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620Y1 -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 Google Patents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620Y1
KR950008620Y1 KR92006572U KR920006572U KR950008620Y1 KR 950008620 Y1 KR950008620 Y1 KR 950008620Y1 KR 92006572 U KR92006572 U KR 92006572U KR 920006572 U KR920006572 U KR 920006572U KR 950008620 Y1 KR950008620 Y1 KR 950008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chute
helicopter
balloon
fuselag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534U (ko
Inventor
박태호
Original Assignee
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호 filed Critical 박태호
Priority to KR92006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620Y1/ko
Publication of KR930023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5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80Parachutes in association with aircraft, e.g. for br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62Deployment
    • B64D17/72Deployment by explosive or inflatabl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일예의 헬리콥터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측면도록서, a도는 낙하산이 최초 하부로 떨어지는 상대이고, b는 완전히 펼쳐져 상승된 낙하산에 의해 동체가 낙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헬리콥터 동체 2 : 동체 하부
4 : 상부, 수납고 4A : 경첩부재
5 : 하부 수납고 6 : 고정봉
6A : 손잡이 6C : 고정너트
7 : 닫힘 방지봉 7C : 압축스프링
8 : 풍선 8A : 풍선 호스
9 : 에어 탱크 9A: 밸브
10 : 콤프레서 11 : 밧데리
12 : 보조 낙하산 13 : 주 낙하산
14 : 낙하산 앵커
본 고안은 헬리콥터의 동체 하부와 착륙다리 사이에 낙하산 장치를 구비하여 헬리콥터가 돌발적인 사고로 인해 정상적으로 비행하지 못하고 추락위기에 직면해 있을 때 이를 신속히 펼쳐 추락하는 헬리콥터의 속도를 최대한으로 감소시켜 주므로서 헬리콥터의 추락사로에 따른 인명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헬리콥터는 동체의 상방에 대형의 프로펠라(일명, 회전익)를 달고 이것을 엔진으로 회전시켜 활주로 없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항공기로서 비행도중 상기한 엔진의 고장으로 또는 프로펠라가 비행도중 각종의 장해물에 걸려 파손되거나 할 경우 그 출진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공중에 활공하는 시간없이 곧장 추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헬리콥터의 경우에는 추락사로 발생시 추락에 따른 속도를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제반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추락사고시 승무원이 필사적으로 탈출하지 않는 이상 가속상태로 추락하는 헬리콥터의 지상 충돌로 인해 큰 인명의 피해를 매번 가져왔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헬리콥터의 추락에 따른 인명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은 물론 특히 근자에 들어 차량의 교통체증을 피해 이동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인이 탑승할 수 있는 소형의 수송용 헬리콥터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멀지않은 시점에 현실화될 것으로 생각해 볼때 헬리콥터의 추락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은 반드시 요구되어져야 할 과제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헬리콥터의 동체하부로 개폐가능한 수납고를 장착하고 이에 낙하산 및 낙하산의 펼침상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풍선 및 풍선 호스를 설치함과 동시에 풍선으로는 압축공기를 순식간에급송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고발생시 승무원이 이들 장비들을 수납고에서 신속하게 분리펼쳐지게 함으로써 낙하산의 공기 저항력에 따른 헬리콥터의 추락속도를 감소시켜 느린 속도로 떨어지도록 하여 가급적 지면과의 충격력의 감소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산 장치가 내장설치된 일례의 헬리콥터 측면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헬리콥터 동체(1) 상방으로는 엔진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대형이 프로펠라(1A)가 설치되어 있고 동체 하부(2)의 하측으로는 착륙에 필요한 한쌍의 착륙다리(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동체 하부(2)와 착륙다리(3) 사이의 공간으로는 상단 플렌지부(4B)가 고정수단인 다수개의 볼드(4C)들에 이해 체결고정된 상부 수납고(4)가 하부(2) 저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 하측으로는 상기 상부 수납고(4)와는 별도로 분리 형성된 하부 수납고(5)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바, 제2도를 참조하여 이들의 결합상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낙하산 장치의 확대 발췌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 수납고(5)는 상단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플렌지부(5A)의 일측단가 상부 수납고(4)이 일측단에 상호 고정된 경첩부재(4A)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있고, 타단으로는 동체하부(2)의 바닥면(2A)에 관통설치된 고정봉(6)에 의해 상호 지지되어 있는 바, 상기 고정봉(6)의 상단부로는 동체내부에 손잡이(6A)가 위치되게 일체로 형성하여 위급시 승무원이 상기 손잡이(6A)를 잡고 돌려줄수 있도록 하며, 그 하단부는 상, 하부 수납고(4), (5)의 각 하부 내측과 상단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플렌지부(4B), (5A)에 각각 관통되게 하고, 말단부의 나사부를 하부 수납고(5)의 플렌지부(5A) 하단에 고정설치된 고정너트(6B)에 상호 체결하여 주므로서 하부 수납고(5)는 상기 고정봉(6)과 고정너트(6B)에 의해 평상시는 상부 수납고(4)에 항상 견고하게 고정지지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수납고(4)와 하부 수납고(5)는 각각 별도 제작 조립될 수도 있고 또한 상부 수납고(4)만을 동체(1)의 하부에 일체 형성하고 이에 하부 수납고(5)만을 조립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첩부재(4A)가 설치된 하부 수납구(5)의 내측으로는 끝단부가 이의 플렌지부(5A)상에 접촉되는 상태로 닫힘 방지봉(7)이 바닥면(2A)에 형성된 요홈(7B)내에 관통설치되어 있고, 그 닫힘 방지봉(7)의 헤드부(7A) 상측으로는 압축스프링(7C)을 이탈되지 않도록 삽설하여 탄력작용되도록 하여 주므로서, 하부 수납고(5)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닫힘 방지봉(7)은 항상 압축스프링(7C)의 탄력을 받으면서 이의 하방에 위치된 하부 수납고(5)의 플렌지부(5A)를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버팀력이 해제되면 즉, 하부 수납고(5)가 개방되면 상기한 압축스프링(7C)의 반발력으로 요홈(7B)내에서 하강하게 되어 도면상 2점 쇄선 상태로 개방된 하부 수납고(5)의 상부내측을 강제로 막아 외풍이나 동체(1)가 뒤집어지더라도 다시 닫혀 지지 않도록 강제 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닫힘 방지봉(7)은 그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7A)에 의해 압축스프링(7C)의 반발력에 의해 하강하더라도 요호(7B)의 하단부에 걸려져 스톱되기 때문에 확실한 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수납고(4), (5)내로는 제3도의 b도와 같이 펼쳐지도록 형성된 주낙하산(13)과 보조 낙하산(12)이 내장되어 있는 바, 이들은 각각 연결줄(12B)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 낙하산(13)의 낙하산줄(13A) 일단은 바닥면(2A)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낙하산 앵커(14)와 견고하게 연결설치되어 있고 보조 낙하산(12)의 낙하산줄(12A)은 주 낙하산(12)의 상부에 상호 견고하게 연결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급시 펼쳐지는 각 낙하산(12), (13)은 헬리콥터의 동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펼쳐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각 낙하산(12), (13)의 내부 중앙부로 관통괴고, 단부에 풍선(8)이 형성된 풍선 호스(8A)를 펼쳐지는 낙하산의 전체길이를 감안하여 보관설치하되, 그 풍선 호스(8A)의 타단부는 압축공기가 저당된 에어탱크(9)의 일측과 상호 연결설치하여 밸브(9A) 조작에 따라 콤프레서(10)에서 발생저장된 에어탱크(9)내의 압축공기가 신속하게 급송 충전되게 하며, 상기 콤프레서(10)는 가동용 전원수단인 밧데리(11)와 상호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탱크(9), 콤프레서(10), 밸브(9A), 밧데리(11)들은 각각 동체(1)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게 하여 특히, 승무원이 밸브(9A) 조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낙하산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즉, 본 고안의 낙하산 장치를 설치한 상태로 비행하고 있던 헬리콥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추락위기에 처하게 될 경우에 먼저 승무원이 실내에 위치된 손잡이(6A)를 일방으로 회전시켜 고정봉(6)을 고절너트(6B)로 부터 이탈시켜 주면 하부 케이스(5)가 일측의 경첩부재(4A)를 중심으로 상부 수납고(4)로부터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열리게 되며, 이와 동시에 평상시 경첩부재(4A) 부위의 하부 수납고(5) 내에 위치하면서 플렌지부(5A) 내측을 가압하고 있던 닫힘 방지봉(7)이 그 가압력이 해제되는 것에 따라 압축스프링(7C)의 반발력으로 신속하게 요홈(7B) 내에서 헤드부(7A)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닫힘 방지봉(7)의 하단부가 전술한 바와같이 개방상태의 하부 수납고(5) 상부 내측을 가로막고 있어 외풍에 의한 하부 수납고(5)가 다시 닫혀지지 않게 되어 열린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3도의 a도와 같이 상기한 조작으로 하부 수납고(5)가 하방으로 열려짐과 동시에 그 내측에 내장 되어 있던 주 낙하산(13) 및 보조 낙하산(12)이 동체(1) 밑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때 승무원이 다시 실내에 위치해 있는 밸브(9A)를 열어주면 콤프레서(10)에서 발생되어 에어탱크(9)내에 저장된 적정량의 압축공기가 신속하게 풍성 호스(8A)와 풍선(8)에 급송 충전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낙하되던 주 낙하산(13) 및 보조 낙하산(13)은 이의 내부로 관통설치되어 있는 상기 풍선 호스(8A)와 풍선(8)내에 압축공기가 충전됨에 따라 최초 엉켜지는 상태로 떨어지던 낙하산은 풍선 호스(8A)와 풍선(8)이 팽팽한 상태로 팽창되어져 직선상태로 순차 펴지면서 떨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풍선 호스(8A)와 풍선(8)은 이들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의 힘으로 즉, 낙하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저항을 받아 자연상승하게 되는 것에 따라 이와 연결설치된 각 낙하산(12), (13)또한 한께 상승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각 낙하산(12), (13)은 펴지는 과정에서 낙하산 구조 특징상 급속한 공기가 낙하산 내부로 급속히 유입되어지는 강한 공기 저항력을 받기 때문에 이들 풍선호스(8A), 풍선(8), 주 낙하산(13), 보조 낙하산(12)들은 동체(1)에 고정된 낙하산 앵커(14)를 중심으로 프로펠라(1A)의 간섭없이 제3도의 b도와 같이 최종적으로 펼쳐져 낙하하게 되는 바, 이때 헬리콥터의 동체(1)는 그 무개하중에 따라 공기저항력에도 불구하고 낙하하게 되는 것이며, 그 낙하과정에서 공기저항을 강하게 받으면서 펼쳐져 상승되는 각 낙하산(12), (13) 및 풍선 호스(8A)와 풍선(8)등에 의해 뒤집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로 뒤집어진 헬리콥터는 낙하산 장치의 공기저항력에 의해 서서히 그 낙하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상태로 떨어지게 되어 당연히 지면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이 그 만큼 감소하게 되는 것이어서 승무원의 제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낙하산 장치에 의해 헬리콥터가 뒤집어지는 과정에서 상기한 낙하산(12), (13)은 이들 내부에 설치되어 함께 상승되는 풍선 호스(8A)와 풍선(8)내에 충전된 압축공기에 의해 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승되어지기 때문에 그 낙하산의 펼쳐진 길이만큼 동체를 중십으로 회전반경이 형성되는 것이어서 프로펠라(1A)와는 전혀 간섭없이 상승하게 되고 동체(1)는 용이하게 뒤집어지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엔진고장이나 프로펠라 파손의 경우에는 그 만큼 추진력에 따른 회전력을 급격히 상실하게 되고 서서히 회전력이 정지될 것이어서 각 낙하산은 프로펠라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고 상승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헬리콥터의 동체에 낙하산 장치를 설치하여 주고 이를 위급시 신속하게 승무원이 조작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주므로써 헬리콥터의 추락에 따른 낙하속도를 그만큼 감소시켜 인명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헬리콥터의 동체(1) 하부(2)로는 상부 수납고(4)를 고정설치하되 이의 하측으로는 풍선(8)을 갖는 풍선호스(8A) 및 주 낙하산(13)과 보조 낙하산(12)등을 수납 보관하기 위한 하부 수납고(5)를 설치하되 바닥면(2A)위 일측으로 관통설치되고 손잡이(6)를 갖는 고정봉(6)의 회전조작에 따라 타측의 경첩부재(4A)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열려지제 하며, 상기 바닥면(2A)의 요홈(7B)으로는 개방상태의 하부 수납고(5)를 저지하기 위한 닫힘 방지봉(7)을 관통설치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7C)으로 탄력설치하고, 상기 보조 낙하산(12)과 연결된 주 낙하산(13)은 바닥면(2A)에 고정된 낙하산 앵커(14)와 상호 연결설치하며, 상기 풍선 호스(8A)의 일단을 에어탱크(9)와 연결하여 밧데리(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콤프레서(9)에 의해 발생 저장되는 에어탱크 (10)내의 압축공기를 밸브(9A) 조작으로 위급시 급속 충전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KR92006572U 1992-04-21 1992-04-21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KR950008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572U KR950008620Y1 (ko) 1992-04-21 1992-04-21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572U KR950008620Y1 (ko) 1992-04-21 1992-04-21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534U KR930023534U (ko) 1993-11-26
KR950008620Y1 true KR950008620Y1 (ko) 1995-10-12

Family

ID=1933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572U KR950008620Y1 (ko) 1992-04-21 1992-04-21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6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534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827A (en) Air-chute safety system
US5356097A (en) Segmented safety aircraft
US6682017B1 (e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US5836544A (en) Emergency soft-landing system for rotor-type aircraft
JP3522371B2 (ja) 安全航空機
US3508727A (en) Apparatus for saving of the passengers of a crash landing,ditching or diving and in danger to be diving,respectively,airplane
US6769647B2 (en) Automatic inflation system for evacuation slide
US3973645A (en) Inflatable evacuation slide
JP4457959B2 (ja) パラシュート射出装置および無人飛行機
US4013247A (en) Mechanical support apparatus for the stabilization of an inflatable escape slide
US6164595A (en) Helium actuated airplane parachute
JP2567200B2 (ja) 空中浮遊飛行式避難具
WO2018019075A1 (zh) 一种具有空难救生功能的飞机
CN108891610B (zh) 一种载人无人机和直升机用逃生伞椅
US3107887A (en) Aircraft safety system
US20130200218A1 (en) Rotorcraft escape system
US11591053B2 (en) Life raft system for an aircraft
KR950008620Y1 (ko) 헬리콥터의 인명 구조용 낙하산 장치
US1760061A (en) Parachute safety suspension for aeroplanes
CN113148120B (zh) 飞机安全救生系统
JP2005178696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02030107A (zh) 坠机自救式螺旋翼、固定翼飞机
RU2021164C1 (ru) Аэробус "люси"
KR101750945B1 (ko)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RU98121392A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пасения вертолета с экипажем, пассажирами и грузами, перевозимыми пассажирскими, транспортными вертолетами и вертолетами специ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при аварии в воздух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