b)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권심 지님부(17)에 지지된 권심(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는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가 마련돼 있다.
이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는 제1도 및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펄스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부(84)와, 이 구동부(84)를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에 고정할 수 있는 장착용 플레이트(51)과,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 부(52)의 선단부 상면측에 하단부가 고정된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내에 회동가능하게 삽통 배치돼 있는 상기 원통모양의 축 부(86)과, 고정용 플레이트 부(76)의 선단부 하면측에 상단부가 고정된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내에 회전가능하게 삽통 배치돼 있는 원통모양의 축 부(87)과, 구동부(84)의 상단에 돌출한 스핀들 부(53)에 고정된 원동기어(89)와, 원통모양의 축 부(87) 상단부에 형성된 기어부(85)와, 상기 원동기어(89)와 기어부(85)와의 사이에 걸쳐진 벨트(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벨트(40)의 내측면에는 기어 부(85), 및 스핀들 부(53)의 상단에 장착 고정된 원동기어(89)와 교합할 수 있는 철부(凸部)가 마련돼 있다.
따라서, 상기 펄스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부(84)를 작동시킨 경우에는, 스핀들 부(53) 및, 이 스핀들 부(53)에 고정된 원동기어(89)의 회전이 상기 벨트(40)을 통하여 기어 부(85)에 전달되고, 이 기어 부(85)가 형성돼 있는 원통 모양의 축부(87) 및 원통 모양의 축부는, 주면 방향에 있어서, 어느쪽의 회전방향에 전극(27a, 27b)를 회동중심으로하여 회동한다.
따라서, 원통모양의 축부(86, 87)의 회동에 수반하여, 원통모양의 축부(86, 87)에, 고정용 플레이트부(52, 76)이 고정된 저항선 공급노즐 장착부(78)은, 전극본체(27a, 27b)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기부(20)를 구성하는 프레임(68)에 형성된 장방형 공부(76)내에 있어서 회동하고, 저항선 공급노즐(77)도 전극(27, 27)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하게 된다. 게다가, 저항선 공급노즐(77)의 회동각도는 0°-30°의 사이에서 적의 조정할 수가 있다.
제1도 및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 프레임(32a, 32b)의 정면측에는, 측면판 프레임(32a, 32b)의 높이방향의 대략 중간부위에 테이블(43)이 마련돼 있다. 이 테이블(43)의 하면측에 권심 공급부(44)가 마련돼 있다.
이 권심 공급부(44)는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테이블(43)의 상면측에 마련된 에어실린더(45)와, 이 에어 실린더(45)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49)와, 당해 구동부(49)로부터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배면 방향을 향해 돌출배치된 2개의 피스턴(48, 48)과, 이들 피스턴(48, 48)의 선단에 고정된 평면 대략 ㄷ자 형의 암 부(47)과, 이 암 부(47)의 전방으로 더 돌출된 권심 지지 암(46, 4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이 권심 공급부(44)에 있어서는, 상기 2개의 권심 지지 암(46, 46) 상에 권심본체(66)의 양단에 돌출된 리드 선(13, 13)을 상기 권심 지지 암(46, 46)에 올려 놓음에 의해, 권심(11)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돼 있다.
그리고, 상기 권심 공급부(44)에 있어서는, 권심 지지 암(46)상에 권심(11)을 지지하고, 에어 실린더(45)를 구동시켜서 구동부(49)를 작동시키어, 피스턴(48, 48)에 의해 암 부(47)을 자동 저항선 권장기(16) 내방으로 진출시킨 경우에는, 상기 권심 지지 암(46)상에 지지된 권심(11)을 상기 척(22, 22)의 축심선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또, 도시돼 있지 않으나, 이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하방에는, 상기 각 에어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착 에어의 공급부가 마련돼 있음과 동시에, 나아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돼 있다.
이 제어부는 컴퓨터를 내장하고 있고, 제작을 희망하는 권선저항기의 저항치나, 소체의 반경치수 및 소체 길이치수 등을 적의 컨트롤 패널로 인풋함에 의해, 소망하는 권선저항기를 작성할수 있도록, 각부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돼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작을 희망하는 권선저항기의 저항치, 소체의 직경치수, 소체의 길이치수 및 저항선의 1m당의 저항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값 및 제작개수를 상술의 제어부에 마련된 컨트롤 패널에 있어서 인풋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선(39)를 저항선 공급노즐(77)내에 삽통하고 풀리(80)에 걸어 돌려서,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에 세트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에 있어서 각 테이터가 인풋된 경우에는, 제어부에 있어서는, 저항선(39)의 권심(11)에의 감음수 및 지님수단 회동부(24)를 구성하는 펄스 모터의 회전수 및 슬라이드 기부 구동부(36)을 구성하는 펄스 모터(37)의 회전속도를 적의 설정하고, 권심(11)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몇회 저항선(39)를 권장하는가가 결정된다.
그 다음, 상기 권심 공급부(44)가 도시외의 파츠 피더로부터 자동적으로 보내온 권심(11)을, 척(22, 22)가 권심(11)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즉, 상기 권심 공급부(44)의 전방으로 돌설된 권심 지지 암(46, 46)에 리드 선(13, 13)를 통해 올려놓여진 권심(11)은, 권심 공급부(44)를 구성하는 에어 실린더(45)가 작동함에 의해, 구동부(49)에 의해 피스턴(48, 48)이 장치 전방으로 밀려나오고, 피스턴(48, 48)의 선단부에 장착된 ㄷ자형의 암 부(47)에 의해 권심 지지암(46)에 지지된 권심(11)은, 척(22, 22)의 축심선 위치까지 앞으로 나오고, 그위치에 있어서 암 부(47)은 정지한다.
그 후, 권심 지님부(17)을 구성하는 한쌍의 지님수단 구동부(23)은, 한쌍의 스핀들 부(58, 58) 및 이 스핀들 부(58, 58)의 후단부에 마련된 지님수단 회동부(24, 24)와, 스핀들 부(58, 58) 선단에 마련된 척 고정부(59, 59) 및 이 척고정부(59, 59)에 마련된 척(22, 22)를 자동 저항선 권장기(16)내로 향해 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기 척(22, 22)는 제4도에 점선에 있어서 보이는 바와 같이, 권심 공급부(44)의 권심 지지 암(46, 46)에 의해, 상기 척(22, 22)의 축심선 상에 있어서 중공에 지지된 권심(11)의 양단부에 돌출된 리드 선(13, 13)의 양단방향으로 부터 접근한다.
그리고, 그 다음, 제4도 및 제6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척(22, 22) 내부에 축 방향에 따라서 마련된 장공부(61, 61)내에 리드 선(13, 13)이 삽동배치됨과 동시에, 척(22, 22)의 선단에 의해 권심본체(66)의 양단부가 압접되어 권심(11)은 척(22, 22)에 지니게 된다.
그 뒤, 상기 권심 공급부(44)의 에어실린더(45)가 작동하여 구동부(49)의 피스턴(48)이 후퇴하고, 상기 권심(11)을 지지하고 있던 암 부(47) 및 권심 지지 암(46)을 현위치에 복귀시켜, 다음의 권심(11)의 공급을 준비한다.
다음에, 제3도 및 제5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저항선 공급노즐 진퇴기구(26)을 구성하는 구동부(83)이 작동함에 의해, 저항선 공급노즐(77)이 권심(11)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상태를 지지하면서, 슬라이드 기부(82) 위를 권심(11) 방향으로 앞으로 내고,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에 돌출한 저항선(39)를 권심(11)의 선단측 캡부(12a)의 주면 방향 상단부에 맞닿게 한다.
그 후, 제3도 및 제5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용접용 전극부(19)를 구성하는 상방측 용접용 전극부(73)과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에 마련된 전극 구동부(28, 28)이 작동하여 전극구동부(28, 28)과 전극(27a, 27b)의 사이에 마련된 암 부(88, 88)을 통하여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를 돌출시킨다.
그 결과, 제7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방측 전극본체(27b)는, 권심(11)의 선단측 캡부(12a)의 하단측에 맞닿음과 동시에, 상방측 전극본체(27a)과, 상기 저항선(39)를 거쳐 선단축 캡부(12a)의 상면측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에 통전시킴에 의하여, 저항선(39)의 감기 시작함부(96)을 권심(11)의 선단측 캠부(12a)의 상면측에 용접케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 뒤, 이들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는, 상기 전극 구동부(28, 28)의 작동에 의해 권심(11)의 상면방향 및 하면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그리고, 그 후, 제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님수단(21)을 구성하는 지니수단 회동부(24)가 작동하여, 스핀들(58, 58)을 회동구동시키고, 스핀들(58, 58) 선단부에 있어서 척(22, 22)를 통하여 고정된 권심(11)를 소정회전수 만큼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 동시에 슬라이드 기부 구동부(36)을 구성하는 펄스모터(37)이 작동하여, 피드 스크루 부(38)을 회전움직임 하게 한다.
그 결과, 피드 스크루 부(38)의 회전움직임과 함께 측면판 프레임(32b) 방향(제1도중 우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제8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스핀들(58, 58)의 회전움직임에 의해, 권심(11)은, 척(22, 22)에 압접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권심(11)의 선단측 캠 부(12a)에 감기 시작함부가 용착된 저항선(39)는, 저항선 공급노즐(77)로부터 연속적으로 끌려나오게 되고, 나아가, 이 저항선 공급노즐(77)은, 프레임(68)과 함께, 권심(11)의 축방향에 따라서 권심(11)의 후단부 방향에로 이동하기 때문에, 당초 컨트롤 패널에 있어서 인풋된 간격으로 권심(11)의 권심본체(66)에 저항선(39)가 적의 권장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이 경우, 용접용 전극부(19)를 구성하는 상방측 용접 전극부(73)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는, 프레임(68)에 고정돼 있기 때문에, 상방측 용접 전극부(73) 및 하방측 용접용 전극부(74)는 저항선 공급노즐(77)과 함께 권심(11)의 축방향에 따라서, 권심(11)의 후단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제9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저항선 공급노즐(77)이 권심본체(66)의 후단부에 이르고, 저항선(39)의 감기 끝남부(95)를 용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권심 지님부(17)을 구성하는 스핀들 부(58, 58)의 회전움직임은 일시 정지한다. 그리하여, 그 뒤,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가 작동하고,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당해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상기 전극본체(27)을 회동중심으로하여 소정각도 만큼 회동시키어, 저항선(39)의 공급방향을 변화시킨다.
즉,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를 구성하는 펄스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부(84)는, 미리 인풋 테이터에 의해 산출된 각도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40)을 통하여 기어 부(85)가 상단부에 마련된 원통 모양의 축부(87)을 주면 방향에 소정각도 회동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이 원통 모양의 축부(87)의 상단에 마련된 장착용 플레이트 부(76)은, 하방측 전극본체(27)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9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권심본체(66)의 후단부에 위치해 있는 저항선(39)는, 소정각도 만큼 권심(11)의 후단부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권심(11)의 평면방향에 있어서, 권심(11)의 후단부 가까이 비스듬한 방향에 배치되게 된다.
그 후, 재차 상기 스핀들(58, 58)이 소정회전수 만큼 회전하고, 상기 비스듬히 배치된 저항선(39)가 권심(11)의 후단측 캡(12b)상에 비스듬히 올라가, 후단측 캠 부(12b) 상의 축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 결정되는 것이다.
그 다음, 제10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재차,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가 용접용 전극부(19)를 구성하는 보디 부(75a, 75b)로부터 돌출하고, 상방측 전극본체(27a)는 상기 후단측 캠부(12b)상에 비스듬히 배치된 저항(39)를 사이에 하여 후단측 캠부(12b)의 상면측에 맞닿음과 동시에, 하방측 전극본체(27b) 및 하방측 전극부(27b)에 의해 저항선(39)는 권심(11)의 고정된 상태로 권심(11)이 끼이게 되는 것이다.
그 뒤, 우선, 장력부여수단의 저항선 노즐 진퇴기구(26)이 작동하고, 저항선 공급노즐(77)을 고동부(83)에 의해 슬라이드 기부(82)상에 있어서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그후, 상기 저항선 진퇴기구(26)의 작동에 약간 뒤처져 상기 저항선 고정기구(25)가 작동하고, 에어 실린더(91)에 의해 지항선 클램퍼(90)이 저항선(39)를 저항선 공급노즐(77)내에 있어서 고정한다.
그리하여, 그 뒤, 제1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에 통전함에 의해, 상기 저항선(39)는, 후단측 캠부(12b)상에 용접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선(39)가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에 의해 용접되고 있는 사이, 저항선 공급노즐(77)은, 상기 저항선 클램버(90)에 의해 저항선(39)를 고정한 채 후퇴를 계속하기 때문에, 저항선(39)는, 상기 후단측 캡부(12b)에 있어서의 용접점에 있어서, 후방으로 당겨짐에 의해 용단(溶斷)되어서 권선저항기(10)이 작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권선저항기(10)이 작성된 후, 전극 구동부(28, 28)이 작동함에 의해 한차례, 전극본체(27a) 및 전극본체(27b)가 후퇴하고, 그 후, 재차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가 돌출하여, 작성된 권선저항기(19)을 후단측 전극본체(27b)가, 돌출하여, 작성된 권선저항기(10)을 후단측 캠부(12b)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낀다. 그리고, 그 후, 재차 지님수단 구동부(23)이 작동하고, 상기 스핀들 부(58, 58)을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폭 방향 외방에 향해 각각 이동시켜, 스핀들(58, 58) 전단부에 마련된 척(22, 22)를 초기 위치에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에 의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끼이고, 중공에 지지된 권선저항기(10)은, 그 후, 전극 구동부(28, 28)이 작동함에 의해,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가 후퇴하여 권선저항기(10)의 끼여있음을 해제하기 때문에, 권선저항기(10)은 하방으로 낙하하고, 적의의 파츠 수납부(도시하지 않음)에 낙하하여 수납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에 새로운 권심(11)에 권심 공급부(44)를 구성하는 암 부(47)의 선단에 마련된 권심 지지 암(46, 46)에 도시외의 파츠 피더로부터 자동적으로 급송되고, 그 후, 권심공급부(44)를 구성하는 구동부(49)가 작동함에 의해, 새로운 권심(11)은 암 부(47)에 의해서 척(22, 22)의 축심선 위치에 도달하기 까지 앞으로 나와서 암 부(47)은 정지한다.
그리하여 그 후 상기 한쌍의 지님수단 구동부(23)은, 스핀들 부(58, 58) 및 이 스핀들 부(58)의 후단부에 마련된 지님수단 회동부(24, 24)와, 스핀들 부(58, 58) 선단부에 마련된 척 고정부(59, 59) 및 이 척 공정부(59, 59)에 마련된 척(22, 22)를 자동 저항선 권장기(16) 내방으로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척(22, 22)는 전기와 동양으로, 제3도에 점선에 있어서 보이는 바와 같이, 권심 공급부(44)의 권심 지지 암(46, 46)에 의해 중공에서 지지된 권심(11)의 양단부에 돌출된 리드 선(13, 13)의 양단방향으로부터 접근한다. 그리하여, 그 뒤,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척(22, 22)내에 축방향에 따라서, 마련된 장공부(61, 61)내에, 리드선(13, 13)은 삽통 배치됨과 동시에, 척(22, 22)의 선단에 의해, 권심본체(66) 양단부가 압접되어서, 권심(11)은 척(22, 22)에 지지되게 된다. 그 후, 제12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가 작동하고, 저항선 공급노즐(77)은, 상기와는 반대로 전극본체(2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권심(11)의 축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상태로 된다.
그런 다음, 제1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의 진퇴기구(26)이 작동함에 의해, 권심(11)에 대해 후퇴하고 있던 저항선 공급노즐(77)을 권심(11)에 대해 저항선(39)를 권장할 수 있는 위치에 앞으로 내보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전 번의 권심(11)에 대한 저항선(39)의 용착시에는,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에 의해 저항선(39)가 권심(11)에 고정된 후, 우선 저항선 노즐 진퇴기구(26)이 작동함에 의해서, 저항선 공급노즐(27)이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하고, 그리하여, 그 후 약간 늦어져서 저항선 고정기구(25)에 의해 저항선(39)가 저항선 공급노즐(77)내에 있어서 고정된 상태로, 전극본체(27)에 의해 용단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사이의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이동에 의해, 이번의 새로운 권심(11)에의 저항선(39)의 감기 시작함 부(96)이 되는 용접 여유가 확보돼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2도 및 제1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하여 권심(11)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인 상태에 배치된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선단부에는, 저항선(39)의 감기 시작함 부(96)이 돌출하여 있기 때문에, 저항선 공급노즐(77)이 앞으로 나옴에 의해, 권심(11)의 선단측 캡부(12a)의 상면측에, 상기 저항선(39)의 감기 시작 용접여유부(96)을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 뒤, 제1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용접용 전극부(19)를 구성하는 전극 구동부(28, 28)이 작동하여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를 돌출시키어, 하방측 전극본체(27a)는 상기 저항선(39)를 사이에 하여 선단측 캡부(12a)의 상면측에 맞닿는다.
그리고, 이 상태로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에 통전시킴에 의해, 저항선(39)의 감기 시작함 부(96)을 권심(11)의 선단측 캡부(12a) 의 상면측에 용접한다. 그리하여, 그 뒤,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는 상기 전극 구동부(28, 28)의 작동에 의해, 권심(11)의 상면방향 및 하면방향으로 후퇴한다.
그 뒤, 상기와 동양으로 지님수단 회동부(24)가 작동하고, 스핀들(58, 58)을 회전시켜, 스핀들(58, 58) 선단부에, 척(22, 22)를 통하여 고정된 권심(11)을 소정회전수 회전시킴과 함께, 슬라이드 기부 구동부(36)을 구성하는 펄스모터(37)이 작동하고 전번의 권심(11)의 용접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 피드 스크루부(38)에 역 나사부(55)를 통하여 장착고정돼 있는 프레임(68)은, 현재 측면판 프레임(32b) 가까이의 위치에 있으나, 상기 피드 스크루 부(38)의 회전움직임에 의해 초기 위치에로 슬라이드하여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여 전기와 마찬가지로 스핀들(58, 58)의 회동움직임에 의해 권심(11)은 척(22, 22)에 압접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권심(11)의 선단측 캡부(12a)에 감기 시작함 부(96)이 용접된 저항선(39)는, 저항선 공급노즐(77)로부터 연속적으로 끌어내지게 되고, 더우기 이 저항선 공급노즐(77)은 프레임(68)과 함께 권심(11)의 축방향에 따라서, 권심(11)의 후단부 방향(제1도중 좌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기 동양으로 권심(11)의 권심본체(66)에 저항선(39)가 적의 권장되게 된다.
그런 다음, 제1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저항선 공급노즐(77)이 권심본체(66)의 후단부에 이르고, 저항선(39)의 감기 끝남부(95)를 용착하는 경우에는, 권심 지님부(17)을 구성하는 스핀들 부(58, 58)의 회전움직임이 일시 정지하고, 그 후, 상기와 동양으로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가 작동하고,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전극본체(27)을 회동중심으로하여, 소정각도 만큼 회동시켜, 저항선(39)의 공급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그 결과, 제15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권심본체(66)의 후단부에 위치해 있는 저항선(39)는, 소정각도 만큼 권심(11)의 후단부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권심(11)의 평면방향에 있어서, 권심(11)의 후단부 가까이 비스듬한 방향에 배치되게 된다.
그 뒤, 재차 스핀들(58, 58)이 소정회전수 만큼 회전하고, 비스듬히 배치된 저항선(39)는 권심(11)의 후단측 캡(12b)상에 권심(11)의 후단부 가까이 비스듬히 타고 올라, 이 후단측 캡부(12b)의 축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하여, 재차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가 돌출하고,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에 의해, 저항선(39)가 권심(11)에 고정된 상태에서 권심(11)이 끼이게 된다.
그 후, 상기 동양으로, 우선 저항된 노즐 진퇴기구(26)이 작동하여 저항선 공급노즐(77)이 후퇴하기 시작하고, 그 후 조금 뒤떨어져, 저항선 고정기구(25)가 작동하여 저항선(39)가 저항선 공급노즐(77)내에 있어서 고정되고, 그 뒤, 상방측 전극본체(27a) 및 하방측 전극본체(27b)에 통전시킴에 의해, 저항선(39)가 후단측 캡부(21b)상에 용접되게 된다.
따라서, 제16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의 동양으로, 저항선 공급노즐(77) 전단에는, 다음 번의 감기시작함 부(96)의 용접 여유를 남긴 상태에서, 저항선(39)가 돌출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연속하여 공급되는 권심(11)의 축방향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권심(11)에 저항선(39)를 연속하여 권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저항선(39)의 감기끝남 부(95)를 용착하는 경우에,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에 의해, 전극본체(27)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소정각도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저항선(39)를 권심(11)의 후단부측 캡부(12b)와 거의 완전한 접촉상태를 형성한 후, 용착시키기 위해서이다.
즉, 19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캡부(12a, 12b)는 권심본체(66)의 양단에 씌워져 있기 때문에, 권심본체(66)의 주면과 후단측 캡부(12)의 주면과의 사이에는 선단측 캡부(12a) 및 후단측 캡부(12b)의 살두께 만큼 단차가 형성돼 있다.
따라서, 저항선(39)가 권심(11)의 축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감기고, 그대로의 상태에서 축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후단측 캡부(12b)에 용접된 경우에는, 저항선(39)가 후단측 캡부(12b)의 내측주연(97)을 타 넘어 감겨지는 때에, 후단측 캡부(12b)의 주연과 저항선(39)와의 사이에 불완전한 접촉상태가 생긴채 후단측 캡부(12b)에 용착돼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저항선(39)의 후단부측 캡부(12b)의 주연과의 사이에 불완전한 접촉상태를 생기게한 채 용접되는 경우에는, 당해 불완전한 접촉상태가 생긴 부분의 저항선(39)의 전기저항이 극히 불안정하게 되고, 제품으로서의 권선저항기(16)의 저항치의 정밀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에 있어서는,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가 마련되어, 저항선(39)의 감기 끝남부를 용착하는 경우에는,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소정각도 회동시키고, 저항선(39)의 공급방향을 바꾸어, 권심(11)의 후단측 캡부(12b)의 내측주연(97)에 대하여, 큰 각도를 가지고, 저항선(39)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돼 있다.
따라서, 후단측 캡부(12b)의 내측주연(97)을 저항선(39)가 타 넘은 때에도, 저항선(39)와 후단측 캡부(12)의 주연과의 사이에 거의 완전한 접촉상태를 확보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을 이용하여 권선저항기(10)을 작성한 경우에는, 감기 끝남부(95)에 있어서 후단측 캡부(12b)에 저항선(39)가 거의 완전히 접촉한 상태로 용착되기 때문에, 안정된 전기저항을 확보할 수가 있고, 저항치가 권선저항기(10)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에 있어서는, 저항선 공급부(18)에는,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전극본체(27)을 회동중심으로하여 권심 지님부(17)에 지지된 권심(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방향에도 회동시킬 수 있는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가 마련돼 있다.
따라서, 저항선 공급노즐(77)은 권심(11)의 축방향에 따라서, 이동하고 감기 끝남부(95)를 용착할 때에, 그때마다,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이동방향에 저항선 공급노즐(77)을 회동시킴에 의해,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왕복 움직임과 함께 저항선(39)를 권심(11)에 권장할 수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의 작동전에 적의 제어해둠에 의해, 저항선 공급노즐(77)이 권심(11)의 축 방향에 따라서, 권심(11)에 씌워진 선단측 캡부(12a)의 감기 시작함 위치로부터 후단측 캡부(12b)의 감기 끝남부 위치에로 이동하는 사이에, 소망하는 피치로, 어떤 권심(11)에 저항선(39)를 권장할 수가 있고, 그리고 저항선 공급노즐(77)을 감기 시작함 위치에 복귀시킴이 없이, 상기 권심(11)의 저항선(39)를 감기 끝남 위치로부터, 별개의 새로운 권심(11)에 저항선(39)를 권장하기 시작할 수가 있고, 그리하여 당초의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스타트 위치에 복귀하기 까지에, 별개의 새로운 권심(11)에 저항선(39)의 권장을 끝낼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7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저항선(39)를 교차시켜 관정시킨 권선저항기(98)을 작성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우선, 권심(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방향에 (39)를 권장해 놓고, 그 뒤, 저항선 공급노즐(77)이 원위치에 복귀하는 사이에, 그 위에 겹쳐 동일의 피치로 교차시켜 권장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저항선(39)가 교차하여 권장된 권선저항기(98)은, 저항선(39)의 주위에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생기는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돼 있어, 예를 들어 VTR 등에 사용되고, 이와같은 저항선(39)가 교차하여 권장된 권선저항기(98)을,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작성할 수가 있다.
또, 제18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늘은 경의 저항선(39)를 2본 밀착시켜서 소정의 피치로 권장한 권선저항기(99)도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을 이용함에 의해 용이하게 작성할 수가 있다.
즉, 상기 동양으로 일방향에 저항선 공급노즐(77)이 동하는 사이에, 소정의 피치로 서로 간격을 벌려서 저항선(39)를 권장해 놓고, 저항선 공급노즐(77)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때에, 이미 감겨 있는 저항선(39)에 결합시키어 두번째의 저항선(39)의 권장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권선저항기(99)는, 저항처가 낮은 저항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인데, 종래에는 이와같은 낮은 저항치의 권선저항기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경 치수가 큰 저항선을 권장함에 의해 작성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와같은 종래와 같은, 경 치수가 큰 저항선(39)를 이용하여 권선저항기를 작성한 경우에는, 권장된 저항선 간의 간격 치수가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그 후의 마킹 처리가 불가능해지는 것이었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치(16)를 이용하여, 이와같은 낮은 저항치의 저항기를 작성한 경우에는, 종래의 경치수가 큰 저항선보다도 경 치수가 작은 저항선을 이용하여 서로 저항선을 밀접시킴에 의해 권심(11)에 권장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후의 마킹 처리가 가능한, 낮은 저항치의 권선저항기를 용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16)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29)는,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전극본체(27)을 회동중심으로하여, 권심 지님부(17)에 지지된 권심(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돼 있기 때문에, 권심 지님부(17)에 의해 지지된 권심(11)에 씌워진 캡부(12a, 12b)의 주면에 있어서, 상방측 전극본체(27a)와, 하방측 전극본체(27b)의 축 연장선 상에, 상기 저항선(39)가 공급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저항선(39)의 감기 끝남부(95)를 용착하는 때에, 저항선 공급노즐(77)을 저항선 공급노즐(77)의 이동방향에 회동시킨 경우라 해도 저항선 공급노즐(77)선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저항선(39)는, 늘 권심(11)의 캡부(12a, 12b)상에 있어서, 상방측 전극본체(27a)의 직하에 배치되게 되고, 그 결과, 저항선(39)는, 확실히 전극본체(27)에 의해, 권심(11)의 캡부(12a, 12b)에 용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각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한정것인 것은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시돼 있고,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저항기를 형성하는 원주상(圓柱狀)의 권심의 축방향 양단부를 끼고 있고, 권심을 주면 방향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권심지지부와, 상기 권심 지님부에 지지된 권심의 주면에 권장하는 저항선을 송출하는 저항선 공급노즐을 가지고 있는 저항선 공급부와, 상기 저항선 공급노즐로부터 송출된 저항선을 권심 선단부 및 권심후단부에 용착할 수 있는 용접용 전극부와, 상기 용접용 전극부가 부착되고, 권심 지님부에 지지된 권심의 축방향에 연하여 왕복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드부를 갖추고, 상기 권심 지님부는 권심양단을 지지할 수 있게끔 소정간격을 두고 상대하여 동축상(同軸上)에 배치된 한쌍의 지님수단과, 이 지님수단을 권심 축방향에 있어서 접근 또는 이간시킬 수 있는 지님수단 구동부와, 상기 지님수단에 의해 지지된 권심을 권심주면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지님수단 회동부를 갖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전극부는, 권심 지님부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 권심의 상방부 및 하방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용접시에는 권심 하방에서 권심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접근당접하여, 저항선을 권심선단부 및 권심후단부에 용착시킬 수 있는 한쌍의 전극본체와, 상기 한쌍의 전극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전극 구동부를 갖고, 상기 저항선 공급부에는, 저항선 공급노즐을 상기 전극본체를 회동중심으로해서 권심 지님부에 지지된 권심축방향에 소정각도 회동시켜 저항선 공급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저항선 공급노즐 회동부가 설치되어 있고, 권심 지님부에 지지된 권심의 길이방향에 있어 한쪽의 단부에서 타방단부로 향해 저항선을 권장하고, 타방의 단부에 있어 저항선의 감기끝남을 용착하는 경우에, 상기의 타방단부에 당접한 전극 본체를 회동중심으로해서 저항선 공급노즐을 저항선 공급노즐 이동방향에 연하여 소정각도 회동시켜서 저항선 공급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저항선 권장기.
KR1019940035006A 1990-03-30 1994-12-19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低抗線卷裝機) KR95001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006A KR950011631B1 (ko) 1990-03-30 1994-12-19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低抗線卷裝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87109 1990-03-30
JP2087108A JPH0649547B2 (ja) 1990-03-30 1990-03-30 自動抵抗線巻装機
JP2087109A JPH0618125B2 (ja) 1990-03-30 1990-03-30 自動抵抗線巻装機
JP90-87108 1990-03-30
KR1019910004682A KR940004367B1 (ko) 1990-03-30 1991-03-25 자동 저항선권장기
KR1019940035006A KR950011631B1 (ko) 1990-03-30 1994-12-19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低抗線卷裝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682A Division KR940004367B1 (ko) 1990-03-30 1991-03-25 자동 저항선권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631B1 true KR950011631B1 (ko) 1995-10-07

Family

ID=273054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008A KR950011633B1 (ko) 1990-03-30 1994-12-19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 抵抗線 卷裝機)
KR1019940035007A KR950011632B1 (ko) 1990-03-30 1994-12-19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抵抗線卷裝機)
KR1019940035006A KR950011631B1 (ko) 1990-03-30 1994-12-19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低抗線卷裝機)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008A KR950011633B1 (ko) 1990-03-30 1994-12-19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 抵抗線 卷裝機)
KR1019940035007A KR950011632B1 (ko) 1990-03-30 1994-12-19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抵抗線卷裝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9500116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632B1 (ko) 1995-10-07
KR950011633B1 (ko) 199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193B2 (ja) 巻線機および巻線方法
CN107749703B (zh) 一种内绕线机
JP2747167B2 (ja) 自動巻線機
KR950011631B1 (ko) 자동 저항선 권장기(自動低抗線卷裝機)
US5259561A (en) Automatic resistor coil winding apparatus
CN210080600U (zh) 一种应用于电子烟绕线机构的起线夹持剪线系统
KR940004367B1 (ko) 자동 저항선권장기
JPS6350847B1 (ko)
JPH0590014A (ja) 抵抗線自動巻装機を使用した抵抗線自動巻装方法
JP3101135B2 (ja) 内溝ステータのワイヤ巻付装置
JPH0834167B2 (ja) コイルの巻線方法および巻線装置
JP2002199553A (ja) 電線布線装置
JP3539180B2 (ja) 巻線機
JPH03284805A (ja) 自動抵抗線巻装機
JPS6366048B2 (ko)
JP2000301272A (ja) 線材コ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2134347A (ja) 巻線装置
JPS6229117A (ja) 巻線機
JPS5940516A (ja) 巻線装置
JPH0590015A (ja) 抵抗線自動巻装機
JP2949687B2 (ja) コイル及びコイ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0301626Y1 (ko) 코일 자동 권취기
JPH10284334A (ja) コイル巻線機
JPH0750644B2 (ja) 自動巻き線機
JPS631057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