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502Y1 -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502Y1
KR950006502Y1 KR92014561U KR920014561U KR950006502Y1 KR 950006502 Y1 KR950006502 Y1 KR 950006502Y1 KR 92014561 U KR92014561 U KR 92014561U KR 920014561 U KR920014561 U KR 920014561U KR 950006502 Y1 KR950006502 Y1 KR 950006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onductive
wire
ge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167U (ko
Inventor
최중웅
Original Assignee
최중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웅 filed Critical 최중웅
Priority to KR92014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502Y1/ko
Publication of KR940005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Landscapes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왕복이동대의 단면설명도.
제 3 도는 본 고안 왕복이동대의 이동을 표시한 전체평면 설명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회로 설명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무대장치를 승강시키는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정역모타
3 : 감속기 4 : 회전축
5 : 와이어 권취용 드럼 6, 6' : 입설판
7, 7' : 전도판 8 : 지지판
9 : 회전봉 9' : 회전봉의 나사선
10, 10' : 기어 11 : 왕복이동대
12, 12' : 도전통 13 : 볼
14 : 절환스위치 15, 15' : 전선
16, 16' : 도전통의 접속단자
본 고안은 무대공간에 설치된 스크린, 국기, 현수막등의 무대장치물을 이에 연결된 와이어로 상하승강시킴에 있어 와이어를 권취되게 한 권취장치의 정역모타의 회전량을 일정한 범위로 제한시켜 무대장치가 파손됨이 없이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게 한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당이나 극장등의 무대에는 행사의 종류에 따라 스크릴이나 국기 또는 현수막등을 상하승강되게 하여 필요시에만 무대 공간의 정위치에 현가되게 하고 불필요시에는 이를 위로 끌어올려 무대위의 공간부에 숨게 하여 공간을 활용하는 것인데, 그 장치들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전기한 장치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그 와이어를 권취드럼에 권취시킨후 이를 정역모타에 의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가 드럼에 권취될 경우에는 무대장치가 상승되고 와이어가 풀릴 경우에는 무대장치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원하는 위치에 현거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승강장치는 절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정어모타의 회전을 정지시켜 무대장치가 정지되게 한 것이어서 이를 하강시킬시에는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하여 숙련도가 필요하고, 정지위치가 조금씩 달라 균형을 요하는 무대장치의 언밸란스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특히 이를 상승시켜 안보이는 곳에 내입시킬 경우에는 그 정지위치를 직접 볼 수가 없어 자칫하면 그 위치를 초과 상승하여 천정과 부딪히면서 무대장치가 파손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무대장치를 상승승강시킴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제거코저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1)상에 정역모타(2)를 설치하고 이를 감속기(3)를 체인연결하여 그 회전축(4)상에 와이어권취용 드럼(5)이 축설된 와이어 권취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입설판(6)(6')을 형성하고 그 사이의 바닥면 전후에 전도판(7)(7')을 부착형성한 지지판(8)을 기판(1)의 일측에 설착하되, 입설판(6)(6')에는 나사선(9')이 형성된 회전봉(9)을 축삽하여 그 일단에 설착된 기어(10)로서 전기한 회전축(4)상의 기어(10')와 체인연결하고, 회전봉(9)의 나사선(9')에는 이와 일치되는 나사선을 갖는 왕복이동대(11)를 나삽하여 그 양측에 형성된 도전통(12)(12')내의 금속재볼(13)이 전도판(7)(7')에 접동되게하되, 절환스위치(14)로부터 연결된 전선(15)(15')을 양전도판(7)(7')에 연결하고 이를 도전통(12)(12')의 접속단자(16)(16')를 거쳐 정역모타(1)에 연결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7은 콘덴사, 18, 18'는 체인, 19는 와이어, 20은 무대장치물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권취장치는 절환스위치(14)의 절환조작에 의해 정역모타(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감속기(3)에 의해 증대된 회전력에 의해 권취용드럼(5) 역시 정역회전하게 되어 이에 권취된 와이어(19)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제 5 도의 도시와 같이 그 반대쪽 끝단에 연결된 무대장치물(20)이 상하승강되므로서 무대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무대장치물(20)을 상부로 상승시켜 두고자 할때는 절환스위치(14)의 일측 상승보턴을 누르게 되면 정역모타(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속기(3)를 거쳐 권취용드럼(5) 역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에 권취된 와이어(19)를 더욱 감기게 하는 것인데, 이때 드럼(5)의 회전과 동시에 그 회전축(4)상에 설착된기어(10')에 의해, 입설판(6)(6')에 회전될 수 있게 축설된채 체인 연결된 회전봉(9)을 동시회전시키므로서 회전봉(9)이 회전하면서 그 나사선(9')에 의해 그 주면에 동일한 나사선으로 나사결합된 왕복이동대(11)가 제 3 도의 도시와 같이 앞으로 전진케되는 것인데, 절환스위치(14)로부터 정역모타(2)에 연결되는 전선(15)(15')이 지지판(8)일측에 해당 전도판(7)을 통하여 이에 접동되는 왕복이동대(11)의 볼(13)과 도전통(12)을 거쳐 연결된것이어서, 절환스위치(14)의 상승보턴을 무대장치물(20)이 눈에 안보이는 곳에 진입한후 계속누르고 있더라도 왕복이동대(11)가 회전봉(9)의 나사선(9')을 타고 이동하면서 일측의 해당전도판(7)을 벗어나는 순간 도통되던 전원이 끊기면서 전류의 공급을 차단시켜 정역모타(2)의 회전을 중지시키므로서 와이어(19) 역시 권취동작을 멈추어 무대장치물(20)이 더이상 상승하지 않고 멈추므로서 천정등에 부딪힐 염려등이 없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것이며, 무대의 크기가 무대장치물(20)의 높이등에 따라 전도판(7)의 깊이를 조절하여 놓음으로서 언제나 일정한 위치에서 정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무대장치물(20)을 하강시켜 정위치에 위치시키고자할때는 절환스위치(14)의 반대쪽의 전도판(7')에 전류가 공급되어 정역모타(2)에 전류가 다시 도통되므로서 정역모타(2)가 반대로 역회전하면서 권취된 와이어(19)을 풀어주게 되어 그 반대쪽에 매달린 무대장치물(20)이 하강하는 것인데, 왕복이동대(11) 역시 전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무대장치물(20)이 정위치하는 순간 절환스위치(14)의 보턴을 계속누르고 있더라도, 반대쪽 해당전도판(7')을 벗어나게 되어 전류공급이 차단되므로서 정역모타(2)의 회전이 중지되어 와이어(19)의 풀림이 정지되면서 그 무대장치물(20)이 정위치에서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무대장치물(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있어서, 절환스위치(14)의 조작을 정확하게 하지 않더라도, 무대크기나 장치물(20)의 위치등에 따라 그 전도판(7)(7')의 길이만을 임의의 길이로 조절하여 놓음으로서 눈에 보이지 않는곳 또는 정위치상에서 정확하게 멈추게 되어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무대장치물(20)의 승강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무대장치물이 천정등에 부딪혀 파손될 염려가 없고 항상 정위치에 위치되게 하여 균형있는 무대장치를 제공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판(1)상에 정역모타(2)를 설치하고, 이에 감속기(3)를 체인연결하여 그 회전축(4)상에 와이어 권취용드럼(5)이 축설된 와이어 권취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입설판(6)(6')을 형성하고 그 사이의 바닥면 전후에 전도판(7)(7')을 부착형성한 지지판(8)을 기판(1)의 일측에 설착하되, 입설판(6)(6')에는 나사선(9')이 형성된 회전봉(9)을 축삽하여 그 일단에 설착된기어(10)로서 전기한 회전축(4)상의 기어(10')와 체인연결하고, 회전봉(9)의 나사선(9')에는 이와 일치되는 나사선을 갖는 왕복이동대(11)를 나삽하여 그 양측에 형성된 도전통(12)(12')내의 볼(13)이 전도판(7)(7')에 접동되게 하되, 절환스위치(14)로부터 연결된 전선(15)(15')을 양 전도판(7)(7')에 연결하고 이를 도전통(12)(12')의 접속단자(16)(16')를 거쳐 정역모타(2)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KR92014561U 1992-08-04 1992-08-04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KR950006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561U KR950006502Y1 (ko) 1992-08-04 1992-08-04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561U KR950006502Y1 (ko) 1992-08-04 1992-08-04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167U KR940005167U (ko) 1994-03-16
KR950006502Y1 true KR950006502Y1 (ko) 1995-08-14

Family

ID=1933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561U KR950006502Y1 (ko) 1992-08-04 1992-08-04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25B1 (ko) * 2008-06-05 2009-05-22 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동커튼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25B1 (ko) * 2008-06-05 2009-05-22 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동커튼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167U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6195A (en) Motorized electrical apparatus for movement of an electrical fixture with uninterrupted electricity
KR950006502Y1 (ko)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KR100645889B1 (ko) 전원케이블 승강장치
EP0774097B1 (en) A lifting device for the controlled vertical transfer of objects
JP2004038050A (ja) 内照昇降式看板照明装置
EP1453398B1 (en) Lamp and table (lamp 'n'table)
KR200357690Y1 (ko) 전원케이블 승강장치
KR20050103153A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CN217600285U (zh) 一种配电带电作业用导线提升装置
JPH10241448A (ja) 照明器具用昇降装置
JPS6339848Y2 (ko)
JP3231939B2 (ja) ワインダのワイヤ抜け止め装置
CN213459419U (zh) 一种便于调节的电感器用绕线机
JP2001184935A (ja) 昇降形照明装置
JPS58842Y2 (ja) ジキタンシヨウヨウニジユウパレツト
KR950009133B1 (ko) 무대 승강장치
JPH0329844Y2 (ko)
KR200356233Y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JPH06135432A (ja) 昇降装置
JP2915937B2 (ja) 昇降式照明器具を備えた照明灯
JP2511066Y2 (ja) 電動機の駆動電源回路
KR920001321Y1 (ko) 선재의 자동 코일러 장치
JPS6324569Y2 (ko)
JPH07169318A (ja) 電動昇降装置
KR200302102Y1 (ko) 조명등 승강장치의 바디 감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