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26Y1 - 드릴의 날 물림장치 - Google Patents

드릴의 날 물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26Y1
KR950007726Y1 KR2019930005351U KR930005351U KR950007726Y1 KR 950007726 Y1 KR950007726 Y1 KR 950007726Y1 KR 2019930005351 U KR2019930005351 U KR 2019930005351U KR 930005351 U KR930005351 U KR 930005351U KR 950007726 Y1 KR950007726 Y1 KR 950007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ner shaft
blade
clutc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356U (ko
Inventor
변종식
Original Assignee
변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식 filed Critical 변종식
Priority to KR2019930005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726Y1/ko
Publication of KR940024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2Adapters for drills or chucks; Tapered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릴의 날 물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4도는 드릴작업기능을 갖도록 조작된 상태에서 각 부의 회전력 방향을 표시한 본 고안의 정면도.
제5도는 날을 풀어내는 기능을 갖도록 조작된 상태에서 각 부의 회전력 방향을 표시한 본 고안의 정면도.
제6도는 날을 조이는 기능을 갖도록 조작된 상태에서 각 부의 회전력 방향을 표시한 본 고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날잡이 11 : 날잡이틀
12 : 날잡이 조임쇠 13 : 날잡이 조임쇠 호울더
14 : 내축 15 : 외축
16 : 외축기어 17 : 내축기어
18 : 유성기어 19 : 캐리어
20 : 2차기어 21 : 1차기어
22 : 슬라이딩기어 23 : 내축기어 연결용 클러치 기어
24 : 내축기어고정용 클러치 기어 25 : 레바
26 : 판베어링 27 : 모우터축
28 : 모우터 29 : 슬립링
30 : 스플라인기어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기계 공작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어 오고 있는 드릴은 그 척이 날잡이와 날잡이틀, 날잡이조임쇠 및 날잡이 조임쇠호울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척 전체는 날잡이틀을 통하여 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날을 물리거나 풀어내고자 할때, 분리형으로 된 보조기어를 날잡이틀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끼우고 홈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보조기어에 맞물려서 날잡이 조임쇠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날잡이조임쇠는 날잡이틀 내에 앞쪽이 중심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들어있는 세개의 날잡이와 나사물림 되어 있는 상태에서 날잡이를 구멍의 사면을 따라서 밀어내리거나 당겨올림으로써 날을 조이거나 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기어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날을 조이거나 풀어냄으로써 드릴의사용상 큰 불편이 따르며, 또한 분리형으로 된 보조기어는 분실하기가 쉬워서 실제로 작업현장에서는 보조기어를 분실한 상태에서 드라이브와 망치 등으로 날잡이조임쇠를 강제로 쳐서 돌림으로써 날을 조이거나 풀어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분리형으로 된 보조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드릴 자체의 모우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날잡이 틀에 대하여 날잡이조임쇠를 회전시키도록 드릴 내부에 회전력 전달계통을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날을 조이거나 풀어낼 수 있도록 하여, 드릴의 사용을 한층 더 편리하게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구성과 동작원리]
본 고안은 종래의 드릴이 모우터에서부터 척에 이르는 회전력 전달계통이 단일계통인데 반하여, 날잡이틀(11)과 날잡이 조임쇠(12)에 이르는 회전력 전달계통을 각각 달리 구성하여, 각 회전력 전달계통간에 상대적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이 상대적 회전력에 의하여 날을 조이거나 풀어내는 것을 주요 원리로 하고 있는데, 그 구성과 동작원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축을 내축(14)과 외축(15)으로 이중으로 구성하되, 내축(14)의 앞쪽 끝은 척을 구성하고 있는 날잡이틀 (11)에 연결되고, 뒤쪽끝은 판베어링(26)에 지지되며, 중간에는 내축기어(1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외축(15)은 내축(14)의 앞 부분에 끼워져 있고 그 앞쪽 끝은 척의 날잡이조임쇠 호울더(13)에 연결되고, 뒤쪽 끝은 외축기어(16)에 연결되어서 외축기어(16)와 내축기어(17)가 나란히 설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내축기어(17)의 바로 뒤쪽에는 변속기어의 2차기어(20)를 내축(14)상에 분리형으로 설치하고, 2차기어(20)의 주변에는 캐리어(19)에 의하여 지지되는 유성기어를 설치하여, 유성기어(18)는 앞쪽의 외축기어(16)와 내축기어(17)에 공통으로 물리게 하였다.
여기서, 외축기어(16)와 내축기어(17)는 크기가 같고, 서로 기어잇수가 하나 차이가 있으므로 해서 각 기어는 다음과 같은 이격차를 갖는다.
|외축기어잇수-내축기어잇수|=1
또한, 2차기어(20)의 뒷면과 판베어링(26)의 앞면에는 클러치용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양면에 클러치용기어를 가진 슬라이딩 기어(22)가 내축(14)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기어(30)에 설치되어 있어서 레바(25)의 미는 힘에 의하여 앞 뒤로 이동 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기어(22)는 앞 뒤로 이동 됨에 따라서 2차기어(20) 측 클러치용 기어 또는 판베어링(26) 측 클러치용 기어와 클러치 결합이 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2차기어(20) 측 클러치용 기어를 내축 연결용 클러치기어(23)라고 하고, 판베어링(26) 측 클러치용기어(24)를 내축고정용클러치기어라고 이름하였다.
이러한 구성상태에서, 동작원리를 날을 풀어내거나 조이는 기능을 갖도록 조작된 상태와 드릴 작업 기능을 갖도록 조작된 상태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날을 풀어내거나 조이는 기능을 갖도록 조작된 상태(제5도와 제6도).
레바(25)로 슬라이딩기어(22)를 뒷쪽으로 밀면, 슬라이딩기어(22)와 판베어링 (26) 측 내축 고정용클러치기어(24)가 결합이 되어서 회전력 전달계통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이 상태에서 ②의 계통에서 내축기어(17)가 고정되게 되므로, ①의 계통에서 유성기어(18)은 2차기어(20)가 회전함에 따라서 내축기어(17)와 외축기어(16)의 둘레를 공전하는 동시에 자전을 하게 되는데, 외축기어(16)와 내축기어(17)는 그 잇수가 하나 차이가 있으므로, 각 기어는 식(1)의 외축기어(16)와 내축기어(17)의 이간격차를 갖게 된다. 따라서 유성기어(18)의 이가 내축기어(17)를 하나씩 진행할 때마다 외축기어가 내축기어에 대하여 식(1)의 이간격차만큼 어긋나 있는 것을 일치시켜 나가는 가운데, 기어잇수가 작은 기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어잇수가 많은 기어를 회전방향쪽으로 밀게 된다. 이 미는 힘은 내축(14)과 외축(15)간에 상대적인 회전력으로 작용되며, 내축(14)을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내축기어(17)에 대하여 외축기어(16)를 상대적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되므로 결국 내축(14)과 외축(15)을 통하여 날잡이틀(11)에 대한 날잡이 조임쇠(12)의 회전력으로 전달되어서 날을 조이거나 풀어내는 회전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내축기어(17)에 대한 외축기어(16)의 회전속도 관계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로서, 외축기어(16)의 잇수를 내축기어(17)의 잇수보다 하나 더 많게 하고, 각 요소의 값을 표 1과 같이 지정할 때, 위의 속도관계식을 보면 다음과 같이 된다.
[표 1]
즉, 외측(15)은 모우터회전속도의의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그 회전력은 기어의 변속원리에 의하여 회전속도 비례계수의 역수에 비례하므로, 모우터회전력의 366배가 된다. 따라서, 척을 구성하고 있는 날잡이조임쇠(12)는 고정상태에 놓여 있는 날잡이틀(11)에 대하여 모우터회전속도의의 회전속도로, 모우터회전력의 366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게 되며 모우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에 따라서 그 회전방향이 함께 바뀌므로, 날잡이(10)를 날잡이틀(11)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사면을 따라서 밀어내리거나 당겨올려서 날을 조이거나 풀어내게 된다.
둘째, 드릴작업기능을 갖도록 조작된 상태(도 4). 레바(25)로 슬라이딩기어 (22)를 앞쪽으로 밀면, 내축고정용 클러치기어(24)는 분리되고 내축연결용 클러치기어 (23)가 결합이 되어 회전력 전달계통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2차기어(20)가 내축연결용클러치기어(23)를 통하여 내축(14)과 일체로 연결이 되므로, 캐리어(19)에 의하며 2차기어(20)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축기어 (17)에 물려 있는 유성기어(18)는 내축기어(17)의 주변을 공전하게 되나 자전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공통으로 물려있는 외축기어(16)도 일체로 연결이 되어서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내축(14)과 외축(15)이 일체로 연결이 되어서 함께 회전하게 되며, 결국 날을 물고 있는 척 전체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력 전달계통은 모우터의 회전속도와 1,2차 변속기어의 변속비에 의존하는 단일 계통을 이루게 되므로 드릴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효과]
이상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드릴의 날 교환작업에 있어서 종래의 드릴에서는 분리형으로 된 보조기어에 의존하던 것에 반하여, 보조기어가 없이 드릴내의 모우터 회전력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드릴의 사용을 한 층 더 편리하게, 보조기어의 분실에 따르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시키게 된것이다.

Claims (1)

  1. 드릴에 있어서, 앞쪽 끝은 날잡이틀(11)에 연결하고 뒤쪽끝은 판베어링(26)에 지지된 내축(14)의 중간에 내축기어(17)를 일체로 설치하고, 앞쪽 끝은 날잡이조임쇠호울더 (13)에 연결되고, 뒤쪽 끝에는 내축기어(17)와 크기가 같으나 기어잇수가 하나 차이가 있는 외축기어(16)를 일체로 가진 외축(15)을 내축(14)의 앞 부분에 끼워서 외축기어(16)와 내축기어(17)가 나란히 되게 하고, 내축기어(17)의 바로 뒤에는 내축상(14)에 변속 2차기어(20)를 분리형으로 설치하고, 2차기어(20)의 주변에는 캐리어(19)에 의해 지지되는 유성기어(18)를 설치하여 외축기어(16)와 내축기어(17)에 공통으로 물리게 하고, 2차기어(20)의 뒷면과 판베어링(26)의 앞면에는 클러치용기어가 있어서, 이들 클러치용기어는 내축(14)의 스플라인기어(30)에 끼워져 있으며 양면에 클러치용기어를 가진 슬라이딩기어(22)가 레바(25)에 의해 앞 뒤로 이동됨에 따라서 각각 클러치 결합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의 날물림장치.
KR2019930005351U 1993-04-06 1993-04-06 드릴의 날 물림장치 KR950007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351U KR950007726Y1 (ko) 1993-04-06 1993-04-06 드릴의 날 물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351U KR950007726Y1 (ko) 1993-04-06 1993-04-06 드릴의 날 물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356U KR940024356U (ko) 1994-11-16
KR950007726Y1 true KR950007726Y1 (ko) 1995-09-21

Family

ID=1935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351U KR950007726Y1 (ko) 1993-04-06 1993-04-06 드릴의 날 물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7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356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78034C (en) a non-handle type tool chuck
US5261135A (en) Screw gun router for drywall installation
JPH0283105A (ja) 締め付け具
JPH047843Y2 (ko)
CA1099131A (en) Override arrangement and actuating handle for a shifting mechanism in portable tools
US20080276760A1 (en) Driver
EP2087958B1 (en) Auto locking chuck
EP0982101A3 (en) Automatic shaft lock
JPH11262809A (ja) 手動操作される穿孔機若しくは打撃穿孔機
JPH0243665Y2 (ko)
KR950007726Y1 (ko) 드릴의 날 물림장치
US2477528A (en) Variable-speed hand tool
JP4246308B2 (ja) ナット締付機
JPH0347828Y2 (ko)
GB2137545A (en) Screwdriver spanner or socket set
JP2501726Y2 (ja) 電動スクリュドライバの動力伝達機構
EP0069123A1 (en) Rotary hand tools
EP1101553A1 (en) Self-locking chuck
KR0114430Y1 (ko) 바이스
JP2567307B2 (ja) ツールチャック
JP2703591B2 (ja) 締め付け具
JPH0641769Y2 (ja) キー付きチャック
JPS5949873B2 (ja) 電動ドライバ−
JPS5689404A (en) Automatic tool fastening device for rotary spindle
JPH02221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