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187Y1 -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187Y1
KR950006187Y1 KR92010988U KR920010988U KR950006187Y1 KR 950006187 Y1 KR950006187 Y1 KR 950006187Y1 KR 92010988 U KR92010988 U KR 92010988U KR 920010988 U KR920010988 U KR 920010988U KR 950006187 Y1 KR950006187 Y1 KR 950006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dge
speaker
rectangula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0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307U (ko
Inventor
최재웅
Original Assignee
황선두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두,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선두
Priority to KR92010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187Y1/ko
Publication of KR940002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적용된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이 적용된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개부 2 : 에지 부착부
3 : 통풍구
본 고안은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일축 방향으로 슬림화한 프레임에서 진동 판의 에지를 부착시키는 부착부로 인한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음성 전류로 변환된 음향을 입력받아 다시 음향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인 바, 음성 전류로 입력된 음향을 다시 음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음성 전류에 따라 진동할 수 있는 진동부와 상기한 진동을 음향으로 변화시키는 변환부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전류에 따라 진동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계의 반발 작용을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한 음성 전류의 강도에 따라 반발력의 차이가 발생됨으로써 이로 인한 진동의 변화로 입력된 음성 전류가 음향으로 재생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원리에 의해 동작되는 스피커는 통상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오크(50)에 삽입 고정된 마그네트(51)와 여기에 부착된 포올(52) 그리고 포올(52)의 외주변에 이격 설치된 보이스 코일(53)과 여기서 연결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54)와 댐퍼(55) 그리고 더스트 캡(56)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부품들을 프레임(57)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피커의 일반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프레임(57)에 부착된 라이드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음성 전류가 보이스 코일(53)에 입력되면 자계가 발생되고 마그네트(51)와 요오크(50)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자계와 반발하게 됨과 아울러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른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되어 보이스 코일(53)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 판(54)이 진동하게 된다.
상기한 진동 판(54)의 진동에 따라 음성전류가 음향으로 재생되게 되는 바, 상기한 진동 판(54)의 진동시 불필요한 진동이 진동 판(54)으로 전달됨을 방지하고자 진동 판(54)의 확장부 종단에 에지(58)가 형성되어 있고 진동 판(54)에 부착된 보이스 코일(53)을 자극 공극내에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댐퍼(55)가 진동판(54)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에지(58)는 프레임(57)의 개구부에 프레임(57)의 단축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플램지부(59) 내부에 개스킷(60)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바, 상기한 개스킷(60)은 프레임(57)으로부터 전달되는 불 필요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프레임(57)과 에지(58)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7)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59)는 에지(58)와의 접착에 따른 접착 면의 확보를 위해 형성되어 있고 진동 판(54)의 진동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프레임(57)의 일측에 통풍구(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 판(54)의 에지(58)와의 접착 면 확보를 위해 프레임(57)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플랜지부(59)를 형성함은 스피커의 슬림화에 역행되어 스피커의 슬림화에 한계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스피커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축이 다른 축보다 작게 형성된 스피커의 장방형 프레임에서 에지와의 접착면 확보를 위해 프레임의 일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함에 따른 스피커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레임의 개구부측에 진동 판의 에지와 대응되도록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를 프레임의 내측으로 굽혀 에지 부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여기에 진동 판의 에지를 부착시켜 프레임의 직경을 일정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프레임(57)의 개구부측에 절개부(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절개부(1)를 굽혀 형성한 에지 부착부(2)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에지(58)가 부착된 진동판(54)이 댐퍼(55)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 보이스 코일(53)과 더스트 캡(56)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보이스 코일(53)은 요오크(50)과 포올(53)사이에 유동 자제하도록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에지 부착부(2)는 프레임(57)의 외주변을 따라 개부구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절개함과 아울러 이를 프레임(57)의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절개부(1)는 개부구가 사각형상인 진동 판(54)의 각사면과 동일한 길이로 절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 판(54)의 각 사면과 대응되게 형성된 절개부(1)를 구부려 에지 부착부(2)를 형성하면 프레임(57)의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절개부(1)에 의해 통풍구(3)가 형성되는 바, 소정의 공정을 통해 따로 통풍구(61)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물론, 상기한 에지 부착부(2)와 에지(58)의 사이에는 통상의 개스킷(60)이 개재된 상태로 에지(58)가 에너지 부착부(2)에 부착되게 되고 절개부(1)의 절개폭은 여기에 부착되는 에지(58)의 부착부분과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에지(58)와 에지 부착부(2)가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에 진동 판의 각 사면과 대응되는 길이와 폭으로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를 프레임의 내측으로 구부려 에지 부착부를 형성하여 여기에 진동 판의 에지를 부착시킴으로써 장방형 스피커의 단축부를 더욱 작게 형성하여 스피커를 슬림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장방형 프레임의 상단부에 진동판의 에지를 부착하도록 구성한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장방형 프레임(57)의 개구부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57)의 측면에 "ㄷ"자형상으로 절단 형성된 절개부(1)와, 상기한 절개부(1)를 프레임(57)의 내측으로 구부려 수평 형성하고 진동판(54)의 에지(58)가 부착되는 에지 부착부(2)와, 상기한 절개부(1)의 구부림으로 인해 형성된 통풍구(3)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KR92010988U 1992-06-18 1992-06-18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KR950006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988U KR950006187Y1 (ko) 1992-06-18 1992-06-18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988U KR950006187Y1 (ko) 1992-06-18 1992-06-18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307U KR940002307U (ko) 1994-01-03
KR950006187Y1 true KR950006187Y1 (ko) 1995-08-04

Family

ID=1933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0988U KR950006187Y1 (ko) 1992-06-18 1992-06-18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1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307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151B1 (en) High stability loudspeaker
US5838809A (en) Speaker
KR100948227B1 (ko) 평판형 스피커
KR102085840B1 (ko) 음향 변환 장치
KR950006187Y1 (ko) 장방형 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JP3271075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
JPH11150791A (ja) スピーカ
KR100273942B1 (ko) 스피커장치
JP4606175B2 (ja)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
KR970003652Y1 (ko) 고출력용 스피커
JP4295935B2 (ja) スピーカ装置
KR200203455Y1 (ko) 스피커 장치
JP3767689B2 (ja) スピーカの構造
JP3187610B2 (ja) スピーカ装置
KR0172702B1 (ko) 육각단면의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부재를 구비한 스피커
JP2008167238A (ja) スピーカー装置
JP2005151210A (ja) スピーカ装置
JPH118898A (ja) スピーカ装置
KR0162208B1 (ko) 스피커장치
JPH09187096A (ja) スピーカ装置
JP2002271892A (ja) スピーカ装置
US20080232634A1 (en) Speaker with sound generation part of large area
JP2005167334A (ja) スピーカ装置
JP2006129032A (ja) スピーカー装置用振動板及び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装置
KR200168099Y1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