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606A -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606A
KR950008606A KR1019940024254A KR19940024254A KR950008606A KR 950008606 A KR950008606 A KR 950008606A KR 1019940024254 A KR1019940024254 A KR 1019940024254A KR 19940024254 A KR19940024254 A KR 19940024254A KR 950008606 A KR950008606 A KR 95000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ol
following formula
structural unit
o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7049B1 (ko
Inventor
히데유키 스미
유타카 나카야마
히로시 훗타
Original Assignee
스기야마 도모오
다이이치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26148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0026A/ja
Application filed by 스기야마 도모오, 다이이치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야마 도모오
Publication of KR95000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에틸렌구조단위(80∼98몰%), 아크릴레이트구조단위(1∼15몰%), 아크릴아미드구조단위(2∼20몰%)가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 지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5,000의 카티온선 공중합체를 (메타)아크릴계 수지에 배함함으로서 얻어지며 가전제품부품등의 재료 상세하게는 케이싱, 용기등과 같은 입체 3차원구조를 구비한 성형체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영구대전방지성, 내수성, 내마모성등의 물성에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6)

  1. (A) (메타) 아크릴계 수지 및 (B)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가
    (상기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조성물.
  2. (A) (메타) 아크릴계 수지 및 (B)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
    하기식(Ⅱ)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이하 및,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가
    (상기식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이온, CH3OSO3 -또는 C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증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안정제 및/또는 내후제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메타)아크릴수지조성물이 입체 3차원 구조를 가지는 성형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조성물.
  5. (A) (메타) 아크릴계 수지 및 (B)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클리아미드구조 단위 2∼20몰%가
    (상기 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또는,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0몰%,
    하기식(Ⅱ)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 이하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클리아미드구조 단위2∼20몰%이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C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를 배합해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능력을 구비한 (메타)아크릴계 수지성형체의 충격강도향상방법.
  6.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클리아미드구조 단위2∼20몰%가
    (상기 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또는, 하기식(I)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
    하기식(II)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이하와,
    하기식(III)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이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C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증합체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부여능력을 구비한 (메타)아크릴계 수지조성체용 충격강도 향상제.
  7. (A) 폴리스티렌계 수지 70∼97중량% 및 (B)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0몰%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클리아미드구조 단위 2∼20몰%가
    (상기 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3-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조성물.
  8. (A) 폴리스티렌계 수지 70∼97중량% 및 (B)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0몰%와
    하기식(Ⅱ)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 이하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2∼20몰%이
    (상기식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 또는 C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증합체 3-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따라 제조된 폴리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이 입체 3차원 구조를 가지는 성형체로 성형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성형체.
  10. (A)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B)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이
    (상기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또는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Ⅱ)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 이하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이
    (상기식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증합체를 배합해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능력을 구비한 폴리스티렌계 수지성형체의 충격강도향상방법.
  11.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2∼20몰%이
    (상기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또는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Ⅱ)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이하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2∼20몰%이
    (상기식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C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증합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부여능력을 구비한 폴리스티렌계 수지성형체의 충격강도 향상제.
  12. (A) 폴리올레렌계 수지 70∼97중량% 및 (B)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이
    (상기 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3-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수지조성물.
  13. (A) 폴리올레핀계 수지 70∼97중량% 및 (B)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Ⅱ)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 이하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이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C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3-3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리핀계수지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라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이 입체 3차원구조를 가지는 성형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조성체.
  15. 폴리올레핀계 수지(A)에 (B)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이
    (상기 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또는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Ⅱ)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 이하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2∼20몰%이
    (상기식에서, R1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C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를 배합해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능력을 구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성형체의 충격강도 향상방법.
  16.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 2∼20몰%이
    (상기식에서,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DH3CH2OSO3 -를 나타낸다. 또한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 또는 하기식(Ⅰ)으로 나타낸 에틸렌구조 단위 80∼98몰%와
    하기식(Ⅱ)으로 나타낸 아크릴레이트구조 단위 15몰% 이하와,
    하기식(Ⅲ)으로 나타낸 아크릴아미드구조 단위2∼20몰%이
    (상기 식에서, R1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 R2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R3및 R4는 메틸기, R5는 탄소수 1∼8의 직선사슬형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CH3OSO3 -또는 CH3CH2OSO3 -를 나타낸다. R1, R2는 구조단위마다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선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1,000∼50,000의 카티온성 공중합체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부여 능력을 구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성형체용 충격강도 향상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24254A 1993-09-24 1994-09-24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0167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61483 1993-09-24
JP93-261482 1993-09-24
JP26148393 1993-09-24
JP5261482A JPH0790026A (ja) 1993-09-24 1993-09-24 ポリ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606A true KR950008606A (ko) 1995-04-19
KR0167049B1 KR0167049B1 (ko) 1999-03-20

Family

ID=265450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254A KR0167049B1 (ko) 1993-09-24 1994-09-24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19940024255A KR950008442A (ko) 1993-09-24 1994-09-27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255A KR950008442A (ko) 1993-09-24 1994-09-27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01670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442A (ko) 1995-04-17
KR0167049B1 (ko)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1097B1 (en) Antistatic plastic materials containing epihalohydrin polymers
ATE179189T1 (de) Ethylen-polymer enthaltend siliciu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940021620A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제전성 수지조성물
EP1002809A4 (en) PROPYLENE / ETHYLENE STATISTICAL COPOLYMER, MOLDING MATERIAL AND MOLDED ARTICLE
TR28796A (tr) Düsük yogunluktaki lineer polietilen'e (LLDPE) dayanan cok iyi islenebilen polimer bilesimleri.
BR9903648A (pt) ElastrÈmeros termoplásticos com boa tingibilidade e alta resistência e elasticidade, bem como compostos poliméricos deles produzidos, com alto ìndice de resistência a choques
KR960022610A (ko) 아크릴아미드계 또는 메타크릴아미드계 양이온 변성 공중합체, 상기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대전방지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수성 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 적층체
DK466288A (da) Umaettede ethylenpolymerer
EP0404728A3 (en) Polymer base blend compositions containing destructurized starch
DE60113534D1 (de) Polyolefingegenstände mit verbesserter oberflächenhaltbarkeit
KR970706351A (ko) 난연성 폴리스티렌계 수지조성물 및 폴리스티렌계 수지성형체(flame retarded polystyren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of a polystyrenic resin)
NO20004086L (no) Podete polypropylen-kopolymerer med forbedret ripe- og avgnidningsfasthet
EP0099581A2 (en) Molding resins based on blends of acid copolymer/hydrocarbon polyolefin/reinforcing fiber/wetting agent
KR930701504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성형 조성물
JPS6028864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50008606A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50011528A (ko) 열가소성수지조성물
DE68920070T2 (de) Thermoplastische Polyesterharzzusammensetzung.
EP0510206A4 (en) Modified propylene 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modified propylene polymer and polyphenylene ether
KR920006443A (ko)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348223B2 (ko)
CA2238929A1 (en) Polyphenylene oxide resin compositions
KR970010869A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50000799A (ko) 스티렌계 제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50000801A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