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29B1 -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29B1
KR950007729B1 KR1019920700082A KR920700082A KR950007729B1 KR 950007729 B1 KR950007729 B1 KR 950007729B1 KR 1019920700082 A KR1019920700082 A KR 1019920700082A KR 920700082 A KR920700082 A KR 920700082A KR 950007729 B1 KR950007729 B1 KR 95000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oor
damper
closure body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3952A (ko
Inventor
가주요시 오시마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스가사와라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스가사와라 히로시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 클로져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판한 도오클로져의 일실시예를 일부분 분해 표시한 정면도.
제2도, 제3도, 제4도는 동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각각 표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와 저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클로져의 일예를 표시한 개문도중 상태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클로져가 설치될 유리끼움의 문을 일부절결표시한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클로져의 암과 어져스트암을 종단 표시한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도어를로저에 있어서의 클로져 근방 부분을 개략 표시한 측면도.
제9도, 제10도는 종래의 도어클로져의 사용상태를 각각 표시한 평면도와 정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의 분야]
본 발명은 개문시에 있어서 폐문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축력되어 폐문시에 있어서 댐퍼에 의한 제동력이 발휘되는 도어클로져, 더 상세하게는 댐퍼로서의 기능을 가진 클로져본체가 문 및 상측문틀에 대하여 각각 암을 게재하여 착설되게 된 자동폐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도어를로저는 그 사용상태를 도시한 제9도, 제10도와 같이 클로져 본체 a와 당해 클로져본체 a의 피스톤 구동용축 b에 일단을 고정시킨 암 C와, 당해 암 C의 선단과 일단이 비스 d등으로 설치하되, 타단에 착설플레이트 e를 버스 F등으로 설치시킨 어져스트 암 g에 의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클로져본체 a는 본체케이스 a'내의 도시없는 유압실린더에 복귀용스프링을 게재하여 도시없는 피스톤을 내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클로져를 문틀에 착설할 때, 힌지 i를 게재하여 문설주 h에 개폐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 문 j의 지두리측 상부에 고정나사 K를 게재하여 클로져본체 a를 고정하고, 도시없는 고정나사를 게재하여 상기 착설플레이트 e를 상틀 1에 고정한다.
이러한 경우, 개문동작시의 상기 양암을 게재하여 회전되는 피스톤 구동용축 b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이 복귀용스프링에 항거하여 구동되며, 당해 복귀용스프링에 복원력이 축력되므로서 문 j는 이러한 축력복원력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폐문되도록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도오클로져는 폐문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로져 본체 a, 착설플레이트 e를 문 j와 상측문틀 1에 착설하지만, 이때 폐문상태에 있어서의 래칭을 고려하고 폐문시에 있어서도 어느정도의 복원력이 상기 복귀용 스프링에 축력되어 있는 상태로 착설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도어클로져에 의하면 상당히 큰 클로져 본체 a를 문 j의 상측틀 1측으로 착설하여야만 되고 이 때문에 유리끼움문과 갈이 착설부분이 좁은 경우는 착설불능하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제9도의 폐문상태로부터 화살표 m.방향으로 개문시켜서 전개상태로 하려면 상기의 피스톤 구동축b는 암 C에 의하여 상당히 큰 회전각도 만큼 회전된다.
따라서 도어클로져 본체 a의 내부구조도 이 대각도의 회전이 허용가능하게 구성되어야만 하며 이것이 원인으로 도어클로져 본체 a의 설계상의 제약을 받게 된다.
이것외에도 제9도의 암 C와 어져스트암 g가 형성하는 암교차 각 a에 착안하면 개문동작이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교차각 a가 점차로 커져서 전개상태에 도달된 때 당해 교차각 a가 최대로 되지만 이 전개상태에 있어서 문 j에서 잡은 손을 떼게 되면 문 j는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복원축력에 의하여 폐동되어 버린다.
따라서 문을 개성상태로 유지하려고 할 때 별도 적절한 스톱퍼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종래예에는 더우기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는 것이다.
즉, 모든 부품의 조립완료상태에 있어서 문 j와 상틀 1와에 클로져 본체 a 착설플레이트 e를 직접 고정하지만 이때 상기 각암 c,g는 복귀용 스프링의 축력복원력에 의하여 제9도의 화살표에 방향으로 회전가세되기 .때문에 클로져본체 a, 착설플레이트 e의 착설위치결정과, 그 착설 작업이 쉽지 않고 이것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허비된다.
또한 플로저 본체 a가 고장의 경우등의 수리나 당해 클로져 본체 a의 보수 점검에 있어서는 를로저 본체 a는 물론 착설플레이트 e까지도 분해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시 착설할때는 착설나사에 의한 체결강도부족등을 고려하면 착설위치를 변경하지 아니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옛나사 구멍이 노출되어 문이나 상측틀의 외관을 불미스럽게 하는 문제점도 생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을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고 클로져 본체를 문에 착설한다는 종래의 발상을 배제하고 암과 어져스트암과의 설치부분에 댐퍼로서의 상기 클로져 본체를 배설하므로서 문에 커다란 클로져 본체를 착설하는 필요성을 해소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유리끼움문에도 착설불능을 초래하는 일이 없는 도어클로져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클로져 본체의 댐퍼용인 구동용축을 폐문상태에서 전개 상태까지 개문하는데, 그다지 큰 회전각도가 되지 않고 비교적 작은 회전각도 내에서의 회전만으로 되도록 하고, 그러므로서 클로져 본체의 설계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도어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클로져 본제의 배설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에 선정하므로서 암과 어져스트암과의 암교차각이 전개상태의 직전에서 점차 작어지게 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복귀용스프링에 의한 폐문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작게 하여 스톱퍼기구가 없어도 전개상태로 당해문을 유지시킬 수가 있는 도어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도어클로져에 있어서 암과 어져스트암이 그 상면이나 하면이나 동일면 상태이거나, 상면상호의 단락차와 하면상호의 단락차가 서로 동등하여지게 구성하므로서 1개의 도어클로져를 바른쪽 자유롭게 반전되어 왼쪽 자유롭게도 사용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이때 클로져 본체의 상면에도 하면에도 문의 속도조절나사를 노출시키므로서 좌우어느쪽 자유로움에 있어서도 하방에서 드라이버등을 사용하고 속도조절이 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도어클로져에 있어서, 어져스트암에 관하여 관절이 되는 설치부분을 형성하므로서 도어클로져를 문 및 상틀에 대하여 매우 용이한 조작에 의하여, 또한 소정위치에 정확히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문짝과 상틀에 각각 취외상태도 된, 문짝취부금구 및 상틀 착설용 플레이트를 착설한 채로 클로져 본체와 양암만을 용이하게 착탈되게 하여 당해를 클로져 본체의 보수, 점검 및 수리등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문시에 폐문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축력되는 복귀용 스프링을 가지며 폐문시에 댐퍼에 의한 제동력이 발휘되는 도어클로져로서 본체 케이스내에 상기 댐퍼로서의 작용을 발휘하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클로져 본체와, 상기 클로져 본체의 상기 댐퍼용인 구동용축에 직교상태로 연결하여 회동자재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어져스트암을 구비하고, 당해 어져스트암의 선단부에는 연결금구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틀착설용플레이트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방, 상기 클로져 본체에서는 문착설용암을 측방을 향하여 돌설하고 당해암의 선단부에 문착설금구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설치하여서 된 도어클로져가 제공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문시에 폐문방항으로의 복원력이 축력되는 복귀용스프링을 보유하고 폐문시에 댐퍼에 의한 제동력이 발휘되는 도어클로져로서 본체케이스내에 상기 댐퍼로서의 작용을 발휘하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클로져 본체와 상기 클로져 본체의 상기 댐퍼용인 구동용축에 직교상태로 연결하여 회동자재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어져스트암을 구비하고, 당해 어져스트암의 선단부에는 연결금구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틀착설용 플레이트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방, 상기 클로져 본체에서는 문착설용암을 측방을 향하여 돌설하고 당해암의 선단부에 문착설금구를 단비스등으로 수평으로 회동자재하도록 설치하고 다시 상기 어져스트암과 암과의 각상면과 각하면이 동일면상태이거나 당해 각 상면과 각하면과의 각단력차가 동등하게 형성되고, 폐문의 속도조정나사가 클로져본체에 관설되어서 그 상면과 하면과에 노출되어 있는 도어플로저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문시에 폐문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축력되는 복귀용 스프링을 보유하고 폐문시에 댐퍼에 의한 제동력이 발휘되는 도어클로져로서 본체 케이스내에 상기 댐퍼로서의 작용을 발휘하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클로져본체와 상기 클로져 본체의 상기 댐퍼용인 구동용축에 직교상태로 연결하여 회동자재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어져스트암을 구비하고 당해 어져스트암은 그 기단부에서 상기 구동용축의 길이 방향인 상하로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선단부에 설치한 상하방향으로 회동자재한 연결금구 방향인 상하로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선단부에 설치한 상하방항으로 회동자재한 연결금구에는 상틀 착설용 플레이트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과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일방 상기 클로져 본체로부터는 문착설용암을 측방으로 향하여 돌설하고 당해 암의 선단부에 문착설금구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과 착탈이 자유릅게 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도어클로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도어클로져에 의할 때에는 문틀설주에 힌지에 의하여 개폐자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문의 지두리측 상부에 있어 문착설용금구를 나사로서 고정하고 일방 상틀이면등의 상기 문착설용금구와 대응한 위치에는 상기 착설용플레이트를 이것 역시 나사로 착설된다.
다음에 상기 문착설용금구에는 본체케이스에 고설된 암의 선단부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일방, 상기 구동용축에 대하여 직교상태로 연결되어서 회동이 자재한 어져스트암은 그 선단부를 상기 상틀 착설용 플레이트에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설치한다.
한편, 전기의 구동용축에 대하여, 직교상으로 연결되어 회동자재한 어져스트암은, 그 선단부를, 상기 상문틀취부용 플레이트에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클로져 본체의 착설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도어클로져에 의하여 착설된 문을 회동시키므로서 개문해가면 어져스트암은 문의 개문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대하여 본체 케이스에 고설된 암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클로져본체의 댐퍼용인 구동용축이 소정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한 복귀용 스프링에 항거하여 구동되어 당해 스프링에 복원력이 축력된다.
소정의 개문위치에 있어서 그 개문지지를 해제하게 되면, 당해문은 복귀용 스프링의 축력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되지만, 이때 구동용축의 회전에 의하여 클로져 본체가 가지는 댐퍼로서의 작용이 발휘되어서 완만한 폐문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져의 경우 상기의 착설작업에 있어서 문착설금구는 충분하게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서 문의 착설부위가 좁다하여도 쉽게 착설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의 개폐등에 있어서 클로져 본체가 암과 어져스트암과의 설치부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서 당해 클로져 본체의 구동용축은 그다지 커다란 회전각으로 회전될 필요가 없게되고 따라서 클로져 본체내의 설계자유도가 커지게 되고, 소형화도 가능하게 되어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전개상태로 한때에 암과 어져스트암과의 암교착각이 작어지게 되므로서 복귀용스프링에 의한 폐문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작어져서 전개상태를 유지하여주는 별도의 스톱퍼도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 도어클로져에 의할때에는 암과 어져스트암과의 상하면이 각각 동일면이지만 상하면의 각단락차가 동등하기 때문에 바른쪽 자유로서 사용되고 있던 도어클로져를 왼쪽자유로 사용하고저 할때는 당해 도어클로져를 뒤집어서 상하면을 반전하고 암과 어져스트암에 설치되어 있던 문착설금구와 상틀착설용 플레이트를 반전후의 상면에 바꾸어 착설하도록 하므로서 지장없이 문과 상틀으로의 착설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폐문의 속도조절나사는 반전후에도 하방으로부터의 드라이버 조작으로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 도어클로져의 경우 어져스트암의 그 기단측에 있어 구동용축의 길이 방향인 상하로 개동 자재하고 또 당해 어져스트암의 선단부에도 상하방향으로 회동자재한 연결금구를 개재하여 상틀착설용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폐문상태에 있어서 어져스트암 선단부의 연결금구와 상틀착설용 플레이트 및 본체케이스의 암과 문착설용금구와의 설치를 각각 해탈하므로서 클로져 본체는 상기 양암과 일체적으로 해탈할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예시한 도어클로져에 있어서, 클로져 본체(1)는 수평원통형으로 형성된 저면이 있는 본체케이스(2)에 있어 공지된 바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내장되어 있는 회전체와 고정체와의 사이에 고점성유체가 충진되고, 이들이 개판으로 액밀하게 셰쇄되고 또한, 상기 개판의 도시없는 중앙부의 축공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이것 역시 도시없는 댐퍼용으로 구동용축에는 원통형의 커버(3)가 고정나사 (4)로 고정되었다.
물론, 이 클로져본체(1)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속도조절나사 (5)및 개문각도 조절나사 (6)등이 부설되어 있고, 회전체의 상기 구동용축에 의한 회전에 있어, 고정체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고점성류체에 의한 저항력으로 댐퍼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댐퍼로서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클로져본체(1)의 본체케이스(2)에는 그 축심과 대략직교상태의 암(7)이 축방향으로 돌설되고, 당해 암(7)의 선단에는 평면이 대략 T 자 형상의 문착설용금구(8)가 상기 암(7)의 관통공(7a)에 삽통하여 문착설용금구(8)의 나사공(8a)에 나착되는 단비스(9)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자재하고, 더욱이 착탈이 자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일방 상기 커버(3)에는 어져스트암(10)이 측방으로 돌출하되, 제1도의 화살표 0↔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회전가능하도록 축핀(11)으로 부착되었다.
이 어져스트암(10)은 상기 커버(3)에 기단이 부착되는 암본체(10a)와 당해 암본체(10a)의 길이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없는 장공에 삽입되고 축주위방향으로 회전자재하며 길이방향으로 섭동자재한 나사간(10b)과 상기 암본체(10a)에 정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어서 상기 나사가(10b)에 나합외장되어 있는 조정나사(10c)와로 형성되고, 상기 조정나사 (10c)를 정역회전하므로서 암본체(10a)에 대하여 나사간(10b)이 길이방향에 섭동하고 전체로서의 길이가 신축조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져스트암(10)의 선단부 즉 나사간(10b)의 선단부에는 도시한 예의 경우 연결금구(12)가 제1도의 화살표 pㅡp'가 표시하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축핀 (13)으로 착설되어 있다.
상기 어져스트암 (10)의 선단부에는 상틀착설용플레이트(14)가 상기 연결금구 (12)의 관통공 (12a)에 삽통하여 상기 상틀착설용 플레이트 (14)의 나사공 (14a)에 나착되는 단비스 (15)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자재하며, 또 착탈자재하도록 설치돠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도어클로져에 있어서는 제2도, 제3도와 같이 설주 (16)에 힌지 (17...)를 개재하여 회동과 개폐자재하도록 설치된 문(18)의 지두리측 상부 및 상틀(19)의 하면등에 각각 문착설용 금구 (8) 및 상틀착설용 플레이트(14)를 도시없는 고정나사로서 고정하므로서 문(18)을 자동적으로 폐쇄가능하도록 착설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착설용금구 (8)와 상틀착설용 플레이트 (14)는 미리 암(7) 및 어저스트암 (10)에서 분리시킨 상태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문(18)및 상틀 (19)에 고정하고, 그런 연후에 이들과 암 (7)및 어져스트암(10)을 단비스(9,15)로 연결하므로서 당해 도어클로져를 착설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5도에 예시된 실시예의 도어클로져에 있어서는 클로져본체 (1)가 문 (18)에 착설되는 것이 아니고, 암(7)과 어져스트암(10)과의 설치부에 배설되어 있음을 명시함과 아울러 어져스트암 (10)으로서는 그 선단부를 직접으로 상틀착설용 플레이트(14)에 설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금구 (12)나 축핀(11)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끼움(18A)과 같이 그 착설부위가 되는 상부길이 H가 적어도 이것에 커다란 클로져 본체 (1)를 착설하는 것이 아니고 작은 문착설용근구(8)를 착설하면 되는 것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18)이 폐성상태인 때의 암(7)과 어저스트암 (10)이 형성하는 교차각θ1은 15°로 작지만 개문에 의하여 문의 회전각이 커짐에 따라서 교착각이 θ2. θ3, θ4, =135°와 같이 순차로 크게 된 후, 어느 회전각이상이 되면 역으로 암교차각이 점차 적어져가서 도시한 전개상태에서는 교차각 θ5=80°정도가 된다.
이 결과 전개상태에서의 상기 복귀용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이 비교적 작아져서 당해 전개상태에서 별도스톱기구를 부가하는 일 없이 당해 전개상태로 문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의 복귀용 스프링은 주지된 바와 같이 클로져 본체 (1)에 내설되거나, 어저스트암 (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 제5도에 의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문(18)의 회전각도가 180°로 큰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의 상기 암교차각이 비교적 작어지므로서, 클로져 본체 (1)의 댐퍼용인 상기의 구동용축을 그다지 큰 회전각으로 회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며, 이것이 의하여 당해 클로져본체(1)를 댐퍼로서 구성할 경우 180°나 회전각이 요구되는 것에 비하여 대폭으로 설계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가 있다.
다음은 제7 도, 제8도에 예시된 도어클로져는, 그 개성상태에 있어 암(7)과 어저스트암(10)과를 종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7a도에 도시된 것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것과는 상이하고 암 (7)의 상면(7a)과 어져스트암(10)의 상면(10d)이 동일한 높이 (동일면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암 (7)의 하면 (7b)과 어져스트암(10)의 하면(10e)이, 이것 역시 동일면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7(b)도의 경우는 암 (7)의 상면 (7a)과 어져스트암 (10)의 상면(10d)과의 단락차 D1과, 암(7)의 하면 (7b)과 어져스트암(10)의 하면 (10e)과의 단락차 D2가 실질적으로 동등한 사이즈가 되게 형성되었다.
더욱이 제8도에 도시한 것은 상기한 클로져본체 (1)에 있어 그 본체케이스 (2)에 있어서의 하면에 속도조정나사 (5)의 조정단부를 노출시키고, 여기를 나사회동조정하므로서 댐퍼로서의 점성류체등에 의한 저항력을 가감하고 문의 폐동속도를 조정가능하게 할뿐더러 커버 (3)의 상면에도 상기한 속도조정나사(5)의 조정단(5a)을 노출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당해 도어클로져를 예를 들면 왼쪽 자유로 사용하거나 바른쪽 자유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별도 자유로 사용할때는 당해 도어클로져를 뒤집는 것이고, 이때 상기한 구성이면 뒤집으면서 암(7)의 상면(7a) 및 하면(7b)과 어저스트암(10)의 상면(10d) 및 하면(10e)의 상하가 반전하는 것만으로서, 각각의 면높이위치는 불변의 것이 되므로 암(7)의 문착설용금구 (8)와 어져스트암(10)의 상틀착설용플레이트(14)와를 반전후의 상면측에 부착하므로서, 지장없이 상면측에 부착하므로서 지장없이 문 (18)과 상틀(19)에 착설하여 도어클로져로서 사용할 수가 있어, 조정단(5a)을 하측에서 드라이버조작으로 회동하여 문 (18)의 폐문속도를 뒤집은 후에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져는 문으로의 착설개소가 좁은 때에도 착설불능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클로져 본체에 있어서의 구동용축의 회전각을 적게 하므로서 상기 클로져본체의 댐퍼설계상, 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암과 어저스트암과의 암교착각을 문의 전개상태에서 종래예와 비교하여 상당하게 적게 할수 있으므로서, 당해 전개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특별한 스톱퍼를 설치하는 필요성도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져는 암과 어저스트암의 사이즈상에 있어서의 배러와 속도조절나사를 클로져 본체의 상하양면에 노출하므로서 바른쪽자유도 왼쪽자유에도 지장없이 채택이 되어 어떠한 경우에도 하측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폐문속도를 조정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져는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문 및 상틀에 대하여 설치위치를 결정한 다음 각각 문착설용 금구 및 상틀착설용 플레이트를 암 및 어저스트암에서 해탈하여 각각 문 및 상틀에 고정하고, 연후에 이들을 단비스등으로 각각 연결하므로서 당해 도어클로져를 착설할 수 있고, 따라서 폐문, 래칭을 위하여 복귀용 스프링에 복원력을 축력한 상태에서는 암과 어져스트암을 갖고 이들을 상기 복원력에 항거하여 회동하고 상기 문착설용 금구 및 상틀 착설용 플레이트와 간단하게 연결이 되기 때문에 당해 도어클로져를 용이한 조작에 의하여 소정설치위치에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더러 클로져 본체의 보수, 점검이나 고장부위의 수리에 있어서는 문착설용금구 및 상틀착설용 플레이트에서 암 및 어저스트 암을 해탈하므로서 상기 금구 및 플레이트를 착설한 상태에서 클로져본체만을 해탈할 수가 있고, 또 재차의 착설도 용이하여, 더욱이 문이나 상틀에 묵은 나사공 흔적이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문이나 상틀이 미관상 양호 할 뿐만 아니라 더욱 어져스트암의 조정에 의하여 착설위치의 불합을 쉽게 착설된 상태에서 조정할 수도 있게 된다.

Claims (3)

  1. 개문시에 폐문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축력되는 복귀용 스프링을 보유하고, 폐문시에 댐퍼에 의한 제동력이 발휘되는 도어클로져로서 본체 케이스내에 상기 댐퍼로서의 작용을 발휘하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클로져본체와 상기 클로져본체의 상기 댐퍼용인 구동용축에 직교상태로 연결하여 회동자재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어져스트암을 구비하고 당해 어져스트암의 선단부에는 연결금구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틀착설용 플레이트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하도록 설치되고, 일방 상기 클로져본체에서 서는 문착설용암을 측방으로 향하여 돌설하고, 당해 암의 선단부에 문착설금구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져.
  2. 개문시에 폐문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축력되는 복귀용 스프링을 보유하고, 폐문시에 댐퍼에 의한 제동력이 발휘되는 도어클로져로서 본체케이스내에 상기 댐퍼로서의 작용을 발휘하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클로져본체와 상기 클로져본체의 상기 댐퍼용인 구동용축에 직교상태로 연결하여 회동자재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어져스트암을 구비하고, 당해 어져스트암의 선단부에는 연결금구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틀착설용플레이트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하도록 설치되고 일방 상기 클로져 본체에서는 문착설용 암을 측방을 향하여 돌설하고, 당해 암의 선단부에 문착설금구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하도록 설치하고 다시 상기 어져스트암과 암과의 각 상면과 각 하면이 동일면상태이거나, 당해 각상면과 각하면과의 각 단락차가 동등하게 형성되고, 또 폐문의 속도조정나사가 클로져 본체에 관설되어서 그 상면과 하면과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져.
  3. 개문시에 폐문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축력되는 복귀용스프링을 보유하고 폐문시에 댐퍼에 의한 제동력이 발휘되는 도어클로져로서 본체케이스내에 상기 댐퍼로서의 작용을 발휘하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클로져 본체와 상기 클로져 본체의 상기 댐퍼용인 구동용축에 직교상태로 연결하여 회동자재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어져스트암을 구비하고 당해 어져스트암은 그 기단부측에서 상기 구동용축의 길이방향인 상하로 회동자 재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설치한 상방향으로의 회동자재한 연결금구에는 상틀착설용플레이트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에 회동과 착탈이 자재하도록 설치하고, 일방, 상기 클로져본체에서는 문착설용암을 측방으로 향하여 돌설하고, 당시 암의 선단부에 문착설금구를 단비스등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과 착탈이 자재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져.
KR1019920700082A 1990-05-23 1991-02-22 도어 클로저 KR950007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33134 1990-05-23
JP13313490 1990-05-23
PCT/JP1991/000227 WO1991018174A1 (fr) 1990-05-23 1991-02-22 Dispositif de fermeture de por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3952A KR920703952A (ko) 1992-12-18
KR950007729B1 true KR950007729B1 (ko) 1995-07-14

Family

ID=1509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082A KR950007729B1 (ko) 1990-05-23 1991-02-22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74880A (ko)
EP (1) EP0484535B1 (ko)
KR (1) KR950007729B1 (ko)
AU (1) AU638312B2 (ko)
CA (1) CA2058965C (ko)
DE (1) DE69109620D1 (ko)
IE (1) IE62399B1 (ko)
MX (1) MX174172B (ko)
WO (1) WO1991018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260B1 (ko) * 1997-03-04 1999-06-15 우생윤 자동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DE102011056961A1 (de) * 2011-07-13 2013-01-17 Dorma Gmbh + Co. Kg Drehflügelbetätiger-Gestängearm
CN106379212B (zh) * 2016-11-03 2019-02-0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用于车辆的扶手及扶手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98293B (de) * 1923-05-03 1924-10-25 Stanitz & Co Türschließer.
US2472508A (en) * 1946-09-09 1949-06-07 James G Allen Door check and closer
US2479835A (en) * 1948-11-05 1949-08-23 Albert E Hill Check and closer for inner and outer closures
SE302262B (ko) * 1967-06-30 1968-07-08 Optimus Ab
US3579709A (en) * 1969-12-24 1971-05-25 Charles G Pierie Door return and check mechanism
JPS525486Y2 (ko) * 1971-05-08 1977-02-04
JPS5039621Y2 (ko) * 1971-09-14 1975-11-13
JPS5523245A (en) * 1978-08-04 1980-02-19 Chiriyuu Kagaku Kogyo Kk Checking device for door
DE3033496C2 (de) * 1980-09-05 1985-07-25 Casma di V. Marinoni & Figli, Magenta In Offenstellung verrastbares Türschließergestänge
DE3239062A1 (de) * 1982-10-22 1984-04-26 Dorma-Baubeschlag Gmbh & Co Kg, 5828 Ennepetal Tuerschliessergestaenge
EP0299147B1 (de) * 1987-07-15 1991-12-27 ED. Scharwächter GmbH & Co.KG. Türfeststeller, insbesondere für Kraftwagentüren
JPH0681873B2 (ja) * 1990-05-23 1994-10-1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ー
JPH0539621A (ja) * 1991-08-07 1993-02-19 Yoshikazu Iwamoto 携帯掘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E62399B1 (en) 1995-01-25
DE69109620D1 (de) 1995-06-14
CA2058965A1 (en) 1991-11-24
KR920703952A (ko) 1992-12-18
IE911745A1 (en) 1991-12-04
CA2058965C (en) 1995-04-04
EP0484535A4 (en) 1992-10-28
EP0484535B1 (en) 1995-05-10
AU7258091A (en) 1991-12-10
US5274880A (en) 1994-01-04
MX174172B (es) 1994-04-26
WO1991018174A1 (fr) 1991-11-28
EP0484535A1 (en) 1992-05-13
AU638312B2 (en)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856B1 (ko) 액정표시장치
JP3647867B2 (ja) 回転型窓操作機
KR950007729B1 (ko) 도어 클로저
US5079797A (en) Cabinet lid stay
EP0223283B1 (en) Support arm for the trunk lid and/or the hood of a motor car
JP2620732B2 (ja) ドアクローザ
GB2300669A (en) Motor vehicle door or tailgate hinge
EP3679215B1 (en) Gate closer suited to be retrofitted onto a gate with an eyebolt hinge
US5896783A (en) Safety switch device
JPS6158630B2 (ko)
US7010993B2 (en) Universal power operator
US5027301A (en) Retractable head lamp devic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0133863Y1 (ko) 액정프로젝터의 콘버젼스 조정장치
CN217639748U (zh) Dmd光学组件及dmd空间光调制器
CN220036428U (zh) 一种可快速拆装的合页机构
EP3080372A1 (en) A vehicle door hinge
KR20000008421A (ko) 휴대용 컴퓨터의 힌지장치
KR200397642Y1 (ko) 도어 경첩용 힌지 브래킷
EP0889191A2 (fr) Dispositif pour la commande du mouvement de battants mobiles de grilles, portes, fenêtres et fermetures en général
GB1585128A (en) Adjustable hinges
JPH072958Y2 (ja) 門扉の開閉装置
JPH1193497A (ja) 4軸型蝶番
JP2586793Y2 (ja) 調整蝶番
JPH06248844A (ja) 回転ダンパ
KR200354145Y1 (ko) 컴퓨터용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