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391Y1 - 헤어브러시 - Google Patents

헤어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91Y1
KR950008391Y1 KR2019900019424U KR900019424U KR950008391Y1 KR 950008391 Y1 KR950008391 Y1 KR 950008391Y1 KR 2019900019424 U KR2019900019424 U KR 2019900019424U KR 900019424 U KR900019424 U KR 900019424U KR 950008391 Y1 KR950008391 Y1 KR 950008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ever
arm
plate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476U (ko
Inventor
유꾸오 나가사와
Original Assignee
소미루 프로덕트 가부시끼가이샤
유꾸오 나가사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미루 프로덕트 가부시끼가이샤, 유꾸오 나가사와 filed Critical 소미루 프로덕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9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Landscapes

  • Brush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어브러시
제1도 ∼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헤어브러시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헤어브러시의 분해 개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헤어브러시의 평면도.
제4도는 강모(剛毛)수납시에 있어서의 제3도 A-A선 단면도.
제5도는 강모 돌출시에 있어서의 제3동 A-A선 단면도.
제6도는 레버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고,
제8도는 제9도의 종래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러시상자 1a : 제1하우징
1b : 제2하우징 1c : 상자상판
1d : 상자하판 2 : 손잡이부
3 : 솔부 4a : 오목부
4b : 레버 삽입구멍 4c, 4d : 축구멍
4e : 당접부 5 : 레버
5a, 5b : 레버의 팔 5c : 추측(樞軸)
6 : 식모판 6a, 6b : 가이드구멍
7 : 강모 8 : 관통구멍
8a, 8b : 가이드 9 : 스프링
본 고안은 헤어부러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강모부분을 간단한 조작으로 브러시 상자내에서 출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시의 안정성이 좋고, 또 휴대에 편리한 헤어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브러시로서는 제8도에 표시되는 구조, 즉 브러시 상자(103) 내에 수납되고 브러시모(104)를 심은 식모대(100)를, 찔러넣는 구멍(102)을 통해 설치한 압상용 럭크(101)를 회전시킴으로써 압상하여 고정하는 것이나, 제9도에 표시되는 구조, 즉 노브(112)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상태의 U자상 아암(113)을 세워 일으켜 그 힘으로 식모기대(111)를 승강시키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61-207236호 공보 및 미국특허 제4,527,576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전자의 경우는 브러시모(104)부분의 일부밖에 수납되지 않으므로 휴대상 불편하고, 또 럭그(101)를 회전시켜 식모대(100)를 압상시켜 고정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브러시 모의 출납에 노력을 요한다.
후자는, 기대(111)의 누름과 고정을 위하여 래치트 기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도 많아서 기구가 복잡하게 된다.
또 기대(111)의 승강을 위해서는 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노브(112)를 회전운동 시킴으로써 노브와 연결하는 한개의 가느다란 아암(113)을 기복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조작에 수고를 필요로 하는 것외에, 노브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이와같은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편한 조작으로 강모를 승강시켜, 사용시의 안정성도 좋고, 그리고 거의 완전하게 강모 부분을 브라시 상자내에 수납시킬 수 있는 헤어브러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의 헤어브러시는, 브러시상자 길이방향 전후로 뻗어나오는 두개의 팔을 갖는 2팔식 레버가 추축을 지지점으로 하는 지레의 작용을 하고 길이방향 전후로 뻗어나오는 것으로, 이 레버의 격납위치를 확보하면서 레버의 길이를 길게하는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이것이 편한 조작으로 강모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거의 완전히 강모부분을 브러시 상자내에 수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위에 2팔식 레버가 수직방향으로 회전운동하였을 때 그 회전운동을 정치(定置)하는면, 측 스토퍼 면을 2팔식 레버에 대하여 설치함으로써 레버를 수직위치에서 안정시키도록 하여 두팔용 브러시의 사용시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헤어브러시는 2팔식 레버의 제레작용을 이용하고 스토퍼 면의 스토퍼 작용을 이용함으로써, 2팔식 레버의 기복으로 단숨에 부러시 상자내의 강모를 그 수납시와 돌출시에 용이하게 조작할 수가 있고, 돌출시의 안정성이 스토퍼 면에 의하여 확보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하, 도면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제5도는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를 , 제6도 및 제7도는 레버를 표시한다.
본 고안에 관한 에어브러시를 구성하는 브러시 상자(1)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손잡이부(2)와 솔부(3)가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헤어브러시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레버(5)와 이 레버를 삽입하기 위한 레버 삽입구멍(4b)이 설치된 상판(1c)을 갖는 제1하우징(1a)과 강모(7)를 돌출 설치한 식모판(6)과 강모가 출몰하는 관통구멍(8)이 설치된 하판(1d)을 갖는 제2하우징(1b)으로 이루어지고, 레버(5)를 삽입ㆍ부착한 제1하우징(1a)과 제2하우징(1b)을 식모판(6)을 내장시켜 접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솔부(3)의 제1하우징의 상판(1c)측에는 레버 삽입구멍(4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속에 레버(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레버 삽입구멍(4b)은, 제1하우징(1a)의 상판의 일부를 오목상태로 형성하고 그 오목부(4a)밑면의 일부를 잘라서 형성하면, 사용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레버를 기복시킬때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또 예기치 않았던 힘이 걸려서 레버가 기복하여 강모부분이 나오는 경우도 없고, 또 간단한 외관을 나타낼 수가 있다.
레버(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도 및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거의 혀형상의 2팔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팔(5a)은 상자 길이방향으로 손잡이부(2)와 반대방향측으로 뻗어나오고 다른쪽 팔(5b)은 손잡이부(2) 측으로 뻗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은 상자 길이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의 추축(5c)으로 축받이 되어 있다.
더욱, 이 축(5c)은 전기한 레버 삽입구멍(4b)의 내면측에서 상자 길이방향의 양측벽에 하면이 개방된 돔형의 축구멍(4c,4d)을 설치하고 이 구멍에 추축(5c)의 양단을 삽입하고 개방 면을 봉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손잡이부(2)와 반대측으로 뻗어나오는 팔(5a)은 상자(1)의 외면측에 위치시키지만 강모(7)가 완전히 수납된 시점에서 꼭 전기 오목부(4a)에 들어가도록, 또 손잡이부 측으로 뻗어나오는 팔(5b)은 상자내에 위치하고 같은 시점에서 꼭 상판(1c)과 거의 평행 상태에서 식모판(6)과 맞닿도록 배치하여 축받이 한다.
그리고,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축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레버가 거의 완전히 수직상태로 기복되면 팔(5a)은 상판(1c)에 상세히 말하면 레버 삽입구멍(4b)의 측벽(4e)에 맞닿고 팔(5b)은 그 끝부가 식모판(6)에 맞닿아서 헤버의 회전운동이 정치된다.
손잡이측으로 뻗어나오는 팔(5b) 가운데 식모판상을 미끄러져 움직이는 쪽의 면은, 제4도, 제5도 및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를 원호상으로 형성하면, 손잡이부측으로 뻗어나오는 팔(5b)이 회전운동할때 식모판(6)의 위를 순조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므로, 식모판이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강하한다.
식모판(6)은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대략 타원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자하판에 대향하는 면에는 하판(1d)에 뚫어 설치한 관통구멍(8)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강모(7)가 심어져 있다.
더욱, 이 식모판의 상자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상자하판에서 돌출설치된 2개의 가이드(8a,8b)에 끼워맞춤 되도록 2개의 가이드 구멍(6a,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2하우징(1b)은 전기 제1하우징(1a)과 접합되도록 배의 밑바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밑부에 상당하는 하판(1d)에는 전기한 강모(7)가 출몰가능한 위치에 복수의 관통구멍(8)을 뚫어 설치한다.
그리고, 이 하판에는 전기한 식모판의 상하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8a, 8b)가 식모판에 설치된 가이드구멍(6a, 6b)에 적합한 위치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더욱, 이 가이드(8a, 8b)를 피복하도록 식모판(6)과 하판(1d)사이에 스프링(9)이 압축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꼭 강모(7)와 거의 같은 길이, 즉 강모(7)가 상자(1)내에 수납된 시점에 있어서, 안정하게 식모판을 지지하도록 식모판(6)으로부터 상자 하판(1d)까지의 길이에 맞추어서 압축형성되고 가이드(8a,8b)에 감기도록 하판(1d)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은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레버의 기복에 따르는 식모판의 강하게 따라 더욱 압축되고 레버의 기복을 되돌렸을때 스프링은 압축 탄성력에 의하여 식모판의 누름이 해제되어 강모가 상자내에 수납되고, 또한 그 상태로 간직된다.
더욱, 스프링을 설치하는 곳은 가이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히 변경하여도 좋다.
또 본 고안에서는 회전운동하는 레버가 거의 수직상태로 기복하여 상판 및 식모판에 맞닿으므로, 특히 스프링 걸림수단을 달 필요는 없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설치하여도 좋다.
본 고안은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실시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하와 같이 적당히 변경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예를들면, 레버를 붙이는 방향은 제3도 및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자 길이 방향과 정확한 직각방향의 축고정에 한하지 않고 약간 각도를 갖게하여 비스듬히 축고정한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브러시를 손에 쥘때, 손가락과 베버의 팔과의 위치관계가 적당하게 되어, 편한 조작으로 강모를 강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기복한 레버의 팔을 손가락으로 집는것처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미끄럼멈춤 및 스토퍼 효과가 있어, 스프링 걸림수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강모가 강하한 상태를 간직할 수가 있고, 사용시의 부하가 걸리더라도 더욱 안정성을 간직할 수가 있다.
더욱이 팔(5b)은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자 손잡이부 방향으로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전기한 레버를 붙이는 방향의 경사각도는 자연히 제한된다.
그리고, 이 레버의 끝부를 거의 직사각형 상태로 하고, 그리고 그면을 상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정확한 직각 방향이 아니고 추축(5c)과 평행하도록 각도를 갖게 하여 형성하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하면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레버(5)가 완전 기복한 상태일때에 식모판(6)과 면접촉 가능하게 되고, 팔(5b)에 의한 식모판(6)의 누름이 확실하게 되어, 보다 안정성을 간직할 수가 있다.
더욱 상자 외면으로 뻗어나오는 쪽의 팔(5a)은 뻗어나오는 끝부를 상자 길이 방향 단면이 대략 L자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면, 사용에 있어서 레버를 기복시킬때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식모판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비교적 길이가 있는 2팔식 레버를 회전운동시키고, 또한 그 레버를, 브러시를 손에 쥘때의 손과 방향이 맞도록 상자 길이방향을 따라 붙임으로써, 약간의 힘으로 편안히 강모의 출납을 할 수가 있다.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한쪽손만의 조작으로도 가능하다. 또 이 레버는 전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강모 수납시에는 수평방향으로 들어가고 강모가 나온 상태에서는 대략 완전한 수직상태로 기복하므로, 강모 부분을 상자내에 완전히 수납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때문에 식모판의 누름도 충분히 이루어져 사용시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특히 레버가 기복하였을 경우, 그 두팔이 각각 상판 식모판에 맞닿아져서 레버의 회전운동이 정치되므로 보다 안정성이 증가하여 스프링 걸림수단을 설치할 필요도 없다.

Claims (1)

  1. 솔부와 손잡이부가 일체화되고 하판과 상판을 갖는 브러시 상자, 그 상자의 하판에 뚫어 설치된 복수의 관통구멍, 전기 상자에 내장되면서 전기 상하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안내되고 전기 관통 구멍과 대향하는 면에는 그 관통구멍에 출몰가능한 복수의 강모를 돌출 설치한 식모판, 전기 식모판과 전지 상자 하판사이에 압축되어 설치된 스프링, 전기 상판에 설치한 레버 삽입구멍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자 길이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설치한 추축을 사이에 도구 상자 길이방향 전후로 뻗어나오는 두개의 팔을 갖고, 한쪽 팔은 전기 상자의 외면측에 있으며 손잡이부와 반대방향으로 뻗어나오고, 다른쪽 팔은 전기 상판과 전기 식모판 사이에 있으며 손잡이부 방향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정기 스프링의 압축탄성력에 의하여 식모판의 면과 맞닿고 전기 상판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전기 스프링의 압축 탄성력을 저항하여 상판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2팔식 레버 및 전기 2팔식 레버가 수직방향으로 회전운동하였을때 2팔식 레버에 대하여 그 회전운동을 정지하는 면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브러시.
KR2019900019424U 1990-05-11 1990-12-10 헤어브러시 KR9500083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8568 1990-05-11
JP1990048568U JPH0449937Y2 (ko) 1990-05-11 1990-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476U KR910019476U (ko) 1991-12-19
KR950008391Y1 true KR950008391Y1 (ko) 1995-10-09

Family

ID=1280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424U KR950008391Y1 (ko) 1990-05-11 1990-12-10 헤어브러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33103A (ko)
JP (1) JPH0449937Y2 (ko)
KR (1) KR950008391Y1 (ko)
DE (1) DE9105910U1 (ko)
FR (1) FR2661811B3 (ko)
GB (1) GB2243765B (ko)
IT (1) IT220823Z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18B1 (ko) * 2002-06-21 2008-07-18 나카무라데츠지 헤어 브러시
KR101317742B1 (ko) * 2012-01-10 2013-10-15 (주)언일전자 운동 행정을 갖는 빗 모듈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9756U (ko) * 1977-01-17 1978-08-12
US5519912A (en) * 1995-04-10 1996-05-28 Kawamura; Shigemasa Hairbrush having means to collect trapped strands of hair for removal from the bristles
US5862563A (en) * 1997-10-02 1999-01-26 Hartmann; Eric Self-cleaning brush
DE10118013A1 (de) * 2001-04-10 2002-10-17 Coronet Werke Gmbh Bürste
IL174220A (en) * 2006-03-09 2010-11-30 Aharon Malka Hair brush with cleaning means
US7237277B1 (en) * 2006-07-27 2007-07-03 Pi Kuang Tsai Shower nozzle having hair styling dev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CN201360468Y (zh) * 2009-02-09 2009-12-16 明日产品公司 宠物用梳子
GB2470408A (en) * 2009-05-22 2010-11-24 Dyson Technology Ltd Grooming device
GB2470406B (en) 2009-05-22 2012-04-11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470407A (en) 2009-05-22 2010-11-24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CN105479499A (zh) * 2015-12-21 2016-04-13 嵊州市意海电机配件厂 一种手持清理器
US9913528B2 (en) * 2016-03-14 2018-03-13 Nancy Allari Retractable brush
CN106263480B (zh) * 2016-08-20 2018-06-05 安庆市华泰制刷有限公司 一种快速清洁毛刷
TWM595419U (zh) 2019-12-03 2020-05-21 陳儀慈 噴霧伸縮梳
GB2591325B (en) * 2019-12-03 2023-10-11 Zhongshan Yingliang Health Tech Co Ltd Hair brush with retractable bristles
ES1295636Y (es) * 2022-09-22 2023-02-17 Ind Beter S A Cepillo de puas retractil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2972A1 (de) * 1971-07-02 1973-01-18 Albert Jacques Edmond Geraet zum buersten oder kaemmen
NZ205107A (en) * 1983-08-02 1987-05-29 John William Stewart Brush with retractable bristles
US4977909A (en) * 1989-11-01 1990-12-18 Fargo Chou Push-button type retractable brush
US4988228A (en) * 1990-03-26 1991-01-29 Yeh Ching Yuan Brush with extendible and retractable bristle e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18B1 (ko) * 2002-06-21 2008-07-18 나카무라데츠지 헤어 브러시
KR101317742B1 (ko) * 2012-01-10 2013-10-15 (주)언일전자 운동 행정을 갖는 빗 모듈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9022037V0 (it) 1990-10-30
KR910019476U (ko) 1991-12-19
FR2661811A3 (fr) 1991-11-15
IT9022037U1 (it) 1992-04-30
DE9105910U1 (ko) 1991-08-08
GB2243765A (en) 1991-11-13
IT220823Z2 (it) 1993-11-10
GB2243765B (en) 1994-05-18
US5133103A (en) 1992-07-28
JPH0449937Y2 (ko) 1992-11-25
JPH049132U (ko) 1992-01-27
FR2661811B3 (fr) 1992-04-10
GB9103798D0 (en) 1991-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391Y1 (ko) 헤어브러시
US6425495B1 (en)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AU613990B2 (en) Circuit board mounting apparatus
JPH06105630B2 (ja) Icソケット
JPH05294032A (ja) 端末機器
KR200277539Y1 (ko) 호스릴
US5690684A (en) Pivot assisted defibrillator paddle retainer
KR200143787Y1 (ko) 낚시용 릴의 원터치 핸들장치
JP3002395B2 (ja) 釣用仕掛収容ケ−ス
KR200198650Y1 (ko) 버클
JP2577252Y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H0331621Y2 (ko)
KR100619167B1 (ko) 냉장고의 보조선반조립체
JPH0443063Y2 (ko)
JP2895427B2 (ja) 彫刻刀の収容ケース
KR200235127Y1 (ko) 키이홀더
KR200216213Y1 (ko) 문구용케이스
KR890007009Y1 (ko) 누름 버튼식 평면 핸들장치
JPH10309855A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H0443062Y2 (ko)
KR910007753Y1 (ko) 컵 홀더
KR0136689Y1 (ko) 휴대폰 보관이 용이한 콘솔 암 래스트
JPS6325620Y2 (ko)
JPH0119200Y2 (ko)
KR880004401Y1 (ko) 공업용 미싱의 미끄럼판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