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735Y1 -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 Google Patents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735Y1
KR200254735Y1 KR2020010025412U KR20010025412U KR200254735Y1 KR 200254735 Y1 KR200254735 Y1 KR 200254735Y1 KR 2020010025412 U KR2020010025412 U KR 2020010025412U KR 20010025412 U KR20010025412 U KR 20010025412U KR 200254735 Y1 KR200254735 Y1 KR 200254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p
main body
freezing
fl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용
Original Assignee
정봉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용 filed Critical 정봉용
Priority to KR2020010025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735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용 후레쉬 밸브 상단부에 P.V.C제로 된 캡을 설치하여 한파에 의해 본체 내부의 물이 얼면서 부피가 팽창하면 캡이 본체보다 먼저 파손되어 캡결합부가 개방되게 하므로서 밸브 본체(1)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수세식변기용 후레쉬 밸브에 관한 것인데 금속제로 된 밸브 본체(1) 일측에 급수관연결부(1a)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관연결부(1b)를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캡결합부(1c)를 형성하여 본체(1)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4)를 작동시켜 본체(1) 내부의 개폐변(6)을 개폐하므로서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수세식변기용 후레쉬 밸브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상단 암나사(11)를 형성한 캡결합부(1c)에 나사결합되는 캡(7)을 P.V.C제로 형성하므로서 겨울철 결빙시 캡(7)부분이 밸브본체에서 이완되게하여 후레쉬 밸브 본체(1)의 동파로 인한 파손을 막을 수 있게하여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제품이 되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Flesh valve for frozen to burst of flush stool}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캡을 P.V.C제로 형성하여 겨울철 한파로 인하여 밸브의 본체 내부에 고여있던 물이 얼어서 부피가 팽창할경우 금속제로 된 본체보다 캡부분이 먼저 파손되도록 구성하여 얼음의 팽창압력이 해소되게 하므로서 금속제로 된 밸브 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변기용 후레쉬 밸브는 금속제로 된 밸브 본체(1) 일측에 급수관연결부(1a)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관연결부(1b)를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캡결합부(1c)를 형성하여 본체(1)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4)를 가압하면 작동레버(4) 내측에 코일스프링으로 탄설된 스핀들(5)이 밸브 본체(1) 내측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급수관연결부(1a)를 막고 있는 개폐변(6)을 일측으로 밀어 주므로서 급수관(2)의 물이 밸브 본체(1)를 통과하여 배수관(3)을 통해 변기에 공급되게 한 것으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기때문에 실, 내외를 가리지 않고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후레쉬밸브는 그 특성상 밸브를 사용하게되면 밸브 내부에는 항상 물이 가득 차 있게 되는데 겨울철 극심한 한파시에 본체 내부에 차있던 물이얼면서 부피가 급격히 팽창하게되면 그 팽창압력이 금속제로 이루어진 밸브 본체와 각 부품들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밸브 본체는 일체형으로 되어 복잡한 연결부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팽창압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얼음의 팽창압력이 커지면 본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므로서 이를 교체하는데 따른 비용지출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밸브 본체는 금속제로 형성하되 밸브 본체 상단부의 캡을 P.V.C제로 형성하므로서 한파에 의해 밸브 본체 내부의 물이 얼면서 부피가 팽창할 경우 금속제로 된 본체보다 캡부분이 먼저 파손되어 팽창 압력이 해소되게 하므로서 금속제로 된 본체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밸브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캡이 얼음의 팽창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a : 급수관연결부
1b : 배수관연결부 1c : 캡결합부
11 : 암나사 2 : 급수관
3 : 배수관 4 : 작동레버
5 : 스핀들 6 : 개폐변
7 : 캡 7a : 파열유도홈
71 : 수나사
금속제로 된 밸브 본체(1) 일측에 급수관연결부(1a)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관연결부(1b)를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캡결합부(1c)를 형성하여 본체(1)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4)를 작동시켜 본체(1) 내부의 개폐변(6)을 개폐하므로서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수세식 변기용 후레쉬 밸브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상단부에 암나사(11)를 형성한 캡결합부(1c)를 만들어 P.V.C제로 성한 캡(7)을 나사조립케하고캡(7) 내면에 파열유도홈(7a)을 형성시킨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겨울철 한파로 인해 밸브 본체(1)의 내부에 고여있던 물이 얼면서 그 부피가 팽창하게되면 본체(1) 상단부의 캡결합부(1c)에 나사결합된 캡(7)의 파열유도홈(7a)이 타부분보다 먼저 파손되면서 캡결합부(1c)를 개방시키므로 캡결합부(1c)를 통해 얼음의 팽창압력이 해소되게 되어 금속제로 된 밸브 본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금속제로 된 밸브 본체(1)의 상단부에는 내부에 개폐변(6)을 비롯한 각종 부품을 투입하여 설치할 있도록 캡결합부(1c)가 형성되는데 이 캡결합부(1c)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1)가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71)를 형성한 캡(7)을 상기 캡결합부(1c)에 나사결합하므로서 본체(1)를 밀봉시켜 그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들을 보호하고 누수를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겨울철 한파로 인해 밸브 본체(1) 내부에 가득 고여있던 물이 얼게되면 그 부피가 팽창하면서 밸브 본체(1)의 내벽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밸브 본체(1)는 금속제로 되어 있으나 본체(1)의 상단부에 형성된 캡(7)은 P.V.C제로 된 본체(1)보다 그 경도가 약하고 내면에 파열유도홈(7a)이 음각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 내부에서 발생한 얼음의 강한 팽창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본체(1)보다 먼저 파열 이완된다.
그리하여 캡(7)이 파손되면 본체(1) 상단부의 캡결합부(1c)가 개방되므로서 본체(1) 내부에서 얼면서 그 부피가 팽창중이던 얼음은 개방된 캡결합부(1c)를 통해 배출되므로서 본체(1) 내부에서의 팽창 압력이 약해져 본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파손된 캡(7)은 플라스틱제로 되어 있기때문에 그 가격이 저렴하므로서 본체(1)의 교체비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되며 본체(1) 내부에 얼어있는 얼음은 개방된 캡결합부(1c)를 통해 본체(1) 내부의 얼음을 쉽게 녹여서 제거하고 캡을 씌우는 간단한 작업으로 보수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P.V.C제로 된 캡을 설치하여 겨울철 수세식변기의 후레쉬 밸브 동파를 방지하므로서 동파로 인한 손해를 줄일 수 있고 동파사고의 회복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수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금속제로 된 밸브 본체(1) 일측에 급수관연결부(1a)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관연결부(1b)를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캡결합부(1c)를 형성하여 본체(1)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4)를 작동시켜 본체(1) 내부의 개폐변(6)을 개폐하므로서 수세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후레쉬 밸브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상단 캡결합부(1c)의 암나사(11)에 파열유도홈(7a)이 있는 P.V.C제 캡(7)을 나사결합하여서된 동파방지 수세변기용 후레쉬 밸브.
KR2020010025412U 2001-08-22 2001-08-22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KR200254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412U KR200254735Y1 (ko) 2001-08-22 2001-08-22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412U KR200254735Y1 (ko) 2001-08-22 2001-08-22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735Y1 true KR200254735Y1 (ko) 2001-11-26

Family

ID=7306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412U KR200254735Y1 (ko) 2001-08-22 2001-08-22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7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76B1 (ko) * 2018-11-22 2019-12-11 박언병 동파방지 가능한 대변기 후랫쉬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76B1 (ko) * 2018-11-22 2019-12-11 박언병 동파방지 가능한 대변기 후랫쉬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446B1 (en)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wall hydrants/faucets
US6883534B2 (en)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wall hydrants/faucets
KR200254735Y1 (ko)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KR200310438Y1 (ko) 상수도용 부동전
US6830063B1 (en) Freezeless protection device for wall hydrants/faucets
KR200254734Y1 (ko) 수세식 변기용 동파방지 후레쉬 밸브
KR100700399B1 (ko) 동파방지 상수도관
KR200301105Y1 (ko) 동파 방지 후레쉬 밸브
JP2006300112A (ja) パイロット式バルブ
CN113007358A (zh) 一种防冻水龙头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US20100206392A1 (en) Automatic Draining Freezeless Wall Faucet
KR200450107Y1 (ko) 비데 물통의 배수장치
KR950010476Y1 (ko) 부동전의 퇴수공 개폐장치
KR20050004607A (ko) 부동전
KR102055076B1 (ko) 동파방지 가능한 대변기 후랫쉬 밸브
JP2005060944A (ja) アイスブレーカー
CN220320360U (zh) 一种防冻型海水阀箱
KR200351420Y1 (ko) 동파방지용 잔여수 배출장치
KR200219378Y1 (ko) 부동전
KR910001724Y1 (ko) 배수 밸브의 해빙장치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JPH11324060A (ja) 流動弁付きタンク
KR100659657B1 (ko) 부동급수전용 밸브
KR970006871Y1 (ko)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