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762B1 -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762B1
KR950008762B1 KR1019910022907A KR910022907A KR950008762B1 KR 950008762 B1 KR950008762 B1 KR 950008762B1 KR 1019910022907 A KR1019910022907 A KR 1019910022907A KR 910022907 A KR910022907 A KR 910022907A KR 950008762 B1 KR950008762 B1 KR 95000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tre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027A (ko
Inventor
이형재
박원재
박수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평양
한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평양, 한동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to KR101991002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762B1/ko
Publication of KR93001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몰약(沒藥), 오배자(五倍子), 가자(訶子), 측백엽(惻柏葉), 은행엽(銀杏葉)으로부터 얻은 식물추출물을 배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피지 분비 과잉, 피부 각질화 과잉 및 혐기성 피부 상재균인 프로피오니오박테리움아크네균에 의한 염증 진전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기위해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항안드로겐제, 항염증 작용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 그리고 항균 효과가 있는 레조시놀, 유황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와 항생 효과가 있는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및 메크로사이클린 등에 의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의 활성 억제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레티노익산 등의 비타민 A유도체를 이용한 치료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여드름 치료에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효과적인 면이나 부작용 측면에 있어서 아직 몇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호르몬제의 사용은 표피의 생장 억제나 기타 호르몬 남용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레티노익산과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은 피부의 자극성과 접촉성 피부염의 우려가, 테트라사이클린을 위시한 항생 물질은 내성균의 출현 및 광과민 작용의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여드름의 원인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에 대해 특이적인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장기간 사용해도 안정성이 높은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각종 식물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해 오던 중, 한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몇 식물 추출물들이 여드름 균에 대해 낮은 농도에서도 강력한 항균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몰약(Commiphora molmal L.)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몰약 추출물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오배자(Melaphis chinensis Bel1), 가자(Perminmalia chabrila Retz), 측백엽(Biota orientalis(L) Enbl) 및 은행엽(Ginkgo biloga)으로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은, 후술하는 시험예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드름균에 대해 탁윌한 항균활성을 갖는 몰약 추출물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몰약은 아프리카 동부, 적도 북부 및 아라비아 남부에서 자라는 코미포라속(감람나무과 Burseraceae)의 껍질 부위에 생긴 상처 부위에서 흘러나와 굳어진 고무 수지로서, 방부 작용이 있어 화농성 궤양, 아구창, 수렴제등에 사용되어 왔다. 오배자는 루스 자바니카(Rhus javanica L.: 옻나무과 Anacardiaceae)의 오배자 진딧물(솜진딧물과 Erilosomatidae)의 유충이 자극을 주어 생긴 벌레집으로서, 50∼70%정도로 항유된 탄닌(tannin) 성분이 있어 염료, 가죽 공업, 잉크 제조 및 수렴제 원료로 사용되어왔다.
본 발명 조성물의 주요 성분의 추출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 용매로서, 추출 방법으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건조된 식물에 5∼10배량의 메탄올, 에탄올 혹은 아세톤 등의 극성 용매를 가하여 1∼7일간 실온에서 침적 추출하거나, l∼5시간 가온 추출하여 식물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을 피부 의용제의 형태로 하는 경우 피부 의용제 중의 식물 추출물의 배합량은 전체의 0.001∼2%, 특히 0.05∼0.5%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을 상기한 식물추출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피부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여드름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어 온 벤조일 퍼옥사이드나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등의 향균제나 항엔드로겐제, 스테로이드 등의 호르몬류, 레티노익산 등의 비타민 A 유도체와 병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 의용제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서 크림, 로션, 스키로션, 팩, 화운데이숀 뿐만아니라 비누, 세안홈과 같은 세안료 등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데, 통상의 피부 의용제의 제조 방법을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몰약, 오배자, 가자, 측백엽, 은행엽으로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들은 다음에 설명하는 시험에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드름의 주요 원인의 하나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균을 강력히 저해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물들은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로서 체내 섭취에서도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으며, 또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금도 거의 없는 극히 안전한 식물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 실시예 및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추출물 제조 실시예 l]
오배자(건조 생약재)를 분쇄한 것 50g에 메탄올 500m1를 가하여 실온에서 10일간 침적하여 추출 여과한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발하여 33.5g의 농축물을 얻었다.
[추출물 제조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몰약, 가자, 측백엽, 은행엽을 각각 추출 여과하고 감압 증류하여 0.8, 5.4, 6.7, 4.5g의 농축물을 각각 얻었다.
[시험예 1] 항균 활성의 측정
한천 희석법에 의해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즉,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각종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가열 멸균한 브레인 허트 인퓨전 한천 배지(BHI Agar)에 각종 농도로 희석한 다음 샤레에 붓고 굳힌 후, 시험균을 도말하여 37℃에서 혐기 상태로 배양하였다.
48∼72시간 배양한 후, 생육 상태를 관찰하여 균이 생육하지 않는 최소 농도를 최소 저지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하여 각 시료의 항균력을 비교하있다. 그 결과는 표 1과같다.
[표 1]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몰약 추출물의 다른 식물 추출물이나 종래 여드름 치료제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벤조일 퍼옥사이드에 비해 탁월한 항균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뿐만아니라 오배자, 가자, 측백엽 및 은행엽 추출물들도 모두 벤조일 퍼옥사이드에 비해 2∼4배 정도의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몰약 추출물과, 오배자, 가자, 측백엽 및 은행엽으로 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들 중 1종 이상을 혼용하는 경우 우수한 여드름 치유효과가 기대된다.
[시험예 2] 여드름 치료 효과 측정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여드름 치료에 관한 임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 2와 같은 조성을 갖는 실시예 l 및 비교예의 스킨 로션을 제조하여 여드름 보유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즉, 여드름이 발생하고 있는 2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표 2의 조성을 갖는 스킨 로션을 매일 2회, 20일간 사용하면서 여드름 치료 상태를 육안 및 사진 촬영에 의해 확인하여 그 효과를 판정하였다.
[표 2]
[표 3]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여드름 치료 효과는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크림
실시예 5
로션
실시예 6
유액상 파운데이션
실시예 7
비누

Claims (2)

  1. 몰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오배자, 가자, 측백엽 및 은행엽으로부터 얻은 식물추출물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KR1019910022907A 1991-12-13 1991-12-13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KR95000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907A KR950008762B1 (ko) 1991-12-13 1991-12-13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907A KR950008762B1 (ko) 1991-12-13 1991-12-13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027A KR930012027A (ko) 1993-07-20
KR950008762B1 true KR950008762B1 (ko) 1995-08-08

Family

ID=1932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907A KR950008762B1 (ko) 1991-12-13 1991-12-13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7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120B1 (ko) * 1997-11-13 2001-04-02 강상모 피부트러블억제용식이조성물
WO2004016239A1 (en) 2002-08-14 2004-02-26 Sk Chemicals, Co., Ltd. Topical formul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cne
US11154580B1 (en) 2020-04-10 2021-10-26 CELIM BIOTECH Co.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cne symptoms us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131B1 (ko) * 2001-08-22 2004-07-21 애경산업(주) 천연 향유를 함유하는 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KR20030073441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웰스킨 탄닌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0861415B1 (ko) * 2007-04-27 2008-10-07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항산화 및 피부 진정용 화장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120B1 (ko) * 1997-11-13 2001-04-02 강상모 피부트러블억제용식이조성물
WO2004016239A1 (en) 2002-08-14 2004-02-26 Sk Chemicals, Co., Ltd. Topical formul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cne
AU2003248504B2 (en) * 2002-08-14 2007-05-17 Sk Chemicals Co., Ltd. Topical formul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cne
EP1553920A4 (en) * 2002-08-14 2008-12-10 Sk Chemicals Co Ltd TOPICAL PREPARA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CNE
US11154580B1 (en) 2020-04-10 2021-10-26 CELIM BIOTECH Co.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cne symptoms us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027A (ko) 199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2915055A (zh) 一种舒缓多效除螨组合物及其应用
KR101827771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57824B1 (ko) 여드름치료및예방에효과가있는천연물함유화장품
KR950008762B1 (ko)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KR10227987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onalkar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cosmetic cream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5829A (ko) 피탄트리올과 헥사미딘디이세치오네이트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251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지질 생성 억제 및 피지 분비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57417B1 (ko)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EP0668768A1 (de) Zusammensetzung zur bekämpfung von dermatomykosen und deren erregern sowie von schweissbildung und körpergeruch.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0610951B1 (ko)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102071600B1 (ko) 민감성피부 및 피부트러블 개선용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KR20210020817A (ko)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100892742B1 (ko) 여드름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9717B1 (ko)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렴 화장료 조성물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KR100441131B1 (ko) 천연 향유를 함유하는 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9160A (ko) 유근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748B1 (ko) 미성숙 열매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0154648B1 (ko) 양모제 조성물
KR930004934B1 (ko)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