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682B1 -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682B1
KR950010682B1 KR1019890004665A KR890004665A KR950010682B1 KR 950010682 B1 KR950010682 B1 KR 950010682B1 KR 1019890004665 A KR1019890004665 A KR 1019890004665A KR 890004665 A KR890004665 A KR 890004665A KR 950010682 B1 KR950010682 B1 KR 95001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rolactam
water
mixture
crystals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014A (ko
Inventor
가즈오 단
다까시 히로나까
마찌오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미우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9290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1068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미우라 아끼라 filed Critical 미쓰비시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1/00Preparation, separation, purification or stabilisation of unsubstituted lactams
    • C07D201/16Separation or pur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장치도의 한예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정화기 2 : 고체-액체 분리기
3 : 모액 탱크 4 : 응축기
5 : 이젝터 6 : 조카프로락탐 용융액의 공급라인
7 : 물의 공급라인 8 : 카프로락탐의 회수라인
9 : 모액의 재순환라인 10 : 모액의 퍼어지 (purge) 라인
본 발명은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특정한 조건하에서 용융 카프로락탐으로 부터 고순도 카프로락탐을 결정화하여, 생성된 결정을 분리함으로써 고순도 카프로락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프로락탐은 폴리아미드 수지의 성형품 또는 섬유를 위한 출발물질로서 유용하다. 양호한 품질의 최종제품을 얻기위해, 고순도의 카프로락탐이 필요하다. 다수의 카프로락탐 정제법이 공지되어 있다. 정제법중 하나로서, 예를들어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진 또는 톨루엔),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헵탄 또는 시클로헥산), 알코올(예.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또는 염소화탄화수소(예. 퍼클로로에틸렌)와 같은 유기용매 또는 물등을 용매로서 사용하는 결정법에 들 수 있다.(참고 문헌 : 일본국 특허 공고 제5920/1964호 및 일본국 특허 공개 제54095/1973호). 그러나,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결정화한 카프로락탐에는 유기용매가 불순물의 일부분으로 잔류하여, 이러한 유기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의 정제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방법으로 수득되는 카프로락탐은 증류하여 정제한다. 한편,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결정화의 경우, 침전된 결정은 다량의 물을 함유하여 고순도 카프로락탐으로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용매를 사용하는 결정화에 기초한 정제법은, 예를들어 결정으로 부터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단계가 필요하므로 공업적으로 불리하다.
실질적인 용매의 부재하에서 카프로락탐을 응용하고 냉각시켜 결정화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용매 부재하에서 카프로락탐 용융액을 외부냉각 시스템의 결정화기내에서 결정화하면, 벽면상에 침전된 결정은 매우 미세하며 벽면에 단단히 고착되어, 스크랩핑(scraping) 작업 및 그후의 분리작업이 어렵다. 즉, 상기 방법은 공업적으로 연속작업이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통상적인 방법의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연구한 결과, 용융 카프로락탐에 특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 제조하고, 이 혼합물을 결정화기에 주입하고, 카프로락탐과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특정의 압력하에서 감압냉각하는 방법에 의해서, 단단히 고착된 결정을 스크랩핑하는 어떠한 작업도 필요치 않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큰 입경의 결정을 침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르면, 용매를 사용하는 통상의 결정화법과는 상이하게, 고순도 카프로락탐이 수득 가능한 범위내로 결정중의 함수량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카프로락탐 용융액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고순도 카프로락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내지 20Torr 감압하의 결정화기 내에서 혼합물중 물의 농도를 0.5 내지 10중량%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혼합물을 냉각하여 고순도 카프로락탐을 결정화한 후, 생성된 결정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제 1 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기구를 양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양태를 참고로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조 카프로락탐은 통상적으로는, 시클로헥사는 옥심을 황산 매질중에서 전위반응 시킨 후, 매질을 예를들어 수성 암모니아로 중화하고, 생성된 무기염의 수용액으로 부터 카프로락탐을 높은 용해력의 용매(예. 벤젠)로 추출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수득되는 조 카프로락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 카프로락탐의 분별증류에 의해 회수된 초기분획(initial fraction) 또는 후분획(last fraction)으로 수득된 조 카프로락탐일 수 있다. 상기 조 카프로락탐은 통상적으로 아미노카프론산 또는 아닐린과 같은 불순물을 수퍼센트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 카프로락탐의 결정화에 의한 정제에 있어서, 용융상태의 조 카프로락탐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냉각하여 카프로락탐을 결정화 한다. 상기 감압하의 냉각은, 혼합물중의 물 및 카프로락탐이 감압하에서 증발될때의 증발잠열을 이용한 냉각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냉각 표면이 결정화기의 벽면이 아니라 혼합물을 구성하는 액체 표면이라는 것이다. 혼합물중 물의 농도는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의 수준으로 유지한다. 물의 농도가 너무 낮다면,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용융 카프로락탐 및 몰의 혼합물을 결정화 온도까지 냉각하기 위하여 높은 감압도가 필요하므로, 바라람직하지 한다. 한편 물의 농도가 너무 높다면, 결정화 온도는 너무 높아지고 회수된 카프로락탐 결정중의 합수량이 높아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물은 결정화기에 직접 공급하거나 결정화기에 공급하기 전에 카프로락탐과 혼합할 수 있다. 결정화기내의 압력은 1 내지 22Torr,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Torr이다. 압력이 너무 낮다면, 공업적으로 불리하다. 한편, 압력이 너무 높다면 냉각효과가 작아서, 결정화가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물의 농도에서의 결정화 온도는 통상적으로 30 내지 65℃이다.
예를들어 연속법에 의한 본 발명의 결정화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먼저 조 카프로락탐 용융액을 라인(6)을 통해 결정화기(1)에 충전하고, 용융액을 라인(6)으로 부터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한편, 물을 라인(7)로부터 공급하여, 조카프로락탐용융액 및 물의 혼합물중 물의 농도를 0.5 내지 9중량%가 되게한다. 결정화기(1) 내의 압력을 이젝터(5)에 의해 1 내지 22Torr로 맞추어 감압하에서 혼합물을 냉각한다. 결정화기(1)로부터 증발되는 물을 응측기(4)에 의해 응축시킨다. 응축된 물은 소량의 카프로락탐을 함유하며, 상기의 물은 통상적으로 결정화기(1)로 재순환되어 물의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결정화기(1) 내에서 결정화된 카프로락탐 함유 슬러리를 고체-액체분리기(2)에 공급하여, 카프로락탐 결정을 라인(8)로 부터 회수한다.
결정화기(1) 내의 카프로락탐 결정은 원심분리기, 사이클론(고체-액체) 또는 디켄터(decanter)와 같운 분리기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분리된 결정은 약간의 액체 카프로락탐을 함유한 페이스트 또는 고농축 슬러리의 형태이다. 액체 카프로락탐의 함량이 작을 수록, 정제효과는 더욱 좋다. 필요하다면, 수득된 결정되는 컬럼형 용융 정제접 또는 증류법과 같은 또다른 정제법으로 더 정제할 수 있다.
한편, 분리 모액으로서 조 카프로락탐 용융액을 모액 탱크(3)에 수집하여 라인(9)을 통해 결정화 단계로 재순환시키고, 일부는 또다른 정제단계를 위채 취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좀더 상세히 기술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실시예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실시예 중의 과망간산염가 (PZ) 및 과망간산염 소비량(PM)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다.
PZ(permanganat-zahl : 과망간산염 수)
카프로락탐시료 1g을 100ml의 물에 용해시키고, 0.01N과망간산 칼륨 수용액 1ml를 첨가한다. 60분 후, 파장 410nm 광선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퍼센트 단위로 나타낸다.
PM(permangantat-menge : 과망간산염 소비량)
카프로락탐시료 100g을 8M 황산 150ml에 용해시키고, 이렇게 수득된 용액을 0.1N 과망간산 칼륨 수용액으로 적정하여, 과망간산칼륨의 소비량을 측정하고 ml/kg-카프로락탐의 단위로 나타낸다.
[실시예 1]
상부에 응축기가 장치된 교반 탱크 형의 40ℓ들이 결정화기 내에, 20l의 용융 조 카프로락탐(PZ32, PM20ml/kg)을 기재(base meterial)로서 충전하고 물을 첨가하여 물의 농도를 2중량%가 되게한다. 결정화기내의 압력을 이젝터에 의해 15Torr로 맞추고, 결정화 온도를 약 60℃로 맞춘다. 본 시스템에, 5kg/시간의 상술된 조 카프로락탐 용융액 및 물의 혼합물을 혼합물중 함수량이 2중량%가 되는 양으로 물을 결정화를 위해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한편, 침전 결정을 함유한 슬러리를 20kg/시간의 비율로 취한다. 상기 슬러리를 원심분리하여 정제된 카프로락탐 결정을 약 4kg/시간의 비율로 회수한다. 한편, 분리 모액은 1kg/시간의 비율로 퍼어지(purge)하고, 나머지는 재사용을 위해 결정화기에 재순환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결정의 과망간산 칼륨가 (PZ,PM), 함수량 및 입경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결정하기 내의 모액중 물의 농도를 8중량%로 맞추고, 혼합물을 15Torr 압력하에서 약 47℃로 냉각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결정화 및 분리에 의해 수득된 결정의 수율은 공급 카프로락탑을 기준으로 약 80%이다. 평가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물의 농도는 2중량5로 맞추고, 혼합물을 10Torr압력하에서 약 60℃로 냉각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결정화 및 분리에 의해 수득된 결정의 수율은 공급 카프로락탐을 기준으로 약 80%이다. 평가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물의 농도를 2중량%로 맞추고, 혼합물을 25Torr압력하에서 냉각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혼합물을 결정화 온도로 냉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결정화는 수행되지 않는다.
[비교예 2]
물의 농도를 15중량%로 맞추고, 혼합물을 10Torr압력하에서 약 22℃로 냉각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결정화 및 분리에 의해 수득된 결정의 수율을 공급 카프로락탐을 기준으로 약 80%이다. 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참고예]
외부냉각 및 스크랩핑 시스템이 장치된 40l들이 결정화기를 사용하여, 물의 농도가 2%인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출발물질로 약 60℃에서 결정화를 수행하면, 형성된 카프로락탐이 결정화기의 내부벽상에 단단히 고착되어 스크랩핑이 불가능하며, 본 작업은 약 6시간 후 종결한다. 종결후 수득된 결정은 미세한 결정이고, 품질은 PM이 5ml/kg이고 PZ는 79%의 수준이다.
평가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D50결정의 평균 입경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조 카프로락탐 용융액으로 부터 정제된 카프로락탐의 결정의 회수할 수 있으며, 결정으로 부터 용매 제거의 단계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성된 카프로락탐 결정의 크기가 커서, 여과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정제 정도도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정화법에 의해서 매우 소량의 물이 함유된 결정을 수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건조 등의 단계없이 모액 슬러리의 고체-액체 분리로 간단히 용이하게 제품을 회수할 수 있다.

Claims (3)

  1. 조 카프로락탐의 용융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혼합물 중 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감압하의 결정화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냉각하여, 고순도 카프로락탐을 결정화하고, 생성 결정을 분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조 카프로락탐의 용융물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부터 고순도 카프로락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혼합물은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혼합물중 물의 농도는 0.5 내지 10%로 유지되고, 감압은 1 내지 20Torr의 수준이고, 결정화 온도는 30 내지 65℃이고 결정의 평균 입경은 5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물 중 물의 농도를 1 내지 8중량%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감압이 5 내지 20Torr의 수준인 방법.
KR1019890004665A 1988-04-09 1989-04-08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 KR950010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947/88 1988-04-09
JP63-87947 1988-04-09
JP63087947A JPH075543B2 (ja) 1988-04-09 1988-04-09 高純度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014A KR890016014A (ko) 1989-11-28
KR950010682B1 true KR950010682B1 (ko) 1995-09-21

Family

ID=1392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665A KR950010682B1 (ko) 1988-04-09 1989-04-08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00821A (ko)
EP (1) EP0337323B1 (ko)
JP (1) JPH075543B2 (ko)
KR (1) KR950010682B1 (ko)
DE (1) DE6892331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15084B (en) * 1992-04-17 1993-10-21 Sumitomo Chemical Co Process for producing a high purity caprolactam
US5990306A (en) * 1997-09-03 1999-11-23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caprolactam obtained from the depolymerization of polyamide-containing carpet
EP0943608A1 (en) 1998-03-20 1999-09-22 Dsm N.V. Process for the continuous purification of crude epsilon--caprolactam
US6821760B1 (en) * 1998-09-30 2004-11-23 Nippon Shokubai Co., Ltd. Methods for producing L-aspartic acid
FR2803296B1 (fr) 1999-12-30 2002-02-15 Rhodia Polyamide Intermediates Procede de purification de lactames
JP4182273B2 (ja) 2000-06-27 2008-11-19 住友化学株式会社 ε−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方法
CN101190893B (zh) * 2006-11-20 2010-04-14 中国石油化学工业开发股份有限公司 一种纯化粗己内酰胺水溶液的设备与方法
JP2013133284A (ja) * 2011-12-26 2013-07-08 Sumitomo Chemical Co Ltd ε−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方法
JP6003755B2 (ja) * 2012-12-19 2016-10-05 東レ株式会社 ラクタムの精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591B (de) * 1953-06-27 1958-01-16 Inventa A G Fuer Forschung & P Verfahren zur Nachreinigung von Lactamen der ªÏ-Aminocarbonsaeuren
US2813858A (en) * 1954-08-26 1957-11-19 Allied Chem & Dye Corp Process for purifying epsilon-caprolactam
US3426744A (en) * 1964-02-27 1969-02-11 United Aircraft Corp Heart pump cannula
DE1930218A1 (de) * 1969-06-13 1970-12-23 Bayer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epsilon-Caprolactam
DE3735054A1 (de) * 1987-10-16 1989-04-27 Basf Ag Verfahren zur gewinnung von caprolactam aus leichtsiedern oder schwersiedern der caprolactamdestillation oder gemischen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7323B1 (en) 1995-07-05
EP0337323A3 (en) 1990-07-18
DE68923312D1 (de) 1995-08-10
JPH01261363A (ja) 1989-10-18
US4900821A (en) 1990-02-13
DE68923312T2 (de) 1996-04-04
EP0337323A2 (en) 1989-10-18
KR890016014A (ko) 1989-11-28
JPH075543B2 (ja) 1995-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0983A (en) Separation of terephthalic from paratoluic acid from solutions thereof in water and/or acetic acid
JP4182273B2 (ja) ε−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方法
JP2011201865A (ja) ε−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方法
US6323341B1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urification of crude ε-caprolactam
KR950010682B1 (ko) 고순도 카프로락탐의 제조방법
US3370082A (en) Purification of adipodinitrile
EP0109033A2 (en) Purification of bisphenol-A
US3264060A (en) Simultaneous recovery of pure ammoni- um sulfate and pure lactams from re- arrangement mixtures of alicyclic ketoximes
US4882430A (en) Recovery of caprolactam from caprolactam distillation low boilers or high boilers or mixtures thereof
EP1903032B1 (fr) Procédé de purification de lactames
US4329154A (en) Method of recovering boric acid
US6392037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ε-caprolactam
JPS6118537B2 (ko)
EP0996611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thyl methacrylate
JP2931621B2 (ja) 結晶廃液からグリシン及び芒硝の回収
US4806638A (en) Neutralization of reaction mixtures obtained by Beckman rearrangement of cyclohexanone oxime
US2713067A (en) Adipic acid recovery process
US4639294A (en) Process for production sorbic acid
US3686276A (en) Purification process for dimethyl terephthalate
US2861988A (en) Caprolactam manufacture
US5382725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1,3-dihalobenzene from an isomeric mixture of dihalobenzenes
EP0757047B1 (en) Process for crystallizing chroman-I from an impure mixture
US4256668A (en) Removing aqueous ammonium sulfate from oxime product
US2756258A (en) Production of cyclohexanone oxime
JP3039600B2 (ja) 2,6−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ジメチル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3201002143;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