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933B1 - 광증폭장치 및 광발진장치 - Google Patents

광증폭장치 및 광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933B1
KR950007933B1 KR1019910013695A KR910013695A KR950007933B1 KR 950007933 B1 KR950007933 B1 KR 950007933B1 KR 1019910013695 A KR1019910013695 A KR 1019910013695A KR 910013695 A KR910013695 A KR 910013695A KR 950007933 B1 KR950007933 B1 KR 950007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wavelength band
light
excitation light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860A (ko
Inventor
요시키 치구사
마사시 오오니스
타카시 코오고
미노루 와타나베
이즈미 산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닛뽕덴신뎅와 가부시기가이샤
코지마 사토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닛뽕덴신뎅와 가부시기가이샤, 코지마 사토시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32Thin film lasers in which light propagates in the plane of the thin fil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2/00Amplification / las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3/00Pump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0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 H01S3/160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 H01S3/161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praseodym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증폭장치 및 광발진장치
제1도는 실시예인 파이버증폭기를 표시한 도면.
제2도는 1.4㎛ 파장대역의 여기광(excitation light)에 의한 “Pr3+”의 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파이버증폭기에 사용되는 광파이버의 구조를 표시한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광파이버의 재원을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전송로인 광파이버 11 : 신호광원
12 : 레이저광원 13 : 커플러
15 : 고아스팩트럼분서기 16 : 필터
18a,18b,19a,19b : 광파이버
본 발명은 1.65㎛의 파장대역(wavelength band)에서 사용되는 광증폭장치 및 광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1.3㎛의 파장대역, 1.55㎛의 파장대역 등의 광통신분야에 응용하기 위하여, 희토류원소를 첨가한 광파이버를 사용해서, 파이버증폭기를 제작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1.55㎛의 파장대역 등의 광통신시스템의 보수등을 위한 고장검출시스템(failure detection system)에 사용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1.65㎛의 파장대역의 파이버증폭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파이버앰프가 요구되는 이유로서는, 1.65㎛의 파장대역의 1.55㎛ 보다 길고 또한 반도체레이저의 동작대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 이 1.65㎛ 파장대역에 증폭이득을 가진 파이버증폭기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1.65㎛의 파장대역에서 광증폭이득을 가진 광증폭장치 및 광발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증폭장치는, 광전송로와, 여기광원(excitation lightsource)과, 광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전송로는, 활성물질로서 프라세오디뮴이노(Pr3+)을 첨가한 광기능성 유리를 가지고 구성되며, 1.65㎛의 파장대역의 신호광을 전파한다. 또한 여기광원은 1.4㎛의 파장대역의 여기광을 발생하고, 광학수단은 여기광원으로부터의 여기광을 광전송내에 입사시킨다.
상기 광증폭장치에 있어서는, 광전송로내에 도입된 1.4㎛의 파장대역의 여기광에 의해, 활성물질인 “Pr3+”을 여기하여, “Pr3+”의 발광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이 여기광을 의해 기저준위(ground level)(3H4)에 있는 전자가 에너지준위(3F4)로 일단 여기된 다음에 복사를 수반함이 없이 에너지준위(3F3)로 천이한다. 이와 같은 여기(excitation) 및 비복사천이(non-radiation transition)에 의해, 준위(3F3)와 전윈(3H4)사이에 반전분포(population inversion)가 형성되면, 1.65㎛의 파장대역에서 발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여기된 “Pr3+”에 1.65㎛의 파장대역의 신호광이 입사하면, “Pr3+”는 이 신호광에 의해 1.65㎛의 파장대역의 광을 유도방출한다. 결과적으로, 1.65㎛의 파장대역에서 광증폭기(optical amplification)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광발진장치는, 상기한 광전송로와, 여기광원과, 광학수단과, 광공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여기광원은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을 발생하고, 광학수단은 여기광원으로부터 여기광을 광전송로내에 입사시키고, 광공진기는 전송로내에서 발생한 1.65㎛의 파장대역의 광을 수신하여 다시 광전송로에 피득백 시킨다.
상기한 광발진장치에 의하면, 광학수단에 의해 광전송로내에 도입된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에 의해 “Pr3+”이 여기된다. 여기된 “Pr3+”의 일부는, 광전송로내루부터 방출되는 1.65㎛의 파장대역의 방출광과, 광전송내에 피드백된 1.65㎛ 파장대역의 광에 의해 유도되고, 따라서 1.65㎛의 파장대역의 방출광을 발생한다. 이것은 반복함으로써, 1.65㎛의 파장대역에서의 광발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광증폭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1.65㎛의 파장대역의 광증폭장치인 파이버증폭기를 표시한다.
신호광원(11)으로서는, 1.65㎛의 출력파장대역을 가지는 반도체레이저가 사용되고 있다.
이 신호광원(11)의 출력쪽에는, 광파이버(18a)의 일단부가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광파이버(18a)의 타단부는 커플러(13)의 입력쪽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광원인 레이저광원(12)으로서, 1.4㎛의 출력파장대역을 가지는 반도체레이저가 사용되고 있다. 이 레이저광원(12)의 출력쪽에는, 광파이버(19a)의 일단부가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광파이버(19a)의 타단부는 커플러(13)의 입력쪽에 접속되어 있다.
커플러(13)의 출력쪽으로부터 2개의 광파이버(18b),(19b)가 연장되어 있다. 커플러(13)는 2개의 광파이버(18),(19)의 융착연신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서, 이 커플러(13)와 광파이버(18a),(18b),(19a)(19)는, 신호광 및 여기광을 광결합시키는 광학수단을 구성한다.
광파이버(19b)의 종단부는 복귀광을 방지하기 위한 매칭오일(17)에 침적되어 있고, 다른쪽의 광파이버(18b)의 종단부는 광전송로인 광파이버(10)의 일단부에 코넥터등을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광파이버(10)는 길이 50m의 SM(single mode)파이버이며, “Pr3+”을 첨가한 석영유리제의 코어를 구비하고 있다. 광파이버(10)의 타단부의 출력쪽에는 광스펙트럼분석기(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필터(16)가 개재되어 있다.
이하, 제1도의 파이버증폭기의 동작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레이저광원(12)으로부터 발생된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은, 광파이버(19a)를 통하여 커플러(13)에 입사하고, 또 광파이버(18b)를 통하여 광파이버(10)내에 입사한다. 여기광이 입사하는 광파이버(10)의 코어에는 활성물질로서 “Pr3+”이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여기광에 의해 소정의 상태로 여기된 “Pr3+”은, 1.65㎛의 파장대역의 발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제2도는, 발광가능하게 여기된 “Pr3+”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석영유리등의 유리시료에 첨가된 “Pr3+”의 에너지준위를 표시한 것이다. 광파이버에 도입된 1.4㎛대역의 여기광에 의해서 “Pr3+”이 여기되고, 결과적으로 기저준위(3H÷)에 있는 전자가 준위(3F4)로 잠정적으로 여기되어, 또는 (phonon)등의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하여 준위(3F3)로 천이한다. 이와 같은 여기 및 복사를 수반하지 않는 천이에 의해, 준위(1F3)와 준위(3H4)사이에 반전분포가 형성될때에, 1.65㎛ 대역에서 피크의 파장을 가지는 3준위계의 발광이 가능해진다.
한편, 신호광원(11)으로부터 출력된 1.65㎛ 파장대역의 신호광은, 광파이버(18a)를 개재해서 커플러(13)에 입사한다. 커플러(13)의 입사한 신호광은, 레이저광원(12)으로부터의 여기광과 결합되어서 광파이버(10)내에 입사한다. 광파이버(10)내의 입사한 신호광은, 발광가능하게 여기된 “Pr3+”을 유도해서 1.65㎛파장대역의 유도방출광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광파이버(10)의 출력쪽으로부터는, 여기광과 증폭된 신호광이 출력되나, 이들 신호광중 여기광은 필터(16)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이때문에, 광스펙트럼분석기(15)에는 증폭된 신호광만이 입사하게 되고, 따라서, “Pr3+”을 첨가한 광파이버에 의한 광증폭의 이득을 측정할 수 있다.
제1도의 파이버증폭기로 얻게된 광증폭이득의 측정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레이저광원(12)으로부터 광파이버 입사하는 여기광의 파장을 1.43㎛로 설정하고, 그 입력광량을 20mW로 하였다. 또한, 신호광원(11)으로부터의 광파이버에 입사하는 신호광의 파장을 1.65㎛로 설정하고, 그 입력광량을 -30dBm로 하였다. 광스펙트럼분석기(15)에 의한 측정결과로부터, 실시예의 파이버증폭기의 광증폭의 이득은 약 10dB인 것인 것을 알았다.
제3도와 제4도는, 제1도의 파이버증폭기에 사용한 광파이버(10)의 구조와 제원을 참고적으로 표시하였다.
광파이버(10)는, 석영유리에 프라세오디뮴의 산화물을 첨가한 코어와, 석영유리에 불소(F)를 첨가한 클래드(clad)를 구비한다. 광파이버(10)의 코어직경은 5.1㎛이고, 광파이버(10)의 외경은 125㎛이다. 또, 코어와 클랙드의 상대굴절률(relative refractive index)(△)은 약 0.64%이다.
이하에, 제3도의 광파이버의 제조에 대해서 간단한 설명을 행한다.
먼저, “Pr3+”산화물은 첨가한 석영유리를 용융하여 코어용 유리로드를 형성하여, 광전송로인 광파이버의 코어재료로서 준비한다. 이 석영유리에 첨가한 활성물질인 프라세오디뮴이온의 농도는 중량으로 310ppm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소정량의 불소를 첨가한 석영유리를 용융하여, 클래드파이프를 형성한다. 클래드파이브에는 프라세오디뮴이온을 첨가하고 있지 않다. 이들 코어로드와 클래드파이프를 로드인튜우브법(rod-intube method)에 의해 프리포옴(preform)으로 형성한다. 이 프리포옴을 공지의 와이어드로우잉장치(wire drawing apparatus)에 설치하여 광파이버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5.1㎛의 코어직경과 125㎛의 외경을 가지는 SM파이버를 얻게 된다. 이 SM파이버를 측정을 위하여 길이 50m의 시료로 절단하여, 제1도의 파이버증폭기에 사용하는 광파이버(10)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코어에 사용하는 매트릭스유리재료(matrix glass material)로서, 규산염유리, 인산염유리 및 불화물계유리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매트릭스 유리의 조성을 변경함으로써, 165㎛의 파장부근에서 발광 또는 유도방출의 파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 광전송로로서는, 예를들면 상기 “Pr3+”를 첨가한 유리를 평면도파로등에 형성해도 된다. 다만, 광파이버에 형성하는 것은, 장거리의 광전송로를 얻은 관점에서 볼때 바람직하다. 광손실이 적은 것등을 이용하면, 저한계치로 “Pr3+”에 반전분포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 광발진장치인 파이버레이저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인 구성은, “Er”을 도프한 공지의 파이버레이저와 마찬가지이다. ([“Er”도프파이버], 0 plus E, 1990년 1월 pp. 112~118등 참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광전송로로서 “Pr”을 도프한 파이버를 사용하고, 여기광원으로서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을 발생하는 레이저다이오드를 사용한다.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은, 렌즈등의 적절한 광학수단에 의해 상기 실시예에 표시한 광파이버내에 도입된다. 광파이버내의 “Pr3+”은 소정의 상태로 여기되고, 1.65㎛ 파장대역의 발광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파이버의 출력단부를 경면(鏡面)으로 완성시켰기 때문에, 이 출력단부와 레이저다이오드의 단부면과는 공진기를 구성한다. 이결과, 여기광은 출력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1.65㎛ 파장대역에서 레이저발진을 발생한다.
또한, 공진기는 유도체미러등을 사용하는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광증폭장치에 의하면, 1.65㎛ 파장대역에서 “Pr3+”의 발광을 가능하게 하는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의존재에 의해 1.65㎛ 파장대역에서의 발광과 광증폭기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광발진장치에 의하면, 1.65㎛ 파장대역에서의 “Pr3+”의 발광을 가능하게 하는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의 존재와 1.65㎛ 파장대역의 광에 대한 광공진기의 존재에 의해, 1.65㎛ 파장대역에서의 발광과 광발진이 가능해진다.

Claims (2)

  1. “Pr3+”을 활성물질로서 첨가한 광기능성유리를 가지고 구성되어 1.65㎛ 파장대역의 신호광을 전파하는 광전송로와, 상기 “Pr3+”의3F4준위로 여기하는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을 발생하는 여기광원과, 상기 여기광원으로부터의 상기 여기광을 상기 광전송로내에 입사시키는 광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증폭장치.
  2. “Pr3+”을 활성물질로서 첨가한 광기능성유리를 가지고 구성되어 1.65㎛ 파장대역의 광을 전파하는 광전송로와, 상기 “Pr3+”의3F÷준위로 여기하는 1.4㎛ 파장대역의 여기광을 발생하는 여기광원과, 상기 여기광원으로부터의 상기 여기광을 상기 광전송로내에 입사시키는 광학수단과, 상기 광전송내로부터의 1.65㎛ 파장대역의 광을 상기 광전송로에 피드백하는 광공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발진장치.
KR1019910013695A 1990-08-08 1991-08-08 광증폭장치 및 광발진장치 KR950007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09666 1990-08-08
JP2-209666 1990-08-08
JP2209666A JP2888616B2 (ja) 1990-08-08 1990-08-08 光増幅装置及び光発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860A KR920004860A (ko) 1992-03-28
KR950007933B1 true KR950007933B1 (ko) 1995-07-21

Family

ID=1657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695A KR950007933B1 (ko) 1990-08-08 1991-08-08 광증폭장치 및 광발진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30824A (ko)
EP (1) EP0470612B1 (ko)
JP (1) JP2888616B2 (ko)
KR (1) KR950007933B1 (ko)
AU (1) AU653539B2 (ko)
CA (1) CA2048590A1 (ko)
DE (1) DE69120877T2 (ko)
ES (1) ES209184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2472D0 (en) * 1994-02-09 1994-03-30 Univ Brunel Infrared transmitting optical fibre materials
DE4409444A1 (de) * 1994-03-19 1995-09-21 Sel Alcatel Ag Optisch gepumpter bistabiler Laser
WO1997007068A1 (en) * 1995-08-15 1997-02-27 British Technology Group Ltd. Infrared transmitting optical fibre materials
DE19636236B4 (de) 1996-09-06 2004-09-16 Evotec Technologies Gmbh Diodenlasergepumpter Vielmoden-Wellenleiterlaser, insbesondere Faserlaser
KR100485749B1 (ko) * 1997-11-04 200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증폭특성을가지는Ge­Ga­S계유리조성물및상기유리조성물을이용하는통신용광증폭장치
KR100341212B1 (ko) * 2000-07-31 2002-06-20 오길록 1.6 미크론미터 대역 광 증폭 시스템
JP2006119379A (ja) * 2004-10-21 2006-05-1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導波路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光導波路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1246A1 (en) * 1985-08-13 1987-02-26 Robert Joseph Mears Fibre-optic lasers and amplifiers
GB8622745D0 (en) * 1986-09-22 1986-10-29 Plessey Co Plc Bistable optical device
GB8724736D0 (en) * 1987-10-22 1987-11-25 British Telecomm Optical fibre
US4848998A (en) * 1988-01-21 1989-07-18 Polaroid Corporation Selective volitization method for preparing fiber op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70612A1 (en) 1992-02-12
AU653539B2 (en) 1994-10-06
AU8160291A (en) 1992-02-13
US5430824A (en) 1995-07-04
ES2091841T3 (es) 1996-11-16
CA2048590A1 (en) 1992-02-09
EP0470612B1 (en) 1996-07-17
KR920004860A (ko) 1992-03-28
JP2888616B2 (ja) 1999-05-10
DE69120877D1 (de) 1996-08-22
DE69120877T2 (de) 1997-01-23
JPH0492484A (ja)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298E1 (en) Double-core active fiber optical amplifier having a wide-band signal wavelength
Allen et al. CW diode pumped 2.3 μm fiber laser
KR960000906B1 (ko) 광기능성 유리, 파이버, 증폭기 및 레이저
KR950006543B1 (ko) 광기능성유리, 파이버
KR100353974B1 (ko) 레이져,광증폭기및증폭방법
KR950007933B1 (ko) 광증폭장치 및 광발진장치
EP0439867B1 (en) Optical power amplifier with doped active fibre
JP3078050B2 (ja) 光機能性ガラス
GB2244172A (en) Device containing Praseodymium for emission and amplification of light
JP3001675B2 (ja) ファイバ増幅器及び導波路素子増幅器
JP3005074B2 (ja) ファイバ増幅器、ファイバレーザ、導波路素子増幅器、及び導波路素子レーザ
JPH0521874A (ja) 光能動装置
JP2931694B2 (ja) 光機能性ガラス
JP2829101B2 (ja) 光増幅装置
JP2888623B2 (ja) 光増幅装置及び光発振装置
JP2842674B2 (ja) 光増幅装置
JP3088790B2 (ja) 光機能性ガラス
JPH0529699A (ja) 光機能性ガラス
JPH0529698A (ja) 光機能性ガラス
JPH043482A (ja) ファイバレーザ媒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増幅器
JPH04358130A (ja) 光機能性ガラス
JPH04180280A (ja) 光増幅装置及び光発振装置
JPH04243999A (ja) 単結晶光ファイバ
JPH0537047A (ja) 光能動素子
JPH04180274A (ja) 光増幅装置及び光発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