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688Y1 - 조립식 권양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권양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6688Y1 KR950006688Y1 KR92020060U KR920020060U KR950006688Y1 KR 950006688 Y1 KR950006688 Y1 KR 950006688Y1 KR 92020060 U KR92020060 U KR 92020060U KR 920020060 U KR920020060 U KR 920020060U KR 950006688 Y1 KR950006688 Y1 KR 9500066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tube
- coupled
- hole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 B66B23/26—Handrails of variable speed type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권양기 2 : 받침대
3 : 지주관 4 : 회전관
5 : 지지대 6 : 동력발생장치
7 : 버팀목 삽지관 8 : 버팀목
9 : 볼트 10 : 핸들
11 : 나사공 12 : 축지봉
13 : 삽지관 14 : 고정판
15 : 축지공 16 : 로울러
17 : 통공 18 : 볼트
19 : 축지공 20 : 통공
21 : 로울러 22 : 후크
23 : 볼트 24 : 걸고리
25 : 로우프 권취로울러 25' : 로우프
26 : 모우터 27 : 감속기
28 : 전자브레이크 29 : 체인
30 : 삽지봉 31 : 보조로울러
32 : 걸고리 33 : 콘트롤러
본 고안은 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건축공사 현장 등에 설치하여 각종 물품이나 건축자재 등을 작업 현장까지 들어 올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소형 권양기의 개량된 고안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권양기를 분해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이동 및 설치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하여 각종 건축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각종 건축 공사장에서는 모래나 자갈 및 벽돌 등 각종 건축자재들을 옥상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소요되므로 대형 건축 공사장에서는 규모가 큰 권양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공사 규모가 비교적 소규모인 공사장에서는 대형 권양기를 설치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근래에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91-6919 호와 같은 소형 권양기를 개발하여 실용화 하고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지주와 지지대만을 분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동 및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려워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랐고 또한 중량이 너무 무거워 권양기를 공사장의 옥상까지 들어 올리는데 따른 인력이 과도히 소요되는 등 작업 능률이 매우 저조하였고 특히 작업 여건에 따라서 작업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경우는 지주의 상단부에 베어링을 축착하였기 때문에 대부분 중량물인 건축골재의 무게에 의해 베어링의 마손율이 매우 높아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권양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각 부분을 분해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운반 작업을 매우 간소하게 하고 작업 현장의 여건에 따라 높이와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동력 전달 장치를 분해 결합할 수 있게 하므로서 기대와는 별도로 작업시 가능하게 하여 제조 원가는 종래와 동일하면서 작업 능률은 월등히 향상되도록 하고 특히 본 고안은 감속기의 후방측에 전자 브레이크를 장착하므로서 목적물의 중량에 의해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공사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용 소형 권양기(1)를 형성함에 있어서, 받침대(2)의 지주관(3)과 회전관(4), 지지대(5) 및 동력발생장치(6)를 각각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받침대(2)의 상부에는 나사공(11)에 핸들(10)을 결합한 지주관(3)을 입설하고 3방으로는 버팀목(8)을 삽지할 수 있는 버팀목 삽지관(7)을 착설한다.
그리고 회전관(4)의 상측에는 축지공(15)과 다단으로 통공(17)이 각각 천설된 한쌍의 고정판(14)을 대향으로 부착하여 일측에는 로울러(16)를 축착하고 중앙부에는 삽지관(13)을 상하 2쌍씩 고정하고 하부에는 중심잡기용 축지봉(12)을 용착하여 지주관(3)과 결합할 수 있게 하고 고정판(14)의 중앙에는 지지대(5)를 결합하되 일측에는 볼트(18)를 축삽할 수 있는 축지공(19)과 통공(20)을 각각 천설하여 볼트(18)로서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중앙 하측 및 전방측에는 수개의 거리 조절용 걸고리(24)와 로울러(21)를 각각 축설한다.
그리고 회전관(4)의 삽지관(13)에는 모터(26)이 동력이 감속기(27)에 전달되어 체인(29)의 구동으로 로우프권취로울러(25)를 구동시키게 한 통상의 동력 발생장치(6)를 결합하되, 동력발생장치(6)의 일측에는 회전관(4)의 삽지관(13)에 결합되는 삽지봉(30)을 용착하여 상호 결합되게 하고 상기 감속기(27)에는 전자브레이크(28)를 장착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1은 로울러이고, 32는 걸고리, 33은 콘크롤러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을 분해하여 보관할 경우는 먼저 동력 발생장치(6)를 위로 살짝 들어 올리면 회전관(4)의 삽지관(13)에 결합된 삽지봉(30)이 이탈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판(14)의 볼트(18)를 각각 분해하여 지지대(5)를 분리시킨 후 하측이 회전관(4)은 지주관(3)에 결합된 핸들(10)을 돌려서 간단하게 분리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도 보관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각종 소규모의 건출 공사장에 설치할 경우는 각각 분해된 상태로 건축물의 옥상에 올린 다음 분해 방법과는 반대로 받침대(2)의 상부에 입설된 지주관(2)에 회전관(4)을 삽설하여 핸들(10)을 나사공(11)에 나삽하여 고정시키면 회전관(4)의 하부에 부착된 축지봉(12)이 받침대(2)의 바닥면에 긴밀히 접지되어 마찰면을 최소화 하므로서 회전관(4)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5)를 작업 방향에 따라 원활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측에 대향으로 고정된 고정판(14)의 사이에 지지대(5)를 간설하고 각각의 축지공(15)(19)과 통공(17)(20)에 볼트(18)로서 고정시키되, 각 축지공(16)(19)은 축지식으로 결합하고 각 통공(17)(20)은 지지대(5)의 상하 높이를 적당히 설정하여 고정판(14)의 통공(17)에 임의로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관(4)에 동력 발생장치(6)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회전관(4)에 부착된 삽지관(13)의 내부에 동력발생장치(6)의 삽지봉(30)을 상호 결합시키면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조립 작업이 완성되면 건축물의 옥상 등 각종 공사 현장의 적당한 위치에 본 고안을 설치하여 받침대(2)에 부착된 버팀목 삽지관(7)에 버팀목(8)을 삽지한 다음 볼트(9)로서 견고히 고정시키고 난 후 각 버팀목(8)의 끝단부에는 세멘트 등 비교적 무거운 건축용 적재물을 얹어 놓고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이의 구체적인 작업 방법은 이미 선행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작업 현장의 환경이나 여견에 따라 지지대(5)의 높낮이와 벽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즉 각 축지공(15)(19)와 볼트(18)를 축지점으로 타측의 통공(17)(20)에 결합된 볼트(18)를 분리하여 지지대(5)의 선단부를 올리거나 내려서 적당한 높이로 작업할수가 있고 또한 제 2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5)의 하측에 결합된 수개의 걸고리(24)에 후크(22)가 다린 로우프(25')의 선단 고리부를 임의의 위치(후크 (22)와 회전관(4)의 거리)에 고정시켜서 작업 현장의 여건에 따라 가감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지주관(3)에 결합된 회전관(4)의 하부에 고정된 축지봉(12)이 받침대(2)의 바닥면에 긴밀히 접지되어 마찰면적을 최소화 하므로서 지주관(3)에 결합된 핸들(10)의 조작으로 회전관(4)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대(5)의 작업 방향을 임의로 설정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발생장치(6)와 기대로 이루어진 권양기(1)를 별도로 분리하여 작업할 수가 있는 것인 바 권양기(1)의 몸체는 건축공사 현장의 옥상에 올려 놓고 동력 발생장치(6)는 건물의 하부에 설치하여 작업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제 1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발생장치(6)의 하측 공간부에 버팀목(8)을 삽지하여 각종 중량물의 건축용 골재를 올려 놓아 고정시킨 후 작업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동력 발생장치(6)의 상측 보조로울러(31)와 걸고리(32)에 로우프(25')를 묶은 다음 콘트롤러(33)를 조작하면서 동력 발생장치(6)가 별도로 구동하여 자체적으로 승강 작동하여 공사현장의 옥상까지 올라가므로 인력 절감면에서도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고안중 통상의 동력 발생장치(6)의 구성함에 있어서, 감속기(27)의 후방측에는 전자 브레이크(28)를 장착하므로서 작업시 전원의 ON, OFF 스위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전자 브레이크(28)가 작동하여 후크(22)에 매달린 목적물이 중량에 의해 자유 낙하하여 발생하는 각종 공사장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소형 권양기(1)를 분해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첫째 : 분해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부피가 매우 소형화 되어 보관 및 운반 작업이 용이하고, 둘째 : 작업 환경이나 여건에 따라 높이와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으며, 셋째 : 동력 전달장치(6)와 몸체를 분리하여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을 일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네째 : 감속기(27)의 일측에 전자 브레이크(28)를 장착하므로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 제작 원가는 종래와 동일하면서도 이에 따른 여러가지의 부수적인 효과가 있는 등 그 실용성이 매우 현저한 고안이다.
Claims (1)
- 받침대(2)의 상부에 3방향으로 버팀목 삽지관(7)을 고정하고, 지주의 상부에 지지대(5)를 분해조립식으로 구성한 통상의 조립식 권양기(1)에 있어서, 지주관(3)에는 하부에 축지봉(12)을 고정한 회전관(4)을 결합하여 지주관(3) 일단의 나사공(11)에 결합된 핸들(10)로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회전관(4)의 상측에는 축지공(15)과 수개의 통공(17)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판(14)을 고정하여 내단에는 지지대(5)를 결합하고 축지공(15, 19) 및 통공(17, 20)에 볼트(18)로서 각각 체결하여 축지공(15, 19)을 기점으로 통공(17)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지지대(5)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하고, 이의 하측에는 수개의 걸고리(24)를 결합하며, 회전관(4)의 삽지관(13)에는 동력발생장치(6)를 삽지봉(30)에 의해 분해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권양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20060U KR950006688Y1 (ko) | 1992-10-15 | 1992-10-15 | 조립식 권양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20060U KR950006688Y1 (ko) | 1992-10-15 | 1992-10-15 | 조립식 권양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0017U KR940010017U (ko) | 1994-05-21 |
KR950006688Y1 true KR950006688Y1 (ko) | 1995-08-18 |
Family
ID=1934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20060U KR950006688Y1 (ko) | 1992-10-15 | 1992-10-15 | 조립식 권양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6688Y1 (ko) |
-
1992
- 1992-10-15 KR KR92020060U patent/KR95000668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0017U (ko) | 1994-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550270B (zh) | 超大型自行式隧道多功能作业平台及隧道钢筋防水板施工方法 | |
KR100917962B1 (ko) | 이동식 버켓 크레인 | |
CN213205004U (zh) | 建筑用导轨式行走接料平台 | |
WO2024169413A1 (zh) | 一种扩展式多功能集成施工空中造楼平台及其施工方法 | |
CN210048319U (zh) | 一种折叠天梁曳引式施工升降机 | |
CN2414055Y (zh) | 重载塔吊装置 | |
KR950006688Y1 (ko) | 조립식 권양기 | |
CN113481972B (zh) | 一种钢筋笼上料运输及下笼装置 | |
CN213171212U (zh) | 一种用于建筑工程的起重装置 | |
CN212151298U (zh) | 一种厂房施工专用辅助吊装装置 | |
JP5399111B2 (ja) | 重量物の敷設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CN219946030U (zh) | 一种tbm主驱动原位拆解翻转工装 | |
CN115419249B (zh) | 集装式智能爬升多功能平台、安装方法及爬升方法 | |
CN219603119U (zh) | 一种用于alc板的组合式吊运装置 | |
CN216377189U (zh) | 一种起重运输小车 | |
CN218060519U (zh) | 一种挖掘机配重总成 | |
CN217201862U (zh) | 一种建筑机械装配式用的抬升设备 | |
CN217681572U (zh) | 一种陡峭岩石坡面锚杆钻孔操作平台爬行车 | |
CN219973150U (zh) | 一种地基夯实装置 | |
CN212893590U (zh) | 一种工程建设用起吊装置 | |
CN216889867U (zh) | 一种nalc轻质隔墙板安装装置 | |
CN218539068U (zh) | 一种支吊架吊装装置 | |
CN215592434U (zh) | 工程施工用上料装置 | |
CN213899013U (zh) | 一种煤矿用液压支架组装、解体平台 | |
CN212079249U (zh) | 用于竖井开挖的出渣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