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762B1 -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762B1
KR950009762B1 KR1019920017544A KR920017544A KR950009762B1 KR 950009762 B1 KR950009762 B1 KR 950009762B1 KR 1019920017544 A KR1019920017544 A KR 1019920017544A KR 920017544 A KR920017544 A KR 920017544A KR 950009762 B1 KR950009762 B1 KR 95000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emory
display
data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706A (ko
Inventor
박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7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762B1/ko
Publication of KR94000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제1도는 전자계산기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을 위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을 위한 흐름도.
제4도는 제3도의 '3A'부분을 다르게 한 변형예이다.
본 발명은 포터블(portable)형 전자계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타 메모리 기능이 있는 전자계산기의 데이타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터블형 소형 전자계산기는 사용자가 키입력하여 그 지시대로 고속으로 계산을 수행하여 표시판넬에 결과치를 표시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계산기 내부에는 계산을 위한 필요 수단이 내장되어 있고 특히 마스크롬(mask -ROM)이 있어 이 롬에는 전자계산기의 모든 동작을 조정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사전에 저장되어 있다. 전자계산기가 갖는 설계된 기능에 따라서 상기 키입력부의 키들은 가감승제와 같은 일반연산키 뿐만 아니라 메모리 연산키로서 M+,M-,RM,CM 또는 R·CM 등으로 약자로 표시한 기능키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전자계산기는 입력되고 있는 것을 확인시키도록 표시판넬에 현재의 상황을 표시하여 준다.
그런데 데이타 메모리 기능이 있는 전자계산기의 경우 숫자 데이타가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을때 이를테면 'M+'로 표시된 키, 또는' M-'로 표시된 키를 누르게 되면 데이타는 내장된 메모리 영역인 RAM 또는 레지스터에 들어가 저장되고 표시부에는 'M'플래그가 표시되어 메모리된 데이타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어 있다. 상기 'M+'기호는 메모리 증가키(memory plus key),'M-'키는 메모리 감소키(memory minus key)를 의미한다. 상기의 경우 숫자키를 눌러 다른 데이타를 표시부에 표시하더라도 메모리되어 있는 데이타가 있음을 알려주기 위하여, 'M'플래그는 계속 표시되어 있고 'CM'키(메모리 소거키 : memory clear key)를 눌러 메모리된 데이타를 메모리 영역에서 지울때까지 계속 'M'플래그는 표시부에 표시된다. 그리고 메모리되어 있는 데이타를 다시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RM'키(recall memory key)를 누른다.
그런데 이때 상기의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은 'CM'키를 누를때까지는 표시부에 'M' 플래그가 계속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데이타가 실제 메모리되어 있는 데이타인지 아니면 숫자키에 의해 입력된 데이타가 표시중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RM'키를 눌러 실제 메모리되어 있는 데이타를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해야만 바로 전에 표시되고 있던 데이타가 어떤 데이타였는지 확인기 가능하나, 이렇게 확인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미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데이타는 표시부에서 지워졌기 때문에 그 값을 사용자가 외우고 있었거나 다른 메모 용지에 적어놓지 않았다면 그 데이타를 소실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RM'키와, 'CM'키를 하나의 키로 합쳐놓은 'R·CM'키를 사용할 경우 더욱 문제가 된다. 즉,'R·CM'키는 한번 누르면 'RM'키의 역할을 하여 메모리되어 있는 데이타를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며 이때 다시 누르면 'CM'키의 역할을 해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지우게 된다. 그러나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데이타가 어떤 데이타인지 모를 경우에는 'R·CM'키를 눌러 확인해 볼 수밖에 없으므로 앞서 설명한 문제점 뿐만 아니라, 만약 메모리되어 있는 데이타가 현재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도중에 어떤 데이타인지 확인하기 위해 'R·CM'키를 누르게 되면 메모리영역에 있던 데이타가 지워져 버린다. 계산기 조작 능력에 따라서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데이타가 방금전에 메모리되어 있던 데이타이므로 다시' M+'키나 'M-'키를 누르면 다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는 있겠으나 조작이 어렵고 불편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메모리 증감기(M+,M-), 메모리 리콜(recall)키 (RM), 메모리 소거키(CM)의 메모리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숫자 데이타 표시부와 기능상태 표시부를 갖는 표시판넬과 중앙처리 장치 및 마스크롬과 관련된 주변회로를 갖는 본체로 구성된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데이타 표시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단계에서의 임의의 키입력시 상기 표시판넬의 기능상태 표시부에 나타나 있는 리콜 표시'R'플래그를 지우고 상기 입력된 키가 메모리 기능키일때, (i)'M+'또는 'M-'키인 경우, 기능상태 표시부에 메모리 표시 M 플래그를 표시하며, (ii)'RM'키인 경우, 메모리 영역의 존재된 데이타를 숫자 데이타 표시부에 나타내며 동시에 기능상태 표시부에 R과 M플래그를 나타내며, (iii)'CM'키인 경우, 메모리내 기억된 정보를 소거하고 키입력되는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RM키와 CM키가 하나로 된 경우의 방법을 메모리 증감키(M+,M-), 메모리 리콜/소거 기능키(R·CM)의 메모리 기능키를 포합하는 키입력부와, 숫자 데이타 표시부와 기능상태 표시부를 갖는 표시판넬과, 중앙처리장치 및 마스크롬과 관련된 주변회로를 갖는 본체로 구성된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단계에서 임의의 키입력시 상기 표시판넬의 기능상태 표시부에 나타나 있는 리콜표시'R'플래스를 지우고 상기 입력된 키가 메모리 기능키일때, (i)'M+'또는 'M-'키인 경우, 기능상태표시부에 메모리 표시 M 플래그를 표시하며, (ii)'R·CM'키인 경우, 첫번째 입력이면 메모리내의 존재하고 있는 데이타를 'R','M'플래그와 함께 표시하며, 두번째 연속 입력이면 메모리 데이타 소거하고 키입력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목적에 따른 데이타 처리방법을 물리적으로 실현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와, 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판넬(2)과, 계산기의 내부로서 각종 계산, 제어 등을 처리하는 본체(3)로 구성되고 본체는 중앙처리장치인 CPU,RAM 마스크롬(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키입력부(1)에는 편의상 M+, M-, RM, CM 키만을 도시하고 있고 그의 다른 키들을 포함한다. 표시판넬부(2)는 통상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로 되어 있고 숫자를 표시하는 부분(2A)과 기능키 입력에 따른 기능상태표시부(2B)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현재 도면에는 두 부분이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키입력부(1)의 선택된 키를 누르면, 본체(3)의 마스크롬에 구비된 플래그의 키 스캔을 하다가 눌려진 키가 무엇인지를 비교 판단하여 해당 출력을 표시판넬(2)의 숫자부나 기능표시부에 표시한다. 도면에서 기능상태 표시부(2B)의 E에서 -는 마이너스 플래그, E는 에러 플래그를 나타내며 예를 보이도록 표시한 것이다.
제2도의 흐름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흐름도가 포함된 계산기의 데이타 처리 루틴으로서 다음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의 처리루틴은 기계어로 작성되어 제1도의 마스크롬에 영구히 저장된다.
기존에는 본체내에 마련된 메모리 영역에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을때 RM키를 누르면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와 'M'플래그만을 표시부에 표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A1' 루틴에서는 먼저 스텝 2-0에서 키입력여부를 보아 키입력이 있으면 키처리전에 먼저 스텝 2-1과 같이 R 플래스가 표시부(2)에 표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되고 있으면 스텝 2-2로 가서 R 플래그를 지운다. 제1도의 표시부(2)의 오른편에는 R 플래그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의 경우 지워진다.
R 플래그를 지우고 입력된 키가 무슨 키인지를 루틴 블록(A2)에서 처리한다 .
'A2' 루틴은 입력된 키가 숫자 또는 연산지시 키일때(스텝 2-3) 표시부의 숫자부에 해당 숫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연산결과를 표시한다(스텝2-4).그후 다시 'A'로 돌아가 키입력을 기다린다. 그런데 키입력이 스텝 2-5과 같이 메모리 연산 지시키인 경우에는 먼저 제1도의 도시된 M+, M-, RM, CM중 어느것인지를 판단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해 처리하는 'A3' 루틴으로 진행한다. 스텝 2-6에서 입력된 메모리 숫자 또는 연산지시키가 메모리 증감 또는 키(M+)또는 (M-)인 경우 스텝 2-7로 가서 표시부에 M 플래그를 표시하고(제1도 참조)'A1' 루틴으로 복귀한다. 그러나 메모리 리콜(recall)키(RM)인 경우(스텝 2-8)에는 스텝 2-9로 가서 현재 메모리 영역에 데이타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메모리 영역에 데이타가 있으면 스텝 2-10으로 가서 메모리의 리콜된 데이타를 표시부의 숫자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동시에 제1도와 같이 'R', 'M' 플래그를 동시에 표시한 후 'A1' 루틴으로 간다. 그러나 메모리에 데이타가 없으면 스텝 2-11과 같이 표시부의 숫자 표시 영역에 '0'을 표시하고 'A1' 루틴으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2-8에서 RM키가 아니면 스텝 2-12로 가서 메모리 소거키인 CM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CM키인 경우에는 스텝 2-13과 같이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지우고 스텝 2-11로 진행하며 CM키가 아닌 경우에는 'A1' 루틴으로 가서 키입력을 기다린다.
상기 과정에서 보듯이 RM키 입력시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표시해 주면서 'R'과 'M' 플래그를 표시부에 나타낸다. 이때에는 2개의 플래그가 표시되고 있는데 만약 다른 키가 그후에 입력되면 리콜 표시된 자리에 그 키에 의한 값이 표시되어야 하므로 'R' 플래그는 지우고 메모리 영역에 어떤 데이타가 현재 저장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M' 플래그는 계속 표시된다. 스텝 2-1과 2-2는 상기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데이타가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인지, 아니면 다른 데이타인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또 다른 실시예로서 RM,CM키 대신에 R·CM키로 단축된 키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본 발명에서 처리되는 바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제2도에서 'A3' 루틴에 대치되는 것으로 A1과 A2 루틴과 함께 하나의 전체 루틴을 구성한다. A1과 A2 루틴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하고 제2도의 스텝 2-6에 이어 제3도의 스텝 3-0에서는 R·CM키 입력여부를 판단한다.
'R·CM'키는 연속하여 두번 눌러졌을 경우에는 다른 동작을 하므로 먼저 스텝 3-1과 같이 바로전에 R·CM키가 눌러졌는지를 먼저 판단한다. 바로전에 R·CM키가 입력되었었다면 현재는 두번째로 키입력이 된 경우이므로 스텝 3-2로 진행하여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지우고 표시부에 숫자 '0'을 표시한 후 A 루틴으로 복귀한다(스텝 3-2와 3-5참조). 그러나 스텝 3-1에서 판단후 No인 경우에는 첫번째 R·CM키입력이므로 스텝 3-3으로 가서 메모리 영역에 데이타가 있는지를 검사한 후 데이타가 있으면 스텝 3-4로 가서 스텝 2-10과 같이 메모리의 데이타와 R,M 플래그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A 루틴으로 간다. 스텝 3-3에서 메모리내 데이타가 없으며 스텝 3-5로 간다.
제4도는 제3도의 '3A' 부분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3도의 스텝3-0에서 R·CM키가 입력되었을시 스텝 4-1로 진행되어 R 플래그키가 현재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지를 검색한다. 그렇다면 제3도의 스텝 3-2로 가며 그렇지 않으면 스텝 4-2로 간다.
스텝 4-2에서는 스텝 3-3과 같이 메모리 영역에 데이타가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없으면 스텝 3-5로 진행하며 데이타가 있으면 스텝 4-3으로 진행하여 메모리되어 있던 데이타와 R,M 플래그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A 루틴으로 복귀한다.
제4도의 루틴이 제공하는 잇점은 제3도의 개선이라는 것이며, R·CM키가 2번 눌려졌는가의 여부는 'R' 플래그가 현재 표시중이지만 점검하므로써 가능하므로 프로그램 작성이 보다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고 결과는 동일하다. R 플래그가 표시중이었다는 것이 점검되면, R·CM이 연속하여 두번 입력된 것이므로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지우게 된다. 이와 같이 R·CM키 사용의 경우라도 본 발명의 데이타 표시방법을 채용하면 사용상에 편리한 잇점이 있고 데이타 손실의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에 메모리된 데이타가 표시중일때는 R과 M 플래그를 표시해주고 그외의 데이타가 표시중일때는 M 플래그만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Claims (3)

  1. 메모리 증감키(M+,M-), 메모리 리콜(recall)키(RM), 메모리 소거키(CM)의 메모리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숫자 데이타 표시부와 기능상태 표시부를 갖는 표시판넬과, 중앙처리장치 및 마스크롬과 관련된 주변회로를 갖는 본체로 구성된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단계에서 임의의 키입력시 상기 표시판넬의 기능상태 표시부에 나타나 있는 리콜 표시 'R' 플래그를 지우고 상기 입력된 키가 메모리 기능키일때, (i) 'M+' 또는 'M-'키인 경우, 기능상태 표시부에 메모리 표시 M 플래그를 표시하며,(ii) 'R·CM'키인 경우, 메모리 영역의 존재된 데이타를 숫자 데이타 표시부에 나타내며 동시에 기능상태 표시부에 R과 M 플래그를 나타내며, (iii) CM키인 경우, 메모리내 기억된 정보를 소거하고 키입력되는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처리 방법.
  2. 메모리 증감키(M+,M-), 메모리 리콜/소거 기능키(R·CM)의 메모리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숫자 데이타 표시부와 기능상태 표시부를 갖는 표시판넬과, 중앙처리장치 및 마스크롬과 관련된 주변회로를 갖는 본체로 구성된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단계에서 임의의 키입력시 상기 표시판넬의 기능상태 표시부에 나타나 있는 리콜 표시 'R' 플래그를 지우고 상기 입력된 키가 메모리 기능키일때, (i) 'M+' 또는 'M-'키인 경우, 기능상태 표시부에 메모리 표시 M 플래그를 표시하며, (ii) 'R·CM'키인 경우, 첫번째 입력이면 메모리내의 존재하고 있는 데이타를 'R','M' 플래그와 함께 표시하며, 두번째 연속 입력이면 메모리 데이타 소거하고 키입력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CM'키인 경우 표시부에 R 플래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때 메모리내의 존재하고 있는 데이타를 R 플래그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로 하고 키입력단계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처리방법.
KR1019920017544A 1992-09-25 1992-09-25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KR95000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544A KR950009762B1 (ko) 1992-09-25 1992-09-25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544A KR950009762B1 (ko) 1992-09-25 1992-09-25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706A KR940007706A (ko) 1994-04-27
KR950009762B1 true KR950009762B1 (ko) 1995-08-28

Family

ID=1934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544A KR950009762B1 (ko) 1992-09-25 1992-09-25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225B1 (ko) 2016-03-25 2016-12-28 (주)백운전기 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철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706A (ko) 1994-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6541A (en) Display control of hand-written, memorized pattern at a preselected time
EP0361869A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crolling displayed data
CA1168366A (en) Text keyboard mismatch operation
JP3431771B2 (ja) 電子機器
KR950009762B1 (ko)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KR100201513B1 (ko) 싱글 칩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것을 내장한 전자기기
JPS60186928A (ja) 小型電子計算機の表示方法
US5150293A (en) Small electronic memo data storage, display and recall apparatus
JPH0520275A (ja) 小型情報端末機
US5870318A (en) Computers with a proof function
JPS61267128A (ja) 表示消去方式
JPH04219858A (ja) グラフ表示制御装置及びグラフ表示制御方法
JPH0465424B2 (ko)
US20220276781A1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4864530A (en) Display system for a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EP0369819B1 (en) Desk top calculator
US5249147A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device of calculating complex numbers
JPH0437945A (ja) 小型電子機器
JPS60238946A (ja) スナツプシヨツトダンプ処理方式
JP2698235B2 (ja) 小型情報端末機
JPH086754A (ja) データ表示装置
JPH0537314Y2 (ko)
JPS6433683A (en) Information processor
JP3441872B2 (ja) 情報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H0216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