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437B1 - 보빈으로의 실배급 방법 - Google Patents

보빈으로의 실배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437B1
KR950011437B1 KR1019920019696A KR920019696A KR950011437B1 KR 950011437 B1 KR950011437 B1 KR 950011437B1 KR 1019920019696 A KR1019920019696 A KR 1019920019696A KR 920019696 A KR920019696 A KR 920019696A KR 950011437 B1 KR950011437 B1 KR 95001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wound
winding
thread
tota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785A (ko
Inventor
프로디 파올로
마조니 기아루카
가도니 기우세페
패소티 데닐리
Original Assignee
서비오 쏘시에페 퍼 아찌오니
카를로 시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비오 쏘시에페 퍼 아찌오니, 카를로 시오니 filed Critical 서비오 쏘시에페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93000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ribbon winding ;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rregular edge forming, e.g. edge raising or yarn falling from the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빈으로의 실배급 방법
제1도는 형성중에 있는 보빈의 한측면 원주위를 따라 이들의 복귀점에 도시된 두 연속된 나사선으로 감겨진 실보빈의 동거리 개략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기본적 단계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블록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정확한 감기에서 포함되는 기하학적 크기를 도시한 감겨진 실보빈의 개략적 정면도.
제4도는 감겨진 실의 두 중첩된 인접한 층을 통한 개략적 저연 섹션으로서 이들의 복귀점들이 보빈 측면의 전체 원주위를 따라 연장되며, 두 인접한 층의 복귀점들이 있는 곳에 축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관련된 OM감기횟수로 일정한 전체가 아닌 숫자의 감기비 K에 대한 몇가지 곡선을 도시하는 도표이며, 상기도면이 최대 및 최소감기 각도로 상기 곡선들의 한계를 정하는 수평선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빈(bobbin) 2, 4 : 복귀점(reversal points)
6 : 나사선 5, 10 : 감겨진실층
11, 12 : 센서 14 : 신호조절장치
16 : 광분리기 19 : 주파수증배기
20 : 위상탐지기 23 : 인버터
24 : 유도모터 25 : 모터
본 발명은 반사되는 와인딩(specular winding)이 피하여질 수 있거나 줄어들 수 있는 천연실, 드래프트되거나 드래프트되지 않은 합성실의 크로스 와인딩(cross-wound) 보빈의 생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통형 보빈에 실을 자동으로 감기위한 개선된 방법으로서, 상기실이 연속된 나선으로서 서로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게되고, 실회전의 복귀점(reversal pount)들이 감겨진 실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전후방 이동진행중에 보빈 측면을 따라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실"이라고 하는 것은 섬유모양의 어떠한 재료를 나타내는 것이며, "보빈" 또는 "패키지"는 나사선 회전형태로 감겨진 어떠한 형상을 하는 패키지를 나타낸다. 또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크로스-회전 분산에 의해서 보빈에 실을 수집함에 있어서는, 실이 보빈 지지맨드릴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전후방으로 이동되야 한다. 이같은 작용은 "트래비싱(traversing)"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자동 실감기 방법 및 장치가 이미 제안된 바 있으며 실이 패키지를 형성하는 동안 정확한 속도로 수집된다. 본원 출원인은 유럽특허출원 공개번호 제0375043호의 소유권자이며 동 발명은 합성실 수집장치에 형성하는 동안 보빈에서의 실의 분산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실 수집장치의 공지된 실감기와 관련이 있는 기술분야와 관련해서, 형성과정중 패키지상에 실을 수집하는 동안 분산이 완전하지 못한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실 패키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집장치는 거의 항상 일정한 점들에서 집중된 회전하여 감겨진 형상들을 만들게 되며 리브(rib) 구성을 만들고 또한 형성하는 동안 보빈의 원주위면을 따라 복귀점들을 자주 중첩시키도록 한다. 이같은 특징으로 말미암아 재료의 축적이 있게되는 보빈측면을 따라 점들이 존재하게되며, 이들점들에서 감겨진 회전들은 떨어진 회전을 형성시키기 위해 보빈측면을 따라 슬라이드하며, 이는 뒤에 실을 올바르게 푸는 것을 포함한다. 이같은 리빙(ribbing)은 중접된 회전에서 감겨지므로써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같이 실이 패키지를 따라 단단한 핸드(hand)를 형성하게 된다. 이같은 리빙은 이제까지 리빙, 밴딩 또는 "거울효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용어는 상호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계속해서 공급되는 실이 패키지를 형성시키기 위해 높은 속도로 보빈홀더에 가로지르며 감겨지고, 실은 전반적으로 트래버싱을 받게되어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을 교대하게 한다.
이같은 감기광정에서, 만약 트래버서의 이중버트(double beats)의 숫자 OM에 대한 보빈홀더의 회전수 N가 전체 숫자이라면, 실이 보빈상에서 앞서 감긴 실회전위로 감기게되며, 따라서 패키지의 바깥측 주변표면이 중첩된 실의 단단한 층을 형성할 정도로, 즉 높은 밀도의 리빙(ribbing)을 만들도록 불규칙하게 하며, 이는 실이 뒤에가서 바르게 풀어지는 것과 관계를 가지거나 염료작업 보빈을 통해 액체통과의 불균일함과 관계를 맺고, 결과의 충돌이 균일하게 착색되지 않으므로써 결국 실의 색체 배합에 주기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부분적인 감기비율이 선택되어 선행하였던 회전과 관련한 적절한 이동을 회전에 부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막기 위해서, 본 발명 출원자의 유럽특허 제0375043호는 형성중에 있는 패키지로 실을 계단식으로 배급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장치를 제의한다. 이같은 방법에서, 상기 감기비 K는 전체 회수가 아닌 크기를 갖기위해서 단계적으로 변화하게되며 실감기중에 발생되는 상기의 리빙을 막도록한다. 사실, 상기의 방법은 형성중인 크로스-감기 패키지의 특성과 질을 상당히 개선하게 된다.
그러나, 크로스-감긴 패키지에 있는 단단해진 실층 또는 부적절한 실은 아직도 발생된다.
이점과 관련해서 복귀점들은 보빈의 측면에서 중첩하여지게 되거나 좁은 부분을 따라 두꺼워진다. 이와 같은 두꺼워지는 것은 이들점들에서 실이 더욱더 촘촘하게 감기는 것을 의미하며, 가장자리에서 보빈의 측면을 따라 감기가 회전의 미끄럼 또는 박을 입힘(foiation)을 받게 되고, 이탈된 회전을 형성시킨다.
이전방법의 상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방법이 상기 감기의 단점을 일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같은 목적을 위해 본원방법은 곡선의 하강하는 부분을 따라 수집유닛이 동작하도록 순간순간 감기 파라미터의 크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각 부분은 전체 회수는 아닌 일정한 감기비율 K의 점들로 이루어지며, 혹은 이는 정확한 부분이 아니기도 하고, 본 발명에 따라 이같은 방법이 : 충분히 큰 이중 비이트 숫자가 있은후에 비로서 회전이 중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전체 숫자가 13보다 크거나 동일한 숫자의 충분히 높은 최소 수집순서로 크로스-감기를 시작하고, 현재의 감기와 동일한 이중 비이트 횟수가 각각 끝난뒤에 맨드릴과 트래버서 캠 사이의 관련 회전비를 변화시키며, 현재의 상기 감기횟수가 형성중에 있는 보빈 측면의 전체 원주위를 따라 있는 복귀점들의 숫자와 정확히 일치하여 정확한 조정핀 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빈의 측면을 따라 고정하여진 실회전의 복귀점의 어떠한 중첩도 전체 감겨진 실의 수집과정중에는 발생되지 않게되고, 전체 회수가 현재의 감기와 동일하며 따라서 감는 비율의 공통인수 전체 회수 OM크기와 동일한 회수로 맨드릴 회전속도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주파수를 순간순간 증가시키며, 감기비율 K의 계산자 N의 전체 숫자크기와 동일한 전체 숫자만큼 트래버서 캠 회전속도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크기의 위상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즉 이들을 동기화시키어 가능한 간섭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키며 전진하여 감겨진 실 수집중에 어떠한 이상 오차도 무효로 하는 연속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실의 분배방법은 또한 바로 이전의 진후이동 스트로크중에 감겨진 나사선내 중심에 위치하는 나사선으로서 계속적인 회전이 수집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는 동일한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의 부분이 같은 참고번호를 갖게 된다. 또한 전반적인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서, 도면에서는 감겨진 실을 수집하기 위한 감가장치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삭제되거나 대체로 공지된 차입의 것으로 도시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1)은 보빈 또는 원통형으로 감겨진 실패키지이며, (2)와 (4)는 형성중인 보빈측면에서의 두 개의 연속된 복귀점이고 따라서 감겨진 나사선(3)의 시작점(2)과 나사선(6)의 끝나는 점(4)를 나타내며 실의 크로스-부착(cross-dsposting)을 위해 트래버싱 작용하에서 동작하는 공지의 실 안내요소(도시되지 않음)바깥을 향한 복귀 스트로크를 마무리한다. 상기점 (2)(4)들은 각 C에 대하는 원주위의 각을 만든다.
현재의 감기순서인 전체 크기에 의해 공급되는 때 상기 각C도는 결국 130°의 원둘레 각도를 만들게 되며, 따라서 형성중에 보빈(1)의 측면에서 복귀점의 완전한 회전을 일으키게 하며, a는 감기 나사선의 경사이고, 상기 각도 a는 예정된 MIN와 MAX 값사이의 감기중에 변화하게 된다.(제5도 참조). (5)는 감겨진 실의 어떤 겹쳐진 층(10)아래에 놓이는 감겨진 실의 어떤 내측층이다. 상기 감겨진 실층(5, 10)은 실안내요소의 전체 바깥을 향하고 복귀하는 스트로크의 숫자 OM을 따라 형성되며, 여기서 OM은 현재의 감기 순서이고 P1, P2, P3 …… P18은 현재의 감기순서 OM과 동일한 실안내요소의 이중비이트(double beats)숫자가 종료되는 때 보빈(1)이 측면을 따라 감겨진 실회전의 복귀점들이다. 형성중에 보빈의 원주의 표면위로 분산되는 여러개의 크로스-회전으로 상기 OM의 이중 비이트가 실을 감기하며, 이는 두께(5)만큼 직경 XX을 증가시키며, R1, R2, R3,……R18은 현재의 감기 순서 OM과 동일한 다수의 이중 비이트가 종료되어 보빈(1)의 측면을 따라 감겨지는 실회전의 복귀점들이다. 상기 감겨진 실의 회전은 두께(10)만큼 형성중에 보빈(1)의 직경 Φ를 증가시키며, F/2는 축을 나타내는 원주의 호(are)로서 감겨진 실의 두연속된 층(5)(10)의 복귀점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원주의 호 F/2는 감겨진 실(5)(10)의 중첩된 두께의 형성중에 보빈(1)의 측면에서 두 연속된 복귀점들 사이의 원주호 F의 절반이다. G는 두 개의 연속된 바깥을 향한 복귀 스트로크(return stroke)중 즉 공지된 실란 내요소의 두 연속된 이중 비이트중 보빈(1)의 제너레이터에 감긴 두 회전사이의 거리이며, 상기의 거리 G는 두 개의 연속적인 바깥을 향한 복귀 스트로크의 감겨진 회전 사이의 직각거리S와 상응한다. K1, K2, K3, K4, K5등은 공지의 감기비가 전체숫자 또는 정확한 부분이 아닌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에 따른 수집장치의 동작 곡선부이며 상기 곡선부는 수집장치의 동작점 위치를 나타내고 이에 대해서는 연속적으로 분산된 감기가 감겨진 실의 중첩된 두께(5)(10)를 형성하도록 획득되며, 복귀점(P, R)들이 균일하게 분산되며 형성중인 보빈(1)의 원주위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곡선부K는 예정된 크기 aMIN과 MamAX를 대표하는 수평의 감기각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도면에 관련이 있는 다음의 동작설명은 특히 새로운 따라서 본 발명 방법의 그와 같은 단계만을 설명하면, 이같은 방법의 단계들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어온 공지기술의 장치 및 동작수단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이 제공되지 않는다.
조작자는 수집 감기장치를 작동시키며, 이에 의해서 공지의 방적장치로부터 공급된 합성실의 연속적인 크로스와 인딩(감기)으로서 보빈(1)이 형성되어질 것이고, 이로부터 상기의 실이 일정한 속도로 나타나게 된다.
다음에 전자장치가 커져서 본 발명의 방법을 작동시키도록 하며, 보빈(1)상에 형성될 실의 분포를 조정하게 된다.
센서(12)는 순간순간 모터(25)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며, 모터는 공지된 보빈지지 맨드릴으리 회전시킨다. 센서(12)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신호 조절장치(14)와 공분리기(16)의 적용을 받은 뒤에 위상탐지기(20)로 공급되며, 신호 조절장치와 광분리기가 상호 간섭을 필터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신호가 뒤이은 처리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들을 제거한다.
상기 위상탐지기(20)로 들어가기 이전에 신호는 주파수 증배기(multiplirer)(18)에 의해 증폭된다. 동시에 따라서 시간이 되어서 중첩되며, 센서(11)가 인버터(23)를 통해 가변 주파수로 공급되는 유도모터(24)의 회전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유도모터(24)는 크로스나선형 홈이 있는 공지의 원통형 트래버스캡을 동작시키며, 이를 통해서 방적실이 보빈(1)위로 감기게 된다. 센서(11)로부터의 전기신호는 신호조절장치(13)와 광분리기(15)의 작용을 받은뒤에 순간순간 위상탐지기(20)로 역시 공급된다. 신호 조절장치(13)와 광분리기(15)는 신호방해를 필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가 뒤이은 처리에 적합해지도록 이들을 제거시킨다.
상기의 위상탐지기(20)로 들어가기 이전에 상기신호는 주파수 증배기(19)에 의해 증폭된다. 센서(12)(11)로부터의 두 신호는 비교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21)로 공급되기 이전에 위상탐지기(20)에서 관련을 맺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순간순간 두 신호 사이의 위상차이를 계산한다. 위상 차이는 계속해서 컨버터(22)로 공급되며, 이는 디지탈 입력신호를 아날로그 출력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 신호는 순간순간 본 발명에서 청구된 방법에 따라 보빈(1)의 표면으로 감겨진 실을 부착시키기 위해 트래버서 캠 모터(24)를 계속해서 조정하는 인버터(23)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Claims (2)

  1. 조절가능한 회전속도로 구동되는 보빈 지지맨드릴과 조정 롤러 모두가 제공된 수집유닛해서 형성중에 있는 보빈위로 감겨진 실을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이때 조정홀더가 패키지의 점차로 증가하는 직영의 바깥측 원주위와 계속해서 접촉을 유지하며 구동소스에 의해 회전되는 트래버서 캠과 접촉하게 되는 방법에 있어서, 충분히 큰 이중 비이트 숫자가 있은 후에 비로서 회전이 중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전체 13보다 크거나 동일한 숫자의 충분히 높은 최소 수집순서로 크로스-감기를 시작하고, 현재의 감기와 동일한 이중 비이트 횟수가 각각 끝난뒤에 맨드릴과 트래버서 탬 사이의 관련 회전비를 변화시키며, 현재의 상기 감기횟수가 형성중에 있는 보빈 측면의 전체 원주위를 따라 있는 복귀점들의 숫자와 정확히 일치하여 정확한 조정된 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빈의 측면을 따라 고정하여진 실회전의 복귀점의 어떠한 중첩도 전체 감겨진 실의 수집과정 중에는 발생되지 않게 되고, 전체 회수가 현재의 감기와 동일하며 따라서 감는율의 공통인수 전체 회수 OM 기와 동일한 회숫로 맨드릴 회전속도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주파수를 순간순간 증가시키며, 감기비율 K의 계산자 N의 전체 숫자크기와 동일한 전체 숫자만큼 트래버서 캠 회전속도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크기의 위상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즉 이들을 동기화시키어 가능한 간섭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키며 전진하여 감겨진 실 수집중에 어떠한 위상 오차도 무효로 하는 연속적인 단계들을 포함하는 보빈(bobbin)으로의 실 배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바로 이전의 전후 이동 스트로크중에 감겨진 나사선내 중심에 위치하는 나사선으로서 계속적인 회전이 수집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으로의 실배급 방법.
KR1019920019696A 1991-10-25 1992-10-26 보빈으로의 실배급 방법 KR950011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12842A IT1251429B (it) 1991-10-25 1991-10-25 Procedimento di distribuzione di filo in un gruppo bobinatore
ITMI91A002842 1991-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85A KR930007785A (ko) 1993-05-20
KR950011437B1 true KR950011437B1 (ko) 1995-10-04

Family

ID=1136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696A KR950011437B1 (ko) 1991-10-25 1992-10-26 보빈으로의 실배급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538961A1 (ko)
KR (1) KR950011437B1 (ko)
CN (1) CN1081646A (ko)
AR (1) AR247531A1 (ko)
IT (1) IT1251429B (ko)
MX (1) MX9206104A (ko)
TW (1) TW255919B (ko)
ZA (1) ZA9282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3767A3 (en) * 2009-10-30 2011-10-27 Invista Technologies S.A.R.L. Extended length and higher density packages of bulky yar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8808A1 (de) * 2000-04-15 2001-10-25 Schlafhorst & Co W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reuzspulen
CN101104489B (zh) * 2006-07-14 2011-02-02 黄福庭 采用自适应控制的槽筒导纱电子防叠装置及方法
CN112573289A (zh) * 2021-02-24 2021-03-30 常州市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预浸料窄带收卷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9573A1 (de) * 1980-12-31 1982-07-29 Fritjof Dipl.-Ing. Dr.-Ing. 6233 Kelkheim Maa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arnspulen
DE3401530A1 (de) * 1984-01-18 1985-07-25 Fritjof Dipl.-Ing. Dr.-Ing. 6233 Kelkheim Maag Praezisionsspul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ren herstellung
JPS62290682A (ja) * 1986-06-03 1987-12-17 Teijin Seiki Co Ltd トラバ−ス装置
IT1227912B (it) * 1988-12-23 1991-05-14 Savio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o per pilotare la distribuzione del filo sull'impacco in formazione in un gruppo di raccolta per fili sintetici
DE3918846A1 (de) * 1989-06-09 1990-12-13 Maag Fritjof Praezisionskreuzspu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spuleinrichtung dafu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3767A3 (en) * 2009-10-30 2011-10-27 Invista Technologies S.A.R.L. Extended length and higher density packages of bulky yar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51429B (it) 1995-05-09
ZA928232B (en) 1993-04-28
ITMI912842A0 (it) 1991-10-25
EP0538961A1 (en) 1993-04-28
AR247531A1 (es) 1995-01-31
CN1081646A (zh) 1994-02-09
TW255919B (ko) 1995-09-01
KR930007785A (ko) 1993-05-20
ITMI912842A1 (it) 1993-04-25
MX9206104A (es) 199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08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wound yarn on a bobbin driven by a grooved roller
US505672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thread on a package in a collection unit for synthetic threads
US4049211A (en) Winding apparatus for textile threads
US62834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continuously advancing yarn
US4515320A (en) Traverse winding frame for producing the winding of a package
US4697753A (en) Stepped precision winding process
US4798347A (en) Method for winding filament yarns
US5439184A (en) Precision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US4789112A (en) Yarn winding method and resulting package
KR950011437B1 (ko) 보빈으로의 실배급 방법
AT502782B1 (de) Bandaufwickelverfahren
US6523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continuously advancing yarn
DE431090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denverlegung auf einer Kreuzspule
US5740981A (en) Method of winding a yarn to a cross-wound package
DE1962551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des Durchmessers einer Kreuzspule
US6311920B1 (en) Precision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US34889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yarn
EP0060570B1 (en) Grooved roller for a winding machine
US3814338A (en) Spooling device with pre-winding means
EP06308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wound yarn on a bobbin by means of a drive roller and a yarn guide
US352742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inding threads
US1348291A (en) Cone-winding machine
US5802833A (en) Textile machine for forming yarn windings of any shape
EP2857338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rbeitsstelle einer Kreuzspulen herstellenden Textilmaschine
US2246899A (en) Manufacture of synthetic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