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111Y1 -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111Y1
KR950010111Y1 KR2019930022883U KR930022883U KR950010111Y1 KR 950010111 Y1 KR950010111 Y1 KR 950010111Y1 KR 2019930022883 U KR2019930022883 U KR 2019930022883U KR 930022883 U KR930022883 U KR 930022883U KR 950010111 Y1 KR950010111 Y1 KR 950010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op
roller
tip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060U (ko
Inventor
강동선
서정철
한주홍
이용규
강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filed Critical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2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111Y1/ko
Publication of KR950014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루프용접작업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3도는 선단 지지장치부의 구조도.
제4도는 중간 지지장치부의 구조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프레임 2,3 : 수직프레임
4 : 베어링 5 : 스크류잭 장치
10 : 선단지지장치 프레임 13,24,53 : 로울러 지지체
13A,24A,53A : 유동핀 14,25,54 : 유동로울러
15 : 수평스크류 20 : 선단지지아암
21 : 승강구 23 : 수직스크류
26 : 고정로울러 30 : 로울러 지지구
44 : 베어링 45 : 수평 유지구 고정대
46 : 안내구 50 : 중간 지지장치 프레임
60 : 중간 지지아암 61 : 헤드
62 : 에어 실린더 63 : 가이드바
70 : 수평 유지구 100 : 선단 지지장치부
200 : 중간 지지장치부 S : 루프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로 상세하게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선단지지장치부와 중간지지장치부에 의해 루프의 굴곡과 경사도에 따라 루프지지장치를 가변시킴으로서 용접작업이 정확하고 용이하도록 한 루프용접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루프는 루프골조과 외판등의 각 구성부품을 스폿트 용접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킨 복합 구조체로서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한 루프 형성을 위한 용접작업을 제1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반(98)상에 설치한 치구(99)를 사용하여 루프골조 및 외판을 고정지지한 후 용접작업을 하였다.
한편, 스폿트 용접시의 이상적인 용접조건은 용접건과 피용접 모재가 직각을 이루어야 하므로 상기한 종래의 경우에는 루프 측부의 경사면이나 굴곡부의 용접시 고중량체인C형 용접건(97)을 경사면이나 굴곡부에 따라 인력으로 기울여서 사용해야 하므로 정확한 용접위치 유지가 어려워 용접 불량 발생이 많았으며 작업자의 피로가 가중되었다.
또한 정반(98)상의 치구(99)를 차종에 따른 루프 형상이나 차폭에 따라 교체를 해야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 소요와 함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제2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S) 양단의 고정지지를 위한 2기의 선단지지장치부(100)와 루프(S)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나 변형방지를 위해 중간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장치부(200)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선단지지장치부(100)는 도시안된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회동이 동조되도록 함으로써 루프(S)의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며, 중간지지장치부(200)는 상기한 선단지지장치부(100)의 회동에 의해 응동되도록 구성하였다.
제3도로서 도시한 선단지지장치부(100)는 루프(S)의 양단 하부에 설치되며, 선단지지장치 프레임(10)과 선단지지아암(20)과 로울러 지지구(30)를 주요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단 지지프렘임(10)은 하부프레임(1)의 양측부에 수직프레임(2,3)을 각각 설치하고 그 상부로는 저부면이 평탄한 베어링(4)을 고정설치하였다. 하부 프레임(1)의 상부일측에는 스크류잭 장치(5)가 구비된다. 스크류잭 장치(5)는 워엄휠의 외부동력에 의한 구동에 의해 스크류(5A)가 상하동함으로서 선단지지아암(20)을 회동시키게 되는데 상기한 스크류잭장치(5)는 공지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단지지아암(20)은 선단지지프레임(10)의 돌출핀(11)에 의해 수직프레임(2,3)의 각 베어링(4)사이에 축착되어 상기한 스크류잭 장치(5)의 작동에 의해 루프(S)의 굴곡이나 경사도에 따라 루프(S)를 회동지지함으로서 용접작업이 정확하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의 내부로는 루프(S)의 폭에 따른 로울러 지지구(30)의 전후동을 위해 수평스크류(15)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 스크류(15)는 양단의 고정구(16,17)에 의해 이탈없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체결된 로울러지지구(30) 하부의 체결구(27)를 외주면에 체결함으로서 수평스크류(15)의 회전에 의해 로울러 지지구(30)를 전후동 시키게 된다.
선단 지지아암(20)의 상면 중간부의 좌우에는 루프(S)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선단지지 유동 로울러(14)가 구비되어 있는데, 로울러(14)의 외부에는 로울러(1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체(13)의 외즉으로는 유동핀(3A)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유동핀(13A)을 선단지지아암(20)에 고정 설치된 로울러 받침대(18)에 감입시킴으로서 로울러(14)를 회전과 함께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게 하여 루프(S)의 굴곡과 경사도에 따라 밀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로울러 지지구(30)는 루프(S)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전후동 및 상하동 함으로서 루프(S)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수평스크류(15)에 체결된 체결구(27)의 상부로 몸체(22)를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의 고정구(28,29)에 의해 이탈없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수직 스크류(23)를 구비하였으며, 상기한 수직스크류(23)의 외주면에는 후면이 몸체(22)에 밀착됨으로서 좌우유동이 제한되는 승강구(21)가 체결된다. 측부 유동 로울러승강구(21)의 선단에는 선단지지유동 로울러(14)와 같이 로울러(25) 외측에 지지체(24)가 구비되며, 상기한 지지체(24)의 외측으로는 유동핀(24A)이 측부 유동로울러(21)에 감입됨으로서 회전과 함께 상하유동이 가능한 측부 유동로울러(2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양 로울러 지지구(30)의 내측으로는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고정로울러(26)를 구비하여 각 수평 스크류(15)에 의해 로울러 지지구(30)의 전후동에 의해 루프(S) 측단부를 고정 또는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7은 스크류축(6) 보호를 위한 벨로우즈이다.
제4도는 중간 지지장치부(200)의 구조도로서 중간 지지장치부(200)는 루프(S)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고 작업 종료후 루프(S)를 수평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 중간 지지장치부(200)는 중간 지지프레임(50)과 중간지지아암(60)과 수평 유지구(70)를 주요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중간 지지프레임(50)은 하부 프레임(41)의 양측부에 수직 프레임(42,43)을 각각 설치하고 그 상부로는 저부면이 평탄한 베어링(44)을 고정 설치하였다.
수직 프레임(42,43) 사이에는 안내구(46)를 갖는 수평유지구 고정대(45)를 형성하여 수평 유지구(70)의 가이드바(63)를 안내 지지하도록 한다.
중간 지지아암(60)은 선단 지지아암(20)의 회동에 따라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돌출핀(51)에 의해 수직프레임(42,43)의 각 베어링(44) 사이에 축착되어 있으며, 중간 지지아암(60)의 하부와 수직 프레임(42,43) 사이의 수평유지구고정대(45)에는 중간 지지아암(60)의 회동후 원활한 복귀를 위해 복귀 스프링(58)이 구비되어 있다.
중간 지지아암(60)의 상부 좌우에는 전술한 선단 지지아암(20)의 유동로울러(14)와 동일하게 유동 로울러(54)가 지지체(53)에 지지되어 지지체(53) 외부의 유동핀(53A)에 의해 로울러 받침대(58)에 유동가능하게 감입된다.
수평 유지구(70)는 외부의 제어에 의한 에어실린더(62)의 팽창에 의해 선단에 연결된 헤드(61)가 상승하여 헤드(61)의 상부와 중간 지지아암(60)의 하부면이 일치됨으로서 중간 지지아암(60)이 수평으로 복귀하여 작업시 루프(S)의 안착이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헤드(61)의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바(6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가이드바(63)는 수평유지구 고정대(45)의 안내구(46)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서 헤드(61)의 승하강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가이드바(63)는 외주면에 사각치형의 나각홈(63A)을 형성하였으며 너트(69)의 체결에 의해 수평유지구(70)의 상하동 행정을 제한하도록 한다.
한편, 선단 지지장치부(100)와 중간 지지장치부(200)에 구비된 각 로울러(14,25,26,54)는 루프(S)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로울러 지지구(30)를 후방으로 위치시켜 루프(S)의 가압력을 해제시키면 루프(S)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로운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사용례를 이하 제5도로서 설명한다.
먼저, 도시안된 외부의 제어장치에 의해 스크류잭 장치(5)를 작동시켜 루프(S) 양단에 있는 선단 지지장치부(100)의 각 선단 지지아암(20)을 수평으로 유지시킨 후 중간 지지장치부(200)의 수평 유지구(70)를 이용하여 중간 지지아암(60)을 수평으로 유지한다.
상기한 과정후에는 루프골조와 외판을 선단 지지장치부(100)와 중간 지지장치부(200)상에 안착시킨 후 루프의 굴곡과 경사도에 따라 선단 지지아암(20)의 수평 스크류 핸들(15A)을 회전시켜 양 로울러 지지구(30) 내측의 고정 로울러(26)로 루프골조 및 외판을 가압고정한다.
상기한 과정 후에는 로울러 지지구(30) 상부에 있는 수직 스크류 핸들(23A)을 돌려 측부 유동로울러 승강구(21)를 루프 굴곡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중간 지지장치부(200)는 수평 유지구(70)의 헤드(61)를 하향시킴으로서 중간 지지아암(60)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선단 지지아암(20)의 회동에 따라 루프(S)에 의해 중간 지지아암(60)은 동일하게 회동한다. 상기한 과정후 외부 제어장치로서 각 선단 지지장치부(100)가 동조되게 회동하도록 스크류잭 장치(5)를 작동시키고 용접을 요하는 루프의 용접부위가 지면과 평행하도록 한 후 용접 작업을 한다.
용접 완료 후에는 선단 지지아암(20)과 중간 지지아암(60)을 수평으로 복귀시킨 후 수평스크류(15A)를 회전시켜 로울러 지지구(30)를 후면으로 이동시키면 루프(S)의 고정이 해제되며, 좌우 유동과 함께 루프(S)의 길이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각 유동 로울러 (14,25,54) 및 고정로울러 (26)에 의해 루프(S)의 단부를 밀면 용접이 완료된 루프(S)가 길이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용접 작업시 용접건(97)과 루프(S)의 용접 위치를 정확히 유지시키도록 하여 정확하고 용이한 용접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신축 가능한 구성에 의해 루프(S)의 폭과 용접부의 굴곡도와 경사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철도차량의 루프 용접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구성한 선단 지지아암(20)에 의해 루프(S)의 양 선단부를 지지하도록 한 선단 지지장치부(100)와, 상기한 선단 지지아암(20)의 회동에 의해 중간지지아암(60)이 회동하며, 루프(S)의 중간부를 지지하도록 한 중간 지지장치부(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루프 용접용 가변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단 지지장치부(100)는 하부 프레임(1)의 양 측부에 베어링(4)을 구비한 수직 프레임(2,3)을 각각 설치하고 일측에 스크류잭 장치(5)를 구비한 선단 지지장치 프레임(10)과, 상기 선단 지지장치 프레임(10)의 베어링(4)에 회동가능하게 축착되며 양단에는 로울러 지지구(30)의 전후동을 위한 수평 스크류(15)를 구비하고 중간부에는 선단 지지 유동 로울러(14)를 구비한 선단 지지아암(20)과, 상기 선단 지지아암(20)의 수평 스크류(15)에 의해 전후동하며 수직 스크류(23)에 의해 측부 유동 로울러(25)를 갖는 승강구(21)를 승하동시키며 일측에 고정로울러(26)를 구비한 로울러 지지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루프 용접용 가변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중간 지지장치부(200)는 상부에는 베어링(44)을 구비하였으며 일측에는 안내구(46)를 갖는 수평 유지장치 고정대(45)를 형성한 중간 지지장치 프레임(50)과, 상기 중간지지장치 프레임(50)의 베어링(44)에 회동가능하게 축착되며 상부에는 중간 지지 유동 로울러(54)를 구비한 중간지지아암(60)과, 상기 중간 지지아암(60)의 수평 복귀를 위한 수평유지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루프 용접용 가변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수평 유지구(70)는 중간 지지아암(60)과 밀착되도록 한 헤드(61)와, 상기 헤드(61)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중간 지지장치 프레임(50)의 일측면에 부착된 안내구(46)에 의해 안내 지지되는 가이드바(63)와, 가이드바(63)를 포함한 헤드(61)를 상승가압시키는 에어 실린더(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루프 용접용 가변 지지장치.
  5.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각 유동 로울러(14,25,54)는 로울러 지지체(13,24,53) 외측에 형성한 유동핀(13A,24A,53A)이 축착됨으로서 루프(S) 길이 방향으로의 회전과 동시에 좌우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루프 용접용 가변 지지장치.
KR2019930022883U 1993-11-03 1993-11-03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 KR950010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883U KR950010111Y1 (ko) 1993-11-03 1993-11-03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883U KR950010111Y1 (ko) 1993-11-03 1993-11-03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60U KR950014060U (ko) 1995-06-16
KR950010111Y1 true KR950010111Y1 (ko) 1995-11-27

Family

ID=1936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883U KR950010111Y1 (ko) 1993-11-03 1993-11-03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1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324B1 (ko) * 2002-03-25 2004-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루프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60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076A (en) Screen printer
CN110497034A (zh) 一种不锈钢管坡口切割机
CN111730233A (zh) 一种汽车转向拉杆球头焊接机
KR950010111Y1 (ko) 철도차량의 루프용접용 가변지지장치
CN108115338A (zh) 一种用于进气道钛合金铸件的焊接工装
US4555998A (en) Sewing machine feed mechanism
CN204194613U (zh) 自动打侧围预装扣机构
JP3646647B2 (ja) クランプ装置
JPH07306122A (ja)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車両固定装置
JPH06346403A (ja) レール押え用板バネのボルト緊解装置
US2165616A (en) Polishing machine
JPH0246308B2 (ko)
US5471796A (en) Multi-purpose lathe
CN104308012A (zh) 自动打侧围预装扣机构
CN219986660U (zh) 一种车架横梁焊接定位支撑夹具
CN218907190U (zh) 一种挂车车厢修复辅助定位装置
JP3102526B2 (ja) 対象部材の固定装置
CN217345242U (zh) 一种用于工件定位的治具
CN113770603B (zh) 焊接设备
CN214980669U (zh) 一种汽车排挡板摆动式组装定位治具
JP2766208B2 (ja) コンベアからのワーク降ろし装置
CN217667435U (zh) 一种铰接座焊接定位装置
CN211102339U (zh) 焊接操作台
JP2586293Y2 (ja) レーザ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支承装置
JPS63176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