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997Y1 -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997Y1
KR950008997Y1 KR92028334U KR920028334U KR950008997Y1 KR 950008997 Y1 KR950008997 Y1 KR 950008997Y1 KR 92028334 U KR92028334 U KR 92028334U KR 920028334 U KR920028334 U KR 920028334U KR 950008997 Y1 KR950008997 Y1 KR 950008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knob
ribs
pressing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8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995U (ko
Inventor
노승오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92028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997Y1/ko
Publication of KR940016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제1도는 종래의 스위치 노브를 나타낸 단면구조도.
제2도는 종래의 스위치 노브의 저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노브의 저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브 11a∼11c : 지지 리브
2a∼12c : 분할 리브 13a∼13c : 누름부
14a∼14 c : 누름돌기 15a∼15b : 가이드 돌기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스위치 노브로써 다수개의 스위칭부를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 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키도록 된 스위치 노브는 대개 하나의 스위칭부를 한개의 노브가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들면, 전원의 온·오프 스위칭부 또는, 채널 및 볼륨 등의 업·다운 스위칭부와 같이 기능이 서로 대응할 경우에는 한개의 스위치 노브가 2개의 스위칭부를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의 중간지점에 지지리브(2)를 돌출형성하여 노브(1)가 이 지지리브(2)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노브(1)의 양측 저면에 누름돌기(3), (4)를 각각 형성하여 제1 및 제2스위칭부(5), (6)의 조작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위치 노브도 2개의 스위칭부만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콘과 같이 스위칭부가 많은 제품의 경우 스위치 노브가 많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제품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또한 스위치 노브의 조립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개 이상의 스위칭부를 한개의 스위치 노브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노브가 많이 설치되는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스위치 노브의 조립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전자제품의 기판상에 구비된 스위칭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노브에 있어서, 노브 중심에 다각형상의 지지리브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꼭지점에 분할리브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할리브에 의해 구분되어진 다수개의 누름부 중심에 누름돌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노브(10)의 중앙에 제1 내지 제3지지리브(11a)∼(11c)가 삼각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노브(10)는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3지지리브(11a)∼(11c)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제1 내지 제3지지리브(11a)∼(11c)가 만나는 꼭지점에는 제1 내지 제3분할리브(12a)∼(12c)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분할리브에 의해 노브(10)는 제1 내지 제3누름부(13a)∼(13c)로 분할되며, 상기 지지리브 및 분할리브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분할리브(12a)∼(12c) 사이에는 제1 내지 제3누름돌기(14a)∼(14c)가 각각 형성되고, 누름돌기의 높이는 지지리브 및 분할리브 보다 낮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노브(10)는 제3도에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외관을 고려하여 여러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노브(10)의 양측에는가이드돌기(15a), (15b)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 15a), (15b)는 전자제품 케이스의 상대물에 끼워져 스위치 노브가 작동중에 회전 또는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 노브는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예를들어 제1누름부(13a)를 누르게 되면, 노브(10)는 제1지지리브(11a)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게 되는 것이나, 제1지지리브(11a)의 수직방향쪽에는 제2분할리브(12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10)는 제1지지리브(11a)를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밖에 회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누름돌기(14a)가 하강하여 제1스위칭부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때 제1 및 제3분할리브(12a), (12c)에 의해서는 분할리브의 높이가 누름돌기보다 높기 때문에 제1누름돌기(14a)가 하강할 때 제2 및 제3누름돌기(14b), (14c)가 하강하여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2 및 제3누름부(13b), (13c)를 누르게 되면, 제2 및 제3누름돌기(14b) (14c)가 제2 및 제3지지리브(11b) (11c)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 및 제3스위칭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개의 스위치 노브로 3개의 스위칭부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노브의 변형예로서, 노브(20) 중앙에 제1 내지 제4지지리브(21a)∼(22d)가 사각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리브(21a)∼(21d)가 각각 만나는 꼭지점 부위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분할리브(22a)∼(22d)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분할리브(22a)∼(22d)에 의해 형성된 제1 내지 제4누름부(23a)∼(23d)의 중심에는 제1 내지 제4누름돌기(24a)∼(24d)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 및 분할리브는 누름돌기 보다 적어도 높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 노브도 예를들어 제1누름부(23a)를 누르게 되면, 제1지지리브(21a)를 중심으로 제1누름돌기(24a)가 하강하여 제1스위칭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제1누름돌기(24a)의 좌·우측에 형성된 제1 및 제4분할리브(22a), (22d)에 의해 제2 및 제4누름돌기(24b), (24d)는 제2 및 제4스위칭부를 오작동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내지 제4누름부(23b)∼(23d)를 각각 누르게 되면, 제2 내지 제4스위칭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에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방식으로 하면 그 이상의 스위칭부도 한개의 스위치 노브로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에 의하며, 한개의 스위치 노브로 다수개의 스위칭부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노브가 많이 설치되는 전자제품에 사용하면,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줄여 조립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기능 스위치를 한눈에 판별하여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잇점도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자제품의 기판상에 구비된 스위칭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노브에 있어서, 노브 중심에 다각형상의 지지리브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꼭지점에 분할리브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할리브에 의해 구분되어진 다수개의 누름부 중심에 누름돌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KR92028334U 1992-12-31 1992-12-31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KR950008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8334U KR950008997Y1 (ko) 1992-12-31 1992-12-31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8334U KR950008997Y1 (ko) 1992-12-31 1992-12-31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995U KR940016995U (ko) 1994-07-25
KR950008997Y1 true KR950008997Y1 (ko) 1995-10-18

Family

ID=1934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8334U KR950008997Y1 (ko) 1992-12-31 1992-12-31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9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995U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8110A (en) Steering wheel pad keyboard switch assembly
US4385218A (en) Electric switch
SG45364A1 (en) Pushbutton switch
US642391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both depressing direction and tilting direction
GB2375657A (en) Multiple switched socket outlet
KR950008997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노브
US3761664A (en) Lever switch with operating lever means detachable from movable contact carrying member only in neutral position
GB2211664A (en) Keyboard operated electrical switches
EP1581957A1 (en) Commutation device having an integrated light source
US4206335A (en) Low voltage circuit breaker having a two part insulating housing
US4208557A (en) Switches
US6264385B1 (en) Keyboard device having key-shaped spacers of a transparent resin
JPH10149740A (ja) 電気スイッチモジュール
KR0120706Y1 (ko) 모니터용 택트 버튼
KR950008996Y1 (ko) 수직형 택트 스위치 동작용 수평형 노브
JP3082339U (ja) 複式コンセント
US3389307A (en) Mating circuit breakers with spaced bus clips
KR0180487B1 (ko) 스테이션 스위치 장치
KR930003863Y1 (ko)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KR960005335Y1 (ko) 리모콘용 일체형 버튼
KR810001249Y1 (ko) 다수의 노부가 일체로 된 푸시버튼
KR101800730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940006542Y1 (ko) 온도조절기 케이스
KR910007291Y1 (ko) 시이소 버튼 고정장치
KR900001392Y1 (ko) 이중 스위치 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