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918Y1 -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918Y1
KR200440918Y1 KR2020070004062U KR20070004062U KR200440918Y1 KR 200440918 Y1 KR200440918 Y1 KR 200440918Y1 KR 2020070004062 U KR2020070004062 U KR 2020070004062U KR 20070004062 U KR20070004062 U KR 20070004062U KR 200440918 Y1 KR200440918 Y1 KR 200440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servoir
groove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장
Original Assignee
안기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장 filed Critical 안기장
Priority to KR2020070004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9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통상 정수필터를 거쳐 정수된 물이 가열 및 냉수되어 보관되는 저수통의 물이 배수꼭지(101,102)를 거쳐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연결밸브(6)에 있어, 저수통쪽의 저수통배관(5)과 전면케이스(1)쪽의 배수꼭지를 분리 용이한 연결밸브로 결합고정시킴으로서 이들 배수꼭지(101,102)와 저수통배관(5)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치수정밀도의 향상 및 누수방지와 함께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냉수저수통 또는 온수저수통으로부터의 저수통배관(5)을 연결밸브(6)를 매개로 전면케이스(1) 바깥쪽의 배수꼭지(101,102)에 연결고정시키는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6)는 저수통배관(5)이 삽입체결되면서 기밀유지되도록 내측에 패킹홈(26)이 요홈형성되고, 상기 패킹홈(26)에 배관패킹(23)이 안착되면서 나사부(31)가 형성된 외측의 돌출부위에는 전면케이스(1)의 걸림돌기(12)에 대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25)이 요홈형성된다.
배수꼭지, 연결밸브, 압착패킹, 패킹홈, 걸림홈, 걸림돌기, 저수통배관

Description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Connecting valve of purifier faucet}
도 1은 통상의 연결밸브가 전면케이스에 설치된 냉온정수기 외형도.
도 2는 통상의 연결밸브가 적용된 냉온정수기의 냉각시스템 구조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분리형 연결밸브가 배수꼭지에 설치된 분리상태도 및 결합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분리형 연결밸브가 배수꼭지에 설치된 분리상태도 및 결합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밸브가 배수꼭지에 설치된 분리상태도 및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연결밸브 단면구조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에 따른 연결밸브의 분리상태도 및 결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면케이스 2 : 정수필터
3 : 냉수저수통 5 : 저수통배관
6 : 연결밸브 12 : 걸림돌기
22 : 꼭지패킹 23 : 배관패킹
24 : 절단면 25 : 걸림홈
26 : 패킹홈 31 : 나사부
32 : 볼트부 33 : 너트부
34 : 압착너트 35 : 너트패킹
본 고안은 저수통배관을 배수꼭지와 연결시키는 연결밸브가 분리 가능하면서 결합치수 정밀도도 향상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정수필터를 거쳐 정수된 물이 가열 및 냉수되어 보관되는 저수통의 물이 배수꼭지를 거쳐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연결밸브에 있어, 저수통쪽의 저수통배관과 전면케이스쪽의 배수꼭지를 분리 용이한 연결밸브로 결합고정시킴으로서 이들 배수꼭지와 저수통배관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치수정밀도의 향상 및 누수방지와 함께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도록 한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정수기와 같이 통상의 냉각시스템이 작동되어 냉수 및 보온된 물을 배수꼭지를 배출시켜 음용할 수 있는 냉수장치는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배수꼭지(101)(102)와 물을 냉수시키는 냉수저수통(3) 및 온수저장통(4)을 연결하는 배관구조로서 연결밸브(6)와 저수통배관(5)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조립상에서 실리콘 보조배관과 고정타이 등을 이용하여 연결구성하는 결합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밸브 결합구조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별도의 연결배관(21)을 사용함으로서, 결합후 장시간 사용중에 누수문제의 발생뿐만 아니라 결합구조가 약해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도 4a 및 4b의 발전된 형태에서는 연결밸브(6)와 저수통배관(5)을 별도의 연결배관(21) 없이 직접 일체로 용접성형하여 조립상에서 바로 상기 저수통배관(5)을 배수꼭지(101)(102)에 연결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연결밸브(6)와 저수통배관(5)의 용접과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므로 용접작업에 따른 용접불량의 발생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의 상승요인이 문제되고 있다. 또한 정밀한 치수관리가 되지 않으면 조립상태에서 조립치수의 불량 및 누수가 발생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통상적인 냉온정수기의 외형구조로서 도 2의 통상적인 냉각시스템이 내부 구성되고 전면케이스(1) 외측에는 배수꼭지(101)(102)가 부착되어 사용자의 취사 선택에 따라 냉각시스템이 작동되면서 물을 냉각시켜 상기 전면케이스 전면의 배수꼭지(10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음용할 수 있다.
즉, 먼저 수돗물이 다단으로 구성된 정수필터(2)(2a,2b,2c,2d)를 거쳐 냉수저수통(3)으로 유입되어 통상적인 냉각시스템인 압축기(8), 증발관(9), 모세관(10), 냉매관(11)으로 구성된 증기가압식 냉수장치에 의해 냉수가 이루어지고, 또한 온수저장통(4)으로 유입된 물은 가열장치(7)에 의해 가열되어 사용자의 냉수 및 온수 배수꼭지(101,102)의 작동 선택에 따라 냉수저장통(3) 또는 온수저장통(4)으로부터 연결되는 저장통배관(5)을 통해 외부의 상기 배수꼭지(101,102)를 통해 유출하게 되는 작동구조이다.
이러한 냉수장치의 배수꼭지(101,102)에 저수통배관(5)을 연결시키게 되는 종래의 분리 및 일체형 연결밸브(6)를 보면 도 3a 및 도 3b의 경우, 먼저 연결밸브(6)와 배수꼭지(101)를 결합하고 저수통배관(5)과 별도 구비된 연결배관(21)을 삽입한 다음 타이 등의 매듭으로 조여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의 결합구조는 장시간 사용중에 연결부의 누수가 발생되기 쉽다. 특히 종래에는 연결밸브(6)를 사출물로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내구성에서 저하하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도 4a 및 도 4b의 경우에는, 냉수저수통(3)의 저수통배관(5)과 배수꼭지(101)쪽의 연결밸브(6)가 일체형으로 용접구성된 일체형 결합구조를 이루는데, 각각의 부품이 스테인리스 재질로써 저수통배관(5)에 연결밸브(6)를 삽입한 다음 용접으로 접합고정하여 완성하는 결합구조로서, 품질검사가 철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중에 누수 발생 등의 결함이 예방될 수 있으나, 용접기능 차이에 따라 용접불량의 예방이 어렵고 용접가공비가 상승하여 전체적으로 제작비용의 상승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게 개발된 것으로, 통상의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1차적으로 정수필터를 거쳐 정수된 물이 2차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처리되어 해당 저수통에 유입되어 보관되어지고 해당 배수꼭지의 개폐작동에 따라 물이 저수 통배관과 배수꼭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들 저수통배관과 배수꼭지간을 연결고정시키는 연결밸브가 구조적으로 분리 용이하면서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부위의 치수정밀도(기밀성)도 향상되어 누수가 방지됨은 물론 제작가격도 낮출 수 있어 경제성도 있는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는 냉수저수통 또는 온수저수통으로부터의 저수통배관을 연결밸브를 매개로 전면케이스 바깥쪽의 배수꼭지에 연결고정시키는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는 저수통배관이 삽입체결되면서 기밀유지되도록 내측에 패킹홈이 요홈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 배관패킹이 안착되면서 나사부가 형성된 외측의 돌출부위에는 전면케이스의 걸림돌기에 대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요홈형성된 구성관계를 이룬다.
특히 연결밸브는 전면케이스의 걸림돌기에 대해 안착방향에 관계없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의 요홈단면이 4각형태로 가공되며, 상기 연결밸브의 나사부는 배수꼭지와의 나사결합시의 조임력이 높아지도록 90도 또는 120도, 180도중 어느 일정각도로 등분되는 절단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연결밸브는 내부로 삽입체결되는 저수통배관과의 기밀상태가 높아지도록 후방부위에 외측으로 나사가 형성된 볼트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측에 너트부가 형성된 압착너트를 더 포함하는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새로운 구성관계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연결밸브를 통해 배수꼭지와 연결설치되는 저수통배관은 냉수저수통은 물론 온수저수통 모두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연결밸브와 결합구성되는 배수꼭지 역시 냉수쪽은 물론 온수쪽 모두에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따라 냉수저수통(3) 또는 온수저수통(4)으로 연결되는 저수통배관(5)이 내측에 밀폐용 배관패킹(23)이 안착된 연결밸브(6) 내부로 삽입결합되고, 상기 연결밸브(6) 일측에 돌출된 나사부(31)가 꼭지패킹(22)과 함께 배수꼭지(101)에 내부로 체결되어 나사결합된 결합구조로서, 이들 배수꼭지(101)와 저장통배관(5)은 상기 연결밸브(6)를 매개로 상호 기밀유지면서 필요에 따라 분리가 가능한 결합구성을 이루게 된다.
즉, 냉수저수통(3)에 연장되어 구성되는 저수통배관(5)에 연결밸브(6)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연결밸브(6)와 저수통배관(5)가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밸브(6) 내측에 패킹홈(26)이 요홈형성되고 상기 패킹홈(26)에는 누수방지용 배관패킹(23)이 삽입되어 결합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밸브(6)가 전면케이스(1)에 안착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밸브(6)의 전방 나사부(31) 반대쪽의 돌출부위에는 외측으로 걸림홈(25)이 요홈형성되고, 상기 연결밸브(6) 돌출부위의 걸림홈(25)은 전면케이스(1)에 절결돌출된 걸림돌기(12)에 걸림고정된다. 이때 연결밸브(6)의 걸림홈(25)은 도 6의 상세구조에서 보 는 것처럼 전면케이스(1)의 걸림돌기(12)에 대해 안착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요홈단면이 4각형태로 가공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밸브(6) 전면의 나사부(31) 후방에 기밀패킹(22)이 삽입되어 상기 배수꼭지(101)와 연결밸브(6)가 결합상태에서 구조적으로 누수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며, 기밀패킹(22)이 끼워진 상기 연결밸브(6)의 나사부(31)에 대해 전면케이스(1) 바깥쪽에서 배수꼭지(101)를 체결하여 나사결합시키면 연결밸브(6) 전방으로는 배수꼭지(101)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연결밸브(6) 후방으로는 저장통배관(5)이 기밀성이 유지된 결합구조로서 분리가능하게 결합구성될 수 있다.
특히 연결밸브(6) 전면의 돌출부위에 가공 구성되는 나사부(31)는 2-4개의 절단면(24)이 구성되어 배수꼭지(101) 내측의 나사부(도면부호 생략)와 연결밸브(6) 전방부위의 나사부(31)가 완전하게 결합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에서는 연결밸브(6)의 전방부위에 돌출가공된 나사부(31)가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90도 또는 120도, 180도의 일정각도(K)로 등분하여 절단면(24)으로 구성됨으로서 배수꼭지(101)와의 체결동작시 나사결합의 조임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연결밸브(6)의 내측에는 패킹홈(26)이 요홈형성되고 배관패킹(23)이 안착결합되어 상기 연결밸브(6) 내부로 저수통배관(5)이 삽입체결되면서 구조적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정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밸브(6) 외측의 돌출부위에 요홈형성된 걸림홈(25)은 전면케이스(1)와의 안착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걸림체결되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결밸브(6)는 도 7a 및 도 7b의 응용 실시예에서 보는 것처럼, 연결밸브(6) 내부로 삽입체결되는 저수통배관(5)과의 밀착 및 기밀상태가 구조적으로 배가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밸브(6)의 후방부위에 외측으로 나사가 형성된 볼트부(32)를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볼트부(32)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측에 너트부(33)가 형성된 압착너트(34)를 추가구성시킬 수 있다. 물론 연결밸브(6)의 볼트부(32)와 압착너트(34)의 너트부(33)간의 체결동작시에 너트패킹(35)을 끼워넣어 함께 체결구성시킴으로서 기본 실시예에 의해 보다 확실한 기밀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는, 배수꼭지와 연결밸브, 저수통배관이 각각 별도로 구성되나 조립상태에서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작원가가 낮아 경쟁력있는 제품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구조적으로 결합 치수정밀도가 높아 누수방지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꼭지와 결합을 위한 연결밸브 전면의 나사부에 일정각도로 등분하여 절단면으로 구성되어 나사결합시의 조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밸브 내측에 패킹홈이 구성되고 기밀유지용 배관패킹을 적용시킴으로서 저수통배관이 연결밸브 내부로 쉽게 삽입안착되면서 구조적으로 기밀성과 고정밀착력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연결밸브 외측의 나사부에 절결가공시킨 절단면에 의해 배수꼭지가 쉽게 체결압착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밸브의 돌출부위에 요홈형성된 걸림홈에 의해 걸힘돌기가 돌출형성된 전면케이스에도 안착방향에 관계 없이 용이하게 안착체결되어 배수꼭지와의 안정된 체결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연결밸브 후방부위에는 전방부위의 나사부와 별도로 볼트부가 돌출형성되고 압착너트로서 나사결합될 수 있어 저수통배관과의 기밀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배가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3)

  1. 냉수저수통 또는 온수저수통으로부터의 저수통배관을 연결밸브를 매개로 전면케이스 바깥쪽의 배수꼭지에 연결고정시키는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6)는 저수통배관(5)이 삽입체결되면서 기밀유지되도록 내측에 패킹홈(26)이 요홈형성되고, 상기 패킹홈(26)에 배관패킹(23)이 안착되면서 나사부(31)가 형성된 외측의 돌출부위에는 전면케이스(1)의 걸림돌기(12)에 대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25)이 요홈형성된 구성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6)는 전면케이스(1)의 걸림돌기(12)에 대해 안착방향에 관계없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25)의 요홈단면이 4각형태로 가공되며, 상기 연결밸브(6)의 나사부(31)는 배수꼭지(101,102)와의 나사결합시의 조임력이 높아지도록 90도 또는 120도, 180도중 어느 일정각도(K)로 등분되는 절단면(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6)는 내부로 삽입체결되는 저수통배관(5)과의 기밀상태가 높 아지도록 후방부위에 외측으로 나사가 형성된 볼트부(3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볼트부(32)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측에 너트부(33)가 형성된 압착너트(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KR2020070004062U 2007-03-12 2007-03-12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KR200440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062U KR200440918Y1 (ko) 2007-03-12 2007-03-12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062U KR200440918Y1 (ko) 2007-03-12 2007-03-12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918Y1 true KR200440918Y1 (ko) 2008-07-09

Family

ID=4164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062U KR200440918Y1 (ko) 2007-03-12 2007-03-12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9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51Y1 (ko) 2009-04-13 2011-03-29 국도프라스틱 주식회사 정수기용 코크 체결구조
KR101324468B1 (ko) 2012-06-15 2013-11-01 이용기 분리사용이 가능한 코크를 갖는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51Y1 (ko) 2009-04-13 2011-03-29 국도프라스틱 주식회사 정수기용 코크 체결구조
KR101324468B1 (ko) 2012-06-15 2013-11-01 이용기 분리사용이 가능한 코크를 갖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9236B2 (en) Water supply valve
AU2012208986A1 (en) Plumbing Adaptor Fitting
KR20140062744A (ko) 선박 해수흡입시스템 펌프용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200440918Y1 (ko) 분리 용이한 배수꼭지용 연결밸브 결합구조
US8757667B2 (en) Adapters and connector assemblies for flow managing apparatuses
TWM549848U (zh) 分水裝置
US20100170578A1 (en) Separable faucet
US20100170577A1 (en) Separable faucet using plastic control valve
WO2005095841A1 (ja) 配管接続構造
JP2004347045A (ja) ステンレス鋼管用の伸縮管継手
KR101288061B1 (ko) V형 이중벽관용 이음관
US20080030026A1 (en) Pipe Coupling System
JP7114111B2 (ja) 筐体装置及び筐体装置の装着方法
KR101002249B1 (ko)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JP2002089726A (ja) 横向き分岐口をもつシングルレバ−式湯水混合栓
JP2007333165A (ja) 閉鎖弁又は分岐継手の蓋部材
JP5460064B2 (ja) 分岐栓
KR200456652Y1 (ko) 분배기 조립체
KR200393811Y1 (ko) 분배밸브 및 이를 이용한 헤더 구조
JP2004116556A (ja)
KR100873844B1 (ko) 새들 분수전의 결합구조
KR20220070739A (ko) 배관연결구조 및 배관연결방법
KR20090035941A (ko) 파이프 연결구조
JP2007198463A (ja) 開閉弁
US20110057139A1 (en) Threaded seat fitting for back seat v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