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053B1 -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053B1
KR950008053B1 KR1019930026381A KR930026381A KR950008053B1 KR 950008053 B1 KR950008053 B1 KR 950008053B1 KR 1019930026381 A KR1019930026381 A KR 1019930026381A KR 930026381 A KR930026381 A KR 930026381A KR 950008053 B1 KR950008053 B1 KR 95000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reeze
hose
engine
pressure gaug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양엔지니어링
변문환
주식회사컴텍
황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양엔지니어링, 변문환, 주식회사컴텍, 황정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1993002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53B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
제 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외형도.
제 2도는 본 발명 장치의 계층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울러 12 : 계측투명관
13,14 : 휠터 13', 14' : 호오스
15 : 티(T)라인 호오스 연결구 16 : 라지에더 호오스 연결구
15',16',16" : 호오스 16a : 호오스
17 : 부동액 투입구 17' : 부동액 저장통
18 : 스크린 19 : 샘플콕크
20 : 에어 레규레이터 21 : 시스템 압력게이지
22 : 휠터 압력게이지 23,24 : 방향전환밸브
23',23" : 호오스 15 : 모터펌프
25' : 에어라인 연결구 25" : 에어 레규레이터
26 : 연결관 27 : 프레스 레벨밸브
27' : 호오스 100 : 몸체
111 : 라지에더 111a : 캡
112 : 상부 호오스 113 : 하부 호오스
114 : 히터 114' : 히터 입수 호오스
114" : 히터 출수 호오스 115 : 티(T)관
200 : 수냉식 엔진 201 : 워터자켓
202 : 워터펌프
본 발명은 부동액을 재생하고, 엔진의 냉각기관내의 슬러지를 세척하는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동액은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고 겨울철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바, 최근에는 사철 항시 냉각기관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하면 부동액에는 냉각기관의 내벽에서 여러 종류의 금속 부속 물질이 추출되어 함유하게 된다.
이들 추출물은 산화철을 유지한 납, 주석, 아연, 은, 마그네슘, 칼슘, 구리, 알루미늄 등 육안으로 확인되는 부유물질과, 상수에 의한 칼슘, 마그네슘의 카보네이트트류, 그리고 부식방지용 첨가제인 실리케이트, 인산염 등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열의 전도성을 약화시켜 오바히트의 주원인이 되며, 나아가 원터펌프의 마모, 라지에더 및 히터의 튜브를 막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이러한 폐 부동액은 냉각기관의 내벽을 부식시키거나 스케일 슬러지 등이 흡착되어 엔진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냉각기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종래에는 이러한 폐 부동액의 교체시기가 되면 새 부동액으로 교체하였는바, 이와같이 폐 부동액을 단순히 교체만 하게되면 냉각기관 내에 흡착된 각종 스케일, 슬러지 등이 세척되지 않을 뿐 아니라, 냉각기관 내의 잔유 부동액이 완전히 교체되지 않아 새로 주입한 부동액을 오염시켜 부동액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뿐만 아니라, 폐 부동액은 납, 칼슘, 철, 아연 등이 녹아있는 유독성 물질이므로 공해 물질로 분류되어 하수에 방류하면 수질오염을 초래하여 최근에는 이를 수거 분리 처리하는 법안이 입법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시정하고자 한 것으로, 엔진이 냉각기관에 투입 되어 있는 폐 부동액을 교체하지 않고 재생하므로 폐 부동액의 유출을 방지하고, 냉각기관 내의 벽면 등의 슬러지는 제거하므로서 냉각기관의 효율을 높이며, 그러므로 워터펌프의 마모방지, 라지에더, 히터의 막힘 현상 방지, 오버히트 억제, 부품의 수명증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몸체(100)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로울러(11)가 장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계측 투명관(12)과, 휠터(13)(14)가 각각 착탈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우축에는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 라지에더 호오스 연결구(16), 에어라인 연결구(25')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내부의 탱크와 통하는 부동액 투입구(17) 스크린(18)으로 덮혀 있으며, 상단 벽쪽에는 샘플콕크(19)와 에어 레규레이터(20), 시스템 압력 게이지(21), 필터 압력 게이지(22), 방향전환 밸브(23) (24)의 레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내부를 해체하여 부동액의 흐름을 나타낸 간략도로써, 좌측 상단에는 부동액 저장통(17')이 있고, 우측에는 모터 펌프(25)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우측에는 라지에더 호오스 연결구(16)와,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가 도시되어 있으며,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에는 호오스 (15')가 연결되어있어 2개의 방향전한 밸브(23) (24) 사이에 있는 연결관(26)과 연결되어 있고, 라지에더 호오스 연결구(16)는 2개의 호오스(16')(16")가 연결되어 호오스(16")는 우측방향 전환밸브(24)와 연결되고, 호오스(16')는 저장통(17')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단의 휠터(13) (14)는 펌프(25)의 출력측과 우측 방향전환 밸브(24) 사이의 호오스(13')(14')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좌측방향 전환 밸브(23)는 저장통(17')과 펌프(25)를 호오스(23')(23")로 각각 연결하고, 우측에는 연결관(26)으로 우측의 방향전환 밸브(24)와 연결되어 있다.
샘플콕크(19)와 필터 압력 게이지(22)는 펌프(25)의 출력측의 호오스(14')와 연결되어 있으며, 시스템 압력 게이지(21)는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와 연결되고,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에는 프레스 레벨 밸브(26)가 장치되어 투입되는 압력이 냉각기관 내에서 오버플로워 될때 호오스(27')를 통해 저장통(17')으로 유입되게 한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라지에더 캡의 이상 유무를 알수 있다.
에어라인 연결구(25')는 에어 레규레이터(25")를 경유하여 펌프(25)와 연결한다. 계측투명판(12)은 저장톤(17')의 저장용량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실제 엔진의 냉각기관에 부착하는 실시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엔진 냉각기관내의 부동액을 재생하고 냉각 기관내를 세척할때를 나타낸 것이다. 수냉식 엔진(200)의 주변에는 워터자켓(201)이 있고, 전방에는 라지에더(111)가 있어 상부호오스(1112)와 하부호오스(113)로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의 후방에는 히터(114)가 있고, 입수호오스(114')와 출수 호오스(114")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라지에더(111) 상부에는 캡(111a)이 있으며, 워터자켓(201)의 전방부에는 워터펌프(202)가 있어 부동액을 강제 대류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와 연결된 호오스(15a)의 T관(115)을 히터의 출수호오스(114") 사이에 연결하고, 라지에더 상부 캡(111a)을 풀고 라지에더 호오스 연결구(16)와 연결된 호오스(16a)를 연결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전에 먼저 저장통(17')에 적당량의 부동액을 투입한다. 그런다음 에어라인 연결구(25')에 콤퓨레셔를 연결하여 펌프(25)를 가동시키면 저장통(17') 내의 부동액은 호오스(23')→방향전환 밸브(23)→ 호오스(23")→펌프(25) →호오스(14')→휠터 (13) (14)→ 우측방향 전환밸브(24) →호오스(15')→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T관(115)→출수호오스(114")→히터(114)→입수호오스(114')→냉각기관워터자켓(201)→라지에더(111) 상부로 이동하여 호오스(16a)→라지에더 호오스 연결구(16)→호오스(16')→저장통(17')의 상부의 순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부동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2개의 휠터(13)(14)를 통과하므로 폐 부동액 속에 함유된 각종 부유물이 제거되고, 부동액은 불순물이 제거된다.
한편, 펌프의 압력에 의한 부동액의 강제 이송에 의해 부동액은 냉각기관(즉, 워터자켓)내를 역류하여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냉각기관의 전 통로의 내벽을 세척하게 된다.
세척되는 냉각기관 내벽의 각종 슬러지는 결국 부동액에 함유되며, 상기와 같이 부동액은 계속하여 장치내를 순환하면서 휠터를 통과하게 되므로 부동액은 불술물이 제거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부동액의 재생 첨가제를 저장통에 투여하면 부동액은 재생된다.
부동액의 재생용 첨가제는 각국에 따라 부동액의 산도가 다르므로 알려진 바와같이 일본산, 한국산, 미국산, 유럽산 등의 부동액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부동액의 재생상태를 확인 하고자 할때는 샘플콕크(19)틀 통해 샘플을 채취하여 부동 온도 측정기(미도시) 등으로 측정하여 가장 적합한 수치를 얻는다.
장치중에서 휠터 압력 게이지(22)는 장치 전방에 설치된 휠터(13)(14)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으며, (휠터가 오염되면 부동액의 통과 압력이 높아진다. ) 시스템 압력 게이지(21)는 장치와 엔진의 냉각기관 내의 전체 압력을 측정 계시하여 압력에 의한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냉각기관 통로가 막히면 게이지가 상승 눈금을 가리키고, 냉각기관 내에 구멍이 있으면 게이지의 눈금이 낮아진다. )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모아진 폐 부동액을 재생할 수 있다.
즉, 제 2도에 표시와 같이 폐 부동액이 들어있는 드럼에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를 연결하여 방향전환 밸브(23)(24)를 조정한 다음, 펌프(25)를 가동하면 호오스(15') →연결관(26)→좌측방향 전환밸브(23)→호오스(23")→펌프(25)→호오스(14')→휠터(13)(14)→호오스(13')→우측방향 전환밸브(24)→호오스(16")→호오스(16')를 통해 저장통(17') 상부에 주입된다. (연결구(16)는 비역류 밸브이다)
이와같이 저장통(17') 내에 폐 부동액이 만장되면 방향전환 밸브(23)(24)를 다시 조정한 후, 핌프(25)를 가동하면 저장통(17')내의 폐 부동액은 호스(23')→좌측방향 전환밸브(23)→호오스(23')→펌프(25)→호오스 (14')→휠터(13)(14)→호오스(13')→ 우측방항 전환밸브(24)→호오스(16") (16')를 거쳐 저장통(17') 내로 순환되면서 휠터(13) (14)에 의해 폐 부동액은 불순물이 제거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부동액 재생 첨가재를 저장통내에 투입하면 폐 부동액은 정제되면서 산도를 유지하는 새 부동액이 재생되는 것이다.
재생이 완료된 장치내의 부동액은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를 저장하고자 하는 통에 연결하고, 방향 전환 밸브(23)(24)를 조정한 후, 펌프를 가동하면 저장통(17')내의 부동액은 저장통(1")의 하부 호오스(23')를 통해 좌측 방향 전환밸브(23)→호오스(23") →펌프(25)→호오스(14')→휠터(13)(14)→우측방향 전환밸브(24)→호오스(15')를 통해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로 배출되어 외부의 통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엔진의 냉각기관의 불량의 라지에더의 탭의 불량 등을 알고자 할때에는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를 제 3도 표시와 같이 연결하고, 라지에더 캡(111a)은 그대로 잠근 상태에서 본 장치를 가동하면 냉각기관의 누수나 캡의 불량일때에는 시스템 압력 게이지의 압력이 일정 수준이상 상승하지 않으므로 냉각기관의 구성 또는 막힘, 라지에 더 캡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냉각기관 내에 있는 부동액을 교환하지 않고 부동액을 재생할 수 있으며, 라지에더 워터자켓 내의 벽면에 붙은 스케일, 슬러지 등을 제거하므로 냉각기관의 수명을 연장 시키고 폐 부동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몸체(100)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로울러(11)가 장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계측 투명관(12)과 휠터(13)(14)가 각각 착탈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우측에는 티라인 호오스 연결구(15), 라지에더 호오스 연결구(16), 에어라인 연결구(25')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내부의 탱크와 통하는 부동액 투입구(17)가 스크린(18)으로 덮혀 있으며, 상단 벽쪽에는 샘플콕크(19)와 에어 레규레이터(20), 시스템 압력 게이지 (21), 필터 압력 게이지 (22), 방향전환 밸브(23) (24)의 레버가 각각 설치된 엔진냉각기관 크리닝 장치.
KR1019930026381A 1993-12-03 1993-12-03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 KR95000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381A KR950008053B1 (ko) 1993-12-03 1993-12-03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381A KR950008053B1 (ko) 1993-12-03 1993-12-03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53B1 true KR950008053B1 (ko) 1995-07-24

Family

ID=1936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381A KR950008053B1 (ko) 1993-12-03 1993-12-03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05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339B1 (en) Apparatus for flushing, replacing fluid and bleeding hydraulic systems
US6298947B1 (en) Engine oil cleaning system
EP0382255B1 (en) Engine coolant flush-filtering externally of engine with ion precipitation
BR112018017071B1 (pt) Sistema lavador de para-brisas
US4899807A (en) Engine coolant flush-filtering using external gas pressure and blocked radiator fill port
US5174902A (en) Method for removing cations and anions from an engine coolant liquid
KR950008053B1 (ko) 엔진 냉각기관의 크리닝 장치
US20040020720A1 (en) Engine oil cleaning system
US4239368A (en) Apparatus for developing printing plates comprising a tank in which processing liquid is contained
US3509999A (en) Waste disposal system
CN214661928U (zh) 一种便于维护的自动变速器循环换油设备管路
US70828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fluid flow and flushing a transmission cooler
CN114105073A (zh) 一种飞行器油箱加注系统
KR200152020Y1 (ko) 엔진냉각기관용 부동액 재생장치
KR100325118B1 (ko) 코크스오븐도어의 카본제거용 세척수 재활용장치
KR20210030716A (ko) 플러싱 장치
CN211366936U (zh) 一种刹车油循环清洗更换系统
US5858216A (en) Filtr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US11655750B2 (en) Vehicle engine flushing machine with heating and reverse flow
SU450594A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масел
CN217757060U (zh) 污水处理系统
SU619199A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 фильтр
KR0137582Y1 (ko) 엔진냉각기관의 부동액 재생장치
CN210855569U (zh) 一种工业废水处理用酸碱中和处理装置
KR19980015897U (ko) 자동차 엔진의 냉각수 부동액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