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819Y1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819Y1
KR950008819Y1 KR2019930005818U KR930005818U KR950008819Y1 KR 950008819 Y1 KR950008819 Y1 KR 950008819Y1 KR 2019930005818 U KR2019930005818 U KR 2019930005818U KR 930005818 U KR930005818 U KR 930005818U KR 950008819 Y1 KR950008819 Y1 KR 950008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book
rod
sphere
read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943U (ko
Inventor
박국서
Original Assignee
박국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국서 filed Critical 박국서
Priority to KR2019930005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819Y1/ko
Priority to JP4356793U priority patent/JPH075434U/ja
Publication of KR940004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독서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 a는 본 고안 독서대 본체의 분리 사시도, b는 본 고안 독서대 본체의 요부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상,하 및 좌우이동을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 구성도.
제4도는 몬 고안 독서대 본체의 배면 사시도.
제5도 a는 본 고안 독서대 본체의 측면 작동예시도, b는 본 고안 독서대 본체의 평면 작동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한 독서대 본체와 책의 결합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 독서대 본체의 책장 지지본으로 책장을 넘기는 작동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높이조절봉
3 : 횡대 4 : 조임구
4a : 패킹 5 : 횡대결합구
5a : 압접 보울트 6 : 책꽂이
7 : 구체 연결부재 8, 8' : 구체
9, 9' : 연결나봉 10 : 독서대 본체
10a : 안내통로 11 : 책중심 고정봉
11a : 인장스프링 11b : 압접너트
12, 12' : 신축대 12a : 슬라이딩간
12b : 장홈 13 : 보울트
14, 14' : 책장지지봉 14a : 인장스프링
14b : 편심브라켓 15, 15' : 요입홈
16, 16' : 받침돌편 17, 17' : 절개홈
18 : 보울트
본 고안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자세나 시야에 따라 독서대 본체의 방향전환 및 상, 하 좌우의 거리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독서대 본체의 자유로운 방향전환 내지는 거리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누워서도 독서가 가능하며 이 경우 환자는 물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몸을 움직이지 않고 독서가 용이하도록 독서대를 선택된 위치로 고정시켜 줄 수 있다.
누워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안출된 종래의 독서대는 대부분이 사용자의 머리 상측 또는 좌우측에 다수의 지지대 및 연결간으로 연결된 독서대 본체의 구조를 취하고 있는 바, 이는 독서대 본체의 위치나 방향전환폭이 극히 협소하게 한정되어 사용자의 행동범위가 그만큼 위축되므로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즉, 편리한 독서를 위해서는 누워서 책을 읽는다던가, 또 편안한 자세에서의 독서중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독서대 본체의 신속하고 용이한 방향전환 및 위치의 조정이 요구된다 하겠다.
즉, 본 고안의 독서대는 기대와 높이조절봉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높이조절봉의 상단에는 좌,우측에 독서대본체, 그리고 책꽃이를 갖는 횡대가 횡설되어 독서대 본체의 상, 하 높이 및 횡대에 의한 좌, 우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책꽃이는 책외에도 개인 비품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특히 상기 횡대 및 독서대 본체를 구체로 연결하므로써, 독서대 본체가 자유로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한 바우 같은 상하 및 좌우 이동과 함께 사용자의 어떠한 자세에도 즉시 부합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이와함께 본 고안은 책의 견고한 고정수단, 그리고 책장을 용이하게 넘겨줄 수 있는 구조도 동시에 부여하게 되는 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로써 좌대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된 기대(1)의 상단내측으로는 높이조절봉(2)이 상, 하 유동 자재하도록 끼워져 조임구(4)로 고정되고 이 높이조절봉(2)의 상단에는 횡대 결합구(5)를 나사 결합하여 그 횡 방향으로 횡대(3)를 관통시키되, 상기 횡대(3)는 횡대 결합구(5) 상면으로 나사체결되는 압점 보울트(5a)로 압접, 고정시킨다.
상기한 조임구(4)는 그 내측에 패킹(4a)이 환착되어 있고 그 저부는 기대(1) 상단과 나사결합되며 이 조임구(4)의 나합으로 그 내측의 패킹(4a)이 기대(1) 상단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하향되면서 내경이 수축되어 높이 조절봉(2)의 외주연을 압착, 고정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조임구(4)의 구조는 파이프등의 연결 고정 및 해지수단으로 통상, 관용되고 있다.
횡대(3)의 우측에는 책꽃이(6)가 현수된 상태로 결합되며, 횡대(3)의 좌측에는 독서대 본체(10)가 결합되는 바, 이는 제2도 내지 제5도에서와 같이 독서대 본체(10) 배면 중앙에는 구체(8')가 결합된 연결나봉(9')이 나사결합되고 또 이 구체(8')는 다시 별도의 구체 연결부재(7)의 일단과 결합시키는 한편 그 타단에는 횡대(3)의 좌측 끝단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나봉(9) 및 이 연결나봉(9)에 결합된 구체(8)와 다시 결합되어지는 것으로, 즉 상기 독서대 본체(10)는 그 배면 중앙의 연결나봉(9') 및 구체(8) 그리고 구체연결부재(7), 및 구체(8), 연결나봉(9)의 순서로 횡대(3)와 순차 결합되는 것이다.
독서대 본체(10)의 중앙부 상하단에는 절개홈(17)(17')을 형성한 받침돌편(16)(16')이 일체로 돌설되며, 상기 받침돌편(16)(16')의 절개홈(17)(17') 내측으로는 책 중심고정봉(11)의 상, 하단이 끼워지게 되는 바, 책중심 고정봉(11)의 상단은 인장 스프링(11a)으로 그 절개홈(17)의 내측과 연결되고 하단은 압접너트(11b)나 나사 결합된다.
또 독서대 본체(10)의 양측면 상하단에는 안내통로(10a)가 형성되며, 이 안내통로(10a)의 내측으로는 신축대(12)(12')의 내측면 상하단에 일체로 장설된 슬라이딩간(12a)이 유동자재하게 끼워져 상기 신축대(12)(12')가 독서대 본체(10)의 양측면에서 각각 좌,우로 유동가능케 하므로써 독서대 본체(10)의 좌, 우 폭을 확대 및 축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각 슬라이딩간(12a) 상면 또는 저면에는 장홈(12b)이 요설되며 이 장홈(12b) 내측으로는 독서대 본체(10)의 양측 상면 및 저면에 나사식으로 끼워지는 보울트(13)가 각 슬라이딩간(12a)의 좌, 우 작동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삽입되게 한다.
이는 제2도 b에서와 같이 신축대(12')를 독서대 본체(10)의 측방으로 확장할때 그 슬라이딩간(12a)의 장홈(12b) 끝부분 내벽면이 상기 보울트(13)에 접면 제어되게 하므로써 각 신축대(12)(12')가 독서대 본체(1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신축대(12)(12')에는 책장지지봉(14)(14')이 결합되는 바, 이 책장지지봉(14)(14')은 그 상하단이 각각의 인장스프링(14a)으로 연결되며 이 인장스프링(14a)의 일단은 책장지지봉(14)(14')을 지지하는 편심 브라켓(14b)의 일단과 함께 보울트(18)로 축설시켜 상기 책장지지봉(14)(14') 및 신축대(12)(12')를 상호연결시킨다.
또 상기 책장지지봉(14)(14')의 외면은 실리콘 고무등이 환착되어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 책장지지봉(14)(14')은 상기한 인장스프링(14a) 및 편심브라켓(14b)의 결합상태와는 관계없이 자체적인 회동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신축대(12)(12')의 중앙부 일측으로는 요입홈(15)(15')을 요설하여 이를 통한 책장지지봉(14)(14')의 당김 작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19)는 책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독서대 본체(10)의 상하폭은 충분히 부여하여 왠만한 책, 상하폭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독서대 본체(10)는 그 양측에 결합된 신축대(12)(12')를 외방으로 각각 빼내어 그 좌우폭을 확대, 또는 축소 할 수 있는 바, 즉 읽고자 하는 책(19)을 폈을때 그 좌우폭의 거리와 부합되는 폭으로 상기 신축대(12)(12')를 각각 외방으로 빼내주게 된다.
또 이때의 신축대(12)(12')는 그 내측면 상하단에 일체로 장설된 슬라이딩간(12a)이 독서대 본체(10)의 양측단 상하단에 형성된 안내통로(10a)내에서 슬라이딩 되므로 그 좌우이동이 유동없이 원활하게 수행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책(19)을 고정하게 되면 이 책(19)의 지지력으로 신축대(12)(12')의 유동은 방지된다.
책(19)의 고정상태는 제1도 및 제6도에서 예시되고 있다.
책(19)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책(19)의 절반 정도를 펼친 다음 제6도에서와 같이 책중심 고정봉(11)의 저부를 들어올려 독서대 본체(10) 중앙에 책(19)을 인착한다.
이어서 상기 책 중심 고정봉(11)을 책(19) 중심부의 세로방향으로 압압하면서 그 저부를 받침돌편(16')의 절개홈(17')쪽으로 끼워 그 저단부의 압접너트(11b)를 나사결합하면 이 압접너트(11b)가 저부의 받침돌편(16') 저면에 압접되어 책 중심고봉(11)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 이때의 책 중심고정봉(11)은 절개홈(17) 내측으로 연결된 인장스프링(11a)에 의해 그 상단이 당겨지고 있으므로 책(19)의 중심부를 세로방향으로 견고히 압압하게 된다.
이와같이 책(19)이 약 반분된 정도로 펴져 그 중앙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읽어야 할 페이지를 찾아 일측으로 넘긴다음 그 책(19)의 양단을 책장지지봉(14)(14')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 책장지지봉(14)(14')은 그 상하단이 일측의 보울트(18)로 축설된 인장스프링(14a) 및 편심브라켓(14b)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책장지지봉(14)(14')에는 인장스프링(14a)의 인장력이 미치게 되나 인장스프링(14a)의 설치방향쪽으로는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편심브라켓(14b)에 의해 그 인장력이 제어되고 있는 반면 신축대(12)(12') 쪽으로는 지속적인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책장지지봉(14)(14')은 신축대(12)(12')와 견고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 신축대(12)(12')의 일측 중앙에는 요입홈(15)(15')이 요설되어 있는 바 이 요입홈(15)(15') 쪽으로는 손가락을 약간만 집어넣어 상기 책장지지봉(14)(14')을 외방으로 당겨주면 책장 지지봉(14)(14')은 인장스프링(14a) 및 편심브라켓(14b)과 함께 보울트(18)를 편축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신축대(12)(12')와 분리되며, 이어, 책(19)의 양단을 분리된 신축대(12)(12') 및 책장지지봉(14)(14') 사이로 위치시킨 다음 각 책장지지봉(14)(14')의 당김을 해지하면(14)(14')은 인장스프링(14a)의 인장력에 의해 원상복귀 되면서 책(19)의 양단을 견고히 압압하여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를 선택하여 독서대 본체(10)에 책(19)을 일단 고정시킨 다음 독서대 본체(10)가 사용자와의 적당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이때의 사용자는 그 시야나 자세에 따라 독서대 본체(10)의 상하 높이나 좌우거리를 조절하게 되는 바, 독서대 본체(10)의 상하 높이의 조절은 기대(1) 및 높이조절봉(2)을 결합한 조임구(4)를 나해하여 높이조절봉(2)의 높낮이를 임의의 위치로 조정한 다음 다시 조임구(4)로 조여 고정시키면 되고 독서대 본체(10)의 좌, 우 거리조절은 높이조절봉(2) 상단에 결합된 횡대 결합구(5)의 압접보울트(5a)를 나해하여 상기 횡대결합구(5)에 관통, 설치된 횡대(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거리만큼 이동시킨 다음 다시 압접보울트(5a)를 나합하여 횡대(3) 상면을 압접, 고정시켜 주면 된다.
독서대 본체(10)는 각 구체(8)(8')에 의한 연결구조로써 그 자체적인 방향전환의 범위는 매우 크다.
즉 제5도 a b에서와 같이 그 배면의 연결나봉(9')으로 결합된 구체(8')가 그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가 구체연결부재(7)에 삽설된 구조로써 그 구체(8')의 호형면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자체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므로 이와 연결된 독서대 본체(10)는 상하 및 좌우 어느방향으로도 변화될 수 있는 것이며 그 변화의 폭도 매우 큰 것이다.
이와함께 구체연결부재(7)는 횡대(3)와 결합된 연결나봉(9)의 구체(8)와 다시 결합되어 있는바 즉 이연결부재(9)까지도 상기 구체(8)에 의해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경우 전술한 구체(8')에 의한 독서대 본체(10)의 방향전환에 더하여 구체연결부재(7)를 조작하여 상기한 구체(8')와 함께 독서본체(10)의 방향을 전체적으로 다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독서대 본체(10)의 방향전환 범위를 가일층 확대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독서대 본체(10)의 방향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운상태 또는 기타 편안한 자세에서 시야와 극히 부합되는 위치로 독서대 본체(10)의 방향을 간단히 일치시켜 줄 수 있으며 또 독서중 최초의 위치나 자세가 다소 변화되더라도 독서대 본체(10)의 방향을 극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야와 일치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책장을 넘겨 줄 경우에는 각 책장지지봉(14)(14')의 저단부 또는 상단부를 손으로 돌려주어 책장지지봉(14)(14')을 회동시켜 주게 되는 바, 이는 제7도에서 나타내고 있다.
즉, 독서중 책장을 넘기고자 할 경우 제7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책장지지봉(14')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이 책장지지봉(14')의 외면에는 접촉계수가 양호한 실리콘 고무가환착되어 있어 제일 상면의 책장이 그 책장지지봉(14')에서 무리없이 빠져나오게 되며, 이렇게 빠져나온 책장을 왼쪽으로 넘긴 다음 좌측의 책장지지봉(14) 저부쪽으로 진입시켜 다시 이책장지지봉(14)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이 역시 그 외면에 환착된 실리콘 고무의 양혼한 접촉력으로 진입된 책장을 끌어 당겨 책(19)의 상면을 팽팽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책장은 완전히 넘겨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횡대(3)의 일측에는 책꽃이(6)가 구비되어 있어 다수의 책을 항상 비치하여 두고 선택적으로 교환할수 있고 책외에도 기타 비품등을 보관하여 주므로써 독서중 이를 편리하게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책을 안착하는 독서대 본체의 다양한 방향전환, 그리고 책의 크기에 따른 확대 및 축소, 또 상하높이의 조절내지는 좌우거리등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그조작수단도 극히 용이하고 신속하며 또 사용자의 위치나 자세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신체가 부자유스러운 환자나 장애자 등에게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겠다.

Claims (3)

  1. 기대(1) 상부와 조임구(4)로 결합된 높이조절봉(2)의 상단에 횡대결합구(5)를 결합하여 그 횡방향으로는 상부의 압접보울트(5a)로 고정되는 횡대(3)를 관설하고, 횡대(3)의 우측에는 책꽃이(6)를, 그리고 좌측에는 연결나봉(9), 구체(8), 구체연결부재(7) 및 구체(8'), 연결나봉(9')의 순서로 결합여 된 독서대 본체(10)를 구성하며, 독서대 본체(10)의 상, 하단에는 절개홈(17)(17')을 갖는 받침돌편(16)(16')을 돌설하되 이 절개홈(17)(17')에는 책중심 고정봉(11)을 끼워주는 한편, 독서대 본체(10)의 양측에는 중앙일단에 요입홈(15)(15')을 갖는 신축대(12)(12')를 결합하되 이 신축대(12)(12')에는 일단이 보울트(18)로 축설된 인장스프링(14a) 및 편심브라켓(14b)을 상하단에 구성하여 책장지지봉(14)(14')의 상하단과 각각 결합하여 된 독서대.
  2. 제1항에 있어서, 독서대 본체(10)의 양측면 상하단에는 안내통로(10a)를 형성하여 신축대(12)(12')의 내측면 상하단에 일체로 장설된 슬라이딩간(12a)이 유동자재하도록 삽설하는 한편, 슬라이딩간(12a)의 상면 또는 저면에는 장홈(12b)을 요설하여 독서대 본체(10) 양측, 상,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보울트(13)가 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슬라이딩간(12a)의 끝단이 이 보울터(13)에 제어되도록 한 독서대.
  3. 제1항에 있어서, 받침돌편(16)(16')의 절개홈(17)(17')에 끼워진 책중심 고정봉(11)의 상단은 인장스프링(11a)으로 그 절개홈(17)의 내측으로 연결하고 하단에는 압접너트(11b)를 결합하여 된 독서대.
KR2019930005818U 1992-08-11 1993-04-13 독서대 KR950008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818U KR950008819Y1 (ko) 1992-08-11 1993-04-13 독서대
JP4356793U JPH075434U (ja) 1993-04-13 1993-08-09 書見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5079 1992-08-11
KR920015079 1992-08-11
KR2019930005818U KR950008819Y1 (ko) 1992-08-11 1993-04-13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43U KR940004943U (ko) 1994-03-16
KR950008819Y1 true KR950008819Y1 (ko) 1995-10-16

Family

ID=7085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818U KR950008819Y1 (ko) 1992-08-11 1993-04-13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8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07B1 (ko) * 2006-04-10 2007-12-18 권민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WO2008032991A2 (en) * 2006-09-13 2008-03-20 Sang-Rae Park A reading des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538A (ja) * 2001-03-30 2002-10-08 Soutetsu Kk 書見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07B1 (ko) * 2006-04-10 2007-12-18 권민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WO2008032991A2 (en) * 2006-09-13 2008-03-20 Sang-Rae Park A reading desk
WO2008032991A3 (en) * 2006-09-13 2008-06-05 Sang-Rae Park A reading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43U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135B2 (en) Electric height adjustable desk with synchronous moving mechanical footrest
US4036465A (en) Adjustable stand
US5667278A (en) Combinational chair, recliner and typing stool
KR100828529B1 (ko) 무릎 책상
US20240049887A1 (en) Face Hammock
US2740465A (en) Foldable lounge chair
KR950008819Y1 (ko) 독서대
US4614377A (en) Foldable lounge chair
US5109556A (en) Camp cot with adjustable to tensioning
US5678893A (en) Chair, in particular office chair, with an adustable height back-rest construction
US9980562B2 (en) Tray table apparatus
JPH0397415A (ja) ソファー寄り掛かり部の可逆的に変形自在のフレーム
GB2295961A (en) Chair leg assembley with three legs
US5588695A (en) Foldable beach chair
EP4122357A1 (en) Foldable article frame angle displacement device
KR200470234Y1 (ko) 다용도 침대
KR950008821Y1 (ko) 상하좌우 조절이 용이한 이동식 독서대
CN107303088B (zh) 便携式组合桌凳
US20050264070A1 (en) Electric erecting chair
KR200299207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010011239A (ko) 접철형 의자
JP2003047532A (ja) 可動載置台付き家具
KR200237407Y1 (ko)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JP3138071U (ja) 屈伸運動補助機能を備えた椅子
KR200358698Y1 (ko) 높이조절 장치를 구비한 책걸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