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476Y1 -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476Y1
KR950010476Y1 KR2019930011415U KR930011415U KR950010476Y1 KR 950010476 Y1 KR950010476 Y1 KR 950010476Y1 KR 2019930011415 U KR2019930011415 U KR 2019930011415U KR 930011415 U KR930011415 U KR 930011415U KR 950010476 Y1 KR950010476 Y1 KR 950010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discharge
w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644U (ko
Inventor
손재규
Original Assignee
손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규 filed Critical 손재규
Priority to KR2019930011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476Y1/ko
Publication of KR950001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14Draining device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퇴수공이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퇴수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체 2 : 나사편
3 : 수도밸브 4 : 나사부
4' : 경사면 5 : 밸브간
6 : 변공 7 : 퇴수공
7' : 유출공 8 : 퇴수밸브실
9 : 퇴수밸브 9' : 퇴수밸브간
10 : 스프링 11 : 캡나사
본 고안은 부동전에 형성된 퇴수공에 밸브실을 형성하여 밸브셀에 밸브를 스프링으로 설치하여 항상 퇴수공을 밀폐시키는 동시 밸브로드가 부동전 안으로 돌출되게 하고 수도밸브의 나사부 하단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밸브를 열어 수도물이 나올때는 밸브의 경사면과 퇴수밸브 로드와 분리되어 퇴수공이 차단되고 수도밸브를 하강하여 지수할때는 경사면에 의하여 퇴수밸브로드가 후퇴되면서 퇴수공을 개방하여 수관에 고인물이 안전하게 퇴수되어 동파를 장지할 수 있게한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동전에 형성된 퇴수공은 수도밸브의 몸체에 의하여 닫히게되어 있으나 퇴수공이 안전하게 닫히지 않어 지하수등이 수도물이 나오는 부동전 내부로 유입되어 비위생적인 폐단이 있었다. 또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퇴수공에 여러형태의 밸브를 설치한 것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하고 밸브동작의 신뢰성이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부동전의 동체일측에 퇴수공이 형성된것에 있어서 퇴수공 부위에 밸브실을 형성하여 퇴수밸브로드가 부동전 안쪽으로 돌출되게 퇴수밸브 변실에 스프링으로 설치하고 수도밸브의 나사부 하단부에 퇴수밸브로드를 밀어 후퇴시킬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수도밸브가 상승 개방하여 수도물이 나오는 동안은 퇴수밸브가 스프링에 의하여 퇴수공을 밀폐하여 수도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 지하의 오염수가 수도물에 유입혼합되지 않게 방지하고 수도밸브가 하강하여 지수하는 때는 나사부의 경사면이 퇴수밸브로드의 선단부를 후퇴시키어 퇴수공을 확실하게 개방시키어 수관에 고인물이 용이하게 퇴수되어서 동파를 방지하는 동시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거의 없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도의 부동전 동체(1)에 형성된 나사편(2)에 수도밸브(3)의 나사부(4)를 끼워 밸브간(5)를 틀어 승강시키어 변공(6)을 개폐할수 있게 하고 동체(1)의 일측면에 퇴수공(7)을 형성한 공지한 것에 있어서 퇴수공(7)외부에 퇴수밸브실(8)을 형성하여 퇴수밸브(9)의 로드(9')가 퇴수공(7)으로 관통되게 스프링(10)으로 설치하고 밸브실(8)의 외단부는 유출공(7')이 형성된 캡나사(11)를 나사끼움으로 스프링(10)이 탄지되게 설치하여 수도밸브(3)의 나사부(4) 하단부에 경사면(4')을 형성하여 이 경사면(4')의 퇴수밸브의 로드(9')가 측방으로 접동되어 퇴수공(7)을 개방할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제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밸브간(5)을 틀어 수도밸브(3)를 상승시키어 변공(6)의 개방으로 수도물이 나오는 동안은 퇴수밸브(9)는 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하여 퇴수공(7)을 밸브실(8)에서 긴밀하게 밀폐유지하고 있어 수도물이 퇴수공(7)으로 누수되는 일이 없는 동시 또한 지하의 오염수가 부동전 내부로 유입하여 수도물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변간(5)을 틀어 수도밸브(3)를 하강시키어 변공(6)을 차폐하여 지수하는 동안은 수도밸브(3)의 하강동작중 나사부(4)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면(4')이 동체(1)안으로 돌출된 퇴수밸브로드(9')를 측방으로 밀어 지금까지 변공(7)을 밀폐하던 밸브(9)의 후퇴로 변공(7)이 개방되어 밸브로드(9')사이의 공간으로 변공(7)을 통하여 수관에 고인물이 서서히 유출공(7')으로 퇴수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것으로 부동전에 형성된 퇴수공 부위에 퇴수밸브실을 형성하여 퇴수밸브로드가 동체안으로 돌출되게 스프링으로 설치하여 캡나사로 나사끼움으로 공정하였기 때문에 수도물을 사용할때는 퇴수공이 스프링과 퇴수밸브에 의하여 안전하게 차단됨으로 귀한 수도물이 퇴수됨으로 누수되거나 지하의 오염수가 수도물에 유입하여 혼합되는 일이없고 또한 부동전의 지수시에는 나사부에 형성된 경사부에 의하여 퇴수밸브 로드를 밀어 퇴수공을 확실하게 개방하므로 수관의 물이 용이하게 퇴수되어 동파를 방지할수 있는 동시 퇴수밸브의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의 신뢰성이 높아 종래의 퇴수장치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부동전 동체(1)의 나사편(2)의 수도밸브(3)의 나사부(4)를 밸브간(5)으로 틀수있게 끼워 설치하고 도체(1)의 일측면에 퇴수공(7)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퇴수공(7)의 외부에 퇴수밸브실(8)을 형성하고 퇴수밸브로드(9')가 퇴수공(7)을 통하여 동체(1)안으로 돌출되게 퇴수밸브(9)를 퇴수밸브실(8)에 스프링(10)으로 설치하며 유출공(7')이 형성된 캡나사(11)를 퇴수밸브실(8)의 외단부에 나사끼움으로 결합하고 수도밸브(3)의 나사부(4) 하단부에 퇴수밸브로드(9')를 측방으로 밀어 퇴수공을 개방하는 경사면(4')을 형성하여서된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KR2019930011415U 1993-06-23 1993-06-23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KR950010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415U KR950010476Y1 (ko) 1993-06-23 1993-06-23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415U KR950010476Y1 (ko) 1993-06-23 1993-06-23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644U KR950001644U (ko) 1995-01-04
KR950010476Y1 true KR950010476Y1 (ko) 1995-12-14

Family

ID=1935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415U KR950010476Y1 (ko) 1993-06-23 1993-06-23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4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644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487B1 (ko) 역류방지 기능 배수장치를 구비한 맨홀
KR950010476Y1 (ko)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KR200180790Y1 (ko)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960008517Y1 (ko) 상수동용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구
KR200151567Y1 (ko)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장치
KR960003861Y1 (ko) 부동 수도전의 퇴수장치
KR200242191Y1 (ko)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0219378Y1 (ko) 부동전
KR910001726Y1 (ko) 부동전의 퇴수장치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DE69921437D1 (de) Ablaufvorrichtung für einen Spülkasten
KR0124148Y1 (ko) 보조출수관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전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910001727Y1 (ko) 부동전
KR101145007B1 (ko) 동파방지용 부동전 구조
KR200335081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930008651Y1 (ko) 수압식 개폐 밸브
KR920004700Y1 (ko) 수도의 동파방지 장치
KR200254735Y1 (ko)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KR100370600B1 (ko) 부동전의퇴수장치
KR870000374Y1 (ko) 상수도의 부동장치
KR800000780Y1 (ko) 수도전의 개폐장치
KR200164334Y1 (ko) 부동전의 오물유입 방지구조
KR940001798Y1 (ko) 부동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