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644B1 -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644B1
KR950010644B1 KR1019870007456A KR870007456A KR950010644B1 KR 950010644 B1 KR950010644 B1 KR 950010644B1 KR 1019870007456 A KR1019870007456 A KR 1019870007456A KR 870007456 A KR870007456 A KR 870007456A KR 950010644 B1 KR950010644 B1 KR 95001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weight
multilayer film
polypropylen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729A (ko
Inventor
마사히로 가꾸고
다다또시 오가와
세이이찌로오 이마
데루아끼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450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127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3321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10T428/2826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본 발명은 우수한 저온 열접착성, 양호한 투명도, 양호한 긁힘 저항성 및 양호한 열간점착성을 갖고 소량의 용매 추출만을 포함하며, 예를들면 식품접촉용 등으로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양측 연신 필름이 이의 투명성 및 강성을 최대로 이용하여 포장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상기 필름이 그 자체로 열접착성을 갖고 있다해도, 그 자체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데, 이는 열점착시에 매우 높은 온도가 필요하고, 수축 또는 비틀림이 형성되기 때문에 저온에서 열점착될 수 있는 수지를 상기 필름상에 코팅하거나 또는 상기 필름의 한쪽 또는 양면에 적층하거나 또는 상기 필름과 수지를 동시 압출하여 형성된 다층 필름이 널리 사용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열점합수지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중의 하나는 필름의 열점합온도가 충분히 낮아야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열점합온도가 낮을수록 다층필름으로 포장하는 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나, 단순히 열점합 온도만을 낮추는 것은 충분하지 못하고, 투명성, 긁힘 저항성 및 열접착성 등과 같은 특성도 물론 중요하다. 그리고 상기 필름을 식품포장용으로 사용하려하면, 용매 추출의 양이 적어야만 한다. 더우기, 슬립, 불점착성 등과 같은 특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까지 여러종류의 열점착수지가 제안되었지만, 상기 언급된 모든 특성을 만족시키는 수지는 전혀 수득되지 않았다.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적층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우수한 저온 열접착성을 갖고 있으나, 이 특성이 만족할만한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더구나, 투명도 및 긁힘 저항성이 열등하다. 폴리프로필렌수지는 결합 에틸렌 함량이 약 5중량%인 프로필렌-에틸렌 자유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공중합체는 투명도, 긁힘 저항성 및 불점착성이 탁월할지라도 저온 열접착성이 크게 열등하고 열접착성도 또한 열등하다.
프로필렌-에틸렌 자유 공중합체의 결합 에틸렌 함량을 증가시켜 저온 열접착성을 개선하면, 그 특성은 조금 개선되나, 투명도 및 불점착성이 열등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이 확실하다.
프로필렌수지류중에서,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가 열점착수지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BP-1,018,341,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128,781/75, 17,542/80, 66,990/79, 114,887/78, 22,307/81 및 166,455/85호). 그러나, 상기 공중합체류중의 대부분은 불점착성 및 슬립 특성이 열등하고, 용매 추출량이 크다. 투명도, 긁힘 저항성 및 불점착성이 비교적 우수한 것도 본 발명자들이 목적하는 수준에서 보면 저온 열접착성이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상기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소량 또는 대량의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을 프로필렌-부텐-1과 블렌딩한 것이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58,861/81, 48,846/79 및 95,684/79호에 개시되어 있다. 블렌드된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의 양이 너무 적으면, 불점착성 및 긁힘 저항성의 개선이 불충분하고, 수득된 필름은 슬립특성이 열등하고 용매추출의 양이 많다. 한편으로, 상기의 양이 너무 많으면, 저온 열접착성이 감소되고, 본 발명자들의 목표수준에서 보면, 수득되는 필름은 여전히 불점착성, 슬립 및 열간점착성이 열등하고 다량의 용매추출을 포함한다.
상기 상황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저온 열접착성, 투명도, 긁힘 저항성 및 열간점착성이 우수하고 용매추출이 소량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성과 함께 슬립 및 불점착성도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수득할 목적으로 심도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A) 특정한 프로필렌 자유 공중합체, (B) 플필렌과 4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과의 특정한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4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 및 에틸렌의 특정한 공중합체 및 (C)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특정비율로 포함됨을 필수적으로 하는 2원 또는 3원 블렌드 조성물이 적층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기재층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이 상기 언급한 모든 특성을 가짐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의 (A), (B) 및 (C)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필름이 최소한 한쪽 측면에 적층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기재층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이 제공된다.
(A) 다음 (ⅰ), (ⅱ) 및 (ⅲ)을 만족시키는 프로필렌 자유공중합체 10~90중량% : (ⅰ) 공단량체 함량은 4~15중량%이고, (ⅱ) 비카(Vicat) 연화점이 122℃ 이하이고, (ⅲ) 차가운 크실렌에 용해할 수있는 부분의 함량이 15중량% 이하임.
(B) 다음 (ⅰ), (ⅱ), (ⅲ) 및 (ⅳ)을 만족시키는, 프로필렌과 4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4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1-~90중량% : (ⅰ) 4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의 함량이 8~35몰%이고, (ⅱ) 에틸렌 함량이 5몰% 이하이고, (ⅲ) 차가운 크실렌에 용해할 수 있는 부분의 함량이 15~70중량%이고, (ⅳ) △흐려짐이 5% 이하임.
(C) 융점 150℃ 이상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0~15%.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자유 공중합체(A)[이하 공중합체(A)로 칭함]은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자유 공중합체류, 에틸렌-부텐-1-프로필렌 자유 3원중합체 등과 같은 공지의 것을 포함하고 4~15중량%의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다.
공중합체(A)의 비카 연화점은 122℃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상기 상한선을 넘는 비카 연화점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열간점착성이 나빠진다.
더우기, 열점착 온도를 본 발명의 목표수준까지 낮추기 위해 다량의 공중합체(B)를 블렌드하는 것이 필수적이되고, 이로인하여 불점착성, 긁힘 저항성, 및 슬립 특성이 나빠지고 용매 추출의 양이 커진다. 본 발명자들은 공중합체(A)의 비카 연화점이 122℃ 이하이면, 공중합체(A) 및 상기(B)에서 정의된 특성 공중합체로 구성된 조성물의 열점착온도가, 두가지로부터 부가적인 효과가 수득된다고 가정하여 양자의 열점착 온도로부터 개산된 것보다 훨씬 낮게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공중합체(A)의 차가운 크실렌에 용해되는 부분(이하 CXS라 함)의 양은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3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CXS의 양이 상기의 상한성을 넘으면, 불점착성 및 슬립 특성이 열등해지고, 용매추출의 양이 커진다.
프로필렌 및 4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B) 또는 프로필렌, 4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B)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하 공중합체(B)로 칭함]은 용매 매질에서 수행되는 용액중합 또는 기체상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중합이 액체용매가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에서 수행되는 기체상 중합은 공중합체(B)(적절한 CXS를 가짐)를 쉽게 생산할 수 있고, 중합체 건조단계 또는 용매 정제단계가 생략되거나 크게 간소화될 수 있는 경제적 잇점때문에 선호된다.
기체상 중합에 의한 생산은 공지의 유동층형 반응기, 교반기가 장치된 유동층형 반응기 등에서 수행할 수 있다. 기체가 액화되지 않고 중합체 입자가 녹아서 덩어리를 형성하지 않는 온도-압력 조건하의 반응기내에서 중합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합체 바람직한 조건은, 온도 범위는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내지 80℃이고, 압력범위는 1 내지 50kg/㎠(게이지, 이하 G라 칭함),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kg/㎠G이다. 수소 등과 같은 분자량 조절제를 가입하는 것이 수득되는 중합체의 용융 유동도를 조절하기 위해 선호된다. 중합반응은 회분식으로, 연속식으로 또는 양자를 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량체류 및 분자량 조절체가 중합중에 소모되므로, 새로운 것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반응기에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단량체류 및 공단량체류가 일정비율로 동시에 공급되는 자유 공중합이 적절히 체택될 수 있다. 그러나, 중합중에 시간경과에 따라 단량체류의 비율을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중합후 촉매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산물을 알코올, 탄화수소 용매등으로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중합체(B)의 제조용 촉매계는 α-올레핀류등의 공지된 입체규칙성 중합촉매, 즉, 주기율표의 Ⅳ~Ⅷ족의 전이금속화합물, 주기율표 Ⅰ~Ⅲ족의 전형적인 금속의 유기화합물 및 제 3 성분으로 전자공여화합물 등을 필수적으로하는 지글러-나타촉매이다.
상기의 전이금속화합물 또는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성분은 고체가 바람직하다.
전이금속화합물은 TiCl3를 포함하고, 이는 α,β,γ 및 δ-형 결정형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다. 3~4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입체 규칙적으로 중합하기 위해서는, 층형 결정구조를 갖는 α,γ 또는 δ-형 TiCl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Cl3는 일반적으로 TiCl3를 수소, 금속알루미늄, 금속티타늄,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또는 유기마그네슘 화합물로 환원시켜 TiCl3조성물의 형태로 수득된다. 바람직한 TiCl3조성물은 TiCl4를 금속알루미늄으로 환원시키고 이를 기계연마등으로 활성화시켜 형성되는 소위 TiCl3-AA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TiCl4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로 환원시키고, 이를 착생성제(Complexing agent) 및 할로겐 화합물로 활성화시켜 형성되는 TiCl3조성물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Ti(OR)nX4-n(상기식에서, R은 1~20탄소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이고, X는 할로겐이고, n은 0 내지 4의 수이다)를 유기알루미늄으로 환원시키고, 이어서 에테르 화합물 및 TiCl4로 처리하여 수득되는 알콕시기(류)를 함유하는 3가 티타늄 할라이드가 사용된다.
TiCl3조성물 또는 알콕시함유의 3가 티타늄 할라이드는 액화 프로필렌 내에서 수소 존재하에 디에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와 그의 조합으로 65℃에서 4시간동안 중합을 수행시킬때, 등 1g당 적어도 6000g의 폴리프로필렌을 생성하게 하는 것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TiCl3조성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4,210,738호 및 제4,165,298호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제142,904/83호 및 제28,405/85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알콕시함유 3가 티타늄할리이드도 일본국 특허공개 제126,401/84호 등에 개시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전이금속 화합물이 적절한 담체에 지지되는 촉매성분으로 사용되면, 상기의 담체는 여러종류의 고체 중합체류, 특히 α-올레핀 중합체류; 여러종류의 유기 고체 화합물류, 특히 고체탄화수소류; 및 여러 종류의 무기고체 화합물류, 특히 산화물류, 탄산염류, 할로겐화물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담체류는 마그네슘의 할로겐화물, 산화물, 수산화물 및 수산화할로겐화물과 같은 마그네슘 화합물류이다.
마그네슘 화합물은 상기 언급된 다은 고체물질류와의 복합체로 이용될 수 있다. 마그네슘 화합물류로서, 산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것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계적 연마, 용매에 용해시킨 후 침전, 전자공여화합물 또는 활성수소를 갖는 화합물로 처리, 또는 그리나드시약과 같은 유기마그네슘 화합물 분해하여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이들 조작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마그네슘 화합물을 수득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들은 담체의 제조 또는 촉매 성본 제조에 있어서 미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마그네슘 화합물류는 마그네슘 할로겐화물류이고 특별히 바람직한 전이금속 화학물류는 상기 언급한 티타늄 할로겐화물류이다. 티타늄, 마그네슘 및 할로겐을 주요성분으로하는 담체지지촉매는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촉매 성분중의 하나이고, 이는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30,407/81 및 59,915/82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중에서, 티타늄, 마그네슘 및 할로겐을 주성분으로하고 전자공여 화합물을 함유하는 담체지지촉매 성분이 본 발명의 더욱더 바람직한 촉매 성분중의 하나이다.
티타늄, 마그네슘, 할로겐 및 전자공여 화합물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비담체지지형 복합 촉매도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더 바람직한 촉매 성분중의 하나이고, 일본국 특허출원 제59,792/82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Ⅰ~Ⅲ족의 전형적인 금속의 바람직한 유기 화합물은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이고, 특히 일반식 ReAlX3-e(상기 식에서, R은 1~20 탄소원자를 갖는 탄화수소기이고, X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e는 1~3의 수이다)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화합물류는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수소화디에틸알루미늄, 염화디에틸알루미늄, 브롬화디에틸알루미늄, 1.5염화에틸알루미늄, 이염화에틸알루미늄 등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류는 트리에틸알루미늄, 염화디엔틸알루미늄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자공여 화합물류는 에틸아세테이트, ε-카프로락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벤조에이트, p-에틸아니세이트, p-메틸톨루일레이트, 프탈릭안히드리 등과 같은 에스테르류 및 안히드리드류; 디-n-부틸에테르, 디페닐에테르, 디글림 등과 같은 에테르류; 및 트리-n-부틸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헥사메틸렌포스포릭트리아미드 등과 같은 유기인화합물들을 포함한다.
또한 케톤류, 아민류, 아미드류, 티오에테르류, Si-O-C 결합을 갖는 알콕시실란류, 아릴옥시실란과 같은 유기실리콘 화합물류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기체상 중합이 수행되면, 고체 촉매 성분이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단독 또는 전자공여 화합물과의 조합의 존재하에서 중합전에 소량의 올레핀으로 미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포함되는 공중합체(B)에서는 4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 또는 α-올레핀과 소량의 에틸렌과의 조합이 공단량체로 사용될 수 있다. 4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류는 부텐-1, 펜텐-1, 헥센-1 및 4-메틸펜텐-1을 포함하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들어, 기체상 중합을 수행하려고 하면, 부텐-1이 액화하기 어렵고 따라서 고분압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중합체(B)에서 4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 함량은 8~35몰%, 바람직하게는 10~3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8몰%이다. α-올레핌 함량이 상기 하한선보다 작으면 다층 필름의 저온 열접착성 개선이 불충분해진다. 한편으로 불점착성, 긁힘 저항성 및 슬립 특성이 열악해지고 다층 필름의 용매 추출양이 커진다.
본 발명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이다. 에틸렌 함량이 상기 상하선보다 많으면, 다층 필름의 투명도가 시간경과에 따라 열악해지고, 불점착성 및 슬립 특성도 또한 열악해진다. 그러므로 그 이유는 명확해지지 않으나, 이들은 아탁틱 성분의 번짐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중합체(B)에서의 CXS의 양은 15~70중량%, 바람직하게는 16~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40중량%이다. CXS 함량이 상기 하한선보다 낮으면 다층 필름의 저온열접착성 및 열접착성의 개선이 불충분해진다. 반면에 CXS 함량이 상기 상한선을 넘으면, 불점착성, 긁힘 저항성 및 슬립특성이 열악해지고 필름의 용매 추출량이 커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에서의 공중합체(B)의 △흐려짐은 5% 이하,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흐려짐이 상기 상한선을 넘으면, 다층 필름의 저온 열접착성의 개선이 불충분하고, 시간경과에 따라 투명도가 변하고 불점착성 및 슬립특성이 열악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중합체(B)의 용매 추출양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다.
상기 상한선보다 적은 양의 용매 추출을 갖는 공중합체(B)를 사용하면 공중합체(A)와 블렌드된 공중합체(B)의 비율이 증가되어도 조성물의 용매 추출양이 그만큼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공지의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류 또는 극소량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자유 공중합체류, 바람직하게는 CXS 함량이 5중량% 이하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융점은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이다. 상기 융점이 상기 하한선 보다 낮으면, 다층 필름의 열접착성 및 슬립 특성의 개선이 열등하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가 소량 가입되면, 투명도 및 열점착 온도에 나쁜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고 불점착성 및 슬립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10~90중량%의 공중합체(A), 10~90중량%의 공중합체(B) 및 0~15중량%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로, 바람직하게는 10~90중량%의 공중합체(A), 10~90중량%의 공중합체(B) 및 1~15중량%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중량%의 공중합체(A), 10~85중량%의 공중합체(B) 및 2~10중량%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를 함유한다.
블렌드되는 공중합체(A)의 비율이 상기 상한선을 넘으면, 블렌드되는 공중합체(B)의 비율이 그만큼 필수적으로 감소되고, 그 결과로 다층필름의 저온열접착성의 목표 수준을 얻을 수 없다. 블렌드되는 공중합체(A)의 비율이 상기 하한선보다 작으면, 블렌드되는 공중합체(B)의 비율과 용매 추출양이 그만큼 필수적으로 증가한다.
블렌드되는 공중합체(B)의 비율이 상기 상한선을 넘으면, 열접착성 및 슬립 특성이 열악해지고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이 가입될지라도 용매 추출양이 증가한다.
반면에, 블렌드되는 공중합체(B)의 비율이 상기 하한선보다 낮으면 다층 필름의 저온 열점착특성의 목표수준이 수득될 수 없다.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의 비율이 상기 상한선을 초과하면, 저온 열접착성 및 투명도가 열악하게 된다.
블렌드되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의 비율은 0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는, 불점착성 및 슬립특성의 개선이 그리크지 않고, 따라서, (C)를 상기 상한선 이하의 양으로 블렌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용융지수(g/10분) 범위는 0.5~10g/분이다. 상기 하한선보다 낮은 용융지수를 갖는 조성물은 가공성이 열등하여 부적절한 반면에, 상기 상한선을 넘는 용융지수를 갖는 조성물도 열점착 강도가 낮아 부적절하다.
상기 언급한 조성물은 DSC로 측정하는 용융곡선상에서 127°~140℃에 주피크 및 95°~127℃와 147°~160℃에서 부피크가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95°와 127℃ 사이의 부피크가 없으면 저온 열접착성이 열등하여 불안정한 반면, 147℃와 160℃ 사이의 부피크가 없으면 불점착성 및 슬립특성이 거의 개선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언급한 조성물은 공지 방법, 예를들면, 용융 압출 블렌딩 또는 반부리 블렌딩 등의 방법에 따라 균질분산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소위 다단계 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데, 여기서 중합조건들은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대전방지제, 점착방지제, 슬립제, 안정화제 및 핵형성제와 같은 보조제들이 본 발명 조성물에 가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은 상기 언급한 열점합 수지 조성물을 기재로서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에 공지방법에 따라 적층하여 수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기재필름 및 열점착수지층으로 만들어진 쉬트를 접착제와 함께 압력 로울러를 통과시켜 수득할 수 있고, 톨루엔 등의 용매 또는 분산액내에서 용액형태의 열점착수지를 기재필름에 코팅하여 수득할 수 있고, 기재필름에 열점착수지를 용융압출 및 코팅하여 수득할 수 있고, 또는 열점착수지 및 기재 중합체를 각각의 압출기로 압출하고 이어서 공통의 다이에서 또는 출구에서 용융상태로 이 둘을 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다층 필름의 열점착층은 최소한 한쪽 방향으로 연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은 하기의 공지방법에 따라 수득된다.
1. 기재 및 수지 조성물이 용융상태로 다이에서 또는 출구근처에서 접합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
2. 열점합수지를 폴리프로필렌 기재 쉬트에 압출-적층시키고 양축으로 연신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
3. 가열상태에서 기계방향으로 미리 단축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기재 쉬트에 열접착수지를 하나이상의 금속 로울러 쌍을 함유하는 로울러군으로 압출-적층하고, 이를 횡축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
상기와 같이 수득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은 현저하게 우수한 저온 열접착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투명도, 긁힘 저항성 및 열간 점착성, 그리고 소량의 용매 추출을 갖는다. 이는 예를들면, 식품접촉용으로 적절하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한 모드에서는, 우수한 슬립특성 및 불점착성도 갖는다. 생산비가 낮은 점은 대단히 큰 실용적 가치를 갖는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의 자료 및 평가는 하기와 같이 수득된다.
(1) 공중합체의 α-올레핀 함량.
공중합체의 α-올레핀 함량은 물질 수지로 측정한다. 부텐-1 함량에 관해서는, 물질수지의 결과를 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70cm-1의 특성적 흡광을 측정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확인한다. 상기 측정은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의13C-NMR에 의한 정량적 자료로 수득한 분석 곡선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2)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물질수지로부터 측정한다.
그 결과는 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32 및 720cm-1의 특성적 흡광을 측정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확인한다.
상기 측정은14C- 표지된 에틸렌 공중합체의 방사측정의 정량적 자료로 수득한 분석곡선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3) 용융지수(MI).
용융지수는 ASTM-D1238에 준하여 측정한다.
(4) 비카 연화점(VSP).
비타 연화점은 ASTM-D1525에 준하여 측정한다.
(5) 차가운 크실렌에 용해되는 것의 함량(CXS).
5g의 중합체를 500ml의 크실렌에 용해하고 점차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를 20℃의 욕조에 4시간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고, 여과분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정량한다.
(6) 고유점도([η])
0.4,0.2,0.133 또는 0.1g/dl 농도의 희석시료에 135℃의 테트랄린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점도를 측정한다.
(7) △흐려짐
△흐려짐은 100μ 두께의 공중합체 프레스 쉬트를 60℃에서 9시간동안 어닐링 하기전 및 후의 흐려짐 값의 차이로 표시된다.
(8) 용매추출양
FDA §177.1520에 서술된 50℃의 n-헥산으로 추출되는 물질의 양으로 용매 추출양을 표시한다.
(9) 융점(Tm)
융점은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한다. 200℃에서 5분간 시료를 어닐링하고 10℃/분의 속도로 냉각 및 고화시킨 후에, 20℃/분의 상승 속도 조건에서 측정을 수행한다.
융점의 자료로서, 최고의 피크를 주는 온도(주피크 온도) 뿐만 아니라 극대 피크를 주는 온도(부피크 온도)도 나타낸다.
(10) 흐려짐
흐려짐은 ASTM-D1003에 준하여 측정한다.
(11) 열접착 온도
필름의 두 부분을 서로 맞대고 2kg/㎠G의 하중하에서 2초간 일정 온도로 가열된 열접착기로 압착하여 넓이가 25mm인 시편을 수득한다. 이 시료의 박리저항(peling resistance)는 200mm/분의 박피 속도 밍 180°의 박피 각도 조건에서 측정한다. 박피저항이 300g/25mm에 도달할때의 온도를 열접착 온도로 정의한다.
(12) 슬립(μs/μk)
슬립은 ASTM-D1894에 준하여 측정한다.
(μs : 정지마찰계수, μk : 운동마찰계수)
(13) 점착
500g/12㎠의 하중하에서 60℃로 3시간동안 처리하여 점착되는 시료를 전단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시편을 박피하는 최대하중을 결정하고 이를 kg/12㎠의 단위로 나타낸다.
(14) 긁힘 저항성
열접착수지가 서로 대면하게 다층 필름을 접은 후에 양손으로 잡고 5회에 걸쳐서 서로를 마찰하여 반대수지층을 비벼서 벗겨낸다. 열접착수지층상에 나타난 긁힘의 정도를 3등급(○ : 좋음,△ : 중간,× : 나쁨)으로 시각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나, 그것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실시예 1]
(1)고체산물의 합성.
교반기 및 적가깔때기가 장치된 500ml 플라스크의 대기를 아르곤으로 대치한다. 그리고, 83ml의 n-헵탄, 16.1ml의 사염화티타늄 및 51.0ml의 티타늄 테트라-n-부톡시드를 채운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내의 혼합물의 온도를 20℃로 유지한다. 플라스크내의 혼합물의 온도를 20℃로 유지하며 162.1ml의 n-헵탄 및 37.8ml의 염화디에틸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용액을 적가깔때기로 3시간에 걸쳐 조금씩 도입한다. 도입이 종결되면, 온도를 50℃로 올리고, 플라스크내의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한다. 그런후에, 플라스크를 실온에 방치하여 액체로부터 고체를 분리한다. 고체를 200ml의 n-헵탄으로 4회 세척한 후,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64.7g의 적갈색 고차산물을 수득한다.
(2) 일차 중합된 고체의 합성
교반기가 장치된 300ml 플라스크내의 공기를 아르곤으로 치환한다. 여기에 241ml의 n-헵탄, 0.34g의 트리에틸알루미늄 및 상기 (1)에서 제조된 고체산물 19.7g을 채우고, 현탁액의 온도를 50℃로 유지한다.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50℃의 현탁액에 0.2kg/㎠의 분압으로 유지된 에틸렌을 20분간 도입하여 일차 중합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처리가 완결된 후, 액체로부터 고체를 분리한다. 상기 고체를 50ml의 n-헵탄으로 2회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고체산물 1g당 일차 중합고체를 0.09g 수득한다.
(3) 고체 촉매성분의 합성
100ml 플라스크의 공기를 아르곤으로 치환하고, 상기 (2)에서 제조된 일차 중합고체 12.1g 및 42.3ml의 n-헵탄을 플라스크에 채워서, 온도를 30℃로 유지한다.
그다음, 14.4ml의 디-이소아밀 에테르를 가입하여, 이 혼합물을 30℃에서 1시간동안 처리한 후 온도를 75℃까지 올린다. 그후 15.7ml의 4염화티타늄을 가입하고, 반응을 75℃에서 한시간 동안 수행한다. 생성되는 고체를 액체로부터 분리한다. 고체를 50ml의 n-헵탄으로 4회 세척하고 감압하에 건조하여 고체성분을 수득한다.
그리고, 100ml 플라스크의 공기를 아르곤으로 치환하고, 상기 고체성분 9.9g 및 38ml의 n-헵탄을 채우고, 그의 온도를 30℃로 유지한다. 다음, 8.5ml의 디-이소아밀에테르를 가입하고, 30℃로 한시간 처리한후 온도를 75℃로 올린다. 그리고 11.5ml의 4염화티타늄을 가입하여 75℃에서 1시간 반응시킨다. 생성되는 고체를 액체로부터 분리한다. 고체를 50ml의 n-헵탄으로 4회 세척하고, 감압하에 건조하여 고체 촉매성분을 수득한다.
(4) 공중합[공중합체(B)]
프로필렌 및 부테-1의 공중합을 내부용적이 1㎥이고 교반기가 장치된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한다. 60kg의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입자를 분산촉매로서 반응기에 도입하고, 그후 내부의 공기를 질소로, 그후에는 프로필렌으로 치환한다. 프로필렌을 주입하여 5kg/㎠G까지 압력을 올린다. 반응기 바닥으로 순환기체를 80㎥/hr의 유속으로 공급하여 중합체 입자가 유체속에 있도록 한다. 그후 하기의 촉매를 반응기에 채운다.
(a) 고체 촉매 성분 21g
(b) 염화 디에틸알루미늄 156g
(c) 트리에틸알루미늄 22g
(d) 메틸메트크릴레이트 15g
헵탄으로 희석된 촉매성분(b) 및 (c)가 사용된다. 수소, 프로필렌, 부텐을 공급하여 수소농도는 1.7부피%로 부텐-1의 농도는 29부피%로 한다. 그리고 총 압력은 10kg/㎠G로 올린다. 유동층의 온도를 70℃로 조절하며 중합을 시작한다. 중합중에, 수소, 프로필렌 및 부텐-1을 공급하여 수소 및 부텐-1의 농도 및 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중합된 중합체의 양이 75kg에 이르면 반응기내의 중합체 입자는, 다음 중합을 위한 촉매 분산액에 해당하는 60kg을 제외하고, 용기로 옮긴다. 이를 건조시켜 백색분말 중합체를 수득한다. 동일한 중합을 3회 반복하고, 3번째 중합에서 수득되는 중합체[공중합체(B)]의 특성을 평가한다. 그 결과는 부텐-1 함량이 20.3몰%이고, CXS 함량은 23.9% △흐려짐은 0.9%, 용매 추출량은 7.3% 그리고 고유점도는 1.8dl/g이다.
(5) 조성물의 제조
①공중합체(A)
스미또모 노블렌
Figure kpo00001
RW160(등록상표,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사 제조)을 사용한다. 이는 에틸렌 함량이 4.8중량%, 비카 연화점이 118℃, 용융지수는 8.8g/10분이고 CXS 함량은 4.3%이다.
②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스미또모 노블렌
Figure kpo00002
HS200A(등록상표,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사 제조)를 사용한다. 이는 융점 161℃, 용융지수는 1.8g/10분이고 CXS 함량은 2.8%이다.
상기 공중합체(A)의 65중량%, (4)에서 수득된 공중합체(B)의 30중량% 및 상기 고결정성 플리프로필렌(C)의 5중량%를 65mmø 압출기로 균일하게 용융 혼합한다. 여기에 0.2PHR의 BHT를 항산화제로, 0.2PHR의 실리카를 점착방지제로 그리고 0.2PHR의 스테이르산아미드를 슬립제로 가입한다.
(6) 적층 및 연신
(5)에서 수득된 조성물을 압력성형에 의해 두께가 500μ인 단일 폴리프로필렌 쉬트로 적층하여, 조성물의 층이 100μ의 두께를 갖게 한다(다층 쉬트의 두께는 600μ이다).
그리고, 90mm 정방형 단편을 상기 다층 쉬트에서 취하여 하기 조건하에서 연신하여 양축 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연신기 : 벤치 양축 연신기, 도오꼬세이끼사 제조
온도 : 150℃
예열시간 : 3분
연신비 : 기계방향으로 5배
횡축방향으로 5배
연신속도 : 5m/분
약 24μ의 두께를 갖는 상기에서 수득한 다층 연신 필름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이 다층의 연신 필름은 현저하게 낮은 열접착 온도뿐만 아니라 우수한 투명도, 슬립특성, 및 긁힘 저항성을 갖는다.
[실시예 2,3 및 4]
공중합체(A), 공중합체(B) 및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조건에서 조성물의 비율이 표 1에 나타낸대로 바뀐 조건하에서 다층 필름을 수득한다.
이들 다층 연신 필름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5]
(1) 공중합체(B)의 중합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촉매계를 사용하고, 가입되는 부텐-1의 양 등을 실시예 1의 조건에서 변경하고 동일한 중합조건하에서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공중합체(B)는 15.8몰%의 부텐-1 함량, 19.5중량%의 CXS 함량, 0.4%의 △흐려짐, 6.2%의 용매 추출양 및 1.8dl/g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2) 조성물의 제조 및 다층 필름의 생산.
① 공중합체(A)
스미또모 노블렌
Figure kpo00003
FL6711N을 사용한다. 이것은 6.2중량%의 에틸렌 함량, 109℃의 비카 연화점, 5.5g/10분의 용융지수 및 9.5%의 CXS 함량을 갖는다.
②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실시예 1에서, 15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75중량%의(1)에서 수득한 공중합체(B) 및 10중량%의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가 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선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6]
공중합체(A), 공중합체(B) 및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를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조건에서 조성물의 비율이 변경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 비율은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다종 연신필름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탁월한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7]
(1) 공중합체(B)의 중합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촉매계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중합조건에서 가입되는 부텐-1의 양을 변화시키고 중합시의 압력을 7kg/㎠G로 변경시켜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수득되는 공중합체(B)는 25.1몰%의 부텐-1 함량, 35.1중량%의 CXS 함량, 1.6% △흐려짐, 15.5% 용매 추출양 및 2.0dl/g의 고유점도를 갖는다.
(2) 조성물의 제조 및 다층 필름의 생산
① 공중합체(A)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
②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실시예 1의 조건에서, 81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15중량%의 (1)에서 수득한 공중합체(B) 및 4중량%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이 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이 다층 연신필름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인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8]
(1) 공중합체(B)의 중합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촉매계에서 트리에틸알루미늄이 포함되지 않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용량을 8g으로 감소시킨 것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중합조건에서 가입되는 부텐-1의 양을 변경하고 에틸렌을 반응에 도입하여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수득되는 공중합체(B)는 16.1몰%의 부텐-1함량, 2.0몰%의 에틸렌함량, 24.5%의 CXS 함량, 1.3% △흐려짐, 12.5%의 용매 추출량 및 2.0dl/g의 고유점도를 갖는다.
(2) 조성물 제조 및 다층 필름 생산
① 공중합체(A)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②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실시예 1의 조건에서 65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30중량%의 (1)에서 수득된 공중합체(B) 및 5중량%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가 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이 다층 연신필름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9]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B)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조건에서 조성물의 비율만 변경시킨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조성물은 용매 추출량이 작고,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다층 연신필름은 우수한 투명도, 저온 열접착성 및 긁힘 저항성을 갖는다.
[실시예 10]
(1) 공중합체(B)의 중합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촉매계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중합조건에서 4-베틸-1-펜텐이 새로 가입되고, 가입되는 단량체 비율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에서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공중합체의 α-올레핀 함량은 17.1몰%(부텐-1의 함향, 14.0몰%; 4-메틸-1-펜텐의 함량, 3.1몰%), CXS는 26.3중량%, △흐려짐은 0.4%, 용매 추출량은 8.5%, 그리고 고유점도는 1.8dl/g이다.
(2) 조성물의 제조 및 다층 필름의 생산
① 공중합체(A)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②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실시예 1의 조건에서 65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30중량%의 상기(1)에서 수득한 공중합체(B) 및 5중량%의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가 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이 다층 연신필름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비교실시예 1]
공중합체(A), 공중합체(B) 및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조건에서 조성물의 비율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그 비율은 표 1에 나타낸다. 이 다층 연신필름은 저온 열접착성이 불만족스러울뿐만 아니라 투명도도 부적절하다.
[비교실시예 2]
(1) 조성물의 제조 및 다층 필름의 생산
① 공중합체(A)
스미또모 노블렌
Figure kpo00004
RW140을 사용한다. 이는 3.7중량%의 에틸렌 함량, 125℃의 비카 연화점, 8.3g/10분의 용융지수 및 3.8%의 CXS 함량을 갖는다.
② 공중합체(B) 및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실시에 1의 조건에서 75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20중량%의 상기 공중합체(B) 및 5중량%의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이 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이 다층 연신필름은 실시예 2에서의 필름과 비교하여 저온 열접착성이 크게 열등한 것이 분명하다. 이 사실로부터, 단지 공중합체(A)를 본 발명에서 정의된 범위내에서 조합함으로써 매우 독특한 효과가 유발됨이 명확하다.
[비교실시예 3]
(1) 조성물의 제조 및 다층 필름의 생산
① 공중합체(A)
스미또모 노블렌
Figure kpo00005
RW120을 사용한다. 이는 2.3중량%의 에틸렌 함량, 137℃의 비카 연화점, 9.1g/10분의 용융지수 및 3.2%의 CXS 함량을 갖는다.
② 공중합체(B)
프로필렌-부텐-1 자유 공중합체인 타프메르
Figure kpo00006
XR110T(Tafmer
Figure kpo00007
XR110T,등록상표,미쓰이석유화학사제조)를 사용한다. 이는 26.5몰%의 부텐-1 함량, 62% CXS 함량, 2.5%의 △흐려짐, 69중량%의 용매추출량 및 1.8dl/g의 고유점도를 갖는다.
실시예 1에서 40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및 60중량%의 상기 공중합체(B)가 조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이 수득된다. 이 필름은 긁힘 저항성이 열등하고 조성물의 용매 추출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비록 저온 열접착성이 만족스럽다해도 적합하지 않는다.
[비교실시예 4]
(1) 조성물의 제조 및 다층 필름의 생산
①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B)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실시예 1의 조건에서 95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및 5중량%의 상기 공중합체(B)가 조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다층 연신필름이 수득한다. 상기 다층연신필름은 저온 열접착성이 열악하여 부적절하다.
[비교실시예 5]
(1) 조성물의 제조 및 다층 필름의 생산
① 공중합체(A)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공중합체(A)를 사용한다.
② 공중합체(B)
n-헵탄을 용매로 사용한 슬러리 중합하고 n-헵탄 용해 가능부를 환원하여 수득한 프로필렌-부텐-1을 사용한다. 이는 15.1몰%의 부텐-1 함량, 10.1중량%의 CXS 함량, 0.5%의 △흐려짐, 3.0중량%의 용매추출량 및 1.9gl/g의 고유점도를 갖는다.
실시예 1의 조건에서 70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및 30중량%의 상기 공중합체(B)기 조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다층 필름은 저온 열접착성이 열악하여 부적합하다.
[비교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B)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공중합체(B)는 용매 추출량이 너무 커서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비교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A)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다층 연신필름은 저온 열접착성이 극도로 열등하다.
[비교실시예 8]
(1) 공중합체(B)의 중합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촉매계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중합조건에서 가입된 부텐-1의 양이 변경되고 에틸렌이 새로이 반응에도 도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공중합체(B)는 8.1몰%의 부텐-1 함량, 6.1몰%의 에틸렌 함량, 22.5%의 CXS 함량, 8.3%의 △흐려짐, 8.5중량%의 용매 추출량 및 1.7dl/g의 고유점도를 갖는다.
(2) 조성물의 제조 및 다층 필름의 생산
① 공중합체(A)
실시예 5에서의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②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실시예 1의 조건에서 15중량%의 상기 공중합체(A) 75중량%의 상기(1)에서 수득한 공중합체(B) 및 10중량의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이 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다층 연신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다층 연신필름의 투명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열등해진다.
더우기, 그것은 저온 열접합성, 슬립 특성 및 불점착성이 열등하다.
[표 1]
Figure kpo00008

Claims (8)

  1. 하기(A), (B) 및 (C)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시트의 한쪽 면 이상에 적층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기재층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 (A) 하기 (ⅰ), (ⅱ) 및 (ⅲ)을 만족시키는 프로필렌 자유(random) 공중합체 10 내지 90중량% : (ⅰ) 공단량체 함량이 4~15중량%이고, (ⅱ) 비카 연화점이 122℃이하이고, 그리고 (ⅲ) 차가운 크실렌에 용해되는 부분의 함량이 15중량% 이하이다, (B) 프로필렌 및 4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4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로서 하기, (ⅰ), (ⅱ), (ⅲ) 및 (ⅳ)를 만족시키는 공중합체 10~90중량%.
    (ⅰ) 4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의 함량이 8~35몰%이고, (ⅱ) 에틸렌 함량이 5몰% 이하이고, (ⅲ) 차가운 크실렌에 용해되는 부분의 비율이 15~70중량%이고, 그리고 (ⅳ) △헤이즈(△Haze)가 5% 이하이다. (C) 융점이 150℃ 이상인 고 결정성인 폴리프로필렌 0~15중량%.
  2.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B)의 용매 추출량이 40중량% 이하임을 특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10~90중량%의 공중합체 (A), 10~90중량%의 공중합체(B) 및 1~15중량%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C)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127~147℃ 범위에서 나타나는 주피크 그리고 95~127℃의 범위 및 147~160℃의 범위에 각각 나타나는 부피크를 DSC로 측정한 용융 곡선상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5.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공중합체(B)의 α-올레핀이 부텐-1, 펜텐-1, 헥센-1 및 .4-메틸펜텐-1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6.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공중합체(B)의 α-올레핀이 부텐-1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7.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이 한쪽 방향 이상으로 연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8.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이 양축 방향으로 연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KR1019870007456A 1986-07-11 1987-07-10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KR950010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4505/86 1986-07-11
JP16450586A JPH07371B2 (ja) 1986-07-11 1986-07-11 ポリプロピレン積層フイルム
JP164505 1986-07-11
JP112718/87 1987-05-08
JP112718 1987-05-08
JP62112718A JP2533321B2 (ja) 1987-05-08 1987-05-08 ポリプロピレン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729A KR880001729A (ko) 1988-04-26
KR950010644B1 true KR950010644B1 (ko) 1995-09-21

Family

ID=2645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456A KR950010644B1 (ko) 1986-07-11 1987-07-10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86562A (ko)
EP (1) EP0252718B1 (ko)
KR (1) KR950010644B1 (ko)
DE (1) DE3773554D1 (ko)
HK (1) HK29393A (ko)
HU (1) HU209701B (ko)
PH (1) PH24095A (ko)
SG (1) SG1294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1232A1 (de) * 1986-09-13 1988-03-24 Hoechst Ag Mehrschichtfolie als trennfolie zur herstellung dekorativer schichtstoffplatten
CA1283035C (en) * 1987-03-09 1991-04-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ulti-layer shrink film
US4929509A (en) * 1988-07-06 1990-05-29 Eastman Kodak Company Adhesives based on amorphous propylene/hexene copolymers
DE4009350A1 (de) * 1990-03-23 1991-09-26 Hoechst Ag Polypropylenfolie mit guten hafteigenschaften
DE4035344A1 (de) * 1990-11-07 1992-05-14 Hoechst Ag Heisssiegelfaehige verpackungsfolie
DE4035343A1 (de) * 1990-11-07 1992-05-14 Hoechst Ag Heisssiegelfaehige verpackungsfolie
FR2683790B1 (fr) * 1991-11-14 1995-02-10 Kaysersberg Packaging Sa Plaques antiglissantes a base de polyolefine pour intercalaires et emballages.
US5298302A (en) * 1992-08-21 1994-03-29 W. R. Grace & Co.-Conn. Film with improved lap seal
DE4304377A1 (de) * 1993-02-13 1994-08-18 Hoechst Ag Niedrig siegelnd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4314213A1 (de) * 1993-04-30 1994-11-03 Wolff Walsrode Ag Weiß-opake heißsiegelbare Polypropylenfolie mit papierähnlichem Charakter
JP2819996B2 (ja) * 1993-07-08 1998-11-05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積層フィルム
IT1265452B1 (it) * 1993-12-27 1996-11-22 Himont Inc Film poliolefinici compositi adatti per imballaggio
DE69503560T2 (de) * 1994-04-28 1999-03-18 Sumitomo Chemical Co., Ltd., Osaka Polypropylen-Zusammensetzung für laminatete und orientierte Filme sowie daraus bestehender laminateter und orientierter Film
CA2164461C (en) 1994-12-06 2000-08-08 Tatsuya Tanizaki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SG38896A1 (en) * 1994-12-22 1997-04-17 Sumitomo Chemical Co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laminated and oriented film therefrom
US6106938A (en) * 1994-12-22 2000-08-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td.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laminated and oriented film therefrom
CN1077030C (zh) 1995-05-02 2002-01-02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非织造织物-薄膜层合制品
BE1009963A3 (fr) * 1995-12-22 1997-11-04 Solvay Compositions a base de copolymeres statistiques du propylene, procede pour leur fabrication, et feuilles multicouches thermoscellables les contenant.
US5667902A (en) * 1996-04-30 1997-09-16 Mobil Oil Corporation High moisture barrier polypropylene-based film
TWI238169B (en) * 2000-12-22 2005-08-21 Basell Technology Co Bv Bioriented polypropylene films
US6825276B2 (en) 2001-04-17 2004-11-30 Pliant Corporation Nonoriented stiff packaging film with superior tear properties
DE10228273B4 (de) * 2001-09-26 2012-10-11 Renolit Ag Mehrschichtfolie zur Herstellung von Etiket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7273907B2 (en) * 2002-03-29 2007-09-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film
DE50309369D1 (de) * 2003-08-16 2008-04-24 Renolit Ag Mehrschichtfolie zur Herstellung von Etiketten
JP4259980B2 (ja) * 2003-10-27 2009-04-30 南亜塑膠工業股▲ふん▼有限公司 五層共押出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パール光沢合成紙及びその製造法
JP2006052287A (ja) * 2004-08-11 2006-02-23 Sunallomer Ltd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WO2006111448A1 (en) * 2005-04-21 2006-10-26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Biaxially oriented propylene polymer films
US7662888B2 (en) * 2005-04-29 2010-02-16 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Polypropylene based heat shrinkable film
JP5276323B2 (ja) * 2005-08-02 2013-08-28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US8617717B2 (en) * 2006-06-09 2013-12-3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eat sealable films from propylene and α-olefin units
JP5579394B2 (ja) * 2009-01-30 2014-08-27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WO2017098736A1 (ja) * 2015-12-08 2017-06-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ダイシングシートおよびダイシ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2083825A (ja) 2020-11-25 2022-06-06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1852A (en) * 1977-09-26 1980-07-08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Thermoplastic olefin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d film or sheet thereof
GB1566239A (en) * 1977-09-26 1980-04-30 Mitsui Petrochemical Ind Thermoplastic filmforming olefin polymer composition
US4339496A (en) * 1979-10-05 1982-07-13 Mobil Oil Corporation Heat sealable packaging film comprising propylene polymer substrate and a surface layer blend of ethylene copolymer and propylene copolymer
US4340640A (en) * 1979-10-05 1982-07-20 Mobil Oil Corporation Heat sealable packaging film comprising propylene polymer substrate and a surface layer blend of ethylene copolymer and propylene copolymer
US4339498A (en) * 1979-10-05 1982-07-13 Mobil Oil Corporation Heat sealable packaging film comprising propylene polymer substrate and a surface layer blend of olefin copolymer or interpolymer
JPS60166455A (ja) * 1983-12-29 1985-08-2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積層フイルム
US4692379A (en) * 1985-09-26 1987-09-08 Mobil Oil Corporation Heat sealable film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52718B1 (en) 1991-10-09
HU209701B (en) 1994-10-28
EP0252718A2 (en) 1988-01-13
DE3773554D1 (de) 1991-11-14
EP0252718A3 (en) 1988-11-09
US4786562A (en) 1988-11-22
PH24095A (en) 1990-03-05
SG129492G (en) 1993-03-12
HUT49070A (en) 1989-08-28
HK29393A (en) 1993-04-02
KR880001729A (ko) 198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644B1 (ko)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KR910008846B1 (ko) 적층 폴리프로필렌 필름
US5948547A (en) Composition based on statistical propylene copolymers,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and multilayer heat-sealable sheets containing them
JPS61248740A (ja) ポリプロピレン多層フイルム
KR920002776B1 (ko) 포장용 수축 필름
EP0126640A2 (en) Polypropylene composite stretched films
CA1313346C (en) Polyolefin type resin laminate
JPH0796633B2 (ja) オレフィン共重合体組成物
US5773129A (en) Polypropylene laminated film
EP0719829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laminated and oriented film therefrom
JP4204676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並びに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S6319255A (ja) ポリプロピレン積層フイルム
JPS6031672B2 (ja) ポリプロピレン二軸延伸複合フイルム
KR100304037B1 (ko) 폴리프로필렌 적층 필름
US4761462A (en) Packaging propylene copolymer film
JP2882237B2 (ja) ポリプロピレンランダム共重合体及びそのフィルム
US6106938A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laminated and oriented film therefrom
JPS61213244A (ja) 包装フイルム
JPH0527546B2 (ko)
US6001293A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propylene laminated film
JP2533321B2 (ja) ポリプロピレン積層フィルム
JPH0481507B2 (ko)
JPS6125546B2 (ko)
JPH1160639A (ja) プロピレ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JPS6493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