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82Y1 -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 Google Patents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82Y1
KR950007682Y1 KR2019930007815U KR930007815U KR950007682Y1 KR 950007682 Y1 KR950007682 Y1 KR 950007682Y1 KR 2019930007815 U KR2019930007815 U KR 2019930007815U KR 930007815 U KR930007815 U KR 930007815U KR 950007682 Y1 KR950007682 Y1 KR 950007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lid
mesh
teapot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121U (ko
Inventor
박원철
Original Assignee
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철 filed Critical 박원철
Priority to KR2019930007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682Y1/ko
Publication of KR940026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제1도는 본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전자 뚜껑 2 : 결착구
3 : 차류수납함 4 : 망체지지구
5 : 망체 7 : 고정링
32 : 하부개구부 33 : 돌기부
41 : 플랜지부 42 : 절곡플랜지부
43 : 절곡부 44 : 몸체
본 고안은 주전자 뚜껑이 저면에 차류 수납함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차류찌꺼기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차류 수납함을 설치된 주전자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식당, 사무실등에서 입자가 굵은 차류(보리차, 옥수수차, 결명자차등)를 주전자, 커피포트, 남비등의 용기에 넣고 일정시간동안 가열한 후 차류를 얻었다.
그러나 차류가 용기내에서 끓어지면서 발생하는 찌꺼기나 차류자체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제거해야만 하는 사용상 번거로운점이 있었다.
또한 차류자체에서 배어 나오는 찌꺼기가 가열에 의해 물과 혼합되어서 용기 내주면에 엉겨붙어 이를 깨끗이 제거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용기가 사용수명을 단축하게 되는 문제점과 이러한 찌꺼기가 상하게 되어 음료할 때 인체내에 들어가게 되면 위생상으로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고 말 것이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2366호에서는 통상의 주전자 뚜껑하부에는 주연부에 내향절곡된 탄지편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결착구가 통상의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그 결착구에는 저면에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망체지지판이 일체로 되고 상부 외주연에 요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수납함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지되 상기 수납함의 내부에는 망체가 내삽입되어 고정링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져 차류 수납함에 차류를 수납한채 차를 끓이면 차자체는 물론이거니와 차가 끓으면서 발생되는 찌꺼기가 내부 망체에 의해 걸러져 수납함 내부에 계속 남아 있게 되고, 찌꺼기가 없는 깨끗한 차를 구할 수 있으며 수거의 문제에 있어서도 결착구와 수납함을 분리시켜 내부의 내용물을 제거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번거롭지 않고 수거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원고안은 그 제작에 있어서 수납함의 저면에 망체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롭고, 작업공수가 많아지게 되어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여의치 못한 문제가 있고 또한 그 사용상에 있어서도 소제하기가 매우 힘들며 소제를 한다 하더라도 망체와 망체지지판 사이등에 끼인 찌꺼기는 청결히 소제할 수가 없어 위생상의 문제가 대두되는 등 개선해야 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선원고안의 제반 폐 문제점을 보완하고 치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첫째 목적은 차를 끓이고 난후 차류 찌꺼기의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차류 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둘째 목적은 작업공수를 줄여 그 제작을 용이하게 하여 더불어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차류 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셋째 목적은 소제를 청결히 할 수 있는 구조의 차류 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망체가 수납함과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저면에 결착구(2)에 결합되고, 그 결착구(2)에 차류수납함(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주전자 뚜껑(1)에 있어서, 하부 일측으로 내향된 돌기부(33)를 갖는 차류수납함(3)은 상, 하부에 개구부(31)(32)를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되, 상부는 외주면이 상기 주전자 뚜껑(1)의 저면에 결합된 결착구(2)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탄지편(21)에 의해 탄지되고, 상기 차류수납함(3)의 하부개구부(32)에는 상부에 내향된 플랜지부(41)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절곡플랜지부(42)가 형성되어 절곡부(43)에 망체(5)가 압착고정된 망체지지구(4)의 몸체(4)가 내접하면서 끼워져 상기 돌기부(33)에 의해 압점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로서 6은 뚜껑손잡이, 61은 경보음발생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망체 지지구(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1)가 가이드역활을 하여 차류수납함(3)의 하부개구부(32')와 용이하게 끼워지게 되고, 그와같은 상태에서 약간의 힘을 가해 상기 망체 지지구(4)를 상부로 밀어 넣으면 망체지지구(4)의 몸체(44)외주가 상기 돌기부(33)에 의해 압점됨과 동시에 상기 절곡플랜지부(42)의 상부면과 차류수납함(3)의 저면에 맞닿아 밀폐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차류수납함(3)의 상부개구부(31)를 통해 소정의 차류를 넣고 상기 주전자 뚜껑(1)의 저면에 결합된 결착구(2)에 상기 차류 수납함(3)의 상부를 끼우게 되면 결착구(2)에 형성된 탄지편(21)에 의해 탄지되어 지고 그 상태로 주전자 뚜껑(1)을 덮어 차류수납함(3)을 물속에 장입시켜 가열하면 망체(5)를 통해 들어온 물에 의해 특유의 차맛이 배어나와 망체(5)를 통해 분산되게 된다.
이와반대로 차류찌꺼기를 수거하여 폐기할때에는 주전자 뚜껑(1)을 열고 차류수납함(3)을 결착구(2)와 분리시켜 폐기하고 소제시 차류수납함(3)의 하부개구부(32)에 결합된 망체지지구(4)를 분리하여 소제하면 되는데 이때 절곡플랜지부(42)의 외주를 잡고 하방으로 약간의 힘을 가해주게되면 쉽게 이탈되어 그 소제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청결히 소제되어 위생적으로 유익한 효과를 주게된다.
첨부된 도면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는 망체지지구(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1)를 제거하여 망체지지구(4)의 내부에 끼인 차류찌꺼기를 더욱 용이하게 소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4도는 상기 망체지지구(4)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1)의 내면에 망체(5)를 끼우고 그하부를 고정링(7)으로 압착하여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상기한 본원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선원고안에서와 같이 망체지지판과 차류수납함을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망체지지구와 차류수납함을 상호 착탈식으로 제작구성하여 그 작업이 용이하고 결과적으로 작업공수를 줄이게 되어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분해시 차류수납함의 상, 하방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소제를 더욱 청결히 행할 수 있어 결국 깨끗한 차를 제공하여 주므로 위생적으로도 유익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도

Claims (3)

  1. 저면에 결착구(2)가 결합되고 그 결착구(2)에 차류수납함(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주전자 뚜껑(1)에 있어서, 하부일측으로 내향된 돌기부(33)를 갖는 차류수납함(3)은 상, 하부에 개구부(31)(32)를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되 그 상부 외주면은 상기 주전자 뚜껑(1)의 저면에 결합된 결착구(2)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탄지편(21)에 의해 탄지되고, 상기 차류수납함(3)의 하부 개구부(32)에는 상부에 내향된 플랜지부(41)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절곡플랜지부(42)가 형성되어 절곡부(43)에 망체(5)가 압착고정된 망체지지구(4)의 몸체(44)가 내접하면서 끼워져 압접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류 수납함(3)의 하부개구부(32)에는 하부에 절곡 플랜지부(42)가 형성되어 그 절곡부(43)에 망체(5)가 압착고정된 망체 지지구(4)가 내접하면서 끼워져 차류수납함(3)에 형성된 돌기부(33)에 의해 압접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수납함을 설치된 주전자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류 수납함(3)의 하부 개구부(32)에는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41)의 내면에 망체(5)를 끼우고 그 하부로 부터 고정링(7)을 끼워 압착고정된 망체 지지구(4)의 몸체(44)가 내접하면서 끼워져 차류수납함(3)에 형성된 돌기부(33)에 의해 압접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KR2019930007815U 1993-05-11 1993-05-11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KR950007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815U KR950007682Y1 (ko) 1993-05-11 1993-05-11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815U KR950007682Y1 (ko) 1993-05-11 1993-05-11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121U KR940026121U (ko) 1994-12-08
KR950007682Y1 true KR950007682Y1 (ko) 1995-09-20

Family

ID=1935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815U KR950007682Y1 (ko) 1993-05-11 1993-05-11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6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311B1 (ko) * 2001-07-27 2003-04-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보리차 투입장치가 구비된 주전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121U (ko)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9149A1 (en) Basket for holding coffee grounds in coffee brewing machine
US20210259456A1 (en) Particulate Collection Device
KR950007682Y1 (ko) 차류수납함이 설치된 주전자 뚜껑
US20080092748A1 (en) Apparatus for Brewing Beverages
US2150588A (en) Liner for coffee-grounds holders of coffee makers
CN2648974Y (zh) 自动夹盖锅
US2116044A (en) Device for straining and filtering
JPH0111110Y2 (ko)
EP0808121A1 (en) Water heating vessels
KR20190002711U (ko) 다기능 도마
JP7325107B2 (ja) 急須
CN215708891U (zh) 水槽用厨余垃圾收集装置
KR102570010B1 (ko) 그릭요거트 제조를 위한 유청분리기
CN212981265U (zh) 一种带有托盘的茶水桶
CN216932873U (zh) 一种厨房沥水组件
KR200158086Y1 (ko) 전기밥솥의 속뚜껑 착탈구조
JPH088731Y2 (ja) ジュース・ストレーナー
JPH08154835A (ja) 液体の濾過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211324388U (zh) 茶滤杯
KR200147417Y1 (ko) 주전자 뚜껑
CN210582102U (zh) 一种新型榨汁杯
JP3037155U (ja) 流し台の排水栓用ゴミ受
JPS585539Y2 (ja) だし取り器具
KR200306247Y1 (ko) 약제 수납함이 설치된 커피포트 뚜껑
KR200249445Y1 (ko) 착탈식 필터를 갖는 주전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