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395B1 -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로의 데이타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로의 데이타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95B1
KR950008395B1 KR1019920006118A KR920006118A KR950008395B1 KR 950008395 B1 KR950008395 B1 KR 950008395B1 KR 1019920006118 A KR1019920006118 A KR 1019920006118A KR 920006118 A KR920006118 A KR 920006118A KR 950008395 B1 KR950008395 B1 KR 95000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ost computer
signal
address
paralle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220A (ko
Inventor
김종문
이흠복
김명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2000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395B1/ko
Publication of KR93002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로의 데이타 전송장치
제1도는 호스트 컴퓨터와 병렬 프로세서 사이에서 데이타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는 병렬 프로세서 내 PE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라인 보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실시간으로 데이타 전송되는 것을 보인 도면.
본 발명은 병렬 프로세서를 사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망사구조의 MIMD(multiple instruction multiple data)형 병렬 프로세서와 이를 사용하는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사이에 데이타 전송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데이타 전송은 동작중에 잇는 병렬 프로세서와 호스트 컴퓨터간에 일어난다.
제1도는 호스트 컴퓨터(1)와 병렬 프로세서(2)와의 접속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들 사이에서 데이타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3)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서, 호스트 컴퓨터(1)는 통상의 PC(personal computer)이고, 병렬 프로세서(2)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된 특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PC레벨에서 처리하기에는 어려운 대용량의 데이타를 고속연산 처리하기에 적합한 복수의 PE(processing element)(제1도에서는 일예로서 16개의 PE)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타 전송은 프로세서가 동작중에 있을때 수행되면, 전체 PE중 데이타 전송을 담당하는 통신PE(PE0∼PE3)만이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PE는 DNP(digital neural (processor)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DNP는 망사구조의 MIMD형 프로세서이다.
상기 DNP의 구조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에 의해 1990년 12월 26일자로 출원(출원번호: 특 90-21852호)된 바 있다. 이와같이, 고속연산 처리에 적합한 망사구조의 MIMD형 병렬프로세서(2)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1)로 부터 제공되는 데이타를 동작중에 있는 병렬 프로세서로 상기 인터페이스부(3)에 의해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병렬 프로세서(2)에서 연산처리된 결과가 상기 인터페이스부(3)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1)로 제공된다. 이와같이, 상기 인터페이스부(3)는 호스트 컴퓨터와 병렬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타 교환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호스트 컴퓨터(1)로 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의해 병렬 프로세서(2)를 제어하는 제어부(3a)와, 이 제어부(3a)의 제어에 의해 양자의 데이타 전송을 담당하는 데이타 전송부(3b)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3)에 의해서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된 데이타를 병렬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는 종래의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1) 인터페이스부(3)에 내장된 동기회로를 통해 병렬 프로세서(2)내의 통신 PE(제1도의 PE0∼PE3)가 호스트 컴퓨터에 직접 접속되게 한 구조로서, 이들 사이의 데이타 전송을 동기신호와 연동되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병렬 프로세서(2)로 제공되는 데이타 량이 많으면 호스트가 시리얼 프로세서(serial processor)이기 때문에 병렬 프로세서(2)에서 요구되는 만큼 빠른 데이타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으로 데이타 전송을 하게 되면, 병렬 프로세서의 장점인 고속연산을 위한 실시간(real time) 데이타 처리에 문제는 된다.
(2) 또하나의 방법으로서, 각각의 통신 PE에 레지스터 파일(register file) 또는 RAM(random access momory)를 설치하여, 프로세서가 데이타를 요구하지 않더라고 호스트 컴퓨터에서는 고속연산 처리할 데이타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켜서, 병렬 프로세서의 통신 PE가 필요할 때마다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사용하도록 한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병렬 프로세서를 구성하는 PE의 수에 비례하여 필요한 용량의 기억부를 설치해야 하고, 또한, 기억부의 증가에 따라 주변회로가 증가되기 때문에 소형화 및 집적도에 문제가 있다.
(3) 상기 (2)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서, (2)의 방법에서와 같이 기억부를 병렬프로세서 내에 설치하되, 각 PE마다 기억부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기억부를 설치하여 호스트 컴퓨터로 부터 제공된 데이타를 한 곳에 저장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도 (2)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병렬 프로세서의 PE가 호스트 컴퓨터에 데이타 전송을 요구할때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회로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속연산 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병렬 프로세서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래의 방법(1)∼(3)과 관련하여 다음의 조건이 요구된다.
(1) 호스트 컴퓨터와 병렬 프로세서간에는 통신을 위한 타이밍(timing)이 일치되어야 한다.
(2) 호스트 컴퓨터에서 병렬 프로세서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능의 저하를 가능한 최소화해야 한다.
(3) 병렬 프로세서를 구현하는 PE수의 증가와 관계없이 간단한 회로구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망사형 MIMD 병렬 프로세서에 하나의 기억부인 RAM을 두고, 벙렬 프로세서의 각, PE에 할당된 순번에 따라 상기 RAM에서 데이타를 독출하여 차례로 대응하는 순번의 PE에 전송되게 하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time division multiplexing)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망사형 MIMD 병렬 프로세서(이하 병렬 프로세서라 함)는 제1도의 병렬 프로세서(2)와 같이 근접한 네방향의 PE와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병렬 프로세서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스트 컴퓨터에서 병렬 프로세서로 프로그램과 데이타를 보내고, 병렬 프로세서를 동작시키는 RUN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동작상태에서 다음의 동작이 일어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하단의 통신 PE(PE0∼PE3)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된 데이타를 받아서 상부 방향의 PE(PE4∼PE7)로 각각 제공한다.
상기 PE(PE4∼PE7) 각각에서는 데이타를 처리한 다음 오른쪽 방향으로 계산된 결과를 보낸다.
이렇게 하여 계산된 최종결과를 치고 우측방향에 있는 PE3, PE7, PE11, PE15가 갖고 있게 된다.
이러한 데이타가 연산처리된 되는 흐름을 고려하면, 좌측의 PE가 연산결과를 우측의 PE로 보내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기준으로 할때 우측 PE들은 좌측 PE보다도 높게 데이타를 받아서 연산수행하더라도 전체 연산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우측방향에 있는 PE들은 좌측에 있는 PE보다도 시간지연된 상태애서 데이터를 받아도 결국 우측의 각 PE에서는 데이타가 좌측의 각 PE보다 늦게 접수됨에 따라 연산이 지연되지 않은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병렬 프로세서의 연산처리 동작의 특징을 고려하여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채옹할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병렬 프로세서의 각 PE에 입출력 되는 신호라인을 보여주고 있다.
제2도에서 참조번호 21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데이타 버스이고, 22는 어드레스 버스이다.
IRS신호와 IR-RD신호는 RE로 데이타가 입력되게 하는 제어신호이고, ORS신호와 OR-WR신호는 호스트 컴퓨터로 데이타를 전송하게 하는 출력제어 신호이다.
호스트 컴퓨터에서 PE가 데이타를 받는 과정을 설명한다. 호스트 컴퓨터측에서 고속연산 처리될 데이타가 준비되면 상기 IRS신호를 세팅시키고 이로서 상기 데이타가 PE로 전송되게 하고, PE측에서는 상기 데이타를 받을 준비가 되면 IR-RD펄스를 호스트 컴퓨터로 보낸 다음 상기 데이타를 입력한다(IRS, ORS, IR-RD, OR-WR의 신호는 DNP의 동작에 따른다).
따라서, PE가 데이타를 입력하면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IRS신호를 리세트 시킨다.
이때, 호스트 컴퓨터에서 데이타를 받기 위한 PE들은 병렬 프로세서의 최하단에 있는 통신 PE(제1도의 PE0∼PE3)들이다.
동작중에 있는 병렬 프로세서는 호스트 컴퓨터로 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처리한 다음 병렬 프로세서에서는 동작을 끝내도록 호스트 컴퓨터에 종료요청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병렬 프로세서 사이의 데이타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중 병렬 프로세서가 동작중일 때 고속연산 처리에 필요한 데이타를 호스트 컴퓨터에서 받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타 전송장치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 참조번호 31은 카운터로서 각 통신 PE에서 제공된 제어신호 IR-RD0∼IR-RD3를 받아서 순차적 카운트 업(count up)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아울러 각 PE로 제공되는 듀얼포트 메모리(36)의 데이타를 지정하기 위한 기본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며, 참조번호 36는 비교부로서 호스트 컴퓨터(1)에서 제공된 어드레스 중 최근에 보낸 데이타의 어드레스와 어드레스 지정용 레비스터(33)에서 제공된 어드레스 중 현재 PE가 읽어갈 데이타의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상기 튜얼포트 메모리(37)에 데이타가 준비되어 있는지를 파악한다. 상기 비교부(36)에서 출력된 소정의 신호는 플래그 발생부(32)로 제공되어, 이때 플래그 발생부(32)에서는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된 순차적 카운트업 데이타의 순서대로 IRS0∼IRS3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각 PE에서는 차례가 될 때 듀얼포트 메모리(37)에서 데이타를 인출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 메모리(37)에서 시분할적으로 데이타를 독출해낼 때 지정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회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PE의 데이타 독출을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동기되는 어드레스 지정용 레지스터(33)와, 상기 카운터(31)의 출력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3상태 버퍼(34) 및, 이 3상태 버퍼(34)의 출력을 1증가하는 증가회로(increament portion)(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31)에서 어드레스 발생수단으로 제공된 신호(e∼h)는 플래그 발생부(32)로 제공되는 순차적 카운터 업 데이타(a∼d)와 IRS-RD0∼IRS-RD3신호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즉, e=aㆍIR-RD0, f=bㆍIR-RD1, g=cㆍIR-RD2, h=dㆍIR-RD3로 조합된다.
상기 IR-RD0∼IR-RD3 신호는 상기 메모리(37)로 부터 각각 데이타를 받을 준비를 하는 제어신호로서 각 PE0∼PE3에서 출력된다.
이와같이, 메모리(37)에 저정된 데이타를 병렬 프로세서(2)의 통신 PE(PE0∼PE3)에 순차적으로 데이타를 제공하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래그 발생부(32)에 의해 통신 PE(PE0∼PE3)의 순서대로 IRS신호가 제공되면, 각 PE0∼PE3에서는 IRS신호를 받은 순서대로 IRS-RD0∼IRS-RD3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IRS신호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통신 PE들로 데이타를 보낼 준비가 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통신 PE에서 보내는 IR-RD신호들은 PE에서 데이타를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한다.
IRS신호가 통신 PE로 오더라도 통신 PE가 데이타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IR-RD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여기서 IRS신호는 비교부(36)에서 데이타가 들어와 있음을 알려주면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통신 PE로 강제로 들어간다. 데이타가 들어와 있지 않으면 IRS신호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상기 IR-RD신호에 의해 각 PE0∼PE3에 할당된 데이타를 지정하는 어드레스가 상기 메모리(37)에 인가된다.
이때, 각, PE0∼PE3에 상응하는 메모리의 데이타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분할(t1∼t4)적으로 입력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타를 호스트 컴퓨터에서 병렬 프로세서로 제공할 경우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병렬 프로세서의 고속연산 처리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에서 데이타 전송을 위한 제어가 용이하게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Claims (2)

  1. 호스트 컴퓨터(1)와, 망사구조를 갖는 MIMD형 병렬 프로세서(2)와, 이 병렬 프로세서의 각 프로세싱 엘리먼트에서 처리하기 위한 데이타를 격납하는 듀얼 포트 메모리(37)를 구비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1)와 병렬 프로세서(2) 사이의 데이타 전송을 관리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엘리먼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타 입력준비 신호(IR-RD)를 입력하여 순차적 카운트업 신호와 어드레스 발생용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31)와, 상기 어드레스 발생용 신호를 받아 각 프로세싱 엘리먼트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호스트 컴퓨터(1)에서 제공된 최근 전송 데이타의 어드레스와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에서 제공된 어드레스 중 현재 데이타 인출용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37)에 데이타가 저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36)과, 상기 비교수단(36)의 출력신호에 의해 각 프로세싱 엘리먼트에 데이타 준비신호(IRS)를 차례로 제공하는 플래그 발생수단(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 프로세서로의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카운터(31)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동기되는 어드레스 지정용 레지스터(33)와, 상기 카운터(31)의 출력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는 3상태 버퍼(34) 및, 상기 3상태 버퍼(34)의 출력을 1증가시키는 증가회로(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의 인터페이스 장치.
KR1019920006118A 1992-04-13 1992-04-13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로의 데이타 전송장치 KR95000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118A KR950008395B1 (ko) 1992-04-13 1992-04-13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로의 데이타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118A KR950008395B1 (ko) 1992-04-13 1992-04-13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로의 데이타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20A KR930022220A (ko) 1993-11-23
KR950008395B1 true KR950008395B1 (ko) 1995-07-28

Family

ID=1933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118A KR950008395B1 (ko) 1992-04-13 1992-04-13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로의 데이타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3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20A (ko) 199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033A (en) Multiprocessor system having a shared memory for enhanc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CA1227879A (en) Buffer system for input/output portion of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
US3940743A (en) Interconnecting unit for independently operable data processing systems
EP0090026B1 (en) Cache memory using a lowest priority replacement circuit
US5093780A (en) Inter-processor transmission system having data link which automatically and periodically reads and writes the transfer data
EP0351955B1 (en) Multiprocessor systems with cross-interrogated store-in-caches
JPH06295336A (ja) ビデオ表示装置
US4371924A (en) Computer system apparatus for prefetching data requested by a peripheral device from memory
US64571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ordering data in X86 ordering
EP1132818B1 (en)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access arbitration of a plurality of processors to a time multiplex shared memory in a real time system
US6189075B1 (en) Circuit for the management of memories in a multiple-user environment with access request and priority
KR950008395B1 (ko) 호스트 컴퓨터에서 mimd프로세서로의 데이타 전송장치
KR20010053612A (ko) 기억 장치 및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US4131944A (en) System bus module for a controller
EP0067519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20067752A (ko) 코프로세서 방식의 원칩 비동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간의인터페이스 회로
US5671370A (en) Alternating data valid control signals for high performance data transfer
JP2789479B2 (ja) 処理装置および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US4583167A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conveying external and output data to a processor system
JP2505298B2 (ja) スプリットバスにおける可変バス幅指定方式及び可変バス幅情報受信方式
JPH069036B2 (ja) 入出力制御装置
JPH05342172A (ja)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JPS61276050A (ja) デ−タ転送方式
JP2536260B2 (ja) 拡張記憶デ―タ転送方式
KR0168792B1 (ko) 비동기전송모드에 있어서 효율적인 셀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