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253B1 -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253B1
KR950007253B1 KR1019910017878A KR910017878A KR950007253B1 KR 950007253 B1 KR950007253 B1 KR 950007253B1 KR 1019910017878 A KR1019910017878 A KR 1019910017878A KR 910017878 A KR910017878 A KR 910017878A KR 950007253 B1 KR950007253 B1 KR 95000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hole
rod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350A (ko
Inventor
허영백
Original Assignee
허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백 filed Critical 허영백
Priority to KR101991001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253B1/ko
Priority to US07/921,903 priority patent/US5275085A/en
Priority to JP4205337A priority patent/JPH05196007A/ja
Publication of KR93000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을 보여주는 종단면도로서, 제1도는 인장시 속도제어가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제1a도는 제1도의 1a부분확대도, 제1b도는 제1도의 1b부분확대도.
제2도는 압축시 속도제어가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기밀유지용 시일링 부위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로서, 제4도는 최대속도시를 나타낸다.
제5도는 중간속도시를 나타낸다.
제6도는 제동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일측실린더 블록을 중심으로 작동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절결 사시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한 작동레버의 회전시 작동로드의 수평이동 관계를 보여주는 작동상태 단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실린더 2 : 내측실린더
3 : 피스톤 4 : 피스톤로드
5,21,22 : 실린더블록 6 : 작동로드
10, 20 : 실린더튜브 11 : 웨어링
12,24,34 : 시일링 13 : 고정부재
14 : 고정공 15 : 작동공
25, 31 : 중심공 26 : 유통공
27 : 작동매체공간 30 : 피스톤본체
32,33,35 : 유로 38 : 로드공
46 : 유로조절홈 47 : 작동레버
48, 49 : 0링
본 발명은 공기를 작동매체로하는 공압실린더에 병설하여 사용하기 위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 외측에 2중으로 형성된 실린더구조를 채택하고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의 내측에 설치된 작동로드를 조절하여 양측실린더의 압축 또는 신장시, 단동 또는 왕복동에 따른 작동속도의 제어 및 제동이 가능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유압실린더의 경우에는 내부피스톤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유압 또는 유량을 조절하도록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특히 정확한 속도의 제어 및 제동위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 설비에 광범위하게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동력원으로서 유압을 이용한 기기나 설비가 아닌 경우 또는 고속의 작동을 요구하는 경우엔 유압실린더가 갖는 고유특성으로 인하여 유압실린더의 채택이 어렵고 응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작동유체로서 오일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실린더 내측으로 공급하거나 실린더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위가 취약하여 이들부위에서는 특히 누유현상에 의한 주위환경의 오염문제가 있어 청결성을 요하는 기기에는 사용이 어렵고, 적용하고자 하는 기기나 설비의 설계에 있어서 단순화를 요하는 경우에도 유압관련 제어, 작동에 따른 부대설비가 복잡한 관계로 채택이 어려운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압실린더가 갖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공압실린더의 사용이 불가피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작동매체인 압축공기가 갖는 물리적인 특성상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내부공기의 밀도차가 현저하게 달라지는 현상때문에 실린더 내부피스톤의 속도제어나 제동이 어려운 기술상의 난점으로 인하여, 단순한 왕복동이 아닌 고도의 자동화 설비나 기타 기기엔 응용을 행하지 못하는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내,외측에 2중으로 서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내,외측 실린더를 결합하고 내,외측실린더 내부에서만 작동매체가 상호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내측실린더의 내측엔 작동매체의 유로가 형성된 피스톤을 끼운 구조를 갖고 있으되, 피스톤의 내측에 설치된 작동로드를 조정하여 양측실린더의 압축 또는 신장시에 단동 또는 왕복 등이 수행되면서, 작동압력과 속도제어가 가능하고 압축전용이나 신장전용의 목적을 임의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엔 제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시 기존의 고압실린더의 작동부위에 병설하여 요구되는 속도의 제어나 제동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공압실린더의 작동부위에 병설하는 경우 기존의 공압실린더가 갖는 속도제어 및 제공에 대한 부정확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다른 별도의 구동원이 있는 곳이나 독자적으로 부하를 필요로 하는 기기의 부품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며 기계식으로 조절이 가능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내구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펴보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례인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외측 실린더(1)의 내측에 내측실린더(2)가 끼워져 2중의 실린더구조를 이루고, 내측실린더(2)의 내측엔 피스톤(3)이 끼워지되, 피스톤로드(4)는 중공형태로서 실린더블록(5)에 고정되며 피스톤(3) 및 피스톤로드(4)의 내측에는 작동로드(6)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외측실린더(1)는 전단에 웨어링(Wear Ring)(11) 및 시일용링(12)이 끼워지는 기밀유지용 고정부재(13)가 나사결합고정되고, 후단엔 중심의 고정공(14)과 수직의 부채꼴 형상의 작동공(15)이 서로 연통되게 실린더 블록(5)이 결합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중 기밀유지용 고정부재(13)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일측에 외측실린더(1)와 결합하기 위한 테이퍼나사부(13-1)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고정요홈(13-2)이 형성된 고정홈(13-3)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 웨어링고정홈(13-4)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결합시엔 웨어링고정홈(13-4)엔 웨어링(11)을 끼워 결합하며 고정홈(13-3)엔 시일용 링(12)을 끼워 결합하되, 시일용 링(12)은 압착돌기부(12-1), 수직결합부(12-2), 내측의 더스트립(Dust Rip)(12-3) 및 그 타측의 오일립(Oil Rip)(12-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더스트립(12-3)과 오일립(12-4) 사이와 상기 오일립(12-4)과 압착돌기부(12-1) 사이엔 요홈부(12-5, 12-6)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져, 결합시엔 압착돌기부(12-1)는 기밀유지용 고정부재(13)의 고정요홈(13-2)에 끼워지고 수직결합부(12-2)는 고정홈(13-3)에 끼워고정되어 작동시엔 내측실린더(2)의 외주면과 접하면서 더스트립(12-3)은 외부로부터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고 오일립(12-4)는 내부작동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내측실린더(2)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튜브(20) 양측이 실린더블록(21,22)에 의하여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일측 실린더블록(22)의 외측엔 시일링(23)이 결합되어 내, 외측실린더(1, 2) 사이에 작동매체공간(16)이 형성되고 실린더블록(22)의 중심엔 시일링(24)이 끼워진 중심공(25)이 형성되어 피스톤로드(4)가 끼워지되 내측실린더(2)가 피스톤로드(4)를 타고 왕복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실린더튜브(20)의 일측엔 작동매체유통공(2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도, 제2도,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피스톤(3)은 피스톤본체(30)과 피스톤로드(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피스톤본체(30)는 중심에 작동로드(6)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공(31)이 형성되고, 양측엔 상기 중심공(31)과 연통되도록 수직의 유로(32,3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로(32,33)사이 외주연엔 다수의 기밀유지용 시일링(34)이 끼워지는 동시에, 피스톤본체(30)의 길이방향으로는 다수의 유로(35)가 설치되는 한편, 후부내측엔 밸브설치공간(36)이 마련되며, 피스톤본체(30)를 중심으로 내측실린더(2)내측에 좌, 우 작동매체공간(27,28)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4)는 일측에 유통공(37)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본체(30)와 결합되고, 후부는 실린더블록(5)의 고정공(14)과 나사결합 고정되며, 내측엔 로드공(38)이 형성되어 후술될 작동로드(6)가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도, 제2도,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작동로드(6)는 피스톤본체(30)의 전방으로부터 피스톤본체(30)의 중심공(31), 로드공(38) 및 실린더블록(5)에 이르도록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이루어지되, 피스톤본체(30)의 전단 작동매체공간(27) 및 피스톤본체(30)의 밸브설치공간(36) 내부로서 작동로드(6)엔 탄지스프링(41,44)에 탄지되는 밸브시이트(42, 45)가 스냅링(40,43)과 함께 각각 끼워설치되어 작동로드(6)의 위치에 따라 일측이 작동되도록 이루어지고, 피스톤본체(30)의 유로(32,33)가 위치하는 곳엔 유로조절홈(46)이 작동로드(6)의 이동시에도 유로(32,33) 상호간 연통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며, 작동로드(6)의 후부엔 실린더블록(5)의 작동공(15)에 끼워지는 작동레버(47)가 수직으로 편심축(47')이 고정설치되며 작동로드(6)엔 기밀유지용 0링(48, 49)이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 27,28은 작동매체공간, 50,51은 기밀유지용 시일링을 각각 나타내고, 52,53은 밸브시이트(42,45)의 소정위치를 탄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스냅링을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내,외측 실린더(2,1)를 상호간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경우 작동압력 및 속도제어를 행하고자 할 때 에는 제1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레버(47)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편심축(47')을 전방으로 위치시키고 작동로드(6)가 로드공(38) 및 중심공(31)을 타고 전진, 밸브시이트(45)가 피스톤본체(30)의 우측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하게 된다.
이때 내,외측실린더(2,1)를 상호 잡아당겨 신장시키는 경우 작동매체공간(16,28) 및 밸브설치공간(36)에 있던 내부 작동매체, 예를들면 오일은 유로(33), 유로조절홈(46) 및 유로(32)를 통하여 작동매체공간(27)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이때 유로조절홈(46)은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레버(47)를 작동공(15)내에서 좌,우회전시킴에 따라 유로조절홈(46)과 상기 유로(32,33)와의 연통되는 면적을 조정하여 작동 매체가 흐르는 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4도의 경우엔 고속, 제5도의 경우엔 중속, 제6도의 경우엔 제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작동레버(47)의 회전각도에 따라 유로조절홈(46)의 연통되는 면적을 미세조절하여 다양하게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전술한 상태에서, 내,외측실린더(2,1)를 상호 가압하여 처음상태로 원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는 전술한 바와같이 작동매체가 작동매체공간(27)으로부터 유로(32), 유로조절홈(46) 및 유로(33)를 통하여 작동매체공간(28,16) 및 밸브설치공간(36)으로 이동할 수도 있겠으나, 대부분은 유로(35)를 통하여 작동매체가 밸브시이트(45)을 가압하고 제1도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밸브시이트(45)가 후퇴하면서 그 사이를 통하여 밸브설치공간(36) 및 작동매체공간(28,16)으로 이동하게 되어 손쉽게 거의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원위치되게 된다.
만일 전술한 경우와는 반대로 내,외측실린더(2,1)를 상호 가압하는 경우 작동압력 및 속도제어를 행하고자 할 때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레버(47)를 제8도의 상태에서 제9도를 거쳐 제10도의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편심축(47')을 후방으로 위치시키고 작동로드(6)가 로드공(38) 및 중심공(31)을 타고 후진, 밸브시이트(42)가 피스톤본체(30)의 좌측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하게 된다.
이때 내,외측실린더(2,1)를 상호 가압하여 축소시키는 경우, 작동매체는 유로(32), 유로조절홈(46) 및 유로(33)를 통하여 작동매체공간(28)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이때 유로조절홈(46)을 전술한 바와같이 작동레버(47)를 좌,우회전시킴에 따라 조절하여 제동이나 그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태에서 내, 외측실린터(2,1)를 상호 잡아당겨 신장시키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전술한 바와같이 작동 매체가 작동매체공간(28,16)이나 밸브설치공간(36)으로부터 유로(33), 유로조절홈(46) 및 유로(33)를 통하여 작동매체공간(27)으로 이동할 수도 있겠으나, 대부분은 유로(35)를 통하여 작동 매체가 밸브시이트(42)를 가압하고 제2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시이트(42)가 후퇴하면서 그 사이를 통하여 상기 공간(16,28,36)으로부터 유로(35)를 통하여 작동매체공간(27)으로 이동하게 되어 손쉽게 거의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신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변형례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우선 제11도에 도시한 변형례를 살펴보면 전술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실시얘와 대비하여 볼 때 외측실린더(1)와 내측실린더(2)의 구조는 동일하고 피스톤(3)과 작동로드(6)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상이한 정도이다.
즉, 피스톤(3)은 피스톤본체(30)와 피스톤로드(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피스톤본체(30)는 중심공(31) 및 이 중심공(31)과 연통되는 수직으로 유로(32,33)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32,33) 사이의 외주연에 기밀유지용 시일링(34)이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로(35)가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4)는 피스톤 본체(30)와 실린더블록(5)의 고정공(14)에 양측이 결합고정되고 내측엔 로드공(3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작동로드(6)는 상기 유로(32,33)가 위치하는 곳에 유로조절홈(46)이 형성되고 후부엔 작동공(15)에 끼워지는 작동레버(47)가 결합되며 작동매체공간(27)의 내부로서 작동로드(6)엔 탄지스프링(41)에 탄지되는 밸브시이트(42)를 스냅링(40)과 함께 설치하여 밸브시이트(42)가 유로(3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레버(47)의 조절에 따라 내,외측실린더(2,1)의 압축시에 작동속도 및 제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점이 상이하다.
전술한 제11도에 도시한 변형례는 작동시 내,외측 실린더(2,1)를 가압하는 경우에 작동압력과 속도제어 및 제동을 행하고자 할 때에만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한 작동설명 내용에서와 같이 작동레버(47)를 좌,우회전 시킴에 따라 작동로드(6)의 유로 조절홈(46)과 유로(32,33)의 연통하는 통로의 면적크기를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절하여 작동매체의 통과유량을 조절하고 이에따라 속도의 제어 또는 제동이 가능하게 되며, 반대로 내,외측실린더(2,1)를 인장시키는 경우에는 작동매체가 유로(35)를 통하여 밸브시이트(42)를 가압하게 되어 이격되면서 작동매체는 작동매체공간(16,28)으로부터 작동매체공간(27)으로 이동하게 되어 거의 부하가 없는 상태로 원위치되게 된다.
다음 제12도에 도시한 변형례를 살펴보면, 전술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비하여 볼 때 내,외측실린더(2,1)의 구조는 동일하고 피스톤(3)의 경우 밸브설치공간(36)이 없이 피스톤본체(30)과 피스톤로드(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피스톤본체(30)는 중심공(31) 및 이 중심공(31)과 연통되는 수직으로 유로(32,33)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32,33)사이의 외주연엔 기밀유지용 시일링(34)이 끼워지며,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유로(35)가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4)는 피스톤본체(30)와 실린더블록(5)의 고정공(14)에 양측이 결합고정되고 내측엔 로드공(3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작동로드(6)는 상기 유로(32,33)가 위치하는 곳에 유로조절홈(46)이 형성되고 후부엔 작동공(15)에 끼워지는 작동레버(47)가 결합되며 작동매체공간(28)의 내부로서 피스톤로드(4)에 탄지스프링(44')에 탄지되는 밸브시이트(45')를 스냅링(43')과 함께 설치하여 밸브시이트(45')가 유로(3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레버(47)의 조절에 따라 내,외측실린더(2,1)의 신장시에 작동속도 및 제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점이 상이하다.
제12도에 대한 상기 변형례는 내,외측실린더(2,1)를 상호 인장하는 경우 작동압력과 속도제어 및 제동제어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한 작용설명 내용에서와 같이 작동레버(47)를 좌,우회전시킴에 따라 작동로드(6)의 유로조절홈(46)과 유로(32,33)의 연통하는 통로의 면적크기를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절하여 작동매체의 통과유량을 조절하고 이에따라 속도의 제어 또는 제동이 가능하게 되며, 반대로 내,외측실린더(27)를 압축시키는 경우에는 작동매체공간(27) 내부에 있던 매체가 유로(35)를 통하여 밸브 밸브시이트(43)를 가압하게 되어 이격되면서 작동매체는 작동매체공간(28,16)으로 거의 부하가 없는 상태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축소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인 제어장치는 내,외측에 실린더(2,1)가 서로 끼우고 뺄 수 있게 2중으로 결합되고 내측실린더(2)의 내측엔 피스톤(3)이 피스톤로드(4)에 의하여 실린더블록(5)에 고정되며 피스톤(3) 및 피스톤로드(4)의 내측에는 작동로드(6)가 끼워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작동레버(47)와 연동되는 작동로드(6)에 밸브시트(42,45,45')를 설치하고 유로조절홈(46)을 형성하면서 피스톤본체(35)엔 유로(32,33,35)를 각각 형성함으로서, 작동로드(6)의 전지후퇴에 따라 설정되는 밸브시이트(42,45,45')와 유로(35)의 상호 관계 및 작동로드(6)의 좌,우회전에 따라 설정되는 유로(32,33)와 유로조절홈(46)의 상호관계에 의하여 양측실린더(1,2)의 압축 또는 인장시에 왕복동이 수행되면서 가해지는 작동압력이나 속도의 제어와 함께 제동이 가능하고 압축전용 또는 신장전용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로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시엔 제동효과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부하를 필요로 하는 기기의 부품으로서 사용하거나 아니면 기존의 유공압실린더의 작동부위에 병설하여 요구되는 속도의 제어나 제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공압실린더의 작동부위에 병설하여 사용하는 경우엔 기존의 공압실린더가 갖는 속도제어 및 제동상 부정확성을 탈피하여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작동매체를 공급받거나 또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작동매체를 배출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내부작동매체가 외부로 누출된 염려가 없어 누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기계식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원가나 운영상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외측실린더(1)의 내측에 내측실린더(2)가 끼워지고 내측실린더(1)의 내측엔 피스톤(3)이 끼워지며 피스톤(3)의 일측과 외측실린더(1)의 실린더블록(5) 사이에 피스톤로드(4)가 고정되는 동시에 피스톤(3) 및 피스톤로드(4)의 내측에는 작동로드(6)가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외측실린더(1)는 전단에 웨어링(1) 및 시일용 링(12)이 끼워지는 고정부재(13)가 결합고정되고, 후단엔 중심의 고정공(14)과 수직의 작동공(15)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실린더블록(5)이 결합고정되어 이루어지고, 내측실린더(2)는 시린더튜브(20)의 양측이 실린더블록(21,22)에 의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일측실린더블록(22)의 외측엔 시일링(23)이 결합되고 중심엔 시일링(24)이 끼워진 중심공(25)이 형성되어 피스톤로드(4)가 끼워지며, 실린더튜브(20)의 일측에 유통공(26)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피스톤(3)은 피스톤본체(30)과 피스톤로드(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피스톤본체(30)는 중심공(31) 및 이 중심공(31)과 연통되는 수직의 유로(32,33)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32,33)사이의 외주연엔 기밀유지용 시일링(34)이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로(35)가 설치되고 후부내측엔 밸브설치공간(36)이 마련되며, 피스톤본체(30)를 중심으로 내측실린더(2)의 내측에 좌,우작동매체공간(27,2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4)는 일측에 유통공(37)이 형성된 상태로 피스톤본체(30)와 실린더블록(5)의 고정공(14)에 양측이 결합고정되며 내측엔 로드공(3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동시에, 작동로드(6)는 상기 유로(32,33)가 위치하는 유로조절홈(46)이 형성되고 후부엔 작동공(15)에 끼워지고 편심축(47')을 갖는 작동레버(47)가 결합되며 작동매체공간(27) 및 밸브설치공간(36) 내부로서 작동로드(6)엔 탄지스프링(41)(44)에 탄지되는 밸브시이트(42)(45)를 스냅링(40)(43)과 함께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져 상기 작동레버(47)의 조절에 따라 내,외측실린더(2,1)의 압축 또는 인장시 작동속도 및 제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3)은 피스톤본체(30)와 피스톤로드(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피스톤본체(30)는 중심공(31) 및 중심공(31)과 연통되는 수직으로 유로(32,33)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32,33)상이의 외주연엔 기밀유지용 시일링(34)이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로(35)가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4)는 피스톤본체(30)와 실린더블록(5)의 고정공(14)에 양측이 결합고정되고 내측엔 로드공(3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작동로드(6)는 상기 유로(32,33)가 위치하는 곳에 유로조절홈(46)이 형성되고 후부엔 작동공(15)에 끼워지는 작동레버(47)가 결합되며, 작동매체공간(27)의 내부로서 작동로서(6)엔 탄지스트링(41)에 탄지되는 밸브시이트(42)를 스냅링(40)과 함께 설치하여 밸브시이트(42)가 유로(3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레버(47)의 조절에 따라 내,외측실린더(2,1)의 압축시에 작동속도 및 제동이 가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3)은 피스톤본체(30)와 피스톤로드(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피스톤본체(30)는 중심공(32) 및 중심공(31)과 연통되는 수직으로 유로(32,33)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32,33)사이의 외주연엔 기밀유지용 시일링(34)이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로(35)가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4)는 피스톤본체(30)와 실린더블록(5)의 고정공(14)에 양측이 결합고정되고 내측엔 로드공(3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작동로드(6)는 상기 유로(32,33)가 위치하는 곳에 유로조절홈(46)이 형성되고 후부엔 작동공(15)에 끼워지는 작동레버(47)가 결합되며 작동매체공가(28)의 내부로서 피스톤로드(4)엔 탄지스프링(44')에 탄지되는 밸브시이트(45')를 스냅링(43')과 함께 설치하여 밸브시이트(45')가 유로(3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레버(47)의 조절에 따라 내,외측실린더(2,1)의 신장시에 작동속도 및 제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시일용링(12)은 압착돌기부(12-1), 수직결합부(12-2), 더스트립(12-3) 및 오일립(12-4)을 일체로 형성하고 기밀유지용 고정부재(13)는 테이퍼나사부(13-1), 고정요홈(13-2)이 형성된 고정홈(13-3)을 마련하여 테이퍼나사부(13-1)는 실린도(1)와 결합되고 고정홈(13-3)엔 상기 시일용링(12)을 결합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KR1019910017878A 1991-08-01 1991-10-11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KR95000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878A KR950007253B1 (ko) 1991-08-01 1991-10-11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US07/921,903 US5275085A (en) 1991-08-01 1992-07-29 Control device for pneumatic cylinder
JP4205337A JPH05196007A (ja) 1991-08-01 1992-07-31 空圧シリンダ用制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1-13342 1991-08-01
KR910013342 1991-08-01
KR1019910017878A KR950007253B1 (ko) 1991-08-01 1991-10-11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350A KR930008350A (ko) 1993-05-21
KR950007253B1 true KR950007253B1 (ko) 1995-07-07

Family

ID=6746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878A KR950007253B1 (ko) 1991-08-01 1991-10-11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2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350A (ko) 199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1518B1 (en) Vacuum valve
KR0166223B1 (ko) 공압실린더
TWI388754B (zh) 真空閥
FI72184B (fi) Fluidumaktiveringsorgan foer stegloes reglering av ventiler
JP6160924B2 (ja) ゲートバルブ
JP2003535295A (ja) 複式ピストン表面を有するアクチュエータ
US6142181A (en) 3/3-way valve
JP4038118B2 (ja) 流体圧シリンダ
JPH09512329A (ja) 自己の媒体によって作動するバルブ
JP4570299B2 (ja) ロータリアクチュエータ
CA1144398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reciprocatory motion
KR950007253B1 (ko)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JPS60179315A (ja) 車両用懸架装置
CA1044571A (en) Stroke limiting apparatus for hydraulic cylinders
US20010035090A1 (en) Linear actuator with air cushion mechanism
US5275085A (en) Control device for pneumatic cylinder
US3563349A (en) Blockable device for the stepless adjustment of flaps
US2910047A (en) Fluid operated cylinder and piston assembly
US4745845A (en) Compressed air flow regulating devices
JP2003254303A (ja) クッション機構付空気圧シリンダ
KR100489553B1 (ko) 진공 게이트밸브
KR950005294Y1 (ko) 공압실린더용 제어장치
JPH0463272B2 (ko)
US20110309283A1 (en) Device for the Hydropneumatic Control of a Valve with a Pneumatic Locking Means
US20230304515A1 (en) Three-position pneumatic or hydraulic power cyl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