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871Y1 -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871Y1
KR970006871Y1 KR2019940021515U KR19940021515U KR970006871Y1 KR 970006871 Y1 KR970006871 Y1 KR 970006871Y1 KR 2019940021515 U KR2019940021515 U KR 2019940021515U KR 19940021515 U KR19940021515 U KR 19940021515U KR 970006871 Y1 KR970006871 Y1 KR 970006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oilet seat
valve rod
toile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212U (ko
Inventor
김규홍
Original Assignee
김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홍 filed Critical 김규홍
Priority to KR2019940021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871Y1/ko
Publication of KR960008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8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변좌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변좌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변좌의 분리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변좌의 결합상태를 보인 동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변좌3 : 밸브동체
4 : 지지부6 : 밸브
7 : 스프링8 : 변공
9 : 지지체10 : 밸브로드
본 고안은 부동전의 변공 하부측에 밸브가 설치되어 밸브로드를 누르면 변공이 개방되고 밸브로드를 올리면 밸브가 상승되면서 변공이 닫히게 된것에 있어서, 변공이 형성된 변좌를 밸브동체와 분리하여 변좌를 밸브와 함께 밸브로드에 결합형성 되므로서 밸브로드를 좌우로 틀면 변좌가 동체에 분리결합되고 밸브로드를 상하고 작동시키면 변공이 개폐되며 사용중 밸브가 마모되면 변좌를 분리하면 꺼낸다음 변좌에서 밸브를 교체 할 수 있게한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동전은 변공의 상부측에 밸브가 설치 된것과 변공의 하부축에 밸브가 설치된 두가지 밸브 형식이 있다.
변공의 상부측에 밸브가 설치된 것은 밸브가 파손되면 동체의 상부로 밸브를 쉽게 꺼내어 새것으로 교체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밸브로 변공을 닫을 때 수납이 밸브에 크게 저장하기 때문에 밸브로드를 나사식으로 들어 잠그어야 하는 작동의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변공의 하부측에 밸브가 설치된 것은 변공을 밸브로 닫을 때 수압이 밸브에 가압작용을 하게되어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작동시키어 변공을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밸브가 마손되거나 변공에 이물질이 끼어 밸브작용이 되지 않을 때, 밸브를 분리하여 꺼내려해도 밸브가 변공에 걸리어 그대로는 밸브를 동체 상부로 꺼낼수 없고 땅에 매설된 부동전을 파내지 않고는 밸브를 교체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할 목적으로 변공의 하부측에 밸브가 설치된 부동전에 있어서, 변좌를 밸브동체에 결합할 수 있게 분리형성하여 변좌를 밸브와 함께 밸브로드에 결합형성하여서 밸브로드를 좌우로 틀면 변좌가 밸브 동체에 분리 결합되고 밸브로드를 상하로 작동시키면 밸브에 의하여 변공이 개폐되어 적은 힘으로 밸브로드를 상하고 간편하게 작동시키어 변공을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한채 더 나아가 밸브가 마손(磨損)되거나 변공이 이물질이 끼였을 때 부동전을 파내지 않고도 밸브로드를 틀어 동체로부터 밸브를 분리시키어 변좌에 설치된 밸브를 간편하게 교체하거나 보수하여 변좌를 다시 동체에 결합시키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공의 하부측에 밸브가 설치된 부동전에 있어서, 변좌(1)가 밸브동체(3)에 나사부(2)(2')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게 분리형성되고 변좌(1)의 하부측에 형성된 지지부(4)의 지지공(5)에는 공지한 밸브(6)의 지지간(6')이 스프링(7)으로 탄지(彈支)되게 설치되어 변공(8)을 개폐할수 있게 되어 있으며 변좌(1)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체(9)에 의하여 밸브로드(10)의 하단부에 변좌(1)가 유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요지는 변좌(1)가 밸브동체(3)에 결합할 수 있게 분리형성된 동시 밸브가 설치된 변좌(1)가 밸브 로드(10)에 결합된 점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변좌(1)가 밸브동체(3)에 결합하는 수단은 나사 결합이나 끼움결합이나 기타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또한 변좌(1)가 밸브로드(10)의 하단부에 유착하는 수단 역시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9)의 사각형의 끼움구멍(9')에 사각주사의 로드단부(10')를 끼워 고정핀(10")으로 유착하여 밸브로드(10)를 좌우로 틀면 변좌(1)로 함께 좌우로 틀어지고 밸브로드(10)를 상하로 작동시키면 밸브(6)가 상하로 동작하여 변공(8)을 개폐할 수 있게 실시할 수 있고 기타 밸브로드(10)가 지지체(9)에서 상하로 작동시키면 밸브(6)가 상하로 동작하여 변공(8)을 개폐할 수 있게 실시할 수 있고 기타 밸브로드(10)가 지지체(9)에서 상하고 유동되면서 밸브를 개폐하는 동시 밸브로드(10)와 변좌(1)가 좌우로 함께 회동하여 동체(1)에 분리 결합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동체(3)에 퇴수공(11)이 형성되고 밸브로드(10)에 퇴수밸브(11')가 형성된 퇴수식 부동전에 본 고안의 변좌를 결합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름관의 퇴수실(12)과 신축관(13) 및 접동판(14)으로 구성된 저수식 부동전에 본 고안의 변좌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체(9')가 동체(3)의 하부 통수공(15) 상부를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은 하부 통수공(15)으로 유출한다음 신축관(13)을 압축하여 개방된 유출공(15')으로 유출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밸브로드(10)를 좌우로 틀거나 상하로 작동시키는 부수적인 핸들기구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므로 도면의 표시나 그에 대한 설명는 생략된다.
기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통상의 각종의 수도콕크에는 적용되며 본 고안의 구성의 설명가 도면에 표시된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서 동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으로부터 용이하게 고안 하거나 설계변경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부동전의 변좌(1)가 동체(1)와 결합할 수 있게 밸브로드(10)에 결합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로드(10)에 의하여 변좌(1)를 동체(3)에 삽입하고 밸브로드(10)를 일측으로 틀면 변좌(1)도 밸브 로드(10)와 함께 회동되어 나사부(2)(2')에 의하여 변좌(1)가 밸브동체(3)에 결합되는 동시 변공(8)의 하부측 변실에 밸브(6)가 설치된다. 또 밸브로드(10)를 반대측으로 틀면 밸브로드(10)와 변좌(1)가 함께 반대측으로 회동하여 밸브(6)와 함께 변좌(10는 동체(3)로부터 분리되어 밸브로드(10)를 위로 꺼내어 마손된 밸브(6)를 간편하게 당기어 교체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변좌(1)를 동체(3)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은 밸브로드(10)를 이용하여 퇴수공이 형성된 부동전이나 저수식 부동전이나 밸브로드에 의하여 변좌를 밸브동체에 결합 분리하는 것은 차이가 없다.
밸브동체(3)에 변좌(1)가 결합된 후에는 동일 밸브로드(10)를 누르면 밸브(6)가 하강 되면서 변공(8)이 개방되어 수도물이 유출되고 밸브로드(10)를 위로 올리면 자체 스프링(7)에 의하여 위로 상승되면서 변공(8)이 차폐되어 지수되는 것으로 변좌를 밸브동체와 결합할 수 있게 분리형성되어 변좌를 밸브로드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밸브로드를 좌우로 틀면 변좌가 동체에 분리결합하되고 밸브로드를 상하로 작동시키면 변공이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변공의 하부측에 밸브가 설치된 부동전에서 밸브로드를 작은 힘으로 조작하여 용이하게 변공을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한채 부동전의 사용중 밸브가 마손되거나 변공에 이물질이 끼어 밸브작용을 할 수 없는때 밸브로드에 의하여 밸브와 함께 변좌를 동체로부터 분리하여 꺼낸 다음 밸브를 교체하거나 변공을 보수하여 동체에 결합 사용할 수 있어 종래 땅에 매설된 부동전을 파내지 않고는 밸브를 교체하거나 보수할수 없던 문제점을 시정하고 보다 각종 부동전이나 각종 수도쿡그 등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변공의 하부측에 밸브가 설치된 부동전에 있어서, 변좌(1)를 나사부(2)(2')에 의하여 밸브동체(3)에 결합할 수 있게 분리형성하고 변좌(1)의 하부측 지지부(4)에 변공(8)을 개폐하는 밸브(6)를 스프링(7)과 함께 설치하며, 상기 밸브(6)가 설치된 변좌(1)를 지지체(9')에 의하여 밸브로드(10)에 유착하여 밸브로드(10)를 좌우로 틀어 변좌(1)를 동체(3)에 분리 결합하고 밸브로드(10)로 밸브(6)를 상하로 작동시키어 변공(8)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2. 상기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변좌(1)의 지지체(9)에 형성된 끼움구멍(9')에 각주형으로 된 밸브로드(10)의 하단부를 끼워 변좌(1)를 좌우로 틀거나 밸브(6)를 상하로 작동할 수 있게 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KR2019940021515U 1994-08-23 1994-08-23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KR970006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515U KR970006871Y1 (ko) 1994-08-23 1994-08-23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515U KR970006871Y1 (ko) 1994-08-23 1994-08-23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212U KR960008212U (ko) 1996-03-15
KR970006871Y1 true KR970006871Y1 (ko) 1997-07-09

Family

ID=1939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515U KR970006871Y1 (ko) 1994-08-23 1994-08-23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8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212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2109A (en) Tamper proof fire hydrant
US5249311A (en) Fluid pressure device for opening clogged pipes
CA2541692C (en) Yard hydrant with drain port check valve
US4314580A (en) Faucet structure
US4971097A (en) Freeze-proof hydrant
US2980125A (en) Fire hydrant and valve therefor
US8490638B2 (en) Retrofit valve assembly kit for frost-resistant hydrant
KR970006871Y1 (ko) 변좌가 분리되는 부동전의 밸브장치
US5012833A (en) Freeze-proof hydrant
CA2513358C (en) Fluid hydrant with sleeve
US2172073A (en) Valve seat for faucets
KR101753280B1 (ko) 관붙이 앵글밸브
US20080163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water consumption of a toilet
KR102288578B1 (ko) 자연 배수 기능을 갖는 볼 밸브
KR100685857B1 (ko) 분리형 수도전
JP2000179713A (ja) バルブ装置
US3319928A (en) Drain back valve
RU205657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езки отвода в действующий трубопровод
KR102646334B1 (ko) 수도관의 동파방지장치
JP2896502B2 (ja) 寒冷地用減圧式逆流防止弁
JPH0645743Y2 (ja) 止水装置
JP2000329253A (ja) 地下式消火栓
JPH0540381Y2 (ko)
KR200295934Y1 (ko) 밸브용 디스크
JP2007309418A (ja) 止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