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162Y1 - 급수 꼭지 - Google Patents

급수 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162Y1
KR950008162Y1 KR92024458U KR920024458U KR950008162Y1 KR 950008162 Y1 KR950008162 Y1 KR 950008162Y1 KR 92024458 U KR92024458 U KR 92024458U KR 920024458 U KR920024458 U KR 920024458U KR 950008162 Y1 KR950008162 Y1 KR 950008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lid
wat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4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435U (ko
Inventor
채병태
Original Assignee
채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태 filed Critical 채병태
Priority to KR92024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162Y1/ko
Publication of KR940016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with special means for preventing the self-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수 꼭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 꼭지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급수 꼭지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급수 꼭지의 급수통로 개방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샤프트
3 : 마개 4 : 스프링
5 : 뚜껑 6 : 레버
7 : 유입통로 8 : 유출구
9 : 용착부 11 : L자형 요홈
14 : 내향돌기 16 : 융착돌기
18 : 물퍼짐방지턱 19 : 니플
본 고안은 급수 꼭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 및 조립방법을 개선하여 불량률을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수 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생수기, 또는 보온·보냉물통에는 급수를 하기 위한 꼭지가 장착되는 바, 이러한 급수 꼭지는 비록 용도는 동일하지만 현대에 이르러서 미적처리 및 편리성의 요청으로 인해 형상 및 구조가 다양해져 가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급수꼭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샤프트의 지지 돌출부에 스프링을 장착하고 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뚜껑의 중앙구멍을 통해 샤프트를 끼운 다음 핀으로 샤프트의 상부와 레버를 고정하고 샤프트의 하부에 마개를 결합하고 하우징 외측의 나사부와 뚜껑 내측의 나사부를 결합하여 급수꼭지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레버를 누르거나 당기면 마개가 들려서 통로를 개방하여 물이 하우징의 출구를 통해 유출하고 레버를 놓거나 반대로 작동시키면 통로가 막혀서 물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급수꼭지는 나사식으로 하우징과 뚜껑을 결합하는 구성이므로 덜조이면 평상시에는 누수현상이 나타나고 꽉조이면 레버가 유동하며 불량률이 많고 작업도 불편하며 금형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샤프트와 레버를 별도의 핀으로 고정하므로 제조 및 조립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급수꼭지의 상기한 바와 같이 문제점을 감안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불량률을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구성된 급수꼭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급수꼭지는, 샤프트의 고정턱을 마개의 요홈안으로 결합하여 마개를 샤프트에 고정하고 그위에 스프링을 장착한 다음 뚜껑의 중앙구멍을 통해 샤프트를 끼우고 대향하는 측벽을 갖는 레버를 샤프트와 결합한 후 유입통로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뚜껑과 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급수 꼭지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단이 용착부를 형성하고 뚜껑의 내측에 용착돌기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용착부와 뚜껑 내측의 용착돌기를 맞추어 초음파 용접을 행함으로써 하우징과 뚜껑을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상기 유출구에 내향 돌출하는 물퍼짐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꼭지의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급수 꼭지의 밀폐상태 및 개방상태의 각각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꼭지는 하우징(1), 샤프트(2), 마개(3), 스프링(4), 뚜껑(5) 및 레버(6)로 구성된다. 하우징(1)에는 물의 유입통로(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의 하부에는 유출구(8)를 가지며 상단은 후술하는 뚜껑과의 결합시 용착부(9)를 형성한다. 샤프트 (2)의 하부에는 고정턱(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L자형의 요홈(11)이 형성되어 있는데, 하부의 고정턱(10)은 마개(3)의 요홈(12)안으로 결합하여 마개(3)를 샤프트(2)에 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상부의 L자형 요홈(11)은 레버(6)의 대향하는 측벽(13)에 형성된 후술하는 내향돌기와 결합한다. 뚜껑(5)의 중앙에는 구멍(15)이 뚫려 있고 내측에는 하우징(1)의 용착부(9)와 대응하는 위치에 용착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6)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레버(6)의 측벽(13)에는 샤프트(2)의 L자형 요홈(11)에 결합하는 내향돌기(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예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목적으로 접촉부(17)의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있고, 스프링(4)은 압축스프링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급수꼭지의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샤프트(2)의 고정턱(10)을 마개(3)의 요홈(12)안으로 결합하여 마개(3)를 샤프트 (2)에 고정하고 그위에 스프링(4)을 장착한 다음 뚜껑(5)의 중앙구멍(15)을 통해 샤프트(2)를 끼우고 샤프트(2)의 L자형 요홈(11)에 레버(6)의 내향돌기(14)를 삽입하여 레버(6)를 결합한다. 이때 스프링(4)의 저항력에 거슬러 샤프트(2)를 거슬러 샤프트 (2)를 뚜껑(5)의 중앙구멍(15)을 통해 최대한 위로 밀어올리면 샤프트(2)의 L자형 요홈(11)이 뚜껑(5)위로 완전히 드러나며, L자형 요홈(11)의 수평부에 레버(6)의 내향돌기(14)를 끼우고 힘을 해제하면 L자형 요홈(11)의 수직부가 내향돌기(14)를 타고 이동하여 레버(6)가 뚜껑(5) 상부에 견고히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1) 상부의 용착부(9)와 뚜껑(5) 내측의 용착돌기(16)를 맞추어 초음파 용접을 행하면 하우징(1)의 용착부(9)와 뚜껑(5) 내측의 용착돌기(16)가 일체로 결합하여 급수꼭지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초음파 용접에 의한 뚜껑(5)과 하우징(1)의 결합은 제품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즉, 나사결합에 의할 경우에는 단면원형만이 가능하지만 초음파 용접에 의할 경우에는 원형외에도 사각형 육각형등의 단면형상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수작업을 요하지 않으며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샤프트(2)와 레버(6)가 자체에 형성된 결합수단(11,14)에 의해 서로 결합하므로 핀 따위의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된다.
다음으로 급수꼭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도시된 상태에서 레버(6)의 접촉부 (17)를 누르면 스프링(4)의 저항력에 거슬러 마개(3)가 들려 올라가서 통로를 개방하여 물의 흐름이 가능하게 되고 놓으면 스프링(4)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마개(3)가 복귀하여 통로가 막혀 물의 흐름이 차단된다. 한편 물을 계속적으로 받고자 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6)를 당겨서 수평자세로 위치시키면 되는데, 소정량의 물을 받고 레버(6)를 당겨서 수평자세로 위치시키면 되는데, 소정량이 물을 받고 레버(6)를아래로 내려물의 흐름을 차단할때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6)의 접촉부(17)가 하우징(1)의 유출구(8)보다 안쪽에 위치하므로 접촉부(17)가 물을 때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부(17)의 중간부분을 절개하여 접촉부(17)가 물을 때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하우징(1)의 유출구(8)는 단순한 원형이므로 물이 흘러 내릴때 퍼지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퍼짐방지턱(18)을 하우징 (1)의 유출구(8)에 형성하여 물이 퍼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시된 바와같이 호스(도시안됨)와의 결합을 위한 니플(nipple)(19)을 하우징 (1)의 입구단과 니플(19)의 걸림턱(20)을 초음파용접함으로써 일체로 결합하여 제조 및 조립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있고 견고성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다른 급수 꼭지는 불량률을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제품의 구성이 가능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샤프트(2)의 고정턱(10)의 마개(3)의 요홈(12)안으로 결합하여 마개(3)를 샤프트(2)에 고정하고 그위에 스프링(4)을 장착한 다음 뚜껑(5)의 중앙구멍(15)을 통해 상기 샤프트(2)를 끼우고 대향하는 측벽(13)을 갖는 레버(6)를 상기 샤프트(2)와 결합한 후 유입통로(7) 및 유출구(8)가 형성된 하우징(1)을 상기 뚜껑(5)과 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급수 꼭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상단이 용착부(9)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5)의 내측에 용착돌기(16)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의 용착부(9)와 상기 뚜껑(5) 내측의 용착돌기(16)를 맞추어 초음파 용접을 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과 상기 뚜껑(5)을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상기 유출구(8)에 내향 돌출하는 물퍼짐방지턱(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꼭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의 상부에 L자형 요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6)의 측벽(13)에 내향돌기(14)가 형성되어 그 내향돌기(14)를 상기 L자형 요홈 (1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과 상기 레버(6)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꼭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6)에 접촉부(17)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접촉부(17)의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꼭지.
  5. 제1항에 있어서, 호스와의 접속을 위한 니플(19)의 걸림턱(20)을 상기 하우징 (1)의 유입통로(7)의 입구단에 초음파용접함으로써 상기 니플(19)이 상기 하우징(1)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꼭지.
KR92024458U 1992-12-05 1992-12-05 급수 꼭지 KR950008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458U KR950008162Y1 (ko) 1992-12-05 1992-12-05 급수 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458U KR950008162Y1 (ko) 1992-12-05 1992-12-05 급수 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35U KR940016435U (ko) 1994-07-25
KR950008162Y1 true KR950008162Y1 (ko) 1995-10-04

Family

ID=1934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458U KR950008162Y1 (ko) 1992-12-05 1992-12-05 급수 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1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35U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7151A (en) Assembly structure of a combination faucet
US9464415B2 (en) Faucet
KR950008162Y1 (ko) 급수 꼭지
JP5406521B2 (ja) 分岐栓
AU201922785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ap body
EP2186952A2 (en) Connection device for a tap and a method of connecting parts of a tap together
JP5468786B2 (ja) 分岐栓
CN219491170U (zh) 一种多出水方式的抽拉龙头
KR200440918Y1 (ko)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KR102450892B1 (ko) 조립식 수전
JP4505768B2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
CN212643846U (zh) 一种防漏水管路接头
KR200213458Y1 (ko) 밸브 구조물
CN210716085U (zh) 塑料混水龙头连接件
KR970000673Y1 (ko) 냉온수 혼합밸브 디스크 뭉치구조
KR200323854Y1 (ko) 혼합 수전의 호스 결합구조
JP3317474B2 (ja) ボルトを用いて固定される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管接続機構
JP5302664B2 (ja) 分岐栓
JP2001173038A (ja) 水栓器具
KR200247486Y1 (ko) 역류방지밸브
JP5581363B2 (ja) 分岐栓
JP3644025B2 (ja) カバー水栓
KR200436210Y1 (ko) 계량기 연결용 이음관
JPS636281Y2 (ko)
KR200258041Y1 (ko) 세탁기용 급수호스의 연결구를 갖춘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20320

Effective date: 200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