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963Y1 -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63Y1
KR950009963Y1 KR2019910024082U KR910024082U KR950009963Y1 KR 950009963 Y1 KR950009963 Y1 KR 950009963Y1 KR 2019910024082 U KR2019910024082 U KR 2019910024082U KR 910024082 U KR910024082 U KR 910024082U KR 950009963 Y1 KR950009963 Y1 KR 950009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oor
bracket
body panel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4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731U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4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963Y1/ko
Publication of KR9300137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7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of roller-blind type made of rigi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짝 2 : 로울러
3 : 차체패널 4 : 상부레일
5 : 하부레일 6 : 장공
7 : 전방레일 8 : 후방레일
9 : 슬라이딩 도어 10 : 관통공
11 : 연결브라켓 12 : 절개부
13 : 고정브라켓 14 : 연결보울트
15 : 너트 16 : 보강용브라켓
17 : 절곡부 18 : 고정보울트
19 : 안내홈 20 : 보울트머리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주로 좌,우로 여닫도록 된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슬라이딩 도어(9)는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문짝(1)의 하부가 하부레일(5)에 얹혀져 있으며, 상기 문짝(1)의 상부는 로울러(2)를 가지고 상부벽에 별도로 설치된 상부레일(4)에 얹혀져 있어서, 문짝의 상,하부가 각각 상부레일(4)과 하부레일(5)의 지지를 받으며, 좌,우로 슬라이딩되므로써 개폐 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9)는 문짝(1) 상부의 로울러(2)를 안내하기 위한 상부레일(4)이 상기 문짝(1)의 수리, 보수시 분리가능하도록 전방레일(7)과 후방레일(8)로 2등분 되어져 있으므로, 즉 문짝(1)이 닫힌상태에서 상기문짝(1)을 지지할 수 있는 전방레일(7)과, 문짝이 열려진 상태에서의 문짝(1)지지를 위한 후방레일(8)로 이루어져서, 각각 고정보울트(18)로써 차체패널(3) 측면에 직접 고정되어져 있고, 따라서 상기 문짝(1)을 수리, 보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문짝(1)이 닫혀져 있는 상태 즉, 전방레일(7)에 얹혀져 있는 상태에서 후방레일(8)의 고정보울트(18)를 해체하여, 상기 후방레일(8)을 분리한 후 문짝(1)을 후방레일(8)이 있던 쪽으로 밀어내므로써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는 상기 문짝(1)의 수리보수후 재조립시 문짝(1)의 자체무게등에 의하여 후방레일(8) 본연의 수평상태로 재조립하여 고정설치 하기가 어려웠다.
본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상부레일 즉, 전방레일과 후방레일 상부의 차체패널상에는 절개부를 가지는 고정브라켓을 설치하고, 전,후방레일 상에는 관통공을 가지는 연결 브라켓을 용접설치하여, 상기 전,후방레일의 고정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이 연결보울트와 너트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부레일의 수평유지를 위한 메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은 문짝(1)의 상부는 로울러(2)를 가지고 차체패널(3)에 설치된 상부레일(4)에 얹혀지고, 상기 문짝(1)의 하부는 하부레일(5)에 얹혀져서, 좌,우로 슬라이딩 되므로써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레일(4)은 각각 수직의 장공(6)을 가지는 전방레일(7)과 후방레일(8)로 이루어진 스라이딩 도어(9)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레일(7,8)은 좌,우측 상단에 관통공(10)을 가지는 연결브라켓(11)이 고정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브라켓(11) 상부의 차체패널(3)에는 절개부(12)를 가지는 고정브라켓(13)이 각각 설치되어서, 상기 전.후방레일(7,8)이 연결브라켓(11)에 의하여 연결보울트(14)와 너트(15)로써 고정브라켓(13)과 연결지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고안의 구성도로써, 문짝(1)의 상부 좌.우측에는 로울러(2)가 설치되어서 상부레일(7,8)에 안내되는 동시에, 하부는 하부레일(5)에 얹혀져서 좌.우로 슬라이드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레일(7,8)은 수직의 장공(6)을 가지는 동시에, 하부저면에 보강용브라켓(16)을 가지고 전방레일(7)과 후방레일(8)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9)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레일(7,8)의 좌,우측에는 중앙에 관통공(10)을 가지는 연결브라켓(11)이 용접등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브라켓(11)의 상부에는 선단에 절곡부(17)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중앙부위에 절개부(12)를 가지는 고정브라켓(13)이 상기 연결브라켓(11)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나란하도록 차체패널(3)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1)과 고정브라켓(13)이 연결보울트(14)와 너트(15)로서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은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문짝(1)의 분리등을 위하여 후방레일(8)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문짝(1)이 전방레일(7)상에 얹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후방레일(8)의 장공(6)을 통하여 차체패널(3)에 수직으로 체결되어져 있는 고정보울트(18)를 해체한 후, 상기 후방레일(8)의 연결브라켓(11)과 차체패널(3)의 고정브라켓(13) 사이에 체결되어져 있는 연결보울트(14)를 약간 풀거나, 혹은 원래의 상태 그대로 후방레일(8)을 약간 들어주면서 상기 고정브라켓(13)의 절개부(12)로부터 연결보울트(14)가 탈거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후방레일 (8)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문짝(1)을 후방레일(8)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로 이동시키면 문짝(1) 상부의 로울러(2)가 상기 전방레일(7)의 안내홈(19)을 벗어나므로써, 상.하부레일(7,8)로부터 문짝(1)의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하부레일(7,8)로부터 분리된 문짝(1)을 다시 원래의 상태대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문짝(1)을 하부레일(5)위에 얹고 이를 전방레일(7)쪽으로 밀어 상기문짝(1)의 로울러(2)가 전방레일(7)의 안내홈(19)에 완전히 끼워지도록 한 후, 상기 전방레일(7)과 연이어 길이방향으로 후방레일(8)을 설치하되, 후방레일(8)이 가지는 연결 브라켓(11)의 관통공(10)에 끼워져 있는 연결보울트(14)를 차체패널(3)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3)의 절개부(12)내에 끼워서, 상기 보울트머리(20)가 고정브라켓(13)의 절개부(12)상에 걸려지도록 한 후 후방레일(8)의 장공(6)에 고정보울트(18)를 끼워 전방레일(7)과의 수평상태를 맞춰가며 점차 고정보울트(18)를 조인다. 이와 같이 하여 전방레일(7)에 있는 문짝(1)을 후방레일(8)쪽으로 옮겨가며 상기 후방레일(8)의 기울기에 대한 오차를 연결브라켓(11)과 고정브라켓(13)간에 수직으로 연결되어져 있는 상기 연결보울트(14)로 정확한 수평을 조절한 후 고정보울트(18)를 완전히 조이면 되는 것이며, 이는 전방레일(7)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3)의 선단절곡부(17)는 후방레일(8)의 분해시1차 안전걸림턱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상부레일의 상부에 연결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브라켓 상부의 차체패널에 고정브라켓을 설치하여 상호 연결보우트와 너트로써 상기 상부레일을 간이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짝과 상부레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상부레일의 수평을 위한 기울기 조절시에 그 작업성이 대폭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는 것이다.

Claims (1)

  1. 문짝(1)의 상부는 로울러(2)를 가지고 차체패널(3)에 설치된 상부레일(4)에 얹혀지고, 상기 문짝(1)의 하부는 하부레일(5)에 얹혀져서, 좌,우로 슬라이딩 되므로써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레일(4)은 각각 수직의 장공(6)을 가지는 전방레일(7)과 후방레일(8)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9)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레일(7,8)은 좌,우측 상단에 관통공(10)을 가지는 연결브라켓(11)이 고정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 브라켓(11) 상부의 차체패널(3)에는 절개부(12)를 가지는 고정브라켓(13)이 각각 설치되어서, 상기 전,후방레일(7,8)이 연결브라켓(11)에 의하여 연결보울트(14)와 너트(15)로써 고정브라켓(13)과 연결지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KR2019910024082U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KR950009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082U KR950009963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082U KR950009963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731U KR930013731U (ko) 1993-07-26
KR950009963Y1 true KR950009963Y1 (ko) 1995-11-23

Family

ID=1932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4082U KR950009963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9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846B1 (ko) * 2019-01-23 2021-12-16 주식회사 디피코 자동차의 슬라이딩프론트도어 상부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731U (ko) 199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3695A (en) Windshield attachment for a golf cart or the lik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U625864B2 (en) An article of furniture with a door slidable into door compartment
US7284736B2 (en) Mounting bracket
US20050273976A1 (en) Adjustable roller bracket device for retractable door hinge
US20060277850A1 (en) Partition panel assembly
US4934439A (en) Tension strut apparatus and method for an overhead garage door
JPH08175171A (ja) 車両ドア用のウィンドウガラス・カセットおよびそのようなカセットの取付け方法
US4103962A (en) Sliding roof for automobiles
US5029930A (en) Adjustable deck lid hinge pivot
KR950009963Y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KR930008801B1 (ko) 차량의 창문 조절장치
US5430977A (en) Structure and method of mounting window regulator
JPH05505156A (ja) 自動車の改装及び補強方法
US4705316A (en) Wind deflector assembly for vehicles and installation unit equipped therewith
JP2881720B2 (ja) 吊り戸用戸車
US7735262B2 (en) Pocket door mounting system
EP1624149B1 (en) Mounting bracket
CN111469954A (zh) 汽车天窗的装配结构及装配方法
KR100826234B1 (ko) 스크린도어용 헤드박스의 보강구조
US1496904A (en) Means for slidingly supporting folding doors
US3961821A (en) Vehicle body having a window opening
KR100348050B1 (ko) 자동차의 윈도우 채널 장착구조
JPH06171366A (ja) 自動車のドア
JPS6231658B2 (ko)
JPH06137024A (ja) 自動車用ドアのウインドゥガラスの案内機構の調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