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608B1 -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608B1
KR950011608B1 KR1019930011229A KR930011229A KR950011608B1 KR 950011608 B1 KR950011608 B1 KR 950011608B1 KR 1019930011229 A KR1019930011229 A KR 1019930011229A KR 930011229 A KR930011229 A KR 930011229A KR 950011608 B1 KR950011608 B1 KR 95001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lation coefficient
laundry
time
washing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991A (ko
Inventor
김정호
정해융
김형섭
이병훈
노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576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116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608B1/ko
Priority to TW082107605A priority patent/TW246702B/zh
Priority to JP5247912A priority patent/JP2951515B2/ja
Priority to US08/132,462 priority patent/US5339474A/en
Priority to CN93118592A priority patent/CN1047217C/zh
Publication of KR95000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
제1a도는 포 꼬임이 없는 경우의 세탁물 분포상태를 나타낸 도면, 1b도는 포 꼬임이 있는 경우의 세탁물 분포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세탁기의 구조와 포꼬임 판단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포 꼬임 판단 방법의 플로우차트.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연산되는 상관계수와 포 꼬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포꼬임 판단 방법의 제1실시예의 플로우 차트.
제 6 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포꼬임 판단 방법의 제2실시예의 플로우 차트.
제 7 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포꼬임 판단 방법의 제3실시예의 플로우 차트.
제 8 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포꼬임 판단 방법의 제4실시예의 플로우차트.
제 9 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 포꼬임 판단 장치의 실시예 블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조 2 : 세탁물
3 : 펄세이터 4 : 구동축
5 : 토오크 감지수단 6, 6A : A/D변환기
7, 7A : 상관계수 연산수단 8, 8A : 마이컴
본 발명은 세탁기에서 세탁물의 포꼬임 정도를 판단하는 장치와 포꼬임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물의 포꼬임을 감지한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 감지 데이타를 케이오스 이론에 근거한 상관계수(상관 차원값) 연산을 통해 포꼬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에서 포꼬임 판단을 위한 장치는 포꼬임을 미리 실험적으로 계측하여 세탁물이 꼬인 정도를 구하고, 이때의 세탁패턴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꼬임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세탁 날개(펄세이터)의 구조적인 형상에 의존하며, 이러한 실험 및 경험에 의존하여 포가 꼬이지 않는 세탁 패턴을 미리 마이컴에 기억시켜 세탁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즉,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1)내의 세탁물(2)이 고른 분포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펄세이터(3)가 구동축(4)의 동력을 받아 회전 구동될때 부하분포 또한 고르게 받게 되어 포손상이나 세정력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b도와 같이, 꼬인 세탁물(2A)이 존재하면, 이 꼬인 세탁물(2A)에 의하여 펄세이터(3)는 편심된 분포의 부하를 받게되므로, 과부하가 걸리게 됨은 물론 세정력의 저하와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의 종류(재질), 재질별 혼합비율, 포질, 세탁행정진행시에 랜덤하게 발생되는 수류패턴에 의한 포꼬임을 감지하고, 이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기 때문에 세탁중에 포가 꼬이게되고, 포가 꼬인 상태에서의 세탁 진행에 의한 과부하 발생과, 세정력 저하등의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물의 포꼬임에 따른 토오크 변화량으로 부터 세탁조내의 부하 분포를 감지 하는 분포감지 수단과, 상기 감지된 신호를 디지탈 정보로 입력받아 케이오스 상관계수를 연산하는 상관계수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서 산출된 상관계수로 부터 현재 세탁조내의 포꼬임의 정도를 판정해 내는 마이컴을 구비하여 세탁물의 포꼬임을 정밀하게 판정할 수 있도륵 한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파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조와 포꼬임 판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기의 포질 판단장치는, 세탁조(1)내의 세탁물(2)의 꼬임 여부에 따라 펄세이터(3)의 구동측(4)이 받게되는 토오크 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토오크 감지수단(5)과, 상기 토오크 감지 수단(5)에서 감지한 토오크 감지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 공급하는 A/D변환기(6)와, 상기 A/D변환기(6)에서 출력된 디지탈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입력 데이타(X(n))로 하여 분석 대상이 되는 포꼬임 감지 데이타를 주어진 인베이딩 차원값 및 시간 지연값을 기초로하여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각각의 데이타 값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 데이타와 주어진 거리 인덱스를 서로 비교하여 주어진 거리 조건에 적합한 거리 인덱스내에 들어오는 거리 데이타의 갯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값을 노말라이즈하고, 거리 인덱스를 증가시켜 가면서 위의 과정을 일정한 회수만큼 반복하고, 상기 출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x축으로는 거리 인덱스의 log값으로 잡고 y축으로는 카운트된 갯수를 log값으로 하는 그래프를 그리고, 이 그래프에서 적당한 변곡점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변곡점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상관 차원간(상관 계수(C))을 출력(Y(n))하는 상관 계수 연산수단(7)과, 상기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입력된 상관계수(C)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관계수(C)의 간에 대응하는 포꼬임을 판정하는 마이컴(8)으로 구성 된다.
도면에서 부호, 9는 클러치, 10은 세탁모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 방법은, 제3도를 참조하면, 세탁 모터를 포꼬임 감지 패턴으로 구동시켜 세탁물을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키면서 토오크 감지 수단으로 부터 세탁물의 부하분포에 따른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케이오스 상환계수의 연산을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연산된 상관계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포꼬임을 판정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세탁조(1)내에 세탁물(2)을 투입하고 세탁기를 동작시키면 마이컴(8)은 모터(10)를 구동시키고, 모터(10)의 구동력은 클러치(9)를 통해 펄세이터(3)에 전달되어 펄세이터(3)가 정/역회전 구동된다.
즉, 세탁기를 포꼬임 감지패턴으로 구동시키게 되는데, 포꼬임 감지패턴은 펄세이터(3)의 정/역회전 타이밍을 동일한 온시간으로 구동시키고, 오프 시간은 온시간에 비하여 짧은 시간의 주기로 동작시키는 패턴을 유지하거나, 또는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을 서로 다른 시간으로 하고 오프시간은 온 시간에 비하여 짧은 시간의 주기로 동작시키는 패턴을 유지한다.
또는 세탁 패턴 자체가 하나의 정/역회전의 주기적인 반복인 경우는 세탁패턴을 포꼬임 감지패턴으로 대신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펄세이터(3)가 회전 구동되면 세탁물(2) 또한 함께 회전 구동되는데, 세탁물(2)이 회전됨에 따라 세탁물(2)의 부하분포에 대응하여 토오크 감지수단(5)으로 감지되는 토오크의 패턴이 변화되고, 이 토오크 감지신호는 전기신호로 A/D변환기(6)에 입력된다.
즉, 토오크 감지수단(5)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신호는 포가 꼬이지않은 경우의 신호는 균일한 상태 (STATE)로 되지만, 포가 꼬일수록 점차 불규칙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이 진행될수록, 이와 같은 포꼬임 감지 신호는 다양한 종류(재질)의 포가 혼재되어 있는 세탁물일 수록 그 감지 신호의 패턴이 더욱 복잡해 지게 되고, 이러한 감지신호는 포로임을 감지한 의미있는 신호, 즉, 정보로서의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잡음으로 오판될 우려가 세탁물 재질의 종류에 비례하여 증가될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감지신호의 경험적, 실험적값 등을 취해서 포꼬임을 판정하기 때문에 비록 의미있는 신호(정보)이더라도 이를 잡음으로 오판정하게 되어 포꼬임 판정에 신뢰를보장 받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토오크 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정보로서 정확하게 판정한다.
즉, 포꼬임 감지수단(토오크 센서)의 출력신호는 A/D변환기(6)에 입력되고, A/D변환기(6)는 입력된 포꼬임 감지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관계수 연산수단(7)과 마이컴(8)에 공급한다.
상관계수 연산수단(7)은 입력된 포꼬임 감지 데이타를 주어진 인베이딩 차원값 및 시간 지연값을 기초로하여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상관계수 연산수단(7)은 선택된 상기 데이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 데이타와 주어진 거리 인덱스를 서로 비교하여 주어진 거리 조건에 적합한 거리 인덱스에 해당하는 정보를 구한다.
상관계수 연산수단(8)은 상기 출력된 정보를 기초로 적당한 변곡점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변곡점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상관 차원값(=상관 계수(C))을 출력(Y(n))한다.
이 상관 계수(C)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포꼬임 감지 출력 데이타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나타내고 이 정보는 마이컴(8)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관계수 연산수단은, 상기 A/D변환기(6)의 데이타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주어진 인베이딩 차원 및 지연시간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선택수단과, 상기 데이타 선택수단에서 출력된 데이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서 출력된 거리 데이타와 주어진 거리 인덱스를 서로 비교하여 주어진 거리 조건에 적합한 거리 인덱스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비교 및 연산수단과, 상기 비교 및 연산수단에서 출력된 정보를 기초로 적당한 변곡점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변곡점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상관 차원값을 출력하는 기울기 계산수단과, 클록(CLK), 인에이볼 신호(EN), 인베이딩 차원(ED), 지연시간(DL)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 데이타 선택수단, 비교수단, 비교 및 연산수단, 판별수단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관계수 연산수단은 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A/D변환기(3)의 상태를 입력으로 받기 시작하여 입력데이타(X(n))를 스위칭 수단이 제어수단의 타이밍 제어를 받아 데이타 선택수단에 공급한다.
최초에 입력된 값을 X(tO)라고 하면, 이 값은 스위칭 수단에서 스위칭 되어 데이타 선택수단에 입력 되고, 이후에는 스위칭수단에서 지연시간(△t)마다 샘플링하여 입력 데이타를 받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다음 순간에는 x (t0 +△t)가 입력되고, x (t0), x (t0 +△t)는 제어수단의 타이밍 제어를 받아 적절한 타이밍에서 비교수단에 입력될 것이다.
비교수단은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상기 입력된 두 값 사이의 거리(rl)를 계산하는데, 예를 들어 ED = 1, r =△ t이라면 Φ0= x (t0), Φ1= x (t0 +△ t)이고 거리(rl)는 다음의 연산을 통해 산출되어 진다.
즉, 거리 산출의 예로서 rl =|Φ012= |x(t0)+x(t0 +△ t)|2의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것이고, 이 거리(rl)는 최대값(dmax) 또는 최소값(dmin) 또는 임의의 설정된 값으로 NORMALIZE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산된 거리(rl)는 비교 및 연산수단에 입력되고, 비교 및 연산수단은 제어수단으로 부터 적절한 타이밍에서 인에이불 제어를 받아 상기 입력된 거리(rl)를 이미 저장된 거리 인덱스(index)와 비교하여 주어진 조건에 맞는 정보(갯수)를 추출한 후 거리 인덱스값을 증가시켜 준다.
즉, rl ≥ di의 조건이 만족되면 di=dj + △ d(ji ), 여기서 dj는 주어진 거리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 으로 rldi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증가되는 값이며, 이와같은 과정을 △t 안에 수행하고, 스위칭 수단은 다음의 2△t 순간에 또다른 입력을 받아서 데이타 선택수단에 공급하고, 데이타 선택수단은 이 2△t순간에 입력된 데이타, 즉, Φi 를 선택하여 비교수단에 공급한다.
비교 수단은 입력된 데이타, 즉, x ( t0 + 2△t)에 대하여 상기한 연산을 수헹하여 두번째 데이타에 대한 거리(r2)를 산출하고, 비교 및 연산수단은 이 거리(r2)를 거리 인덱스와 비교하여 dj를 증가시키며, 이러한 과정을 모든 입력데이타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그 수행 데이타수가 미리 정해놓은 데이타 갯수(dmax)만큼 도달하면 입력을 더이상 받아들이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교 및 연산수단에서 확보한 상기 정보는 판별수단에 입력되는데, 판별수단은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정보중에서 적당한 변곡점, 즉, logdi와 logdj를 선택한다.
이 변곡점은 판별수단에서 이미 설정된 정보로 갖고 있거나 또는 포꼬임 감지 장치의 특성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설정수단을 통해 입력시켜 설정해 줄 수 있게 한다.
설정수단을 통해 정해주는 경우는, 분석하고자 하는 포꼬임 감지 시스템에서 실험적으로 미리 구한 최적의 변곡점을 외부에서 값으로 주는 경우이다.
어느 경우나 판별수단은 상기 비교 및 연산수단에서 제공되는 정보에서 di와 dj로 주어지는 한 영역을 판별해 내게 된다.
판별된 정보, 즉, 변곡점의 정보는 기울기 계산수단에 공급되고, 기울기 계산수단은 d축과 Nd축을 x - y좌표 평면으로 할때 증가된 데이타에 의한 기출기(Slope)를 계산해 낸다.
이와 같이 계산된 기울기가 곧 상관차원값(correlation dimension), 즉, 상관계수(C)가 되어 포질을 감지한 분석 정보로서 최종 출력된다.
제4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관계수 연산수단(4)에서 출력되는 상관계수(C)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관계수(C)를 마이컴(5)에서 입력받고, 마이컴(5)은 제4도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관계수(C)로부터 포질을 정확히 판정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세탁모드의 수행중에 포꼬임을 판단한다면 이 경우의 포꼬임으로 판정되는 상관 계수 기준값(fe)을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공급된 값(C)과 비교하여 기준값(fe)보다 큰 경우는 포가 꼬인 경우로 판단하여 포플림 모드를 수행하고, 헹굼모드의 수행중에 포꼬임을 판단한다면 이 경우의 포꼬임으로 판정되는 상관 계수 기준값(fe)을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공급된 값(C)과 비교하여 기준값(fe)보다 큰 경우는 포가 꼬인 경우로 판단하여 포플림 모드를 수행하고, 헹굼모드의 수행중에 포꼬임을 판단한다면 이 경우의 포꼬임으로 판정되는 상관 계수 기준값(fe)을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공급된 값(C)과 비교하여 기준값(fe)보다 큰 경우는 포가 꼬인 경우로 판단하여 포플림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다.
포질의 판정 정보는 차후에 수행되는 세탁, 탈수, 헹굼 등의 제반 행정 수행에 기초 정보로 활용되며 이는 주지된 전자동 세탁기에서와 같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세탁 또는 힝굼모드의 수행이 종료된 이후의 단계에서 상기 제3도의 포꼬임 판단모드를 수행하므로서 포꼬임을 판단하여 포풀림 모드를 수행하는 실시예이다.
즉, 세탁 또는 헹굼모드의 수행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세탁 또는 헹굼 모드가 종료된 경우에는 포꼬임 판단을 수행하여 상기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공급되는 상관계수(C)와 세탁모드의 기준값(fe) 또는 헹굼모드의 기준값(fi)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관 계수(C)가 기준값(fe) 또는 기준값(fi)보다 큰 경우에는 포가 꼬인 경우로 판단하여 포풀림 모드를 수행하고, 작은 경우에는 세탁 또는 헹굼이후에도 포가 꼬이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세탁을 종료하는 것이다.
제6도는 세탁모드의 수행중에 포꼬임 판단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세탁모드를 수행하면서 포꼬임 판단을 수행하여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공급되는 상관 계수(C)와 세탁 모드의 기준값(fe)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기준값(fe)보다 큰 경우에는 세탁중에 포가 꼬인 것으로 판단하여 포풀림 모드를 수행한후 세탁 모드를 재 수행하며, 기준값(fe) 보다 작은 경우에는 세탁모드가 종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세탁모드가 종료되기 전이면 세탁모드를 진행하면서 포꼬임을 계속 감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므로서 세탁 도중에 세탁물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7도는 헹굼모드의 수행중에 포꼬임 판단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헹굼모드를 수행하면서 포꼬임 판단을 수행하여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공급되는 상관 계수(C)와 헹굼모드의 기준값(fi)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기준값(fi)보다 큰 경우에는 헹굼중에 포가 꼬인 것으로 판단하여 포풀림 모드를 수행한후 헹굼 모드를 재 수행하며, 기준값(fi)보다 작은 경우에는 헹굼모드가 종료 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헹굼모드가 종료되기 전이면 헹굼모드를 진행하면서 세탁 행정이 종료되기 전까지 포꼬임을 계속 감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므로서 헹굼 도중에 세탁물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8도는 헹굼모드의 수행중에 포꼬임 판단을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헹굼모드를 수행하면서 포꼬임 판단을 수행하여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공급되는 상관 계수(C)와 헹굼 모드의 기준값(fi)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기준값(fi)보다 큰 경우에는 헹굼중에 포가 꼬인 것으로 판단하여 포풀림 모드를 수행한후 행굼 모드를 재 수행하며, 기준값(fi)보다 작은 경우에는 헹굼모드가 종료 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헹굼모드가 종료되기 전이면 헹굼모드를 진행하면서 헹굼 행정이 종료되기 전까지 포꼬임을 계속 감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므로서 헹굼 도중에 세탁물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세탁기의 포질 판단장치는, 세탁조(1)내의 세탁물(2)의 꼬임 여부에 따라 펄세이터(3)의 구동축(4)이 받게되는 토오크 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토오크 감지수단(5)과, 상기 토오크 감지 수단(5)에서 감지한 토오크 감지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컴(8A)에 공급하는 A/D변환기(6A)와, 상기 A/D변환기(6A)에서 출력된 디지탈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입력 데이타(X(n))로 하여 분석 대상이 되는 포꼬임 감지 데이타를 주어진 인베이딩 차원값 및 시간 지연값을 기초로하여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 데이타와 주어진 거리 인덱스를 서로 비교하여 주어진 거리 조건에 적합한 거리 인덱스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정보를 기초로 적당한 변곡점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변곡점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상관 차원값(상관 계수(C))을 출력(Y(n))하는 상관 계수 연산수단(7A)과, 상기 A/D변환기(6A)에서 입력된 포꼬임 감지 데이타를 입력받고, 상기 상관계수 연산수단(7A)에서 입력된 상관계수(C)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관계수(C)의 값에 대응하는 포꼬임을 판정하는 마이컴(8A)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A/D변환기(6A)와 상관계수 연산수단(7A)과 마이컴(8A)의 동작은 상기 제2도의 실시예에서와 통일하며, 단 이 실시예에서는 A/D변환기(6A)에서 출력된 디지탈 포꼬임 감지 데이타가 상관 계수 연산수단(7A)을 거치지 않고 마이컴(8A)에 공급되고, 상관 계수 연산수단(7A)은 독립하여 연산한 상관계수(C)를 마이컴(8A)에 공급하므로서 상기 제2도의 실시예에서 상관계수 연산수단(6)의 개입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배제할 수 있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의 실시예로서 상기 토오크 감지수단(5)을 진동 센서로 구성한다.
이 경우에도 부하의 분포에 대응하여 펄세이터(3)와 구동축(4)이 받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한 진동이불규칙적으로 감지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이 전기신호가 A/D변환기(6)(6A)에 포꼬임 감지신호로서 공급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포꼬임 판단의 기초 정보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재질의 세탁물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포질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판정할 수 있고, 정확히 판정된 포질을 갖고 세탁, 헹굼등의 제반 행정의 제어를 수행하므로 포손상의 방지와 높은 세정력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기기 동작의 신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세탁조(1)내의 세탁물(2)의 꼬임 여부에 따라 펄세이터(3)의 구동축(4)이 받게되는 토오크 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토오크 감지수단(5)과, 상기 토오크 감지수단(5)에서 감지한 토오크 감지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 공급하는 A/D변환기(6)와, 상기 A/D변환기(6)에서 출력된 디지탈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입력 데이타(X(n))로 하여 분석 대상이 되는 포꼬임 감지 데이타를 주어진 인베이딩 차원값 및 시간 지연값을 기초로 하여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 데이타와 주어진 거리 인덱스를 서로 비교하여 주어진 거리 조건에 적합한 거리 인덱스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정보를 기초로 적당한 변곡점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변곡점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상관 차원값 (상관 계수(C)를 출력(Y(n)하는 상관 계수 연산수단(7)과, 상기 상관계수 연산수단(7)에서 입력된 상관계수(C)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관계수(C)의 값에 대응하는 포꼬임을 판정하는 마이컴(8)으로 구성된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감지수단(5)은 진동 센서로 구성된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
  3. 세탁조(1)내의 세탁물(2)의 꼬임 여부에 따라 펄세이터(3)의 구동측(4)이 받게되는 토오크 변화 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토오크 감지수단(5)과, 상기 토오크 감지 수단(5)에서 감지한 토오크 감지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컴(8A)에 공급하는 A/D변환기(6A)와, 상기 A/D변환기(6A)에서 출력된 디지탈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입력데이타(X(n))로 하여 분석 대상이 되는 포꼬임 감지 데이타를 주어진 인베이딩 차원값 및 시간 지연값을 기초로하여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 데이타와 주어진 거리 인덱스를 서로 비교하여 주어진 거리 조건에 적합한 거리 인덱스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고,상기 출력된 정보를 기초로 적당한 변곡점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변곡점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상관 차원값(상관 계수(C))을 출력(Y(n))하는 상관 계수 연산수단(7A)과, 상기 A/D변환기(6A)에서 입력된 포꼬임 감지 데이타를 입력받고, 상기 상관계수 연산수단(7A)에서 입력된 상관계수(C)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관계수(C)의 값에 대응하는 포꼬임을 판정하는 마이컴(8A)으로 구성된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감지수단(5)은 진동 센서로 구성된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
  5. 세탁 모터를 포꼬임 감지 패턴으로 구동시켜 세탁물을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키면서 토오크 감지 수단으로 부터 세탁물의 부하분포에 따른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케이오스 상관계수의 연산을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연산된 상관계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포꼬임을 판정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세탁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세탁모드 수행중에 세탁 모드가 완료 되기 이전 단계에서 세탁 모터를 포꼬임 감지 패턴으로 구동시켜 세탁물을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키면서 토오크 감지 수단으로 부터 세탁물의 부하분포에 따른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케이오스 상관계수의 연산을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연산된 상관계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포꼬임을 판정하는 제3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로임 판단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헹굼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헹굼모드 수행중에 헹굼 모드가 완료 되기 이전 단계에서 세탁 모터를 포꼬임 감지 패턴으로 구동시켜 세탁물을 소정시간 등안 구동시키면서 토오크 감지 수단으로 부터 세탁물의 부하분포에 따른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케이오스 상관계수의 연산을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연산된 상관계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포꼬임을 판정하는 제3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세탁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세탁모드 수행이 완료된 이후의 단계에서 세탁 모터를 포꼬임 감지 패턴으로 구동시켜 세탁물을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키면서 토오크 감지 수단으로 부터 세탁물의 부하분포에 따른 포로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케이오스 상관계수의 연산을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연산된 상관계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포꼬임을 판정하는 제3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로임 판단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헹굼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헹굼모드 수행이 완료된 단계 이후의 단계에서 세탁 모터를 포꼬임 감지 패턴으로 구동시켜 세탁물을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키면서 토오크 감지 수단으로 부터 세탁물의 부하분포에 따른 포로임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포꼬임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케이오스 상관계수의 연산을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연산된 상관 계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포꼬임을 판정하는 제3과정을 수행함을 륵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 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의 포꼬임 감지패턴은, 펄세이터의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을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하고, 정회전 정지(오프)시간과 역회전 정지(오프) 시간을 상기 정/역회전 시간(온시간)보다 짧은 시간간격으로 하여 일정한 주기를 갖고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 방법.
  11. 제5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의 포꼬임 감지 패턴은, 펄세이터의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을 서로 다른 시간 간격으로 하고, 정회전 정지(오프)시간과 역회전 정지(오프)시간을 상기 정/역회전 시간(온시간)보다 짧은 시간간격으로 하여 일정한 주기를 갖고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 방법.
KR1019930011229A 1993-06-19 1993-06-19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 KR95001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229A KR950011608B1 (ko) 1993-06-19 1993-06-19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
TW082107605A TW246702B (ko) 1993-06-19 1993-09-16
JP5247912A JP2951515B2 (ja) 1993-06-19 1993-10-04 洗濯機の布縒れ判断装置及び方法
US08/132,462 US5339474A (en) 1993-06-19 1993-10-06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etermining twist of clothes being washed in washer
CN93118592A CN1047217C (zh) 1993-06-19 1993-10-09 判定洗衣机中所洗衣物缠绕状况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229A KR950011608B1 (ko) 1993-06-19 1993-06-19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991A KR950000991A (ko) 1995-01-03
KR950011608B1 true KR950011608B1 (ko) 1995-10-06

Family

ID=1935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229A KR950011608B1 (ko) 1993-06-19 1993-06-19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39474A (ko)
JP (1) JP2951515B2 (ko)
KR (1) KR950011608B1 (ko)
CN (1) CN1047217C (ko)
TW (1) TW2467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179A (ko) * 2015-06-18 2018-02-20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9765B2 (en) * 2006-11-09 2010-06-22 Whirlpool Corporation Tangling detection for an automatic washer
US8631527B2 (en) * 2009-08-10 2014-01-2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mble pattern control
JP6186811B2 (ja) * 2013-03-29 2017-08-30 富士通株式会社 判定方法、判定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09183354B (zh) * 2018-11-09 2020-03-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防缠绕控制方法及装置
CN112442832B (zh) * 2019-08-28 2023-07-18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KR20220033164A (ko) 2020-09-09 2022-03-16 강채희 스프링 핀 및 그의 제조방법
US11959215B2 (en) 2021-04-22 2024-04-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sh article entrapment detection for laundry washing machines
US11725323B2 (en) 2021-04-22 2023-08-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sh article entrapment detection for laundry washing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2473A (en) * 1985-10-18 1991-12-17 Hitachi, Ltd. Full-automated washer
NZ230489A (en) * 1989-08-30 1996-10-28 Fisher & Paykel Washing machine water level set by sensed loading
JP2892749B2 (ja) * 1990-02-28 1999-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の制御方法
JPH03297491A (ja) * 1990-04-18 1991-12-27 Hitachi Ltd 洗濯機の洗濯制御装置
US5161393A (en) * 1991-06-28 1992-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washer control including automatic load size determination, fabric blend determination and adjustable washer means
JP3004410B2 (ja) * 1991-08-27 2000-01-31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179A (ko) * 2015-06-18 2018-02-20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833A (zh) 1994-12-28
JPH078672A (ja) 1995-01-13
US5339474A (en) 1994-08-23
CN1047217C (zh) 1999-12-08
TW246702B (ko) 1995-05-01
JP2951515B2 (ja) 1999-09-20
KR950000991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1517B2 (ja) 洗濯機の洗濯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EP0969133A1 (en) A method of detecting imbalance in a drum of a washing machine
KR950011608B1 (ko) 세탁기의 포꼬임 판단장치와 방법
US5987679A (en) Water level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in washing machine
JPH0838785A (ja) 洗濯機の布負荷量検出装置及び方法
CN103306094A (zh) 一种判定波轮洗衣机负载重量的方法
US20030024055A1 (en) Suds detection and display system for an automatic washing machine
JPH078673A (ja) 洗濯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5337431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of clothes to be washed
WO2008148844A2 (en) A washer/dry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7503087B2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KR950011607B1 (ko) 세탁기의 포질 판단장치와 방법
KR101310263B1 (ko)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360246B1 (ko) 세탁기의 포엉킴 및 포치우침 방지 방법
US20050091760A1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JPH0671081A (ja) 洗濯機の洗濯制御装置及び洗濯制御方法
KR950011610B1 (ko) 세탁기의 케이오스 제어장치와 방법
KR0125956B1 (ko) 세탁기의 포량풀림방법
JPH1043471A (ja) 洗濯機の負荷量判定方法
JP3186093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KR102437907B1 (ko) 세탁물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100546595B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0163687B1 (ko) 세탁기의 탈수시간 설정방법
KR950029420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구속감지방법
KR101144783B1 (ko)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