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701B1 -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701B1
KR950008701B1 KR1019910008097A KR910008097A KR950008701B1 KR 950008701 B1 KR950008701 B1 KR 950008701B1 KR 1019910008097 A KR1019910008097 A KR 1019910008097A KR 910008097 A KR910008097 A KR 910008097A KR 950008701 B1 KR950008701 B1 KR 95000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detection
value
determination
correl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119A (ko
Inventor
요 에구사
히로시 아카호리
아쯔시 모리무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3067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62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30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15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094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64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094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80370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2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15Mot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23Analysis of motion using block-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27Global motion vector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145Movement est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판정치의 함수를 표시한 도면.
제9도는 판정치의 등고선을 표시한 도면.
제10도는 판정치의 변환결과를 표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4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5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5실시예의 신뢰성판정수단과 판정치변환수단의 상세구성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5실시예의 신뢰성판정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6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7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8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9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의 상세구성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9실시예의 벡터의 웨이팅수단(17)의 상세구성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0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1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2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3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4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5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27도는 판정 조건의 변경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28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6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2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7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8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9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0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1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2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3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4실시예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7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5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38도는 제2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6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4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7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41도는 제2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8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4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9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4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0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45도는 움직임벡터의 검출영역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제46도는 제30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7도는 움직임벡터의 검출영역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제48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1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4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2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5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3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5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4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5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53도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순서도.
제5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5, 제36, 제3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동작 및 화면중의 각 검출영역의 배치를 표시한 도면.
제55도는 움직임벡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6도는 화면의 내용과 평균치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57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6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58도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순서도.
제5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60도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순서도.
제61도는 유사도와 움직임벡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2도는 움직임벡터와 유사도의 동작을 표시한 도면.
제6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8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64도는 화면내의 검출영역을 표시한 도면.
제65도는 제64도의 검출영역에 이동물(자동차)이 침입한 도면.
제6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67도(a)는 검출영역에 이동물(자동차)이 침입한 도면, (b)는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된 검출영역을 표시한 도면.
제68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40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69도(a)는 검출영역에 이동물(사람)이 침입한 도면, (b)는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클러스터화한 도면.
제70도는 클러스터화된 검출영역을 표시한 도면.
제7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4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
제72도(a)는 검출영역에 이동물(사람)이 침입한 도면, (b)는 클러스터화된 검출영역을 표시한 도면.
제73도는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종래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응용에의 블록도.
제74도, 제77도, 제79도, 제80도, 제81도는 종래예의 흔들림보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5도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신뢰성판정수단의 상세구성도.
제76도는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78도는 종래예의 판정조건의 애매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82도는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신뢰성판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41)(61)(68)(131)(149)(158)(169)(201)(301) : 화상신호입력단자
(2)(22)(202)(302) : 벡터검출수단 (3)(23)(203)(303) : 상관치검출수단
(4)(305) :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
(5)(9)(10)(13)(24)(28)(31)(35)(44)(64)(71)(151)(171)(205)(310)(318)(319)(321) : 신뢰성판정수단
(6)(15)(16)(27)(29)(34)(36)(46)(66)(73)(162)(174)(206)(311)(320) : 움직임벡터결정수단
(7)(38)(47)(67)(74)(134)(153)(163)(175)(208) : 흔들림보정수단
(8) : 신뢰성판정정보검출부 (11)(14) : 판정치변환수단
(12)(39)(57)(58)(82)(136)(139)(142)(146)(154)(164)(176)(207)(213)(230)(235)(236)(239) : 움직임벡터
(17) : 벡터의 웨이팅수단 (18) : 감쇠기
(19) :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 (20) : 판정조건변경수단,
(25)(26) : 영역간의 상관치의 차검출수단
(30) :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수단
(32)(33) : 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검출수단
(37) : 움직임벡터검출장치
(42)(62)(69)(132)(150)(159)(170)(204) :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43) : 정지판정수단 (45)(65)(72) : 판정결과도출수단
(48)(49)(50)(51)(75)(76)(77)(78)(135)(138)(141)(145)(155)(165)(167)(177)(179)(209)(210)(211)(212)(243): 벡터검출영역
(52)(79)(144)(148)(157)(166)(168)(178)(180)(246)(251) : 이동물
(53)(54)(55)(80)(81)(247)(249)(252) : 각 검출영역의 상관치
(244) : 배경의 움직임벡터 (60)(238) : 비데오카메라의 움직임벡터
(59)(85)(214)(237)(242) :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
(63) : 최소판정수단 (70) : 유사도판정수단
(83)(240) : 비데오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에 이동물의 움직임이 가산된 벡터
(84)(241) : 비데오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
(133)(152) : 웨이팅처리수단
(137)(140)(143)(147)(156) : 웨이트 계수
(160)(172) : 클러스터화수단 (161)(173) : 손흔들림 그룹판정수단
(248)(250) : 상관치의 최소치 (56)(234)(245) : 이동물의 움직임벡터,
(228)(229) : 입력화상 (231) : 보정하는 방향
(226)(227) : 흔들림이 큰 화상 (232)(233) : 보정화면,
(215) : 소영역 (217) : 대표점
(218) : 편위한 위치 (216) : 확대한 소영역
(219) : 화면 (220) : 비교회로,
(304) : 평균연산부 (306)(307)(308) : 영역간의 차검출수단,
(309)(317)(323) : 이동물검출수단 (322) : 벡터차검출수단.
본 발명은 주로 비데오카메라의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한 화면전체의 움직임 벡터를 화상신호로부터 검출하는 장치 및 비데오카메라의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한 화면전체의 불필요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보정부를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269475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다.
제73도는 이 종래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응용예로서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장치의 블록도를 표시한 것이며, (201)은 화상신호입력단자, (202)는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회로, (203)은 상관치검출부, (204)는 벡터검출회로(202)와 상관치검출부, (203)를 합한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205)는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206)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 (207)은 흔들림보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먼저 입력 단자(201)에 적어도 2필드 이상의 시간적으로 연혹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202)에서는, 제7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미리 화면(219)내에 4개의 벡터검출영역(209),(210),(211),(212)의 정해져 있으며, 또 검출영역은 대표점(217)을 가진 다수의 소영역(215)으로 분할되어 있다(벡터검출영역은 4개 이상이어도 된다), 2필드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소영역의 대표점에 있어서, 2필드간의 소정범위의 양(i,j) : imim<i<imax, jmax<j<jmax편이한 위치(218)의 신호와의 차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소영역의 종합을 취한다. 상관치는 다음식에 의해서 구해진다.
|ΔL|(j,i) : 좌표 (i,j)와 대표점과의 신호의 차의 절대치
n : 1개의 검출영역중의 소영역의 수
상관치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j',j')를 검출하여 이것을 각 검출영역의 벡터(213)로 한다. 또 상관치검출부(203)는, 그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를 구하여, 움직임벡터의 값과 함께,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205) 및 움직임벡터결정수단(206)에 출력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205)의 상세구성을 제75도에 표시한다. 신뢰성판정수단에서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가 비교회로(220)에 입력되고, 미리 설정된 설정치(판정조건의 임계레벨)Ref와 비교된다. 비교회로(220)에서는 예를들면 평균치가 설정치를 하회하면 신뢰성이 없다(신뢰성=0)고 판정하고, 그 이외일때는 신뢰성이 있다(신뢰성=1)고 판정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206)에서는 각 영역의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로부터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영역의 벡터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해서 출력한다. 제76도는 스텝 221에서 시작하며, 스텝 222는 제73도(204)에, 스텝 223은 제73도(205)에, 스텝 224는 제73도(206)에 대응하고, 스텝 225에 움직임벡터를 출력한다.
흔들림보정수단(208)은 1필드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을 가지고, 이곳에서부터의 신호의 판독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제77도(226),(227)로 표시한 바와같이 흔들림이 큰 화상이 입력될 때, 제n-1필드, 제 n필드의 입력화상신호에 대해서, 움직임벡터결정수단(206)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230)를 토대로, 그 움직임을 보정하는 방향(231)으로 화상의 화면을 (229)로부터 (228)로 병행이동하고, 또 보간등에 의해서 화면의 확대 등의 조작을 하여, 흔들림이 적은 1화면크기의 화상신호(232),(233)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것은,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로부터 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있으나, 이 밖에 상관치의 최소점과 그 주변의 점의 값의 차, 즉 최소점의 주변의 기울기로부터 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것, 또 최소치의 값만으로 판정하는 것 등 상관치의 상태로부터 신뢰성을 판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종래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 등의 상관치의 현재상태에서 신뢰성의 판정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각 시점에서는 상관치는 노이즈 등에 의해서 확률적으로 흔들리고 있기 때문에, 각 시점에서의 상관치만으로는 정확한 신뢰성이 판정을 행할 수 없다.
또 종래와 같이 미리 설정한 임계레벨을 경계로 신뢰성이 있는지 없는지의 〔0,1〕의 2치 판정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판정조건의 임계레벨의 어느 범위내에서 신뢰성판정에 애매성이 있을 때, 즉 제7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건1, 조건2의 임계레벨에 대해서 각각 W1, W2의 폭에서 신뢰성판정에 애매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제 제7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D1과 D2의 2개의 데이터가 있다고 하자, D1과 D2의 데이터는 동일조건아래서 얻어진 데이터이나, 노이즈 등에 의해서 확률적으로 흔들리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얻어졌다고 생각한다. 이때 2개의 데이터는 본래 같은 것이며, 서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건2에 대해서 애매한 판정영역에 들어있기 때문에, D1은 신뢰성있음. D2는 신뢰성 없음으로 판정된다. 그러나 조건1에 대해서는 명백하게 신뢰성있음의 영역에 속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D1, D2모두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되는 것이 옳지만, D2를 신뢰성없음으로 오판해버린다.
이상과 같은 원인에 의해, 종래의 구성에 의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는, 이동물이 화면내에 들어있지 않는데도 이동물이 들었다고 오검출하거나, 이동물이 화면내에 들어온 경우에 이동물의 움직임이 가산된 벡터가 검출되는 일이 많았다. 따라서 흔들림보정수단은, 보정이 중단되거나, 이동물의 움직임이 가산된 벡터가 검출되어 촬영자가 의도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이 보정되어 오동작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다음에, 종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에서는, 움직임벡터검출장치는 각 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결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의 결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물이 화면내에 들어온 경우에 오동작하는 일이 많았다. 즉, 이동물의 검출은 각 영역마다 독립하여 행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이동물의 검출성능을 얻을 수 없었다.
이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79도(a)는 이동물이 화면내에 들어온 경우, 제79도(b)는 카메라에 일정주기의 진동을 부여한 경우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을 표시한 것이다. 제79도(a)에 T1로 표시한 기간이 이동물이 존재하는 기간이며, 제79도(b)에 T2로 표시한 기간이 카메라에 진동을 부여한 기간이다. 여기서 이동물에 의한 움직임과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을 구별하기 위하여 상관치의 레벨에 주목한다. 이동물의 경우는 이동물의 침입에 의해서 상관치가 크게 증가하나, 카메라의 흔들림의 경우는 상관치의 변동은 적다. 그래서 어느 레벨보다 상관치가 큰 경우는 이동물이라고 해서 신뢰성없음으로 판정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이동물이라도 상관치의 변동이 적게 하고, 카메라의 흔들림이라도 상관치가 크게 변동하는 일이 있어, 각 영역에 있어서 양자를 바르게 판별하는 것은 곤란하다.
다음에 이동물이 화면내에 들어온 경우, 이동물의 움직임이 가산된 움직임벡터가 검출되는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 흔들림보정수단은 촬영자가 의도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을 보정하여 오동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비데오 카메라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물(52)이 화면을 통과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최초 제54도의 구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느 검출영역(48)중에, 배경과 이동물이 양쪽 존재하고 있을때는, 상관치(53)의 상태에 따라서, 그 검출영역(48)은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되고 있다. 한편, 검출영역(49)의 정지배경은, 신뢰성판정 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되는 것이 요망하나, 배경이 비치는 상태에 따라서는, 상관치(54)와 같이 신뢰성없음으로 오판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제54도의 구간(b)에 표시한 바와같이 어느 검출영역(48)의 대부분을 차지한 경우, 그 검출영역으로부터는 이동물의 움직임을 표현한 움직임벡터가 검출되고, 또한 상관치(53)는 소정의 값보다 작은 값(55)을 표시하고,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다. 또 검출영역(49)의 배경은 여전히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되고 있으며, 그 결과 이동물의 움직임이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서 채용되고, 이것을 토대로 흔들림보정하면 정지배경쪽이 움직여서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된다(검출 영역(50),(51)의 동작은 이때 각 (48),(49)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80도는 그때의 각 검출영역의 벡터와 화상전체의 움직임벡터를 표시하고 있다. 벡터(234)는 제54도의 이동물(52)의 벡터에, 벡터(235)는 제54도의 검출영역(48)의 벡터에, 벡터(236)는 제54도의 검출영역(49)의 벡터에, 벡터(237)는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에, 벡터(238)는 배경의 벡터에 대응하고 있다. 또 제80도의 구간(a)∼(e)는 제54도의 구간 (a)∼(e)에 대응하고 있다. 제54도의 구간(a)∼(e)의 시점에서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는 제80도의 (23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되고, 이 벡터를 토대로 흔들림보정을 행하면, 제80도의 구간(b)의 상태에서 갑자기 이상한 보정이 일어난다. 또 제80도의 벡터 전체에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벡터가 가산되는 일도 있으나,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이상한 보정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또 종래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서는, 화면이 흔들리고 있어 그 보정이 행해지고 있을 때, 비치는 상태로부터 갑자기 신뢰성판정수단의 신뢰성이 없음으로 되어, 벡터결정수단으로부터 0벡터가 출력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흔들림보정 수단은 동작하지 않고, 화면은 흔들린 보기 흉한 영상이 된다.
이하 제61도와 제81도에서 구체예로 설명한다. 제61도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표시한 보정전의 화면과 검출영역(75),(77)과 그 상관치(80), 검출영역(76),(78)과 그 상관치(81)를 표시한 것이다.(이하 검출영역(77),(78)의 동작은 각각 (75),(76)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79)는 침입물이다. 먼저 최초 제61도의 구간(a)와 구간(c)는, 상관치(80), (81)의 상태에 따라서 그 검출영역(75),(76)는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되고, 정상적으로 흔들림보정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61도의 구간(b)는 상관치(80),(81)의 상태에 따라서, 그 검출영역(75),(76)는 갑자기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되고, 벡터결정수단에 의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는 0이 되어 흔들림보정은 멈춰버린다. 마지막으로 제61도의 구간(d)에 표시한 바와같이 어느 검출영역(75)중에 배경과 이동물이 양쪽 존재하고 있을때는 상관치(80)의 상태에 따라서, 그 검출영역(75)은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된다. 한편 검출영역(76)의 배경은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되어있으므로, 배경의 움직임이 채용되어, 화면의 흔들림만을 보정한 정상적인 동작이 된다.
제81도는 제61도의 구간으로 움직임벡터를 표시한 것이다. 제81도에서(241)은 카메라의 움직임벡터로서 0벡터를 중심으로 상하로 흔들리고 있다. (240)은 검출영역(75)으로부터 검출되는 벡터로서,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241) 또는 제61도의 이동물(79)의 움직임 또는 그 이외의 오벡터가 검출되고 있다. (239)는 검출영역(76)으로부터 검출되는 벡터로서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241)가 검출되고 있다. 벡터(242)의 제73도의 벡터결정수단(206)으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이다. 제61도의 구간(a)∼(d)는 제81도의 구간(a)∼(d)에 대응하고 있다. 제61도와 마찬가지로 구간(b)에서 각 검출 영역의 벡터(239),(240)는 0이 되고,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242)도 0이 된다. 그 결과 갑자기 흔들림보정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 화면이 흔들린 보기 흉한 영상이 된다.
다음에 벡터검출영역이 다수가 된 경우에 있어서, 이동물이 들어왔을 때의 벡터검출의 오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82도(a),(b)에 표시한 바와 같아 비데오카메라가 흔들리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물 (자동차)(246)이 화면을 통과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243)은 검출영역, (244)는 배경의 움직임벡터, (245)는 이동물의 움직임벡터이다. 배경은 신뢰성 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되고 있으며, 상관치(249)는 소정의 값보다 작은 값(250)을 표시하고 있다. 배경과 이동물이 양쪽 존재하고 있을 때는 상관치(252)가 소정의 최소치를 갖지 않기 때문에, 그 검출영역은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되고 있다.(제82도 사선부). 다음에 이동물의 움직임이 검출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한 경우, 그 검출영역으로부터는 이동물의 움직임을 표현한 움직임 벡터(245)가 검출되고, 또한, 상관치(247)는 소정의 값보다 작은 값(248)를 표시하고,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다. 그 결과 이동물의 움직임과 배경의 움직임 양쪽이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서 채용되고, 이것을 토대로 흔들림보정하면 이동물의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다.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의 최대치 또는 최소치로 된 편이를 각 검출영역마다의 움직임벡터로 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와 시간변동치로부터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로부터 상기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이상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구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한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참이나 거짓의 2치의 판정치로 변호나하는 판정치변환수단과, 각 검출영역의 참으로 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기 위한 신뢰성판정정보에 의해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구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한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토대로 각 영역이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 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의 판정조건의 정도를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에 따라서 변경하는 수단과,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화면의 좌우 혹은 상하의 검출 영역간에서의 상관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이 상관치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신뢰성의 판정과 검출영역간의 상관치의 차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 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화면의 좌우 혹은 상하의 검출영역간에서의 상관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와 검출영역간의 상관치의 차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신뢰성의 판정을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구하는 수단과, 화면의 좌우 혹은 상하의 검출영역간에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와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신뢰성의 판정과 상기 검출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구하는 수단과, 화면의 좌우 혹은 상하의 검출영역간에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와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와 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신뢰성의 판정을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그 각 검출영역에 대하여,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과,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정지 상태를 판정하는 정지판정수단과, 상기 정지판정수단과, 상기 신뢰성판정수단으로부터 최종적인 판정결과를 도출하는 판정결과도출수단과, 도출된 판정결과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상기 정지판정수단은, 시계열순으로 도출되는 적어도 2개이상의 움직임벡터가, 화상간의 소정의 범위내에 존재할 때, 상기 움직임벡터는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그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과,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값의 움직임벡터를 판정하는 최소판정수단과, 상기 최소 판정수단과 상기 신뢰성 판정수단으로부터 최종적으로 판정결과를 도출하는 판정결과 도출수단과, 도출된 판정 결과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 전에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로 구성한다.
또, 상기 최소판정수단은 각 검출 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최소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그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수단으로부터 최종적인 판정결과를 도출하는 판정결과도출수단과, 도출된 판정조건을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아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상기 상태판정수단은, 상기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이며, 상기 펀정 결과도출수단은 상기 신뢰성판정수단과 유사도 판정수단으로부터 최종적인 판정결과를 도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조정의 편이에 있어서,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각 검출영역에 웨이트계수를 설정하고, 각 웨이트계수와 움직ㅇ미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웨이팅처리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 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과, 각 검출영역에 웨이트계수를 설정하고, 상기 신뢰성 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웨이트계수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웨이팅처리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움직임벡터를 크기 또는 방향 또는 그들의 미분치를 토대로 그룹으로 분류하는 클러스터화수단과, 상기 클러스터화수단에 의해 분류된 그룹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구하기 위한 그룹을 선택하는 손흔들림 그룹판정수단과, 상기 손흔들림 그룹판정수단에 의해 선택된 그룹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과, 상기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크기 또는 방향 또는 그들의 미분치를 토대로 그룹으로 분류하는 클러스터화수단과, 상기 클러스터화수단에 의해 분류된 그룹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구하기 위한 그룹을 선택하는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과, 상기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에 의해 선택된 그룹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을 구비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한다. 또, 상기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각 검출영역의 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할 때, 그때의 각 검출영역에서의 상관치의 상태뿐만 아니라,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도 사용해서 판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서 어느 한 시점에서의 상관치의 절대치는 노이즈에 의해서 흔들리고 있어 신뢰성을 정확히 판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시간적인 변동에 착안함으로써 판정을 보충할 수 있다.
또, 각 검출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에 중간적인 판정결과를 구하고, 복수의 중간적인 신뢰성판정 결과로부터 1개의 판정치를 구함으로써 최종적인 각 검출영역의 판정치를 도출한다. 이와 같이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에 중간적인 판정을 행함으로써 판정조건의 임계레벨의 애매성을 표현하고, 복수의 판정결과의 어느 하나가 애매했다고 해도 바른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을 구하고,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에 따라서 신뢰성의 판정조건을 변경함으로써, 각 상황에 대응한 유연한 신뢰성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각 검출영역마다 이동물이 영역내에 침입했는지 아닌지를 상관치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에 따라서 판단하는 동시에, 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함으로써 이동물의 검출을 행하여,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또, 결정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화상신호 기억수단이나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의 흔들림을 보정한다.
또, 정지판정수단에 의해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정지하고 있는 움직임벡터가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그 움직임벡터는 정지배경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신뢰성판정결과에 관계없이 정지하고 있는 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또, 신뢰성판정결과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검출영역에서 신뢰성없음이 될 경우, 최소판정수단에 의해서 판정된 상대적으로 작은 값의 움직임벡터를 정지배경으로 간주하여 신뢰성판정결과에 우선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한다.
또, 유사도판정수단에 의해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에 유사성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화면전체가 동일방향으로 흔들리고 있으므로 화면 흔들림보정을 해야 하며, 반대로 유사성이 없을때는 침입물이 화면내에 들어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그 침입물이 존재하는 검출영역을 보정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또, 각 검출영역에 웨이트계수를 설정한다. 특히 화면의 중앙은 피사체의 움직이며, 화면의 단부쪽일수록 손흔들림의 움직임이라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래서 화면의 단부쪽일수록 웨이트계수를 크게 한다. 이 웨이트계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의 웨이팅평균을 취하면, 간단한 계산에 의해서 손흔들림의 벡터와 근사한 움직임벡터를 도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없음으로 된 검출영역은, 피사체의 움직임벡터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신뢰성있음으로 된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만 사용해서 웨이팅평균을 취하면, 더욱 손흔들림보정의 성능은 향상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된 검출영역중에는, 손흔들림의 움직임과 피사체의 움직임이 혼재하고 있다. 또 피사체의 움직임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그래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방향 혹은 크기를 기준으로 해서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클러스터화)한다. 그리고 그룹중의 1개를 손흔들림의 움직임벡터로서 채용하면, 마찬가지로 손흔들림의 벡터와 근사한 움직임벡터를 도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신뢰성판정수단에 위해서 신뢰성 없음으로 된 검출영역은 피사체의 움직임벡터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신뢰성있음으로 된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만 사용해서 그룹으로 분류하면, 더욱 손흔들림보정의 성능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표시한 것이며, (1)은 화상신호입력단자, (2)는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 (3)은 상관치검출부, (4)는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 (5)는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6)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먼저 입력단자(1)에 적어도 3필드 이상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2)에서는 이미 제74도 (209),(210),(211),(2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내에 4개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2필드간의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i<imax, jain<j<jmax 편이한 위치의 신호의 차 ∑ │△L │ (i,j)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그 값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로 한다. 상관치검출부(3)에서는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를 구한다.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4)에서는 상관치를 평균한 후의 시간미분치 혹은 차분치를 구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5)은, 상관치검출부(3)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4)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로부터 각 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6)에 출력한다. 움직임 벡터결정수단(6)은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대소 순서로 배열했을 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점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할 때, 각 검출영역에서의 현재의 상관치의 상태뿐만 아니라,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도 사용해서 판정을 행하는 점이다. 이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7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벡터검출영역에 인간 등의 이동물이 침입했을 때의 상관치의 시간적인 변화를 제2도와 제3도에 표시한다. 제2도, 제3도 모두(a)는 상관치의 최소치, (b)는 상관치의 최소치의 시간변동치(미분치)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신뢰성의 판정레벨을 최소치가 레벨 m, 최소치의 시간변동치를 레벨 b 라고 하고, 적어도 한쪽이 판정레벨보다 클 때에, 신뢰성없음으로 한다. 이제 제2도와 제3도는 대략 동일장면을 촬영한 것이며, 모두 이동물이 카메라의 앞을 횡단했을 경우이나, 최소치가 판정레벨부근이 되는 경우이다. (a)에서는 최소치가 레벨 m 이상이 되고, 이에 의해서 이동물의 침입을 검출하여 신뢰성없음으로 할 수 있다. 한편, (b)에서는 최소치가 레벨 m 미만이 되어, 최소치만으로는 이 동물의 침입을 검출할 수 없으나, 최소치의 미분치가 레벨 b 이상이 되어, 이 동물의 침입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할 때, 각 검출영역에서의 현재의 상관치의 상태뿐만 아니라.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도 사용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값이 노이즈 등에 의해서 흔들리고 있었을 경우에도 바르게 신뢰성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4도에 표시한다. 제1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에서 (7)은 흔들림보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중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흔들림보정수단(7)은 제77도 (226),(22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이 큰 화상이 입력될 때, 제(n-1) 필드(226), 제n필드(227)의 입력화상신호에 대해서, 움직임벡터결정수단(6)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230)을 토대로 그 움직임을 보정하는 방향(231)으로 화상의 화면을 (229)에서부터 (228)로 병행이동하고, 또 보간 등에 의해서 화면의 확대 등의 조작을 하여 흔들림이 적은 1화면의 크기의 화상신호(232),(233)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할 때, 각 검출영역에서의 현재의 상관치의 상태뿐만 아니라,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도 사용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값이 노이즈 등에 의해서 흔들리고 있었을 경우에도 바르게 신뢰성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화면전체의 대부분 또는 전체를 차지할 정도의 이동물이 화면을 통과할 경우에도 보정은 중단되어 촬영자가 의도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이 보정되는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5도에 표시한다. 제1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에서 (8)은 신뢰성판정정보검출부, (9-1),…,(9-n)은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하는 제1판정수단, (10)은 제1판정수단에 의한 복수의 3치 이상의 판정치로부터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1개의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하는 제2판정수단, (11)은 제2판정수단에 의한 판정치를 {0,1}의 2치의 판정치로 변환하는 판정치변환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로서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사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상관치의 도출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신뢰성판정정보검출부(8)는 제1도의 상관치검출부(3)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4)의 작용을 행하는 부분이며, 신뢰성판정의 복수정보로서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 및 상관치의 시간변동으로서 상관치의 시간미분치 혹은 차분치 등을 구한다. 제1판정수단(9-1)∼(9-n)에서는, 신뢰성판정정보검출부(8)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의 복수정보로부터 각각의 정보에 대해서 각 영역의 신뢰성을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으로 판정한다. 제2판정수단(10)은, 제1판정수단에서 얻어진 복수의 판정치의 평균이나 승산을 행함으로써 각 영역마다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1개의 판정치를 구한다. 판정치변환수단(1)은, 제2판정수단에서 얻어진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판정치를 소정의 레벨을 경계로 {0,1}의 2치의 판정치로 변환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 벡터결정수단(6)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6)은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영역에서부터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를 화면의 움직임벡터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각 영역의 판정결과의 도출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한정수단에서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하기 위하여,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판정치의 함수를 설정한다. 제6도에서 가로축은 상관치의 값을 표시하고, 세로축은 상관치에 대한 0∼1까지의 판정치를 표시하고 있다. 판정치의 함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고, 다른 함수의 일례를 제7도에 표시한다. 제6도, 제7도에서는 판정치는 0∼1까지의 연속치를 출력하는 함수이나,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3치 이상의 이산치를 출력하는 함수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판정치의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제1판정수단에서는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한다. 다음에 제2판정수단에서 복수의 판정치로부터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1개의 판정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제 제1판정수단에 있어서 S1∼Sn의 n개의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판정치가 얻어졌다고 하자, 이에 의해 1개의 판정치 α를 구하는데 다음식으로 표시한 평균연산을 사용한다.
α=(S1+…Sn)/n
혹은 각 판정치에 a1∼an 의 웨이트(가중치)를 부가하여, 다음식에 표시한 웨이트평균연산으로 1개의 판정치 α를 구한다.
α=(a1*S1+…+an*Sn)/(a1+…+an)
혹은 다음식과 같이 S1∼Sn의 n개의 판정치의 곱을 α라고 한다.
α=S1*…*Sn
제9도에 판정에 사용하는 상관치가 2개일 경우의 판정치 α의 등고선을 표시한다. 제9도에서는 판정치의 함수는 제6도에 표시한 사다리꼴을 사용하고 있으며 α의 도출에는 평균연산을 사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중 어느하나에 의해 구한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 α로부터 최종적인 각 영역의 {0,1}의 2치의 판정치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판정치변환수단(11)은, 제2판정수단에서 얻어진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와 소정의 변환레벨을 비교하여, 판정치가 소정의 변환레벨보다 클 때는 1, 소정의 변환레벨 이하일 때는 0과 같이0,1의 2치의 판정치로 변환한다. 제10도에 제9도에 표시한 구간[0,1]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 α로부터 변환레벨 0,5에서 {0,1}의 2치의 판정치로 변환한 결과를 표시한다. 도면에서 사선부가 1, 그 이외가 0의 영역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판정결과의 도출방법은, 각 검출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으로부터 구간[0,1] 사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하고, 복수의 3치 이상의 신뢰성판정치로부터 1개의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함으로써 최종적인 각 검출영역의 2치의 판정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구간[0,1]에서 임계레벨의 애매성을 표현하고, 복수의 판정결과의 어느 하나가 애매했다고 해도 바르게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앞에서 설명한 제78도의 데이터 D1,D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D1과D2의 데이터는 동일조건하에서 얻어진 데이터이며 본래 동일한 것이지만, 종래예에서는 조건 2에 대해서 애매한 판정영역에 들어있어 {0,1}의 2치의 판정치밖에 취급할 수 없기 때문에, D1은 신뢰성있음(판정치=1), D2는 신뢰성없음(판정치=0)으로 판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판정치는 구간[0,1]의 사이의 값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D1과 D2의 판정치는 각각α(D1)=0.76, α(D2)=0.68과 같이 서로 가까운 판정치를 얻을 수 있고, 최종판정결과는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모두 신뢰성있음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등에 의해서 흔들리고 있는 데이터라도 바르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정치를 모두 구간[0,1]로 규격화해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구간[0,10]이나 구간[-50,50]이어도 되고, 2치가 아니라 3치 이상의 판정치를 사용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특징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11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5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중 제5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흔들림보정수단(7)은 제77도(226),(22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이 큰 화상이 입력될 때, 제(n-1) 필드(226), 제n(227)의 입력화상신호에 대해서, 움직임벡터결정수단(6)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230)를 토대로 그 움직임을 보정하는 방향(231)으로 화상의 화면을 (229)에서부터 (228)로 병행이동하고, 또 보간 등에 의해서 화면의 확대 등의 조작을 하여 흔들림이 적은 1화면의 크기의 화상신호 (232),(233)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할 때, 각 검출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으로부터 구간[0,1]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하고, 복수의 3치 이상의 신뢰성판정치로부터 1개의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함으로써 최종적인 각 검출영역의 2치의 판정치를 도출한다. 이에 의해서, 복수의 판정정보의 어느 한쪽의 값이 노이즈 등에 의해서 흔들리고 있었을 경우에도 바르게 신뢰성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화면전체의 대부분 또는 전체를 차지할 정도의 이동물이 화면을 통과할 경우에도 보정은 중단되어 촬영자가 의도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이 보정되는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3, 제4실시예에서의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이어도 그 이외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12도에 표시한다. 제5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12도에서 (13-1),…,(13-n)은 분할한 판정구간마다 {0,1}의 2인치의 판정치를 구하는 판정수단, (14)는 판정수단에 의한 복수의 판정결과로부터 1개의 {0,1}의 2치의 판정치로 변환하는 판정치변환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로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0,1}의 2치의 판정치를 사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신뢰성판정정보의 도출방법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판정수단(13-1)∼(13-n)에서는, 신뢰성판정정보검출부(8)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의 복수정보로부터 각각의 정보에 대해서 각 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한다. 또한 각 영역의 각 판정정보에 대해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0,1}의 2치의 판정을 행한다. 판정치변환수단(14)은, 각 영역마다 얻어진 복수의 판정 구간의{0,1}의 2치의 판정치로부터 1개의{0,1}의 2치의 판정치로 변환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6)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6)은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영역으로부터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를 화면의 움직임벡터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제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각 영역의 판정결과의 도출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신뢰성판정정보의 수는 2개로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제13도에 판정수단(13)과 판정치변환수단(14)의 상세구성을 표시한다. 제13도에서 (13-1(a))로부터 (13-1(d)), (13-2(a))로부터 (13-2(d))는 각 판정구간마다{0,1}의 2치의 판정치를 출력하는 판정회로이며, 판정치변환수단(14)은 AND와 OR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13-1(a))로부터 (13-(d))의 각 판정회로의 출력신호를 제14도(a)에서부터 (d)에 각각 표시하나, (13-2(a))로부터 (13-2(d))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13-1(a))는 판정정보 1이 p에서부터 q사이일 때, (13-1(b))는 q에서부터 r사이일 때, (13-1(c))는 r에서부터 s사이일 때, (13-1(d))는 s이상일 때에 1이 되고, 그 이외는 0이 된다. 여기서 (13-1(a))로부터 (13-1(d))의 모두가 0일 경우가 거짓, (13-1(d))가 1일 경우가 참을 의미하고, (13-1(a)), (13-1(b)), (13-1(c))의 어느 하나가 1일 경우가 참에서부터 거짓의 중간적인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0과 1의 2치를 사용해서 참에서부터 거짓의 사이의 의미를 갖게 하기 위하여 제78도에서 표시한 애매한 판정구간 W1에 대하여,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P미만, p∼q, q∼r, r∼s, s 이상과 같이 판정영역을 5구간으로 분할하고 있다. 이것은 제3실시예에서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판정의 전체영역에 대해서 판정치의 함수에 따라서 0에서부터 1까지의 사이의 값을 취하는 5치의 이산적인 판정치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13-1(a)), (13-2(a))가 0.25, (13-1(b)), (13-2(b))가 0.5, (13-1(c)), (13-2(c))가 0.75, (13-1(d)), (13-2(d))가 1과 같이, 0에서부터 1까지의 중간적인 판정치에 대응하고 있다고 생각하자, 이제, 판정정보 1로부터 (13-1(b))가 1이 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판정치변환수단(14)의 최종적인 판정결과가 1이 되는 것은 판정정보 2에 의한 판정결과에서 (13-2(c))가 1 혹은 (13-2(d))가 1일 때이다. 이것은 (13-1(b))가 0.5, (13-2(c))가 0.75, (13-2(d))가 1에 대응하고 있음으로써, 2개의 판정정보에 의한 0에서부터 1까지의 중간적인 판정치의 평균치가 0.5보다 클 때 최종판정결과가 1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것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판정결과의 도출방법은, 각 검출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0,1}의 2치의 판정치를 구하고, 복수의 판정구간의{0,1}의 2치의 판정치로부터 1개의{0,1}의 2치의 판정치를 구함으로써 최종적인 각 검출영역의 2치의 판정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의{0,1}의 2치의 판정에서 임계레벨의 애매성을 표현하고, 복수의 판정결과의 어느 하나가 애매했다고 해도 바르게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표시한 것과 같은 작용을 하는 이 밖의 방법이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15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12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6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중 제12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또 흔들림보정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2,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5, 제6실시예에서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이어도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16도에 표시한다. 제5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16도에서 (15)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7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각 영역마다 구간[0,1]사이의 값을 취하는 1개의 판정치α를 구하는 과정까지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시리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점은 화면의 움직임벡터의 결정법이며, 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2)에서는, 이미 제74도(209), (210), (211), (2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내에 4개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2필드간의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 <i<imax jmin<j<jmax 편이한 위치의 신호의 차 ∑|L| (i,j)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그 값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 Vi(i=1∼4)로 한다. 한편 제2판정수단(10)에서는, 제1판정수단(9)에서 얻어진 복수의 판정치로부터 각 영역마다 구간[0,1]사이의 값을 취하는 1개의 판정치 αi(i=1∼4)를 구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15)에서는,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 Vi와 구간[0,1]사이의 값을 취하는 판정치 αi로부터 다음식에 의해서 화면의 움직임벡터 V를 결정한다.
V=α1·V1+α2·V2+α3·V3+α4·V4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움직입벡터검출장치에서는, 각 검출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으로부터 구간[0,1]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하고, 복수의 3치 이상의 신뢰성판정치로부터 1개의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한다. 이 3치 이상의 판정치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최종적으로 화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서 각 영역마다 구간[0,1]사이의 값을 취하는 판정치에서 판정결과의 애매성을 표현하고, 판정결과가 애매한 영역은 웨이트를 작게 해서 움직임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판정수단에 의해서 제1판정수단에서부터의 복수의 판정치를 1개의 판정치로 변환하고 있으나, 제2판정수단은 없어도 되고, 제1판정수단에 의한 복수의 판정치를 그대로 웨이트계수로해서 움직임벡터를 결정해도 된다. 또 각 영역의 신뢰성판정에 사용하는 정보는 1개이어도 되고, 제1판정수단은 1개 뿐이어도 된다.
다움에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의 흔들림보정수단은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17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16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8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흔들림보정수단(7)은 제77도(226), (22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이 큰 화상이 입력될 때, 제(n-1)필드(226), 제n필드(227)의 입력화상신호에 대해서, 움직임벡터결정수단(15)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230)를 토대로, 그 움직임을 보정하는 방향(231)으로 화상의 화면을 (229)에서부터 (228)로 병행이동하고, 또 보간 등에 의해서 화면의 확대 등의 조작을 하여 흔들림이 적은 1화면의 크기의 화상신호(232), (233)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으 판정할 때, 각 검출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으로부터 구간[0,1]사이의 값울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하고, 복수의 3치 이상의 신뢰성판정치로부터 1개의 3치 이상의 판정치를 구한다. 또 이 3치 이상의 판정치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최종적으로 화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서 복수의 펀정정보의 어느 하나의 값이 노이즈 등에 의해서 흔들리고 있었을 경우에도 바르게 화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면전체의 대부분 또는 전체를 차지할 정도의 이동물이 화면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보정은 중단되어, 촬영자가 의도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이 보정되는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7도, 제8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18도에 표시한다. 제12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18도에서(16)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9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0,1]의 2치의 판정치를 구하는 과정까지는 제5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점은, 화면의 움직임벡터의 결정법이며, 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2)에서는, 이미 제74도(209)(210)(211)(2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내에 4개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2필드간의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i<imax jmin<j<jmax 편이한 위치의 신호의 차 ∑|L| (i,j)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그 값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Vi(i=1∼4)로 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16)에서는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 Vi와 분할한 판정구간마다의 {0,1}의 2치의 판정치로부터 화면의 움직임벡터 V를 결정한다.
제19도에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의 상세구성을 표시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16)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웨이팅수단(17-1)∼(17-8)과 가산회로로 이루어진다. 벡터의 웨이팅수단(170)의 상세구성을 제20도에 표시한다. 벡터의 웨이퍼수단(17)은 감쇄기(18)와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진다. 웨이팅수단(17)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 Vi 이외에 판정수단(13)에 의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의{0,1}의 2치의 판정치가 입력되고, 1의 판정치가 입력된 스위칭소자가 ON이 된다.
이에 의해서 ON이 된 스위칭소자에 접속된 감쇠기의 감쇠계수가 움직임벡터 Vi에 승산되어 웨이팅수단(17)으로부터 출력된다. 또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 Vi는, 제19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2개의 웨이팅수단에 의해서 상기한 방법으로 감쇠 계수가 승산된 후에 가산회로에 의해서 가산된다. 가산후의 출력은 2개의 웨이팅수단에 의해서 승산된 감쇠계수의 합을 웨이트로 한 움직임벡터 Vi가 된다. 여기서, 가산후의 움직임벡터 Vi의 웨이트는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웨이트계수 αi에 대응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도 감쇠계수의 합을 αi로 기록한다. αi가 웨이팅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Vi는 또 가산회로에 의해서 4영역의 합이 구해지고, 최종적인 화면의 움직임벡터 V가 된다. 이것을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V=α1·V1+α2·V2+α3·V3+α4·V4
상기 식은 바로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움직임벡터 V의 결정식과 같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서는, 각 검출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0,1}의 2치의 판정치를 구하고, 판정이 1이 된 구간에 대응한 감쇠계수로부터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웨이트계수를 결정한다.이 웨이트계수와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최종적으로 화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의{0,1}의 2치의 판정으로 임계레벨의 애매성을 표현하고, 판정결과가 애매한 영역은 웨이트를 작게 해서, 움직임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감출장치의 블록도를 제21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18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0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중 제19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9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흔들림보정수단(7)은 제77도(226),(22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이 큰 화상이 입력될 때, 제(n-1)필드(226), 제n필드(227)의 입력화상신호에 대해서 움직임벡터결정수단(16)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230)를 토대로, 그 움직임을 보정하는 방향(231)으로 화상의 화면을 (229)에서부터 (228)로 병행이동하고, 또 보간 등에 의해서 화면의 확대 등의 조작을 하여 흔들림이 적은 1화면의 크기의 화상신호(232),(233)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검출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 [0,1]의 2치의 판정치를 구하고, 판정이 1이 된 구간에 대응한 감쇠계수로부터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웨이트계수를 결정한다. 이 웨이트계수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최종적으로 화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서 분할한 판정구간마다의{0,1}의 2치의 판정에서 임계레벨의 애매성을 표현하고, 판정결과가 애매한 영역은 웨이트를 작게 해서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면전체의 대부분 또는 전체를 차지할 정도의 이동물이 화면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보정은 중단되어, 촬영자가 의도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이 보정되는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9, 제10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22도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제73도 참조)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제1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예와 다른 점은 제2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과 판정조건변경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1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이미 제74도(209), (210), (211), (2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내에 4개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벡터검출회로(2)에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 Vi(i=1∼4)를 구한다.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에서는 다음식에 의해서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치 C를 구한다.
판정조건변경수단(20)에서는, 움직임벡터의 상관치 C가 소정의 값 이하일 때는 제75도에 표시한 비교 회로(220)의 판정조건의 임계레벨 Ref의 값을 판정조건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변경한다. 또 미리 판정조건의 임계레벨이 다른 복수의 비교회로를 준비하여, 상관치 C에 의해서 비교회로를 절환하는 방법도 고려된다. 또한 상관치에 의한 판정조건의 변경의 수는 2개로 한정한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간에 상관이 있을때는, 신뢰성의 판정조건을 완화한다. 이것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간에 상관이 있는 경우라는 것은, 화면전체가 동일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경우이며, 피사체 등의 움직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판정조건을 완화해도 된다는 이유에 의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정보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 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23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22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2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중 제22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1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또 흔들림정보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2,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1, 제12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24도에 표시한다. 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제1실시예의 구성도인 제1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과 판정조건변경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3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과 판정조건변경수단(20)의 각 동작에 대해서는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25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24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4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중 제24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13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또 흔들림보정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2,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3, 제14실시예에서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이어도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26도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제3실시예의 구성도인 제5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2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과 파정조건변경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5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움직임 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판정조건변경수단(20)은, 움직임벡터의 상관치 C가 소정의 값 이하일 때는 제2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한정치의 함수를 판정조건이 완화되도록 변경한다. 또한 제27도에서는 판정치의 함수를 평행이동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함수의 모양을 변경해도 된다. 또 미리 판정치의 함수가 다른 복수의 판정수단을 준비하여, 상관치 C에 의해서 판정수단을 절환하는 방법도 고려된다. 또한 상관치에 의한 판정조건의 변경의 수는 2개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28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26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6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중 제26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15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또 흔들림보정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2,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5, 제16실시예에서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이어도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29도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제3실시예의 구성도인 제5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2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과 판정조건변경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7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판정조건변경수단(20)은, 움직임벡터의 상관치 C가 소정의 값 이하일 때는 제2판정수단(10)에서 얻어진 구간[0,1]의 사이의 값을 취하는 3치 이상의 판정치α와 소정의 변환레벨을 비교하는 판정치변환수단(11)의 변환 레벨을 판정조건이 완화되도록 변경한다. 또 미리 변환레벨이 다른 복수의 판정치변환수단을 준비하여, 상관치C에 따라서 판정치변환수단을 절환하는 방법도 고려된다. 또한 상관치에 의한 판정조건의 변경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수비한 움직임벡터 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30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29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8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중 제29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17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또 흔들림보정 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2,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7, 제18실시예에서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이어도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31도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제5실시예의 구성도인 제12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와 다른점은 제3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과 판정조건변경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9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판정조건변경수단(20)은, 움직임벡터의 상관치 C가 소정의 값 이하일 때는 판정수단(13)의 판정조건이 완화되도록 변경한다. 즉, 제14도에 표시한 P∼S까지의 판정구간을 판정조건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미리 판정구간이 다른 복수의 판정수단을 준비하여, 상관치 C에 따라서 판정수단을 절환하는 방법도 고려된다. 또한 상관치에 의한 판정조건의 변경의 수는 2개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32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31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0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중 제31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19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또 흔들림 보정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2,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9, 제20실시예에서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이어도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33도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제7실시예의 구성도인 제16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7실시예와 다른점은 제3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과 판정조건변경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1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판정조건변경수단(20)은 움직임벡터의 상관치 C가 소정의 값 이하일 때는 제2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판정치의 함수를 판정조건이 완화되도록 변경한다. 또한 제27도에서는 판정치의 함수를 평행이동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함수의 모양을 변경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34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33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2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중 제33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2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또 흔들림보정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8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1, 제22실시예에서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이어도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의 움직임벡터 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3실시예의 움직임벡터 검출장치의 구성을 제35도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제9실시예의 구성도인 제18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9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35도와 표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과 판정조건변경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3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연산수단(19)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판정조건변경수단(20)은 움직임벡터의 상관치 C가 소정의 값이하일 때는 판정수단(13)의 판정조건이 완화되도록 변경한다. 즉 제14도에 표시한 P∼S까지의 판정구간을 판정조건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미리 판정구간이 다른 복수의 판정수단을 준비하여, 상관치 C에 따라서 판정수단을 절환하는 방법도 고려된다. 또한 상관치에 의한 판정조건의 변경의 수는 2개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36도에 표시한다. 제4도, 제35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4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중 제35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23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또 흔들림보정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10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3, 제24실시예에서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이어도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37도에 표시한다. (21)은 화상신호입력단자, (22a)∼(22b)는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부, (23a)∼(23d)는 상관치검출부, (24a)∼(24d)는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25),(26)은 상관치의 차리를 구하는 수단, (27)은 움직임벡터 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5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먼저 입력단자(21)에 적어도 2필드이상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화면은 이미 제74도(209),(210),(211),(212)에 표시한 바와같이 4개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검출부 (22a)∼(22d)에서는 2필드간의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i<imax, jmin<j<jmax 편이한 위치의 신호의 차 ∑│△L│(i,j)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그 값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로 한다. 상관치검출부(23a)∼(23d)에서는 각 검출영역마다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를 구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회로수단(24a)∼(24d)에서는 상관치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상관치로부터 각 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27)에 출력한다. 상관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25)에서는 화면의 좌우영역의 차. (26)에서는 화면의 상하영역의 차를 구한다. 화면의 상하 혹은 좌우의 영역의 상관치의 차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제74도의 4영역 모두를 사용해도 2영역만 사용해도 된다. 또한 대각의 2영역을 사용하면 상하와 좌우의 차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27)은 영역간의 상관치의 차가 소정의 값이하일 경우는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대소순서로 배열했을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또 영역간의 상관치의 차가 소정의 값보다 클 경우는 화면 전체의 움직임벡터는 0으로 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점은, 각 검출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 결과만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검출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결과와 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차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우영역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하고, 상하영역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38도는 이동물이 화면내에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들어온 경우의 좌우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상관치 및 영역간의 상관치의 차에 대해서 시간을 가로축에 취해서 표시한 것이다. 제38도에서(a)는 왼쪽영역의 움직임벡터, (b)는 오른쪽영역의 움직임벡터, (c)의 실선은 왼쪽영역의 상관치, (c)의 파선은 오른쪽영역의 상관치, (d)는 좌우영역의 상관치의 차이다. 상관치는 검출영역내에서의 이 동물의 침입과 함께 값이 증가하고, 영역전체를 이동물이 차지하면 값은 감소한다. 이동물이 검출영역으로부터 나갈때에 상관치는 다시 증가한다. 신뢰성판정수단(24)에서는 각 영역마다 (c)의 상관치를 토대로 신뢰성판정을 행하나,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영역마다의 판정에서는 이동물을 오판하는 일이 많다. 한편, 상관치의 좌우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25)에서는 이동물이 좌우영역에 침입하는 시간차에 의해서 (d)에 표시한 신호가 얻어지고, 각 영역의 신뢰성판정결과와 함께 차신호가 벡터결정수단(27)에 보내진다. 벡터결정수단에서는 상관치의 좌우영역의 차신호의 절대치가 소정의 값이상이 되었을 경우는, 신뢰성판정수단의 결과에 관계없이, 화면 전체의 움직임벡터를 어느기간 0으로 한다. 이에 ㅡ이해서 각 영역이다의 신뢰성판정수단에서는 이동물을 오판한 경우에도 영역간의 차신호에 따라서 이동물의 침입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6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39도에 표시한다. 제37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39도에서(28a)∼(28d)는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29)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6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의 도출방법 및 상관치의 영역간의 차를 구하는 방법은 제25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28a)∼(28d)에서는, 상관치검출부(23a)∼(23d) 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와, 상관치의 좌우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25) 및 상하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26)으로부터 입력된 영역간의 상관치의 차신호로부터 각 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29)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29)은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 (대소순서로 배열했을 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점은, 각 검출영역마다 상관치만으로부터 각 검출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검출영역의 상관치와 검출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차로부터 각 검출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점이다. 이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우영역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하고, 상하영역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물이 화면내에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들어온 경우에 대해서 제38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38도의 (a)∼(d)는 이미 제25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 제38도(d)의 상관치의 좌우영역의 차신호는, 왼쪽영역의 상관치로부터 오른쪽영역의 상관치를 뺀 것이다. 이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물이 화면상을 통과함으로써 상관치의 차신호는 양음(+,-)으로 크게 변동한다. 그래서 신뢰성판정수단(28a)(28b)(왼쪽영역의 신뢰성판정수단)에서는 상관치에 가해서 상관치의 차신호를 양의 소정레벨과 비교해서 신뢰성을 판정하고, 신뢰성판정수단(28c),(28d)(오른쪽영역의 신뢰성판정수단)에서는 상관치에 가해서 상관치의 차신호를 음의 소정레벨과 비교해서 신뢰성을 판정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29)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신뢰성있으므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대소순서로 배열했을 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영역의 신뢰성판정에 있어서 각 영역의 상관치와 영역간의 상관치의 차를 사용함으로써 이동물에 대한 신뢰성판정의 판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7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40도에 표시한다. 제37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40도에서(30a)∼(30d)는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 (31a)∼(31d)는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32),(33)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 (34)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7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상관치의 도출방법은 제25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30)에서는 상관치를 평균한 후의 시간미분치, 혹은 차분치를 구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회로수단(31)은, 상관치검출부(23)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30)로부터 입력되는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로부터 각 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34)에 출력한다.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32)에서는 화면의 좌우영역의 차. (33)에서는 화면의 상하영역의 차를 구한다. 화면의 상하 혹은 좌우의 영역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제74도의 4영역 모두를 사용해도, 2영역만 사용해도 된다. 또한 대각의 2영역을 사용하면 상하와 좌우의 차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34)은 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가 소정의 값이하일 경우는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대소순서로 배열했을 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또 영역간의 상관치의 차가 소정의 값보다 클 경우는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는 0으로 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점은, 각 검출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결과만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검출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결과와 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우영역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하고, 상하영역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41도는 이동물이 화면내에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들어온 경우의 좌우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 및 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에 대해서 시간을 가로축에 취해서 표시한 것이다. 제5도에서 (a)는 왼쪽영역의 움직임벡터, (b)는 오른쪽영역의 움직임벡터, (c)는 왼쪽영역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 (d)는 오른쪽영역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 (e)는 좌우영역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이다. 단 영역간의 차를 구할 때,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하였다. 신뢰성판정수단(31)에서는 각 영역마다 상관치와 제41도(c),(d)에 표시한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토대로 신뢰성판정을 행하나, 신뢰성판정에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사용해도 종래예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영역마다의 판정에서는 이동물을 오판하는 일이 많다.
한편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좌우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32)에서는 이동물이 좌우영역의 침입하는 시간차때문에 (e)에 표시한 신호가 얻어지고, 각 영역의 신뢰성판정결과와 함께 차신호가 벡터결정수단(34)에 보내진다. 벡터결정수단에서는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좌우영역의 차신호의 절대치가 소정의 값이상이 되었을 경우는, 신뢰성판정수단의 결과에 관계없이,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어느 기간 0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각 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수단에서는 이동물을 오판한 경우에도 영역간의 차신호에 따라서 이동물의 침입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또, 영역간의 차를 구할 때,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했으나 반드시 0으로 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8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8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42도에 표시한다. 제40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42도에서(35a)∼(35d)는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36)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8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상관치와 도출방법 및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영역간의 차를 구하는 방법은 제25 및 제27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35a)∼(35d)에서는, 상관치검출부(23a)∼(23d)로 부터 입력된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30a)∼(30d)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와, 상관치의 좌우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32) 및 상하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33)으로부터 입력된 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신호로부터 각 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36)에 출력한다. 움직ㅇ미벡터결정수단(36) 신뢰성 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대소순서로 배열했을 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점은, 각 검출영역마다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만으로 각 검출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검출영역의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 및 검출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로부터 각 검출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우영역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하고, 상하영역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물이 화면내에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들어온 경우에 대해서 제4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41도의 (a)~(e)는 이미 제27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 제41도(e)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좌우영역의차신호는, 왼쪽영ㅇ역으로부터 오른쪽영역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뺀 것이며, 또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하였다. 이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물이 화면상을 통과함으로써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신호는 양음으로 크게 변동한다. 그래서 신뢰성판정수단(35a),(35d)(오른쪽영역의 신뢰성판정수단)에서는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에 가해서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신호를 음의 소정레벨과 비교해서 신뢰성을 판정한다. 움직임벡터정수단(36)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신뢰성있음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대소순서로 배열했을 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각 영역의 신뢰성판정에 있어서 각 영역의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에 가해서 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사용함으로써 이동물에 대한 신뢰성판정을 한정성능을 향상 시킬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또 영역간의 차를 구할 때,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했으나 반드시 0을 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9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43도에 표시한다. 제43도에서 (37)은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8)은 흔들림보정수단이다. 또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37)의 구성은 제25∼제28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37)의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25에서부터 제28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흔들림보정수단(38)은 제77도(226),(22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이 큰 화상이 입력될 때, 제(n-1)필드(226), 제n필드(227)의 입력화상신호에 대해서, 움직임벡터검출장치(37)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230)를 토대 그 움직임을 보정하는 방향(231)으로 화상의 화면을 (229)에서부터 (228)로 병행이동하고 또 보간 등에 의해서 화면의 확대 등의 조작을 하여 흔들림이 적은 1화면의 크기의 화상신호(232),(233)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검출영역마다 이동물이 영역내에 침입했는지 아닌지를 상관치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에 의해서 판단하는 동시에 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함으로써 이동물의 검출을 행하여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화상신호기억수단이나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의 흔들림을 보정한다. 이에 의해서, 화면전체의 대부분 또는 전체를 차지할 정도의 이동물이 화면을 통과할 경우에도 보정은 중단되어 촬영자가 의도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이 보정되는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30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0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44도에 표시한다. (301)은 화상신호입력단자, (302a)∼(302c)는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 (303a)∼(303c)는 상관치검출부, (304a)∼(304c)는 평균연산부, (305a)∼(305c)는 시간변동치검출부, (306)∼(308)은 영역간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 (309)는 이동물검출수단, (310)은 신뢰성판정수단, (311)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0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먼저 입력단자(310)에 적어도 2필드이상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화면은 이미 제45도(312)(313)(3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302a)∼(302c)에서는 2필드간의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i<imax,jmin<j<jmax 편이한 위치의 신호의 차 ∑│△L│(i,j)를 상관치로서 각각 수하고, 그 값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은 각 영역의 벡터로 한다. 상관검출부(303a)∼(303c)에서는 각 검출영역마다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 등을 구한다. 평균연산부(304a)∼(304c)에서는 상관치의 최소치에 대해서 시간평균을 구한다. 시간변동치검출부(305a)∼(305c)에서는 상관치의 최소치를 평균한 후의 시간미분치 혹은 차분치를 구한다. 영역간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306)에서는 왼쪽영역과 오른쪽영역의 차, (307)에서는 화면의 중앙영역과 오른쪽영역의 차, (308)에서는 화면의 중앙영역과 왼쪽영역의 차를 구한다. (309)는 (306)∼(308)에서 얻어진 영역간의 차분신호를 토대로 이동물의 검출을 행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310)은, 상관검출부(303)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와, 이동물검출수단(309)으로부터의 이동물검출신호로부터 각 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311)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311)은 신뢰성판정수단(310)에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벡터의 중간치(대소순서로 배열했을 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에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와 다른 점은, 각 검출영역마다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만으로 각 검출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것이 아리나, 각 검출영역의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 및 검출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로부 각 검출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우영역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을 해하고, 상하영역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물이 화면내에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들어온 경우에 대해서 제4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41도의(a)~(e)는 이미 제27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 제41도(e)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좌우영역의차신호는, 왼쪽영역으로부터 오른쪽영역의 상치의 시간변동치를 뺀 것이며, 또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하였다. 이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물이 화면상을 통과함으로써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신호는 양음으로 크게 변동한다. 그래서 신뢰성판정수단(35a),(35b(오른쪽영역의 신뢰성판정수단)에서는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에 가해서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신호를 음의 소정레벨과 비교해서 신뢰성을 판정한다. 움직임벡터정수단(36)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중간치(대소순서로 배열했을 대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 단 짝수개일 경우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각 영역의 신뢰성판정에 있어서 각 영역의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에 가해서 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사용함으로써 이동물에 대한 신뢰성판정을 판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또 영역간의 차를 구할때,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했으나 반드시 0으로 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9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 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43도에 표시한다. 제43도에서 (37)은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8)은 흔들림보정수단이다. 또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37)의 구성은 제25~제28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9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37)의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작은 제25에서부터 제28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흔들림보정수단(38)은 제77도 (226),(22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이 큰 화상이 입력될 때, 제(n-1)필드(226), 제n필드(227)의 입력화상신호에 대해서, 움직임벡터검출장치(37)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230)를 토대로 그 움직임을 보정하는 방향(2310으로 화상의 화면을(229)에서부터 (228)로 병행이동하고 또 보간 등에 의해서 화면의 확대 등의 조작을 하여 흔들림이 적은 1화면의 크기의 화상신호(232), (233)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검출영역마다 이동물이 영역내에 침입했는지 아닌지를 상관치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에 의해서 판단하는 동시에 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함으로써 이동물의 검출을 행하여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화상신호기억수단이나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의 흔들림을 보정한다. 이에 의해서, 화면전체의 대부분 또는전체를 차지할 정도의 이동물이 화면을 통과할 경우에도 보정은 중단되어 촬영자가 의도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이 보정되는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30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0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44도에 펴시한다. (301)은 화상신호입력단자, (302a)~(302c)는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 (303a)~(303c)는 상관치검출부, (304a)~(304c)는 평균연산부, (305a)~(305c)는 시간변동치검출부, (306)~(308)은 영역간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 (30()는 이동물검출수단, (310)은 신뢰성판정수단, (311)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0실시예의 화상의 움직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먼저 입력단자(310)에 적어도 2필드이상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화면은 이미 제45도 (312)(313)(3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3개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각 검출영역의 벡터검출회로(302a)~(302c)에서는 2필드간의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i<imax, jmin<j<jmax 편이한 위치의 신호의 차 ∑│△L│(i,j)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그 값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영역의 벡터로 한다. 상관검출부(303a)~(303c)에서는 각 검출영역마다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 등을 구한다. 평균연산부(304a)~(304c)에서는 상관치의 최소치에 대해서 시간평균을 구한다. 시간변동치검출부(305a)~(305c)에서는 상관치의 최소치를 평균한 후의 시간미분치 혹은 차분치를 구한다. 영역간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306)에서는 왼쪽영영과 오른쪽영역의 차, (30&)에서는 화면의 중앙영역과 오른쪽영역의 차, (308)에서는 화면의 중앙영역과 왼쪽영역의 차를 구한다. (309)는 (306)~(308)에서 얻어진 영역간의 차분신호를 토대로 이동물의 검출을 행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310)은, 상관검출부(303)로부터 입력된 상관치와, 이동물검출수단(309)으로부터의 이동물검출신호로부터 각 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311)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311)은 신뢰성판정수단(310)에서 신뢰성있음로 판정된 각 영역의 벡터의 중간치(대소순서로 배열했을 대의 중간에 위치하는값, 단 짝수개일 경우에는 중간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값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다른 점은, 각 검출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결과만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검출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결과와 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종래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다른 점은, 각 검출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 결과만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검출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결과와 영역간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6도는 이동물이 화면내에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들어온 경우의 왼쪽, 중앙, 오른쪽의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상관치의 최소치의 시간변동치검출부 (305a)∼(305c)의 출력신호 및 영역간의 시간변동치의 차에 대해서 시간을 가로축에 위해서 표시한 것이다. 제46도에서 (a)는 왼쪽영역의 움직임벡터, (b)는 중앙영역의 움직임벡터, (c)는 오른쪽영역의 움직임벡터, (d)는 왼쪽영역의 시간변동치, (e)는 중앙영역의 시간변동치, (f)는 오른쪽영역의 시간변동치, (g)는 왼쪽과 오른쪽영역의 시간변동치의 차, (h)는 중앙과 오른쪽영역의 시간변동치의 차이다. 단, 영역간의 차를 구할 때,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하였다. 시간변동치의 왼쪽과 오른쪽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306) 및 중앙과 오른쪽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307)에서는 이동물이 각 영역에 침입하는 시간차로 인해서 (g),(h)에 표시한 차분신호(315),(316)가 얻어지고, 이동물검출수단(309)에 보내진다. 이동물검출수단(309)에서는 차분신호 (315)(316)가 이하에 표시한 조건 1을 만족한 후에, 어느 일정시간내에 조건 2를 만족했을 때 이동물이 화면내에 침입했다고 판단한다.
조건 1 : 차분신호(315>α 또한 β1> 차분신호 (316)> β2
조건 2 : 차분신호(316)>γ
여기서는 이동물이 화면내에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들어온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들어온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서 이동물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중앙과 오른쪽영역의 시간변동치의 차 대신에, 중앙과 왼쪽영역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사용한다.
신뢰성판정수단(310)에서는, 각 영역의 상관치를 사용해서 신뢰성을 판정하는 동시에, 이동물검출수단(309)으로부터의 이동물검출신호를 토대로 신뢰성판정을 행한다. 상관치를 사용해서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법에 대해서는 종래예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행해지고 있는 어느 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이 동물검출신호를 토대로 신뢰성판정을 행하는 수법으로서는, 이동물검출수단(309)에서 이동물을 검출한 경우는 모든 영역의 신뢰성을 없음으로 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3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신뢰성판정수단(310)에서 신뢰성 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벡터의 중간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해서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영역마다의 상관치에 의한 신뢰성판정 수단이 이동물을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영역간의 차신호에 의해서 이동물의 침입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손흔들림 등의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를 바르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3으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물의 검출을 행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영역간의 차를 구했으나,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세로방향으로 영역간의 차를 구해도 된다. 검출영역의 수가 5일 경우의 일례의 제47도를 표시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간의 차를 구할 때,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표시했으나, 반드시 0으로 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1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48도에 표시한다. 제44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30실시예와 다른 점은, 이동물검출수단(317)과 신뢰성판정수단(318)이므로, 이 2가지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화면의 왼쪽으로부터 침입하는 이동물을 검출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화면은 미리 제45도(312)(313)(3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다. 시간변동치의 왼쪽과 오른쪽 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306) 및 중앙과 오른쪽 영역의 차를 구하는 수단(307)에서는 이동물이 각 영역에 침입하는 시간차 때문에 제46도의 (g),(h)에 표시한 차분신호(315),(316)가 얻어지고, 이동물검출수단(317)에 보내진다. 이동물검출수단(317)에서는 차분신호(315),(316)가 이하에 표시한 조건 1을 만족한 후에, 어느 일정 시간내에 조건 2, 조건 3, 조건 4를 만족했을 때 이동물이 화면내에 침입했다고 판단한다.
조건 1 : 차분신호(315)>α 또한
β1>차분신호(316)>β2
조건 2 : 차분신호(316)>γ1
조건 3 : 차분신호(316)>γ2
조건 4 : 차분신호(316)>γ3
단, γ1<γ2<γ3
신뢰성판정수단(318)에서는, 각 영역의 상관치를 사용해서 신뢰성을 판정하는 동시에, 이동물검출수단(317)으로부터의 이동물검출신호를 토대로 신뢰성 판정을 행한다. 상관치를 사용해서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법에 대해서는 종래예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행해지고 있는 어느 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이동물검출신호를 토대로 신뢰성판정을 행하는 수법으로서는, 이동물검출수단(317)에서 조건 2를 만족한 시점에서 제45도의 벡터검출영역(312)의 신뢰성을 없음으로하고, 조건 3을 만족한 시점에서 벡터검출영역(313)의 신뢰성을 없음으로하고, 조건 4를 만족한 시점에서 벡터검출영역(314)의 신뢰성을 없음으로 한다. 단, 일정시간내에 조건 4가 만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조건 2, 조건 3에서 신뢰성을 없음으로 한 벡터검출영역의 신뢰성을 있음으로 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물이 침입해온 영역에서부터 순번대로 신뢰성을 없음으로 해 가는 것이 특징이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311)은 상기한 바와같이 신뢰성판정수단(318)에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벡터의 중간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해서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영역마다의 상관치에 의한 신뢰성판정 수단이 이동물을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영역간의 차신호에 의해서 이동물의 침입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손흔들림 등의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를 바르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3으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물의 검출을 행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영역간의 차를 구했으나,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세로방향으로 영역간의 차를 구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의 이동물검출수단(317)의 조건 4는 없어도 되고, 없는 경우는 제45도의 벡터검출영역(313)은 조건 2 혹은 조건 3이 만족한 시점에서 신뢰성을 없음으로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간의 차를 구할 때, 각 영역에 있어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가 음수인 부분은 0으로 했으나 반드시 0으로 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2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2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49도에 표시한다. 제44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49도에서(319)는 신뢰성판정수단,(320)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이동물이 화면의 왼쪽으로부터 침입한 경우를 예로해서 제30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신뢰성판정수단(319)에서는 각 영역마다 각 영역의 상관치를 사용해서 신뢰성를 판정한다. 상관치를 사용해서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법에 대해서는 종래예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행해지고 있는 어느 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3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신뢰성판단수단(319)에서 신뢰성 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벡터의 중간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결정해서 출력하나, 이동물검출수단(309)에서 이동물을 검출한 경우는 신뢰성판정수단의 결과에 관계없이,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어느 기간 0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각 영역마다의 신뢰성판정수단에서는 이동물을 오판한 경우에도 이동물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동물의 침입을 검출하여,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를 바르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3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을 제50도에 표시한다. 제44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50도에서(321)은 신뢰성판정수단이다.
이동물이 화면의 왼쪽으로부터 침입한 경우를 예로 해서 제30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신뢰성판정수단(321)에서는, 각 영역마다 각 영역의 상관치를 사용해서 신뢰성을 판정하는 동시에, 이동물검출수단(309)에서 왼쪽에서부터 침입하는 이동물을 검출한 경우는 제45도의 벡터검출영역(312)의 신뢰성을 없음으로 한다. 상관치를 사용해서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법에 대해서는 종래예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행해지고 있는 어느 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이동물검출수단(309)에서 이동물을 검출한 시점에서, 신뢰성판정수단의 신뢰성판정조건에서는 이동물에 대해서 오판하는 경우에도, 이동물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동물의 침입을 검출해서 신뢰성판정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를 바르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4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의 이동물검출수단까지의 구성을 제51도에 표시한다.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전체구성에 관해서는, 제51도에 표시한 이동물검출수단으로부터의 이동물검출신호를 토대로, 제30에서부터 제33실시예에서 사용한 어느하나의 신뢰성판정수단,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을 사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동물검출수단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제44도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51도에서(322)는 영역간 벡터차검출수단, (323)은 이동물검출수단이다.
영역간 벡터차검출수단(322)에서는 벡터검출영역의 왼쪽영역(제45도(312))의 움직임벡터와 오른쪽영역(제45도(314))의 움직임벡터의 차의 절대치를 구한다. 이동물검출수단(323)에서는 제30, 제31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동물검출조건에, 영역한 벡터차검출수단(322)으로부터의 영역간 벡터차신호에 의한 검출조건을 추가한다. 실시예 30의 이동물검출조건에 추가한 예를 이하에 표시한다. 이동물검출수단(323)에서는 이하에 표시한 조건 1을 만족한 후에 어느 일정시간내에 조건 2를 만족했을 때 이동물이 화면내에 침입했다고 판단한다.
조건 1 : 차분신호(315)>α또한β1>차분신호(316)β2
조건 2 : 차분신호(316)>γ또한 영역간벡터차신호>δ
마찬가지로 해서 제31실시예의 이동물검출조건에도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차를 조건에 추가함으로써 이동물의 검출조건이 엄해져 이동물이 아닐 경우에 잘못하여 이동물로 오검출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5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52도에 표시한다. (41)은 화상신호입력단자이다. (42)는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43)은 정지판정수단, (44)는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45)는 판정결과도검출수단, (46)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이다. (47)은 흔들림보정수단이며, 제73도의 흔들림보정수단(208)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5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 먼저 입력단자(41)에 적어도 2필드이상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영역벡터검출회로(42)에서는, 제74도(209),(210),(211),(212)에 표시한 바와같이 화면내에 4개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2필드간의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i<imax<jmin<j<jmax 편이한 위치의 신호의 차 ∑│△L│(i,j)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그 값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Vk(검출영역의 수 : k=1,2,3,4)로 한다.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는 정지판정수단(43)에 출력된다.
정지판정수단(43)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가 정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판정결과 도출수단(45)에 출력한다. 정지판정수단은 예를 들면
Sk={Vk(t)<C}∩{Vk(t-1)<C∩}
{Vk(t-2)<}C∩{Vk(t-3)<C∩}
{Vk(t-4)<C}∩{Vk(t-5)<C∩}
{Vk(t-6)<C}∩{Vk(t-7)<C∩}
{Vk(t-8)<C}∩{Vk(t-9)<C∩}
Sk : 판정결과(참일 때 1, 거짓일 때 0)
(k=1,2,3,4)
t : 시간
C : 정수
∩ : 논리곱(또한)
Vk :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k=1,2,3,4)와 같이, 벡터 Vk가 시계열순으로 연속 10회 혹은 n회(n : 자연수), 정수 C이내에 있으며,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는 정지했다고 판정한다. 정지조건으로서는, 이밖에 n회중 m회(n>m)(m:자연수)가 정수 C이내라면 움직임벡터는 정지했다고 판정하는 방법도 고려된다.
또 각 영역벡터검출회로(42)는, 상관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를 구하고, 움직임벡터의 값과 함께,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44)에 출력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44)은, 각 영역벡터검출회로(42)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값으로부터, 각 검출영역의 신뢰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판정결과도출수단(45)에 출력한다. 판정결과도출수단(45)에서는 정지판정수단(43)으로부터의 판정결과가, 4개의 벡터검출영역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 정지하고 있는 움직임벡터가 있다고 판정하고 있는 경우는 그 판정결과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에 출력한다. 또 정지하고 있는 움직임벡터가 1개도 없는 경우는 신뢰성판정수단의 판정결과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결정수단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46)은 각 검출영역의 판정결과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이상의 동작을 순서도로 표시하면 제53도와 같이 된다. 스텝 101에서 시작하여, 스텝 102가 제52도(42)에, 스텝 103이 제52도(44)에, 스텝 104가 제52도(43)에, 스텝 105, 106, 107이 제52도(45)에, 스텝 108에 제52도(46)에 대응하고, 스텝 109에서 움직임벡터를 출력한다.
제54도, 제55도는 구체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55도의 구간(a)∼(e)는 제54도의 구간(a)∼(e)에 대응하고 있다. 제54도는 이동물(52)이 화면내에 들어온 경우의 화면과 각 검출영역의 상관치를 표시한 것이며, 제55도는 그때 검출되는 움직임벡터(59)를 표시한 것이다. 제55도에서 (60)은 카메라의 움직임벡터로서 0벡터로 한다. (56)은 이동물의 움직임벡터이며 대략 일정치로 되어있다. (57),(58)은 각각 검출영역(48),(49)으로부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이며, 이동물의 검출영역에의 걸리는 모양에 따라서, 이 동물의 움직임이 가산된 벡터(56) 또는 그 이외의 오벡터가 검출되고 있다. (59)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46)으로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벡터이다.
먼저 최초 제54도의 구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느 검출영역(48)중에, 배경과 이동물(52)이 양쪽 존재하고 있을때는 제54도의 구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관치(53)의 상태에 따라서, 그 검출영역은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된다. 또, 검출영역(49)은 신뢰성었음으로 되는 것이 요망되나, 배경이 비치는 상태에 따라서는 제54도(a)∼(b)와 같이 신뢰성없음으로 된다(검출영역(50),(51)의 동작은 이때 각각 (48),(49)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제54도의 구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느 검출영역(48)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차지한 경우,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57)는 이동물(52)의 움직임을 가산한 움직임벡터가 되고, 또한 상관치(55)의 상태로부터는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다. 또 이때 검출영역(49)은 신뢰성없음의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여거서는 검출영역(49)은 정지판정수단(43)에 의해 움직임벡터는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되고 있으므로, 파정결과도출수단(45)에 의해 움직임벡터(57)는 무시되고, 검출영역(49),(51)의 움직임벡터가 최종적인 움직임벡터결정에 사용된다. 또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이동물이 이동하면, 다시 검출영역(48)중에 배경과 이동물(52)이 양쪽 존재하는 상황{제54도중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것을 (c)로 한다}이 되고, 다음에 제54도의 구간(d),(e)에 표시한 바와 같은 신뢰성없음의 상황이 된다. 그러나 구간 (c),(d),(e)에 있어서도 정지벡터는 존재하므로, 제55도이 구간(a)∼(e)의 시점에서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는 제55도의 (5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되고, 피사체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지벡터판정수단에 의해서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된 움직임벡터가 1개 이상 있을때는, 정지판정결과를 신뢰성판정수단의 판정결과보다도 우선시킴으로써, 신뢰성판정수단이 오판해도, 최종적으로는 피사체의 침입 등에 의한 오벡터를 출력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35실시예에서, 화면내의 어느 검출영역에는 하늘이나 벽 등과 같은 밝기나 혹은 색이 한결같은 영상이 있을때는 손흔들림 등에 의해서 화면이 흔들려도 각 영역벡터검출회로(42)로부터 얻어진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는 부정치를 내는 일이 많다. 그때 정지판정수단(43)이 한결같은 영상을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하면, 손흔들림 등에 의한 화면의 흔들림이 일어난 경우 보정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정지판정수단(43)은 또 다음과 같이 개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6도는 화면의 내용과 그때의 상관치의 평균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86),(87),(88),(89)는 각 검출영역이다. 제56도(a)는 자연풍경, (c)는 그때의 평균치, (b)는 한결같은 영상의 검출영역(87),(88)이 존재하는 하늘의 풍경, (d)는 검출영역(87),(88)의 평균치이다. 상관치의 평균치는, 2필드간의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의 양(i,j):imin〈i〈imax, jmin〈j〈jmax편이한 위치의 신호의 차Σ│ΔL│(i,j)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여, 평균해서 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면이 제56도(a)와 같이 자연풍경이면, 각 검출영역의 평균치는 제56도(c)와 같이 높은 값을 표시한다. 그러나 제56도(b)의 검출영역(87),(88)과 같이 한결같은 회면은, imin〈i〈imax, jmin〈j〈jmax의 모든 범위에서 상관치(신호의 차Σ│ΔL│(i,j)가 작아지고, 제56도(d)와 같이 제56도(c)에 비해서 작은 값으 표시한다. 그래서 평균치가 소정의 값 C'보다 작을 때는 검출영역(87),(88)은 정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으면 된다.
정지판정수단은 예를 들면
Sk={Vk(t)<C}∩{Vk(t-1)<C∩}
{Vk(t-2)<C}∩{Vk(t-3)<C∩}
{Vk(t-4)<C}∩{Vk(t-5)<C∩}
{Vk(t-6)<C}∩{Vk(t-7)<C∩}
{Vk(t-8)<C}∩Vk(t-9)<C∩}
{Avek(t)>C'}∩
{Avek(t-1)>C'}∩
{Avek(t-2)>C'}∩
{Avek(t-3)>C'}∩
{Avek(t-4)>C'}∩
{Avek(t-5)>C'}∩
{Avek(t-6)>C'}∩
{Avek(t-7)>C'}∩
{Avek(t-8)>C'}∩
{Avek(t-9)>C'}
Sk : 판정결과(참일 때 1, 거짓일 때 0)
(k=1,2,3,4)
t : 시간
C,C' : 정수
∩ : 논리곱(또한)
Vk :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k=1,2,3,4)
Avek : 각 검출영역의 평균치(k=1,2,3,4)
와 같이, 벡터 Vk와 평균치가 시계열순으로 연속 10회 혹은 n회(n : 자연수),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는 정지했다고 판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검출영역에서 화면이 한결같은 영상이 존재할 때는, 그 검출영역은 정지판정수단에서 정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한결같지 않은 영상의 검출영역을 토대로 보정을 행함으로써, 안정되고 보기 좋은 화면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6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57도에 표시한다. (61)은 화상신호입력단자이다. (62)는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63)은 최소판정수단, (64)는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65)는 판정결과도출수단, (66)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 (67)은 흔들림보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6실시예의 각 영역벡터검출회로(62), 신뢰성판정수단(64), 벡터결정수단(66)은, 흔들림보정수단(67)의 동작은 각각 제35실시예의 각 영역벡터검출회로(42), 신뢰성판정수단(44), 벡터결정수단(46), 흔들림보정수단(47)과 마찬가지이다.
최소판정수단(63)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가 정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판정결과도출수단(65)에 출력한다. 최소판정은 복수 존재하는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최소치가 되고 있는 검출영역을 판정하는 것이다.
판정결과도출수단(65)에서는, 신뢰성판정수단(64)이 적어도 1개 이상의 검출영역에서 신로성없음으로 판정하고 있는 경우는 최소판정수단의 판정결과를 채용하고, 움직임벡터결정수단(66)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66)에서는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최소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한다. 또 신뢰성판정수단(64)이 모든 검출영역에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하고 있는 경우는, 신뢰성판정수단의 판정결과를 채용하고, 움직임벡터결정수단(66)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66)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평균치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 한다.
이상의 동작을 순서도로 표시하면 제58도와 같이 된다. 스텝 110에서 시작하여, 스텝 111이 제57도(62)에, 스텝 112가 제57도(64)에, 스텝 113이 제57도 (63)에, 스텝 114, 115, 116이 제57도(65)에, 스텝 117이 제57도(66)에 대응하고, 스텝 118에서 움직임벡터를 출력한다.
제3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54도, 제55도에서 구체적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최초 제54도의 구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느 검출영역(48)중에, 배경과 이동물(52)이 양쪽 존재하고 있을 때는 제54도의 구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관치(53)의 상태에 따라서, 그 검출영역은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된다. 또, 검출영역(49)은 신뢰성있음으로 되는 것이 요망되나, 배경이 비치는 상태에 따라서는 제54도(a)∼(e)와 같이 신뢰성없음으로 된다. 그리고 판정결과도출수단(65)에 의해서 최소판정결과가 채용된다.(검출영역(50),(51)의 동작은 이때 각각 (48),(49)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제54도의 구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느 검출영역(48)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차지한 경우, 그 검출영역의 제55도의 벡터(57)는 이동물(52)의 움직임을 가산한 움직임벡터가 되고, 또한 상관치(55)의 상태로부터는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다.
또 이때 검출영역(49)은 신뢰성없음의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검출영역(49)은 각 검출영역의 최소치이므로 움직임벡터(57)는 무시되고, 검출영역(49),(51)의 움직임벡터가 최종적인 움직임벡터결정에 사용된다. 또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이동물이 이동하면, 다시 검출영역(48)중에 배경과 이동물(52)이 양쪽 존재하는 상황{제54도중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것을 (c)로 한다}이 되고, 다음에 제54도의 구간(d),(e)에 표시한 바와 같은 신뢰성없음의 상황이 된다. 그러나 구간(c),(d),(e)에 있어서도 최소벡터가 채용되고, 제55도의 구간(a)∼(e)의 시점에서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는 제55도(5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되고, 피사체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없음으로 판정된 움직임벡터가 1개 이상 있을 때는, 최소판정결과를 신뢰성판정수단의 판정결과보다도 우선시킴으로써, 신뢰성판정수단이 오판해도, 최종적으로는 오벡터를 출력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판정결과도출수단(65)에 있어서 신뢰성판정결과가 신뢰성있음과 없음이 혼재할 때만 최소판정결과를 사용해도 된다. 즉 각 검출영역의 신뢰성판정이 전혀 없을때는 흔들림보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최소판정수단(63)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가장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선택한 n개를 최소라는 판정결과로 해도 된다. 벡터결정수단(66)은 n개에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7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59도에 표시한다. (68)은 화상신호입력단자이다. (69)는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70)은 유사도판정수단, (71)은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 (72)는 판정결과도출수단, (73)은 움직임벡터결정수단, (74)는 흔들림보정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7실시예의 각 영역벡터검출회로969), 신뢰성판정수단(71), 벡터결정수단(73), 흔들림보정수단(74)의 동작은 각각 제35실시예의 각 영역벡터검출회로(42), 신뢰성판정수단(44), 벡터결정수단(46), 흔들림보정수단(47)과 마찬가지이다.
유사도판정수단(70)에서는 유사도를 산출한다. 유사도는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간의 차이 성분을 계산하면 된다. 예를들면
유사도= {|V1|-|V2|}+{|V1|-|V3|}
+{|V1|-|V4|}+{|V2|-|V3|}
+{|V2|-|V4|}+{|V3|-|V4|}
Vi : (i=1,2,3,4)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i는 각 검출영역의 수 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유사도는 작을수록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는 닮게 된다. 단, 유사도판정수단(70)에서는, 모든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가 유사할 때는, 모든 벡터에 대해서 판정결과를 참 "1"으로 한다. 또, 유사하지 않을 때는 판정결과를 거짓 "0"으로 한다. 그리고 판정결과와 유사도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판정결과도출수단(72)에 출력한다.
판정결과도출수단(72)에서는 유사도를 토대로 판정수단을 선택한다.
유사도C이면 유사도판정결과채용
유사도>C이며 신뢰성판정결과채용
C : 정수
이상의 동작을 순서도로 표시하면 제60도와 같이 된다. 스텝 119에서 시작하여, 스텝 120이 제59도(69)에, 스텝 121이 제59도(71)에, 스텝 122가 제59도(70)에, 스텝 123,124,125가 제59도 (72)에, 스텝 126이 제59도(73)에 대응하고, 스텝 127에서 움직임벡터를 출력한다.
제61도와 제62도에서 구체예로 설명한다. 제61도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일으키고 있는 보정전의 화면과, 검출영역(75),(77)과 그 상관치(80), 검출영역(76),(78)과 그 상관치(81)를 표시한 것이다.(이하 검출영역(77),(78)의 동작은 각각 (75),(76)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79)는 침입물이다. 제62도는 제61도의 사이의 움직임벡터와 유사도를 표시한 것이다. 제62도에서 (84)는 카메라의 움직임벡터로서 0벡터를 중심으로 상하로 흔들리고 있다. (83)은 검출영역(75)으로부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이며,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84) 또는 이동물(79)의 움직임 또는 그 이외의 오벡터가 검출되고 있다. (82)는 검출영역(76)으로부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이며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84)가 검출되고 있다. (85)는 벡터결정수단(73)으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이다. 제61도의 구간(a)∼(d)는 제62도의 구간(a)∼(d)에 대응하고 있다.
먼저 최초 제61도의 구간(a)∼(c)는 제62도로부터
유사도C
의 상태이므로 유사도판정결과가 채용된다. 그리고 벡터결정수단(73)에 의해서 각 검출영역의 모든 움직임벡터의 평균치가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가 된다.
특히, 제61도의 구간(b)에서는 신뢰성판정은 배경이 비치는 상태에 따라서 모든 검출영역에서 갑자기 신뢰성없음이 되어 있으며, 이 판정뿐이면 흔들림보정할 수 없게 되나, 제62도로부터
유사도C
의 상태이므로, 유사도판정결과가 채용된다. 다음에 제61도의 구간(d)에서는 침입물(79)이 들어왔으므로,
유사도>C
의 상태가 되어 신뢰성판정결과가 채용된다. 그리고 검출영역(75)의 움직임벡터가 채용된다. 그 결과,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는 제62도(85)와 같이 되고, 카메라의 흔들림만 보정된 벡터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도판정수단에 의해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에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을때는 화면전체가 동일방향으로 흔들리고 있으므로 화면흔들림보정을 해야 한다. 그래서 유사도를 토대로 판정결과도출수단(72)에 의해서 모든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가 채용되고, 벡터결정수단(73)에 출력된다. 반대로 유사성이 없을때는 침입물이 화면내에 들어있을 가능성이 높아, 그 침입물이 존재하는 검출영역을 보정에 사용해서는 안되므로 신뢰성판정수단(71)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의 흔들림만 보정된 안정되고 보기좋은 영상이 된다.
또한 제35,36 및 37실시예에 있어서, 화면중의 검출영역의 수는 4개로 했으나, 그 이외라도 된다. 또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의 판정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반드시 이대로일 필요는 없고, 판정에 있어서 그 시점의 상관치의 상태나 벡터의 값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상관치의 상태나 벡터의 값이나 판정결과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부가해도 된다.
또,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정지판정수단, 최소판정수단 및 유사도판정수단을 모두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8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63도에 표시한다. (131)은 화상신호입력단자이다. (132)는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133)은 웨이팅처리수단, (134)는 흔들림보정수단이며, 제73도의 흔들림보정수단(208)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8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먼저 입력단자(131)에 적어도 2필드 이상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영역벡터검출회로(132)에서는 제6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미 화면내에 복수의 벡터검출영역(135) 혹은 (138)이 정해저 있으며, 또 검출영역은 종래 기술(제74도)에서 설명한 대표점을 가진 다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2필드이 시간적으로 연속인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소영역의 대표점에 대해서 2필드간의 소정의 범위의 양(i,j):imin〈i〈imax, jmin〈j〈jmax편이한 위치의 신호와의 차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소영역의 총합을 취한다. 상관치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다음식에 의해서 구해진다.
L|(i,j) : 좌표(i,j)와 대표점과의 신호의 차의 절대치
n : 1개의 검출영역중의 소영역의 수
상관치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Vk(k=1,2,…,n, n :검출영역의 수)로 한다.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는 웨이팅처리수단(133)에 출력된다.
웨이팅처리수단(133)에서는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웨이트계수를 사용한 계산처리를 행하여,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출력한다. 웨이팅처리수단(133)은 예를 들면
n : 검출영역의 계수
ak : 웨이트계수
Vk :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V :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
와 같은 웨이팅평균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64도(a),(b)에 구체예를 2개 표시한다. (135),(138)은 검출영역, (136),(139)는 각 감출영역의 움직임벡터, (137),(140)은 각 검출영역의 웨이트계수이다. 제64도(a)는 화면을 5개의 검출영역으로, 제64도(b)는 16개의 검출영역으로 분할하고 있다. (a)와 (b) 모두 웨이트계수를, 화면의 중앙부분은 0으로 하고, 화면의 단부를 크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65도(a),(b)와 같이 이동물(자동차)이 침입했을때를 생각해보자. (131),(145)는 검출영역, (142),(146)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143),(147)은 각 검출영역의 웨이트계수, (144),(148)은 이동물(자동차)이다. 제64도(a)에 제65도(a) 제65도(b) 제65도(b)가 대응하고 있다. 제65도(a)에서는 이동물은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중앙의 검출영역의 웨이트계수는 0이므로, 이동물의 움직임벡터는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또 제65도(b)에서는 이동물의 움직임벡터가 영역(V3,V6,V7,V10,V11,V15)에서 검출되고 있다. 그중, V6,V7,V10,V11에 대에서는 웨이트계수는 0이므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V3, V15에 대해서는 웨이팅평균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값이 작아지므로 큰 영향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의 중앙은 피사체의 움직임이며, 화면의 단부쪽일수록 손흔들림의 움직임이라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화면의 단부쪽일수록 웨이트계수를 크게 한다. 그때 화면의 중앙부분은 0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웨이트계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의 웨이팅평균하면, 간단한 계산으로 손흔들림의 벡터에 근사한 움직임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9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66도에 표시한다. (149)는 화상신호입력단자이다. (150)은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151)은 신리성판정수단, (152)는 웨이팅처리수단, (153)은 흔들림보정수단이며, 제73도의 흔들림보정수단(208)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9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먼저 입력단자(149)에 적어도 2필드이상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영역벡터검출회로(150)에서는 제3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움직임벡터를 각각 구한다. 제67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미 화면내에 복수의 벡터검출영역(155)이 정해져 있으며, 또 검출영역은 종래 기술(제74도)에서 설명한 대표점을 가진 다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2필드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소영역의 대표점에 대해서 2필드간의 소정의 범위의 양(i,j):imin〈i〈imax, jmin〈j〈jmax 편이한 위치의 신호와의 차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소영역의 총합을 취한다. 상관치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다음식에 의해서 구해진다.
L|(i,j) : 좌표(i,j)와 대표점과의 신호의 차의 절대치
n : 1개의 검출영역중의 소영역의 수
상관치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Vk(k=1,2,…,n, n :검출영역의 수)로 한다. 또 각 영역벡터검출회로(150)는 그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를 구하고, 움직임벡터의 값과 함께,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151)에 출력한다. 움직임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151)에서는 각 검출영역의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로부터 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한다. 신뢰성판정결과와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웨이팅처리수단(152)에 출력한다.
웨이팅처리수단(152)은 신뢰성판정수단(151)에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검출영역의 웨이트계수와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계산처리를 행한다.
웨이팅처리수단(152)은 예를들면
k : 신뢰성있음으로 된 검출영역의 번호(신뢰성없음으로 된 번호는 제외한다)
n : 검출영역의 계수
ak : 웨이트계수
Vk :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V :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
와 같은 웨이팅평균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67도(a),(b)는 구체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67도(a)는 16개의 검출영역으로 분할되고, 웨이트계수가 부여되고 있다. (155)는 검출영역, (154)는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156)은 각 검출영역의 웨이트계수, (157)은 이동물(자동차)이다. (a)에서는 이동물의 움직임벡터(V3,V6,V7,V10,V11,V15)가 검출되고 있다. 그중, V6, V7, V10, V11에 대해서는 웨이트계수는 0이므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V3, V15에 대해서는 (b)에 사선부분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없음으로 되어 있으므로 채용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V1, V2, V4, V5, V8, V9, V12, V13, V14, V16의 움직임벡터에서 웨이팅평균이 행해지고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가 구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의 중앙은 피사체의 움직임이며, 화면의 단부쪽일수록 손흔들림의 움직임이라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화면이 단부쪽일수록 웨이트계수를 크게 한다. 또 신뢰성판정수단에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만 웨이팅평균하면, 간단한 계산으로 손흔들림의 벡터에 근사한 움직임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 화면의 중앙부분은 0일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0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68도에 표시한다. (158)은 화상신호입력단자, (159)는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160)은 클러스터화수단, (161)은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 (162)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 (163)은 흔들림보정수단이며, 제73의 흔들림보정수단(208)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0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먼저 입력단자(158)에 적어도 2필드 이상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영역벡터검출회로(159)에서는 제69도(a)의 (165)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내에 이미 복수의 벡터검출영역이 정해져 있으며, 또 검출영역은 종래 기술(제74도)에서 설명한 대표점을 가진 다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2필드의 시간적으로 연속인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소영역의 대표점에 대해서 2필드간의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i〈imax, jmin〈j〈jmax편이한 위치의 신호와의 차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소영역의 총합을 취한다. 상관치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다음식에 의해서 구해진다.
L|(i,j) : 좌표(i,j)와 대표점과의 신호의 차의 절대치
n : 1개의 검출영역중의 소영역의 수
상관치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 (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Vk(k=1,2,…,n, n :검출영역의 수)로 한다.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는 클리스터화수단(160)에 출력된다.
클러스터화수단(160)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클러스터화(분류)를 행한다. 클러스터화의 수법은 다수 있으며, 어느것을 사용해도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계층적 클러스터화를 예로 설명한다. 즉 움직임벡터간의 거리(방향과 크기의 차)가 작은 것을 그룹화한다. 또 그룹간의 거리가 작은 것을 병합해서 1개의 그룹으로 함으로써, 그룹의 수를 감소시킨다. 그룹간의 거리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그룹간 상호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최대거리로 표시한다.
Vi(i=1,2,…,n) : 어느 그룹내의 움직임벡터
Vj(j=1,2,…,n) : 다른 그룹내의 움직임벡터
i,j : 그룹내의 검출영역의 번호
그룹간 거리 Dmax가 작은 것에서부터 순서대로 그룹을 병합해간다. 그룹은 처음에는 다수 존재하나. 그룹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적어진다. 어느 소정의 거리이내이면 동일 그룹에 소속한다고 해서 그룹화될 때까지 클러스터화를 계속한다. 또 그룹의 수를 토대로 클러스터화를 중지해도 된다.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161)은 복수의 그룹중에서, 손흔들림중의 움직임벡터의 그룹을 뽑아낸다. 이동물이 침입하기 전의 움직임벡터를 손흔들림그룹으로 하면 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162)은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161)에 의해서 선택된 그룹내의 움직임벡터를 평균으로써, 흔들림보정의 움직임벡터를 구한다.
제69도(a),(b)는 구체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69도(a)는 화면을 16개의 검출영역으로 분할하고 있다. (164)는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165)는 검출영역이다. (a)와 같이 이동물(사람)(166)이 침입했을 때를 생각해보자. 사람이 걸어서 화면의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손을 흔들면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사람의 움직임벡터에는 불균일이 있다. 사람의 움직임벡터로서 V5,V6,V7,V8,V9,V10,V11,V12가 검출되고 있다. 한편 손흔들림의 움직임벡터로서, V1,V2,V3,V4,V13,V14,V15,V16이 검출되고 있다. 이들 움직임벡터를 시작점을 일치시켜 그리면 제69도(b)와 같이 된다. 움직임벡터는 클러스터화 수법을 사용해서 (b)와 같이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2개의 그룹을 검출영역으로 표시하면 제70도의 반점부(그룹 1), 사선부(그룹 2)와 같이 된다. 검출영역중에는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것도 존재한다. 손흔들림을 위한 보정벡터로서 어느 그룹을 사용할지의 판정은 사람이 침입하기 전의 움직임벡터인 그룹 1을 채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방향 혹은 크기 또는 그들의 미분치을 기준으로 해서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클러스터화)하고, 그룹중의 1개를 손흔들림의 움직임벡터로서 채용하면 손흔들림의 벡터에 근사한 움직임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1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흔들림보정수단을 구비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블록도를 제71도에 표시한다. (169)는 화상신호입력단자, (170)은 각 영역벡터검출회로, (171)은 신뢰성판정수단, (172)는 클러스터화수단, (173)은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 (174)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 (175)는 흔들림보정수단이며, 제73도의 흔들림보정수단(208)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1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먼저 입력단자(169)에 적어도 2필드 이상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영역벡터검출회로(170)에서는 움직임벡터를 각각 구한다. 제72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미 화면내에 복수의 벡터검출영역(177)이 정해져 있으며, 또 검출영역은 종래 기술(제74도)에서 설명한 대표전을 가진 다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2필드의 시간적으로 연속이 화상신호가 입력된다. 각 소영역의 대표점에 대해서 2필드간의 소정의 범위의 양(i,j) : imin〈i〈imax, jmin〈j〈jmax편이한 위치의 신호와의 차를 상관치로서 각각 구하고 소영역의 총합을 취한다. 상관치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다음식에 의해서 구해진다.
L|(i,j) : 좌표(i,j)와 대표점과의 신호의 차의 절대치
n : 1개의 검출영역중의 소영역의 수
상관치의 최소치를 부여하는 편이(i',j')를 검출하고, 이것을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 Vk(k=1,2,…,n,n : 검출영역의 수)로 한다. 또 각 영역벡터검출회로(170)은 그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를 구하고, 움직임벡터의 값과 함께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171)에 출력한다. 벡터의 신뢰성판정수단(171)에서는 각 검출영역의 상관치의 최소치, 평균치, 최대치로부터 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한다. 신뢰성판정결과와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클러스트화수단(172)에 출력한다.
클러스터화수단(172)은 신뢰성판정수단(71)에 의해 신뢰성있음으로 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클러스터화(분류)를 행한다. 클러스터와의 수법은 다수 있으며, 어느것을 사용해도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계층적 클러스트화를 예로 설명한다. 즉 움직임벡터간의 거리(방향과 크기의 차)가 작은 것을 그룹화한다. 또 그룹간의 거리가 작은 것을 병합해서 1개의 그룹으로 함으로써, 그룹의 수를 감소시킨다. 그룹간의 거리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그룹간 상호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최대거리로 표시한다.
Vi(i=1,2,…,n) : 어느 그룹내의 움직임벡터
Vj(j=1,2,…,n) : 다른 그룹내의 움직임벡터
i,j : 그룹내의 검출영역의 번호
그룹간의 거리 Dmax가 작은 것에서부터 순서대로 그룹을 병합해간다. 그룹은 처음에는 다수 존재하나, 그룹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적어진다. 어느 소정의 거리이내이면 동일 그룹에 소속한다고 해서 그룹화될때까지 클러스터화를 계속한다. 또 그룹의 수를 토대로 클러스터화를 중지해도 된다.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173)은 복수의 그룹중에서, 손흔들림의 움직임벡터외 그룹을 뽑아낸다. 이동물이 침입하기 전의 음직임벡터를 손흔들림의 그룹으로 하면 된다.
움직임벡터결정수단(174)은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173)에 의해서 선택된 그룹내의 움직임벡터를 평균함으로써, 흔들림보정의 움직임벡터를 구한다. 제72도(a),(b)는 구체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72도(a)는 화면을 16개의 검출영역으로 분할하고, 이동물(사람)이 침입하고 있다. 사람이 걸어서 화면의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손을 흔들면서 이동한다. 사람의 움직임벡터로서 V5,V6,V7,V8,V9,V10,V11,V12가 검출되고 있다. 한편 손흔들림의 움직임벡터로서, V1,V2,V3,V4,V13,V14,V15,V16이 검출되고 있다. 제72도(a) 사선부와 같이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움직임벡터 V5,V6,V9,V10이 신뢰성없음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제외한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클러스터화를 행한다. 제72도에 클러스터화에 의해서 그룹화된 검출영역을 표시한다. 손흔들림의 영역은 반점부(그룹 1), 사람의 영역은 사선부(그룹 2)로 표시되어 있다. 손흔들림을 위한 보정벡터로서 어느 그룹을 사용할지의 판정은 사람이 침입하기 전의 움직임벡터인 그룹 1을 채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된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만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방향 혹은 크기를 기준으로 해서 복수의 그룹을 분류(클러스터화)하고, 그룹중의 1개를 손흔들림의 움직임벡터로서 채용하면 손흔들림의 벡터에 근사한 움직임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영역과 동일 정도이거나 그 이상의 이동물이 들어온 경우에도, 종래에는 벡터검출할 수 없었던 것을,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선택적으로 비데오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만 화면의 움직임벡터로서 검출할 수 있게 되고, 또 화면과 동일 정도이거나 그 이상의 크기의 이동물이 들어온 경우에도, 종래에서는 이동물의 움직임이 가산된 벡터가 잘못 검출되고 있었던 것이, 검출이 자동적으로 중단된 오벡터의 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흔들림보정장치는 종래에서는 이동물에 대하여 흔들림보정가능한 범위가 작고 또한 그것을 넘은 경우에 오동작하는 일이 많아 실용에 적합하지 않았던 것이, 이동물에 대하여 흔들림보정가능한 범위가 크고 또한 그것을 넘은 경우에도 오동작하는 일이 매우 적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서 회로 등의 증가는 거의 없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따라서 그 실용적 효과는 크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영역과 동일정도이거나 그 이상의 이동물이 들어오는 경우에도, 종래에서는 이동물을 검출할수 없었던 것이, 영역간의 상관치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사용함으로써 이동물을 감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선택적으로 비데오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만 화면의 움직임벡터로서 검출할 수 있게 되고, 또 화면과 동일정도이거나 그 이상의 크기의 이동물이 들어온 경우에도, 종래에서는 이동물의 움직임이 가산된 벡터가 잘못 검출되고 있었던 것이, 검출이 자동적으로 중단되어 오벡터의 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물이 들어온 경우에서 신뢰성판정이 오판되고 있어도,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선택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움직임벡터나 비데오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벡터만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로서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동물이 들어온 경우에도, 종래에서는 이동물의 움직임이 가산된 벡터가 잘못 검출되고 있었던 것이, 검출이 자동적으로 중단되어 오벡터의 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물의 움직임과 손흔들림의 움직임이 존재하고 있어도, 각 검출영역에 웨이트계수를 설정하여, 화면의 단부쪽일수록 손흔들림의 움직임벡터의 존재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화면의 단부의 검출영역의 웨이트계수를 크게 하고, 이 웨이트계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의 웨이팅평균을 취하면, 간단한 계산으로 손흔들림의 벡터에 근사한 움직임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 이동물의 움직임과 손흔들림의 움직임을 클러스터화수법을 사용해서 분류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손흔들림의 움직임벡터를 구할 수 있다.
또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된 검출영역만 사용해서 상기의 방법을 적용하면, 성능은 향상한다.

Claims (34)

  1.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의 최대치 혹은 최소치로 된 편이를 각 검출영역마다의 움직임벡터로 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구하는 수단(4)과, 상기 상관치와 시간변동치로부터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5)과, 신뢰성 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2)과, 상기 상관치로부터 상기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신뢰성판정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구하는 판정수단(8,13-1,…,13-n)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한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참이나 거짓의 2치의 판정치로 변환하는 판정치변환수단(11)과, 각 검출영역의 참으로 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2)과, 상기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기 위한 신뢰성판정정보에 의해 참에서부터 거짓까지의 사이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구하는 판정수단(8,13-1,…13-n)과, 상기 판정수단에 위한 참에서 거짓까지의 의미를 가진 판정결과를 토대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1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4.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토대로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2)과,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3)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5)과, 상기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의 판정조건의 정도를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치에 따라서 변경하는 수단(19,20)과,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을 구하고, 각 검출영역간의 움직임벡터의 상관이 높은 경우에는 신뢰성판정조건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7.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화면의 좌우 혹은 상하의 검출영역간에서의 상관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25,26)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24a∼24d)과, 신뢰성의 판정과 검출영역간의 상관치의 차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2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8.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화면의 좌우 혹은 상하의 검출영역간에서의 상관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25,26)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와 검출영역간의 상관치의 차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28a∼28d)과, 신뢰성의 판정을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2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9.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구하는 수단(30a∼30d)과, 화면의 좌우 혹은 상하의 검출영역간에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32,33)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와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31a∼31d)과, 신뢰성의 판정과 상기 검출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0.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상관치의 시간변동치를 구하는 수단(30a∼30d)과, 화면의 좌우 혹은 상하의 검출영역간에서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구하는 수단(32,33)과, 각 검출영역의 화상간의 상관치와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와 영역간의 상관치의 시간변동치의 차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에서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35a∼35d)과, 신뢰성의 판정을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해서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2.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44)과,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정지상태를 판정하는 정지판정수단(43)과, 상기 정지판정수단과 상기 신뢰성판정수단으로부터 최종적인 판정결과를 도출하는 판정결과도출수단(45)과, 상기 도출된 판정결과를 토대로 각 겸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4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3.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64)과,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값의 움직임벡터를 판정하는 최소판정수단(63)과, 상기 최소판정수단과 상기 신뢰성판정수단으로부터 최종적인 판정결과를 도출하는 판정결과도출수단(65)과, 상기 도출된 판정결과를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6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4.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수단과,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유사도를 판정하는 유사도판정수단(70)과, 상기 유사도판정수단과 상기 상태판정수단으로부터 최종적인 판정결과를 도출하는 판정결과도출수단(72)과, 도출된 판정조건을 토대로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수단(7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판정수단은, 시계열순으로 도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움직임벡터가, 화상간의 소정의 범위내에 존재할 때, 상기 움직임벡터는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판정수단은 각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중에서 최소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정수단은,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71)이며, 상기 판정결과도출수단은 상기 신뢰성판정수단과 상기 유사도판정수단으로부터 최종적인 판정결과를 도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8. 제12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과,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19.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검출영역에 웨이트계수를 설정하고, 각 웨이트계수와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웨이팅처리수단(13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0.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151)과, 각 검출영역에 웨이트계수를 설정하고, 상기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으로 판정된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와 웨이트계수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웨이팅처리수단(1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1.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각 움직임벡터를 크기 또는 방향 또는 그들의 미분치를 토대로 그룹으로 분류하는 클러스터화수단(160)과, 상기 클러스터화수단에 의해 분류된 그룹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구하기 위한 그룹을 선택하는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161)과, 상기 손흔들림그룹 판정수단에 의해 선택된 그룹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16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2. 화면중에 복수의 검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 검출영역에 대해서, 화상간의 소정의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치를 구하는 수단과, 그 상관치로부터 각 검출영역마다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움직임벡터의 값 또는 상관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그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판정수단(171)과, 상기 신뢰성판정수단에 의해서 신뢰성있음을 판정된 검출영역의 움직임벡터를 크기 또는 방향 또는 그들의 미분치를 토대로 그룹으로 분류하는 클러스터화수단(172)과, 상기 클러스터화수단에 의해 분류된 그룹으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구하기 위한 그룹을 선택하는 손흔들림그룹판정수단(173)과, 상기 손흔들림그룹 판정수단에 의해 선택된 그룹의 움직임벡터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벡터결정수단(17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과,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4.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5.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6.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7.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8.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29.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CCD와,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 혹은 상기 CCD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0. 제13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과,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1. 제14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과,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과,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3.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과,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4.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1필드 이상의 화상신호기억수단과, 상기 검출되는 움직임벡터를 토대로 상기 화상신호기억수단의 판독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의 흔들림보정부를 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KR1019910008097A 1990-05-21 1991-05-18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KR950008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0674 1990-05-21
JP2130675A JPH0426284A (ja) 1990-05-21 1990-05-21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揺れ補正装置
JP2130674A JP2971513B2 (ja) 1990-05-21 1990-05-21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揺れ補正装置
JP2-130675 1990-05-21
JP2309476A JP2506499B2 (ja) 1990-11-14 1990-11-14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揺れ補正装置
JP2-309477 1990-11-14
JP2-309476 1990-11-14
JP2309477A JPH04180370A (ja) 1990-11-14 1990-11-14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揺れ補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119A KR910021119A (ko) 1991-12-20
KR950008701B1 true KR950008701B1 (ko) 1995-08-04

Family

ID=2747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097A KR950008701B1 (ko) 1990-05-21 1991-05-18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37405A (ko)
EP (2) EP0789487A2 (ko)
KR (1) KR950008701B1 (ko)
DE (1) DE6913051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3800A (en) * 1991-10-17 1995-09-26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judging a hand movement of an image
USRE39276E1 (en) 1991-11-08 2006-09-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motion compensation
USRE39279E1 (en) 1991-11-08 2006-09-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motion compensation
US5369449A (en) 1991-11-08 1994-11-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predicting move compensation
DE69322423T2 (de) * 1992-03-13 1999-06-02 Canon Kk Vorrichtung zur Detektion von Bewegungsvektoren
US5748231A (en) * 1992-10-13 1998-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motion vector decision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system
US6034723A (en) * 1992-11-20 2000-03-07 Sony Corporation Image movement vector detection apparatus
US5329318A (en) * 1993-05-13 1994-07-12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optimizing image motion estimation
JP2940762B2 (ja) * 1993-06-28 1999-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を有するビデオカメラ
EP0632649B1 (en) * 1993-06-29 2001-10-31 SANYO ELECTRIC Co., Ltd. Video camera with electronic picture stabilizer and generation of addition data
US5592226A (en) * 1994-01-26 1997-01-07 Btg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ata compression using temporally adaptive motion interpolation
JP3319133B2 (ja) * 1994-03-29 2002-08-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プリンタ装置
US5537155A (en) * 1994-04-29 1996-07-16 Motorola, Inc. Method for estimating motion in a video sequence
JP2902966B2 (ja) * 1994-12-16 1999-06-07 三洋電機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3380402B2 (ja) * 1996-08-07 2003-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
JP3745089B2 (ja) * 1997-07-15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3149840B2 (ja) * 1998-01-20 2001-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方法
US6404901B1 (en) * 1998-01-29 2002-06-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method
DE19909627A1 (de) * 1999-03-05 2000-09-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Verschiebung von Bildern einer Bildsequenz
DE69942157D1 (de) * 1999-05-13 2010-04-29 St Microelectronics Asia Adaptiver bewegungsschätzer
JP4344964B2 (ja) * 1999-06-01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344968B2 (ja) * 1999-10-28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EP1273177A1 (en) * 2000-03-30 2003-01-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lobal motion estimation
US7742073B1 (en) 2000-11-01 2010-06-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n object of interest using a camera associated with a hand-held processing device
EP1659802B1 (en) * 2001-10-05 2008-07-23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otion vector errors in image data
KR100426174B1 (ko) * 2001-10-29 2004-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한 카메라 제어방법
US20040100563A1 (en) 2002-11-27 2004-05-27 Sezai Sablak Video tracking system and method
GB0229096D0 (en) * 2002-12-13 2003-01-15 Qinetiq Ltd Image stabilisation system and method
US7742077B2 (en) * 2004-02-19 2010-06-22 Robert Bosch Gmbh Imag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video camera
US7382400B2 (en) * 2004-02-19 2008-06-03 Robert Bosch Gmbh Imag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video camera
US20050270372A1 (en) * 2004-06-02 2005-12-08 Henninger Paul E Iii On-screen display and privacy masking apparatus and method
US9210312B2 (en) 2004-06-02 2015-12-08 Bosch Security Systems, Inc. Virtual mask for use in autotracking video camera images
US8212872B2 (en) * 2004-06-02 2012-07-03 Robert Bosch Gmbh Transformable privacy mask for video camera images
US20060078162A1 (en) * 2004-10-08 2006-04-13 Dynape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ed single moving camera object tracking
JP4379918B2 (ja) * 2004-11-29 2009-12-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US7605845B2 (en) * 2005-04-28 2009-10-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ion stabilization
KR100714698B1 (ko) 2005-08-29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움직임 추정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한 비디오인코딩 방법 및 장치
US7801427B2 (en) * 2005-09-12 2010-09-21 Nokia Corporation Adjustment of shooting parameters in dependence of motion in a scene
JP4640068B2 (ja) * 2005-09-16 2011-03-0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5003991B2 (ja) 2005-10-26 2012-08-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EP2204772A1 (en) * 2005-11-30 2010-07-07 Nik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JPWO2007074605A1 (ja) * 2005-12-26 2009-06-04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JP4340915B2 (ja) 2006-02-01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画像信号の歪み補正方法、撮像画像信号の歪み補正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KR100778116B1 (ko) * 2006-10-02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벡터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JP4201809B2 (ja) * 2006-11-13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手ぶれ補正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4759524B2 (ja) * 2007-01-09 2011-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式手振れ補正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電子式手振れ補正プログラムと撮像装置
CN101558637B (zh) * 2007-03-20 2011-10-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摄像装置以及摄像方法
JP4958756B2 (ja) * 2007-12-13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84048B2 (ja) * 2008-11-12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374220B2 (ja) * 2009-04-23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撮像装置
JP2011003985A (ja) * 2009-06-16 2011-01-06 Hoya Corp 撮像装置
JP2013041387A (ja) * 2011-08-15 2013-02-2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6025467B2 (ja) * 2012-09-12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6953690B (zh) * 2017-04-19 2019-10-22 浙江工业大学 基于可见光的智能设备近场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0752B (en) * 1979-06-07 1984-05-31 Japan Broadcasting Corp Motion compensated interframe coding system
JPH0644815B2 (ja) * 1984-04-27 1994-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物体の動き内挿装置
CA1287161C (en) * 1984-09-17 1991-07-30 Akihiro Furukawa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 moving region and a stationary region in a video signal
JPS61200789A (ja) * 1985-03-04 1986-09-05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画面上の物体の動きベクトル検出方式
JPS61269475A (ja) * 1985-05-23 1986-11-28 Toshiba Corp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JPH0786914B2 (ja) * 1986-11-07 1995-09-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を用いた変化検出方法
DE3850709T2 (de) * 1987-06-09 1994-11-24 Sony Corp Reduzierung der Bewegungsvektoren in Fernsehbildern.
GB2222500A (en) * 1988-09-05 1990-03-07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Picture motion measurement
JPH07105949B2 (ja) * 1989-03-20 1995-1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揺れ補正装置
GB2231746B (en) * 1989-04-27 1993-07-07 Sony Corp Motion dependent video signal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8249A3 (ko) 1994-03-23
EP0789487A3 (ko) 1997-09-10
EP0458249A2 (en) 1991-11-27
US5237405A (en) 1993-08-17
KR910021119A (ko) 1991-12-20
EP0789487A2 (en) 1997-08-13
DE69130515D1 (de) 1999-01-07
EP0458249B1 (en) 1998-11-25
DE69130515T2 (de)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701B1 (ko)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Gutchess et al. A background model initialization algorithm for video surveillance
Elgammal et al. Non-parametric model for background subtraction
US6625333B1 (en) Method for temporal interpolation of an image sequence using object-based image analysis
US5748231A (en) Adaptive motion vector decision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system
KR930002613B1 (ko)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Cucchiara et al. Detecting moving objects, ghosts, and shadows in video streams
US5606376A (en) Differential motion detection method using background image
US58477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 movement within an image sequence
US5488430A (en) Motion detection and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20101543A1 (en) Spatio-temporal filter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uch a spatio-temporal filter unit
US20050232357A1 (en) Motion vector estimation at image borders
CN111444854B (zh) 异常事件检测方法、相关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6141460A (en) Method for detecting edges in an image signal
CN109478329B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
US8416993B2 (en) Object boundary accurate motion detection using hierarchical block splitting and motion segmentation
US20030206246A1 (en) Motion estimator for reduced halos in MC up-conversion
US10445583B2 (en) Method for scrolling text processing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905527A (en) Movement vector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processor using the detection apparatus
US5243663A (en) Vehicl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binary-conversion processing and luminance variation processing
CN113168520A (zh) 跟踪场景中的对象的方法
GB2405047A (en) De-interlacing algorithm responsive to edge pattern
JP2003523654A (ja) 時間的に前方及び後方の動きを分類する方法及び装置
US9357161B1 (en) Motion vector interpolation for motion compensation
JP2595841B2 (ja) 動き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