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361B1 - 식기건조기 - Google Patents

식기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61B1
KR950008361B1 KR1019930025634A KR930025634A KR950008361B1 KR 950008361 B1 KR950008361 B1 KR 950008361B1 KR 1019930025634 A KR1019930025634 A KR 1019930025634A KR 930025634 A KR930025634 A KR 930025634A KR 950008361 B1 KR950008361 B1 KR 95000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exhaust
exhaust body
control means
auxiliary
dish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457A (ko
Inventor
다츠야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4001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0Air circulation,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기건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도면 제2A-A선을 따르는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전체의 도면 1B-B선을 따르는 횡단면도.
제3도는 보조배기구체단일몸체의 사시도.
제4도는 본체의 배기구부분의 횡단면도.
제5도는 상기 부분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전자석 및 스토퍼부의 사시도.
제7도는 스토퍼부분의 측면도.
제8도는 본체의 배기구부분의 보조배기구체 돌출상태에서의 횡단면도.
제9도는 상기 부분의 상기 상태에서의 외관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열응동체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보조배기구체 및 모터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주름도의 종단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세정실(건조실)
14 : 흡기구 15 : 배기구
19 : 보조배기구체 24 : 걸어맞춤받이부
25 : 압축코일스프링(스프링) 27 : 전자석
28 : 스토퍼 43 : 열응동체
51 : 모터 52 : 피니온
53 : 랙(rack) 61 : 주름부
본 발명은 식기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건조실에 대해서 흡기, 배기를하여 피건조식기를 건조시키는 식기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식기건조기에 있어서는, 피건조식기를 배치한 건조실내에 본체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건조실내의 습기를 포함한 공기를 본체외부에 배출함으로써 피건조식기를 건조시키게 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 식기건조기의 경우 시스템 키친이 조립한 상태에서는 그 조립스페이스 위쪽의 카운터테이블 앞끝에서 식기건조기앞면이 더 안에 위치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런데, 그러한 조립상태에서는 식기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카운터테이블의 전방부아래면에 접해서 이슬이 맺히고 그것이 커져서 얼마나 안 있어 낙하하여 바닥면이 젖는다거나, 또는 부엌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의복에 닿아젖는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카운터테이블의 화장판접착부분에 침투하여 그 화장판이 말라 벗겨지는 것의 원인이 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일본 특허공개 제89-37921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기건조기의 배기구에 통형상의 식기건조기를 돌출조정가능하게 설치하고, 이것을 그 앞끝부가 시스템치킨의 카운터테이블 앞끝과 같은 위치 또는 그것보다 약간 돌추되는 위치가 되기까지 돌출조정하여 고정함으로써 미관을 전체적으로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상기한 식기건조기에서의 배치가 카운터테이블의 전방부아래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조정하여 고정한 보조배기구체는 돌출한 상태가 되어 부엌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의복이나 손에 걸리거나 하여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 행해진 것으므로 그 목적은 미관을 전체적으로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배기가 카운터테이블의 전방부아래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배기구체가 부엌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방해가 되는 것을 피할 수도 있는 식기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기건조기에 있어서는, 배기구에 설치한 보조배기구체를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에 의해 운전중 적어도 피건조식기건조시에 배기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그 이외는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은 보조배기구체에 돌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돌출력에 저항하여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는 스토퍼 및 이 스토퍼를 그 구속위치에서 구속해제위치로 움직이는 전자석으로 구속하면 좋다.
또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은 보조배기구체에 돌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돌출력에 저항하여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하여 피건조식기 건조시의 주위온도에 의해 그 구속을 해제하는 상태로 변형하는 열응동체로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은 모터로 구성하고, 이 모터에 의해 건조운전종료후에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면 좋다.
덧붙여서 보조배기구체를 탄력성을 갖는 주름부로 배기덕트와 일체로 연이어 설치하고 그 주름부의 탄턱성에 의해 돌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보조배기구체는 운전중 적어도, 피건조식기 건조시에만 돌출하고 그 이외는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시에 식기건조기에서의 배기가 카운터테이블의 전방부아래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하면서, 그 이외의 경우에는 부엌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의복이나 손에 걸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보조배기구체에 돌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돌출력에 저항하여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는 스토퍼 및 이 스토퍼를 그 구속위치에서 구소해제위치로 움직이는 전자석으로 구성한 것을 보조배기구체의 돌출작동을 빠르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은, 보조배기구체에 돌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돌출력에 저항하여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는 피건조식기 건조시의 주위온도로 그 구속을 해제하는 상태로 변형하는 열응동체로 구성한 것은, 보조배기구체의 돌출작동을 빠르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모터로 구성하고, 이 모터에 의해 건조운전종료후에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 것은 보조배기구체의 복귀까지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보조배기구체를 탄력성을 갖는 주름부에 배기덕트와 일체로 연이어 설치하고, 그 주름부의 탄력성에 의해 돌출시키게 한 것은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일단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식기세정기에 적용하여 그 제1실시예에 관하여 제1도 내지 제9도는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 본체(1)를 나타내고 있고 내부에 내부상자(2)로써 건조실에도 있는 세정실(3)을 형성하고 전면부에 세정실(3)로 통하는 식기출입구(4)를 개폐하는 문(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세정실(3)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피세정(피건조)식기를 배치하는 식기 바구니(6)(7)를 상하로 나누어 각각 식기출입구(4)에서 인출가능하게 수용하고 있고, 또한 그 각 아래쪽에는 피세정식기에 대해서 세척 및 헹굼시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수팔(8)(9)을 설치하고, 바닥부에 저수부(10)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저수부(10)내의 물을 상기 분수팔(8)(9)로 압송하는 세정펌프(11), 세척 및 헹굼시에 저수부(10)내의 물을 가열하여 건조시에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2) 및 배수시에 저수부(10)내의 물을 본체(1)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구(15)에는, 세정실(3)에 그 상부에서 나오도록 접속한 배기덕트(18)를 겹침과 동시에 보조배기구체(19)가 설치되고 있다. 이 보조배기구체(19)는 상세하게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통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그 선단개구부에는 손잡이(20)를 가지고 탈착되는 필터(21)를 장착하고, 기단부의 양측에 각각 플랜지(22)를 밖으로 내어 형성하고, 이 플랜지(22)에 가이드봉(23)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또 이 보조배기구체(19)의 기단부 가까이의 아래면 2곳에는 걸어맞춤받이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보조배기구체(19)를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덕트(18)의 선단부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상기 배기구(15)에 돌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그때 가이드봉(23)에는 압축코일스프링(25)을 설치하고, 가이드봉(23)을 배기덕트(18)의 선단부가까이에 형성한 플랜지(26)에 끼워 통하게 함으로써 압축코일스프링(25)을 보조배기구체(19)의 플랜지(22)와 배기덕트(18)의 플랜지(26)사이에 개재시킨다.
이것에 대해서 보조배기구체(19)아래쪽의 내부 상자 (2)윗면에는 전자석(27)과 스토퍼(28)를 케이스(29)에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 가운데 스토퍼(28)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 존재하고, 케이스(29)에 지축(3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또 둘다 하부가 연결핀(31)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또 이 스토퍼(28)의 회전가능지지부에는 제7도에 나타내는 비틈코일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스토퍼(28)를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시계회전회동방향으로 부세(付勢)하고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5)을 압축하여 배기구(15)에서 돌출하지 않은 비돌출위치에 삽입한 보조배기구체(19)의 상기 걸어맞춤받이부(24)에 걸어맞취서, 해당 보조배기체(19)를 압축코일스프링(25)의 탄력에 이기는 힘으로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한 것의 작용을 서술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석(27)은 피세정식기의 건조시의 처음에만 전기가 통하게 되는 것이고, 그보다 전에 행해지는 세척시나 헹굼시에 단전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세척시, 헹굼시에는 보조배기구체(19)는 걸어맞춤받이부(24)가 스토퍼(28)에 걸어맞춰진 비돌출위치에 구속되는 배기구(15)에서는 돌출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건조시에 이르면 전자석(27)이 전기가 통하게됨으로써, 해당 전자석(27)은 플랜지(32)를 끌고, 이 플랜저(32)에 의해 연결핀(31)을 통해서 스토퍼의 하부를 비틈코일스프링(3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끈다. 따라서 스토퍼(28)는 제5도중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되고, 보조배기구체(19)의 걸어맞춤받이부(24)에서 이탈하고 그 걸어맞춤(보조배기구체(19)의 구속)을 푼다. 이 때문에 보조배기구체(19)는 압축코일스프링(25)의 탄발력을 받아 배기구(1)에서 앞쪽으로 돌출되고,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22)가 배기구(15)의 양측부에 출돌하여 접한 곳에서 정지한다.
이렇게 해서 돌출한 보조배기구체(19)는 운전종료후 등에 끼우는 것에 의해 걸어맞춤받이부(24)가 스토퍼(28)를 초과하여 스토퍼(28)에 상기와 같이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원래의 비돌출위치에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경우 압축코일스프링(25)와 스토퍼(28) 및 전자석(27)에 의해 보조배기구체(19)를 운전중에 피건조식기건조기에 배기구(15)에서 외부쪽으로 돌출시키고, 그 이외는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는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의 것은 보조배기구체(19)를 운전중의 피건조식기건조기에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조시에 세정실(3)에서 배기덕트(18) 및 보조배기구체(19)를 거쳐 배출되는 세정실(3)내의 공기가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테이블의 전방부아래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로 또는 그것이 커져서 바닥면으로의 낙하나 부엌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의복을 젖게 한다든지 카운터테이블의 화장판이 말라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조시 이외의 경우에는 보조배기구체(19)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의 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부엌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의복이나 손에 보조배기구체(19)가 걸이는 피할 수 있으므로 부엌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압축코일스프링(25)과 스토퍼(28) 및 전자석(27)으로 구성한 것에 의해 보조배기구체(19)의 돌출작동을 빠르게 행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테이블전방부아래면의 결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의 상이점만을 서술하면, 그것을 상기 스토퍼(28) 및 전자석(27)을 대신하여 2개의 바이메탈(41)과 이것을 고정한 1개의 고정대(42)로 이루어지는 열응동체(43)를 사용하고, 이것과 압축코일스프링(25)으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구성하도록 한 데에 있다.
이 경우 바이메탈(41)은 그 각 선단부에 블록부(44)를 갖고 있고, 이것을 보조배기구체(19)의 걸어맞춤받이부(24)에 걸어맞춰서 보조배기구체(19)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하고, 피건조식기건조기의 상승온도에 의해 하강변형하여 블록부(44)의 상기 걸어맞춤받이부(24)의 걸어맞춤, 즉 보조배기구체(19)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것도 제1실시예와의 상이점만을 서술하면, 그것은 스토퍼(28) 및 전자석(27), 압축코일스프링(25)을 대신하여 모터(51)와, 이것의 회전축에 설치한 피니온(52) 및 보조배기구체(19)의 아래면부에 설치한 랙(53)에 의해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구성하도록한 데 있다.
이 경우 모터(51)가 피세정식기의 건조시의 처음에 통전되어 피니온(52)을 회전시키는 것에 해당 피니온(52)이 이맞물림한 랙(53)를 앞쪽으로 나아가게 보조배기구체(19)를 배기구(15)에서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건조운전종료후에는 모터(51)가 역전방향으로 전기가 통하게 되어 피니온(52)을 역전시킴으로써 랙(53)를 후퇴시켜서 보조배기구체(19)를 비돌출위치에 복귀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보조배기구체(19)의 복귀까지 자동으로 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차례로 손으로 누르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것은 보조배기구체(19)를 주름부(61)에 의해 배기덕트(18)와 입체로 연이어 설치한 것이고, 특히 그 주름부(61)에 탄발의 탄력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압축코일스프링(25)과 같이 기능시킬 수 있고, 따라서 그 압축코일스프링(25)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일장으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히 보조배기구체(19)는 운전중의 적어도 피건조식기건조기에 돌출되면 좋고, 그것보다 빨리 돌출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은등, 요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건조기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것으로 하기의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범위 제1항의 식기건조기에 있어서는 배기구에 설치한 보조배기구체를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에 의해 운전중 적어도 피건조식기건조기에 배기구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그 이외는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도록 한 것에 의해 미관을 전체적으로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배기가 카운터테이블의 전방부아래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고 보조배기구체가 부엌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방해가 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 식기건조기에 있어서는 상기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보조배기구체에 돌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돌출력에 대항하여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는 스토퍼 및 이 스토퍼를 그 구속위치에서 구속해제위치로 움직이는 전자석으로 구성함으로써 보조배기구체의 돌출작동을 빠르게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식기건조기에 있어서는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보조배기구체에 돌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돌출력에 대항하여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하여 피건조식기건조기의 주위온도에 의해 그 구속을 해제하는 상태로 변형하는 열응동체로 구성함으로써 보조배기구체의 돌출작동을 빠르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의 식기건조기에 있어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모터로 구성하고, 이 모터에 의해 건조운전종료후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함으로써 돌출한 보조배기구체의 복귀까지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5항의 식기건조기에 있어서 보조배기구체를 탄력성을 갖는 주름부에 의해 배기덕트와 일체로 연이어 설치하고, 그 주름부의 탄력성에 의해 돌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일단으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Claims (5)

  1. 본체에 피건조식기를 배치하는 건조실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 건조실내에 본체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및 건조실내의 공기를 본체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식기건조기에 있어서, 그 배기구에 보조배기구체를 설치하고 그 보조배기구체를 운전중에 적어도 피건조식기건조기에 배기구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그 이외는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는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보조배기구체에 돌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돌출력에 대항하여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에 구속하는 스토퍼 및 이 스토퍼를 그 구속위치에 구속해제위치에 움직이는 전자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보조배기구체에 돌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돌출력에 대항하여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로 구속하고 피건조식기건조시 주위온도에 의해 그 구속을 해제하는 상태로 변형하는 열응동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배기구체제어수단을 모터로 구성하고 이 모터에 의해 건조운전종료후에 보조배기구체를 비돌출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배기구체를 탄력성을 갖는 주름부에 의해 배기덕트와 일체로 연이어 설치하고, 그 주름부의 탄력성에 의해 돌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기.
KR1019930025634A 1992-12-14 1993-11-29 식기건조기 KR950008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33010 1992-12-14
JP4333010A JP2972467B2 (ja) 1992-12-14 1992-12-14 食器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457A KR940013457A (ko) 1994-07-15
KR950008361B1 true KR950008361B1 (ko) 1995-07-28

Family

ID=1826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634A KR950008361B1 (ko) 1992-12-14 1993-11-29 식기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72467B2 (ko)
KR (1) KR950008361B1 (ko)
TW (1) TW2270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5524A (zh) * 2019-04-29 2019-09-10 广东万家乐厨房科技有限公司 一种吸排换气装置及消毒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72467B2 (ja) 1999-11-08
JPH06178748A (ja) 1994-06-28
TW227040B (en) 1994-07-21
KR940013457A (ko) 199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337B1 (ko) 식기세척기의 건조덕트
EP1913860A2 (en) Dishwasher
KR950008361B1 (ko) 식기건조기
EP1597997B1 (en) Dishwasher and door locking device for the same
US2891560A (en) Dishwasher construction
EP2180817B1 (en) Dish washing machine
KR101178680B1 (ko) 식기 세척기의 건조 시스템
JPH11104055A (ja) 食器洗浄乾燥機
JP2708966B2 (ja) 乾燥収納装置
JPH018196Y2 (ko)
JP3440399B2 (ja)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JP2972947B2 (ja) 食器洗浄機
JP4412220B2 (ja) 食器洗い乾燥機付き厨房装置
JPH0130492B2 (ko)
KR101629295B1 (ko) 식기세척기
JPH10225330A (ja) 食器洗浄機付き流し台
KR970002817Y1 (ko) 식기세척기
KR200159320Y1 (ko) 식기세척기의 선반인출장치
JP3068676B2 (ja) 食器乾燥機
KR200205273Y1 (ko) 고무장갑 건조대겸용 식기건조기
JPH04130757U (ja) 食器乾燥器
KR960000501Y1 (ko) 걸레 건조기
JP2519318B2 (ja) 食器乾燥機
JP2001327451A (ja) 食器洗浄機
JP2001008883A (ja) 食器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