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73Y1 -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73Y1
KR950007673Y1 KR92008337U KR920008337U KR950007673Y1 KR 950007673 Y1 KR950007673 Y1 KR 950007673Y1 KR 92008337 U KR92008337 U KR 92008337U KR 920008337 U KR920008337 U KR 920008337U KR 950007673 Y1 KR950007673 Y1 KR 950007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output
transis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6784U (ko
Inventor
방의석
Original Assignee
방의석
한국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의석, 한국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방의석
Priority to KR92008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673Y1/ko
Publication of KR930026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6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비디오폰의 전원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IC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정류회로부 1-1 : 써지전압흡수회로
1-2 : 고주파억제회로 1-3 : 디플전압바이패스회로
2 : 발진회로부 2-1 : 출력전류셋팅회로
2-2 : 구형파발진회로 2-3 : 스위칭회로
3 : 제2정류회로부 3-1 : 정류회로
3-2 : 고주파억제회로 3-3 : 평활회로
C1-C18: 컨덴서 R1-R15: 저항
D1-C10: 다이오드 IC1: IC
VR : 바라스터 VAR : 가변저항
LM : 스위칭소자 TR1-TR3: 트랜지스터
T : 트랜스
본 고안은 비디오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00V/220V 상원전원을 겸용하는 비디오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V/220V의 상용전원의 입력전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DC출력전압을 얻기 위한 전원장치는 여러 가지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전원장치는 입력전압에 포함된 고주파 신호나 DC출력전원에 잔존하는 맥류 등으로 인한 고주파성분 때문에 영상장치인 비디오폰의 DC전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면에 노이즈가 나타나므로 화면이 깨끗하지 못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100V/220V의 상용전원의 입력전압에 관계없이 일정의 DC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주파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깨끗한 화면을 얻을 수 있는 비디오폰의 전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비디오폰의 전원장치는, 써지전압흡수회로, 고주파억제회로 및 리플전압 바이패스회로로 형성되는 제1정류회로부를 상용전원에 접속하고, 출력전류셋팅회로, 구형파 발진회로 및 스위칭 회로로 형성되는 발진회로부를 상기 제1정류회로부의 출력에 접속하며, 상기 발진회로부의 출력에 트랜스를 통하여 접속된 정류회로, 고주파 억제회로 및 평활회로로 형성되는 제2정류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정류회로부의 출력이 소정값을 넘으면 상기 발진회로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접속하여 상용전원에 포함되어 있거나 정류과정에서 발생된 고주파 성분을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부하의 이상으로 과대전류가 흐를 때 전원을 차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서 근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에 접속된 제1정류회로부(1)와, 이 제1정류회로부(1)의 출력전압에 관계없이 출력전류×도통시간=C(단 C는 상수)가 성립하도록 하는 듀티비(duty ratio)를 가진 대략 구형파의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진회로부(2)와, 트랜스(T)의 출력단자(T2)에 나타내는 발진회로부(2)의 출력을 정류하기 위한 제2정류회로부(3)를 구비하되, 상기 제1정류회로부(1)는 컨덴서(C1) 및 바리스터(VR)로 형성되는 써지전압 흡수회로(1-1), 코일(LF1)로 형성되는 고주파억제회로(1-2), 컨덴서(C2-C5)로 형성되어 전원 전압에 포함된 리플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리플전압 바이패스회로(1-3)를 가지며, 상기 발진회로부(2)는 가변저항(VAR)으로 형성되는 과부하 전류셋팅회로(2-1), 전류×도통시간=C(일정)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를 발생하기 위한 IC(IC1)로 형성되는 구형파 발진회로(2-2)와, 트랜스(T)의 3차전선(T3)의 일단 및 DC전원간에 접속되는 저항(R1, R2)과 컨덴서(C7)로 분압한 바이어스전압과 상기 IC(IC1)의 출력단자(10번 단자)의 신호를 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어스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스(T)의 3차전선(T3)의 타단은 저항(R4)과 컨덴서(C8)을 각각 경유하여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출력측인 콜렉터는 트랜스(T)의 1차전선(T1)의 일측에 접속되며 형성된 스위칭회로(2-3)를 가지며, 상기 제2정류회로부(3)는 트랜스(T)의 출력인 2차권선(T2)에 다이오드(D6) 및 컨덴서(C10, C11)를 접속하여 형성되는 정류회로(3-1), 코일(LF2)로 형성되는 고주파 억제회로(3-2) 및 컨덴서(C12, C13)로 형성되는 평활회로(3-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정류회로부(3)의 출력이 상기 구형파 발진회로(2-2)의 IC(IC1)의 5번 및 6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기타 미설명 부호 C9, D5, R5는 각각 컨덴서, 다이오드, 저항으로 트랜스(T)의 작동시 발생되는 써지전압으로부터 트랜지스터(TR1)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D1내지 D4는 브릿지 정류회로를 형성하는 다이오드, C8은 평활 컨덴서, TH1는 온도보상용 더어머스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IC(IC1)의 내부회로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제1도의 IC(IC1)의 핀번호(1 내지 11)와 제2도의 단자번호(1 내지 11)는 1대1로 대응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스위칭소자(LM)의 캐소드(CATHOD)에는 포토카플러(PC)의 입력측 및 저항(R8, R9)을 통해서 5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이어 저항(R10)을 통하여 1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스위칭소자(LM)의 기준단자(REF)에는 2번 단자가 직접 접속됨과 동시에 컨덴서(C14) 및 저항(R6)을 통하여 6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스위칭 소자(LM)의 애노드(AMODE)에는 4번 단자를 통하여 접지됨과 동시에 저항(R7)을 통하여 3번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8번 단자는 포토카플러(PC)와 다이오드(D7) 또는 저항(R1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동시에 컨덴서(C16)를 통하여 기준전위 단자인 11번 단자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8) 및 저항(R1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리고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또한 저항(R13)과 다이오드(D9)를 통하여 9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는 저항(R14)를 통하여 기준전위인 11번 단자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는 11번 단자에, 콜렉터는 10번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10번 및 11번 단자 사이에다 다이오드(1010) 및 저항(R15)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비디오폰의 전원장치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AC전원에 접속 본 고안의 전원장치가 접속되면, AC전원에 포함된 써지전압은 컨덴서(C1) 및 바리스터(VR)(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바리스터의 동작 전압은 470V)로 형성되는 써지전압 흡수회로(1-1)에서 흡수된다.
즉 정상상태에서는 바리스터(VR)은 비도전상태이나 적어도 피크값이 470V 이상의 전압의 써지전압이 도래하면 순간적으로 바리스터(VR)가 도전상태로 되어 써지전압을 안전히 흡수한다.
그후 코일(LF1)로 형성되는 고주파억제회로(1-2)에서는 전원전압에 포함된 고주파성분의 신호가 억제되며, 컨덴서(C2-C5)로 형성된 리플전압 바이패스회로(1-3)에서는 전원에 포함된 리플전압이 컨덴서(C2또는 C3)를 통하여 바이패스된 후 컨덴서(C4, C5)를 통하여 접지된다. 따라서 브릿지 정류회로(D1-D4)로 써지전압, 리플전압 및 기타 다른 고주파성분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평활컨덴서(C6)에는 고주파 성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는 신호가 100V/220V에 대응하는 크기로 충전되고 이 충전 전압에 대응하여, 저항(R1), 컨덴서(C7) 및 저항(R2)과 트랜스(T)의 3차권선(T3)을 통하여, 8번단자 및 10번 단자에 소정의 전압이 각각 나타난다. 즉, 저항(R1,R2)과 컨덴서(C7)와 3차권선(T3)의 리액턴스 값에 따라 정해지는 시정수에 따라, 10번 단자 및 8번 단자에 소정의 전압이 나타나게 되고, 이때 10번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은 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으로 입력되어 트랜지스터(TR1)를 도통시키며, 이것에 의하여 트랜스(T)의 일차권선(T1)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전류에 의하여 2차권선(T2) 및 3차권선(T3)에 각각 소정의 전압이 유기되나 유기되는 전압의 극성은 제2도에 돗트(·)로 도시된 방향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2정류회로부(3)에 전류가 흐르게 됨과 동시에 1차권선(T1)과 동일방향으로 3차권선(T3)에 유기된 전압은 8번 단자를 통하여 IC(IC1)로 입력되며, 그후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항(R11) 및 컨덴서(C16)을 통하여 기준 전위의 단자 11번을 통하여 흐르게 되어, 저항(R11) 및 컨덴서(C16)에 의하여 정해지는 시정수의 시간후에 컨덴서(C16)의 전압이 소정값으로 되어 트랜지스터(TR2)를 도통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TR3)가 도통되므로 10번 단자의 전위는 기준전위(11번 전자의 전위)로 떨어지게 되어 트랜지스터(TR1)을 오픈시키게 되어, 트랜스(T)로의 전원공급이 중단하게 된다. 즉, 상용전원의 전압이 높은 경우에, 트랜지스터(TR3)의 도통시간이 빠르게 되어 트랜지스터(TR3)을 통한 트랜지스터(TR1)의 오프시간을 빠르게 하고,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TR3)가 늦게 도통되므로 결국 트랜지스터(TR1)의 오픈시간을 늦추게 되므로 상용전원의 전압크기에 따라 트랜지스터(TR3)의 오프시간이 역비례하게 된다. 한편, 트랜스(T)의 일차전선(T1)의 전류의 량은 트랜지스터(TR1)의 전류의 량, 즉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실질적으로 비례하므로 상용전원의 전압크기에 비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트랜지스터(TR1)는 온 오픈하여 구형파를 발생하게 되며, 이때 구형파의 듀티비는 상용전원의 전압크기에 따라 역비례하고 트랜지스터(TR1)의 도통시간도 상용전원의 전압크기에 따라 역비례하게 되나, 전류의 크기는 상용전원전압크기에 비례하게 되어 전류의 크기×도통시간=일정(C)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듀티비로 트랜지스터(TR1)가 온 오프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2차권선(T2)에 출력되어 제2정류회로부(3)의 정류회로(3-1)에 흐르는 평균전류가 상용전원의 전압크기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되고, 이 전류에 의해 평활회로(3-3)에 충전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제2정류회로부(3)에서 정류중에 발생된 맥류에 의한 고주파 성분은 코일(LF2)에서 억제되고, 극히 일부잔존의 고주파 성분도 다시 평활회로(C12, C13)에 의하여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DC전원은 고주파 성분이 완벽하게 제거되게 된다.
한편, 고장 등의 원인으로 트랜지스터(TR1)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트랜스(T)에 이상전류가 흐르는 경우, 컨덴서(C8)의 충전전압이 정상상태일 경우보다 높게 되고 이 충전전압은 단자 9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3)를 도통시켜서 단자(10)의 전위를 단자(11)와 같은 기준레벨로 함으로써 트랜지스터(TR1)을 오프시키거나(제2도 참조), 아니면 트랜스(T)의 이상전류로 인해 트랜스(T)의 2차전선(T2)의 출력전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 전압은 6번 단자를 통하여 스위치소자(LM)을 도통시켜서 포토카플러(PC)를 작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TR2, TR3)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트랜지스터(TR1)를 오픈시키게 되므로 고장으로 이상전류가 트랜스(T)에 흐르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저항(VAR)을 조정하며 5번 단자를 통하여 들어오는 출력을 분압하여 스위칭 소자(LM)의 기준전압(REP)을 설정함으로써 스위칭소자내의 동작개시 전압을 설정할 수 있고 또한 8번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와 협조하여 이상시에 발진회로부(2)를 중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100V/220V의 전원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의 DC출력 전압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고주파 성분이 모두 제거되어 영상장치인 비디오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면에 나타나는 노이즈가 모두 제거되므로 양질의 비디오폰의 화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써지전압흡수회로(1-1), 고주파억제회로(1-3) 및 리플전압 바이패스회로(1-3)로 형성되는 제1정류회로(1)를 상용전원에 접속하고, 출력전류셋팅회로(2-1), 구형파 발진회로(2-2) 및 스위칭회로(2-3)로 구성되는 발진회로부(2)를 상기 제1정류회로(1)의 출력측에 접속하며, 정류회로(3-1), 고주파억제회로(3-2) 및 평활회로(3-3)로 형성되는 제2정류회로부(3)를 상기 발진회로부(2)의 출력에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2정류회로부(3)의 출력이 소정값을 넘으면 상기 발진회로부(2)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상기 제2정류회로부(3)의 출력을 상기 발진회로부(2)에 궤환접속한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KR92008337U 1992-05-15 1992-05-15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KR950007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337U KR950007673Y1 (ko) 1992-05-15 1992-05-15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337U KR950007673Y1 (ko) 1992-05-15 1992-05-15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784U KR930026784U (ko) 1993-12-28
KR950007673Y1 true KR950007673Y1 (ko) 1995-09-20

Family

ID=1933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337U KR950007673Y1 (ko) 1992-05-15 1992-05-15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6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84B1 (ko) * 2003-01-24 2009-09-15 주식회사 코맥스 티브이폰의 전원부 분리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84B1 (ko) * 2003-01-24 2009-09-15 주식회사 코맥스 티브이폰의 전원부 분리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784U (ko) 199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177A (e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standby mode operation
US5124875A (en) Overcurrent protection apparatus
JPH0311516B2 (ko)
CA1225117A (en) Variable input voltage regulator circuit
US5353213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a self-oscillating blocking oscillator switched-mode power supply
US5379206A (en) Low loss snubber circuit with active recovery switch
US3947752A (en) Circuit for converting alternating current voltages to a constant magnitude direct current voltage
JPH0615298Y2 (ja) 無切換連続可変電源回路
JPH0767328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電源装置
US4258309A (en) Switching type power supply circuit
JPH03118760A (ja) ブロツキング発振式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ータ用回路装置
US4277824A (en) Start-up circuit
KR950007673Y1 (ko) 비디오폰의 전원장치
US5627733A (en) Power supply device
US4755923A (en) Regulated high-voltage power supply
JP3427280B2 (ja) 同期制流方式のリンギングチョークコンバータ
JPH041587B2 (ko)
SU1091289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JP3134913B2 (ja) 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JP318525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22626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7288981A (ja) 定電圧装置
JPS592225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保護装置
KR820001954B1 (ko) 전압 조정기
KR970004358B1 (ko) 돌입전류제한 및 소자(消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