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951B1 - 용선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용선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951B1
KR950005951B1 KR1019930016250A KR930016250A KR950005951B1 KR 950005951 B1 KR950005951 B1 KR 950005951B1 KR 1019930016250 A KR1019930016250 A KR 1019930016250A KR 930016250 A KR930016250 A KR 930016250A KR 950005951 B1 KR950005951 B1 KR 95000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power
truck
til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999A (ko
Inventor
황호인
Original Assignee
황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호인 filed Critical 황호인
Priority to KR101993001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951B1/ko
Publication of KR95000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6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rs for pig-ir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5Charging cars, lift tro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선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대차가 용선준비반 전방의 리프팅장치 위에까지 견인되어 정지된 상태를 예시한 실시 상태도.
제2도는 선로의 리프팅장치와 대차의 접속콘넥터가 상하에 위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원콘넥터와 접속콘넥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제4도의 (a), (b)는 제3도의 전원콘넥터가 접속콘넥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어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유코드 감지기 3 : 리프팅 장치
4 : 정지위치감지기 5 : 대차
6 : 접속콘넥터 7 : 고유코드
8 : 무선 송수신장치 11 : 제어기
15 : 통전 유무 표시등 16 : 번호일치 표시등
17 : 접속검지 표시등 32 : 전원 콘넥터
34, 61 : 부스바 36 : 수광기
37 : 리밋스위치 39 : 도어
63 : 스프링 64, 65 : 가이드봉
66 : 투광기 37 : 리밋스위치
본 발명은 고로공장에서 용선(쇳물)을 받아 제강공장으로 견인 운반되는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차가 제강공장에 도달하는 동안 그 대차에 대한 고유코드(예: 차량번호) 판독 작업, 대차의 정위치 정지, 정지후 대차를 경공시키기 위한 메인전원의 공급 등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여부에 대한 메인컴퓨터의 데이터를 조작자가 휴대하고 있는 제어기로 수신받아 확인 하면서 조작함에 따라 조작자 혼자서 신속 정확하고 보다 안전하게 대차의 경동작업을 행할 수 있는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는 고로공장에서 용선을 받아담은후 철도 기관차에 의해 제강공장으로 견인되며, 이와같이 운반된 대차의 용선을 제강공장의 전로에 붓기 위해서는 크기와 부피가 엄청나게 큰 대차를 직접 크레인으로 들고 갈수가 없으므로 그 중간 공정으로서 대차를 경동시켜서 (회전시키면서 기울여서) 수강대차의 래들(LADLE)에다 용선을 먼저 부어 옮긴 다음 이런 수강대차를 운반하여 전로에 용선을 공급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로공장에서 견인되어온 대차를 경동시켜서 그 내부의 용선을 수간대차의 래들에 부으려면 제강공장의 용선 준비반에서는 작업자 한사람이 먼저 정지되어 있는 대차의 소켓에 경동용 전원 케이블의 플럭을 수작업으로 꼽아 주어야만 한다. 이는 대차에 자체 동력원이 없기 때문이며, 그후 케이블의 플럭 접속완료 상태를 운전실의 조작자에게 수신호하면 운전실의 조작자는 그 신호를 받고 대차를 경동시켜 대차에 있는 용선을 수강대차에 붓는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강공장의 용선 준비반에서는 견인되어온 대차가 정지되면 준비요원이 경동용 전원 케이블의 플럭을 들고가서 대차에 착부되어 있는 소켓에 전원 케이블의 플럭을 삽입한 후 수신호로 플럭의 삽입을 운전실의 조작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며, 그러면 운전실의 조작자는 상기 접속된 케이블을 통해 대차에 경동용 메인 전원(POWER)을 공급하면서 운전실 데스크(DESK)의 죠이스틱(JOY STICK)을 조작하여 대차를 경동시킴에 ㄸ라 대차내부의 용적물(쇳물)을 수강대차의 래들에 붓는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과정은 운전실의 조작자가 수신호자(경동용 전원 케이블의 플럭을 대차의 소켓에 삽입시킨 작업자)의 행동(수신호 내용)을 계속 주시하면서 주작해야 하고, 현장의 수신호자는 대차의 용적물이 쏟아질때 그 주변에 분진과 고열이 심하게 발생되는 취약한 작업환경 속에서 수신호 작업을 행하여야 됨에 따라 수신호 작업을 서로 하지 않으려고 회피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민첩성이 떨여져서 작업 능률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신호자의 취약한 작업환경에 의해 수신호자와 운전실의 조작자 상호간에 수신호의 의견이 불일치될 경우 일어나는 운전실의 오조작에 의해 대차에서 쏟어지는 고열(약 1500도)의 용선을 수강대차의 래들이 아닌 작업장 바닥에 붓게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수신호 작업자가 심한 화상을 입게되는 인재사고와, 고가의설비가 타게되는 화재사고 등 대형사고가 자주 유발되는 주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차 운전실의 조작자와 전원 케이블의 플럭을 삽입하는 수신호자 등 2명이 최소한 필요하여 인력손실이 많으며, 상기와 같이 경동작업을 수행한 후에 대차에서 전원 케이블의 플럭을 미처 뽑지않은 상태에서 기관사가 대차를 다시 견인해 갈 경우에는 전원 케이블이 끌려가다가 끊어지게 됨에 따라 절손된 케이블의 복구에 따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이로인한 조업손실이 막대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약간 작업시 자주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경동로 본체의 일측에 경동실린더를 설치한 후 경동로 본체를 상기 경동실린더로 기울임에 따라 본체내의 금속용탕이 출탕 한 경동로 장치(일본 특개소 61-138087호)가 발명된 바 있는데, 이는 미리 설정된 출탕량과 경동상태 검출수단에서의 경동각도 신호에 의거하여 경동로 본체의 기준 경동속도를 연산함으로서 출탕량을 양호하게 자동제어한다는 것으로서, 본원발명과 같이 고로공장에서 제강공장으로 운반 되는 경동대차의 고유코드 확인 및 정위치 정지, 메인전원의 접속 등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그 동작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조작자가 휴대하고 있는 제어기로 받은 후 조작자 혼자서도 안전하게 대차를 경동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구성은 현재까지 제안된 바 없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수신호와 수작업에 의한 경도 작업상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고로 공장에서 용선을 받아 제강공장으로 운반되는 대차가 제강공장에 도달하는 동안 그 대차에 대한 고유코드 판독, 대차의 정위치 정지, 정지된 대차를 경동시키기 위한 메인전원 공급 등 여러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그 동작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조작자가 휴대하고 있는 제어기로 수신하여 확인하면서 제어기를 조작함에 따라 다른 작업자의 수신호 없이도 조작가 혼자서 신속 정확하고 보다 안전하게 대차의 경동작업을 행할 수 있는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공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에 대한 기술구성 및 제어방법에 의한 작용효과 실시예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는 용선준비반의 전방에 위치한 선로(1)상에 철도 컴퓨터(A)와 조업컴퓨터(B) 및 중앙컴퓨터(C)와 접속된 대차의 고유코드 감지기(2); 대차에 메인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넥터 접속용 리프팅 장치(3); 대차의 정위치 정지 여부를 감지하는 정지위치감지기(4)를 설치하면 구성한다
이때 상기 리프팅장치(3)의 케이스(30)내에는 제3도와 같이 실린더(31)로 승강되는 전원공급용 콘넥터(32)(이하 "전원콘넥터"라 칭함) 상에 파워케이블(33)과 접속된 부스바(BUS BAR : 34), 상기 부스바에 묻은 오물 제거용 에어 노즐(35),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수광기(36)를 설치하되 전원컨넥터(32)의 하강위치의 리밋스위치(37)로 제어되고 하고, 케이스(30) 상면에는 실린더(38)로 개폐되는 도어(39)를 설치한다.
그리고 견인되는 대차(5)에는 차량번호가 입력된 고유코드(7), 제어기와 데이타를 교신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8), 메인전원 스위치가 설치된 제어판넬(9), 전원충전기(10), 전원접속용 콘넥터(6)(이하, "접속콘넥터"라 칭함)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접속콘넥터(6)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파워케이블(60)과 접속된 부스바(61)를 전원콘넥터(32)의 부스바(34)와 대향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절연판(62)의 저면에 성치하되 스프링(63)이 내설된 상하 가이드부(64), (65)의 신축작용에 의해 부스바(61)가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접속콘넥터(6)에는 리프팅 장치(3)의 작동제어용 리밋스위치(67) 및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투광기(66)를 설치하여 반사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수광기(36)가 대차(5)의 정위치 정지 상태를 판독 확인하면 즉시 리프팅 장치(3)에 전원이 인가되게 한다.
그리고 대차(5)의 무선 송수신장치(8)의 응답되는 제어기(11)에는 죠이스틱(12), 파워 인코밍, ON, OFF 버튼(13), 대차번호 키보드(14), 대차(5)의 R.S.T상 통전 유무 표시등(15), 수광기(36)와 투광기(66)의 접속 검지 표시등(17), 번호일치 표시등(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어기(11)는 조작자가 간편히 휴대할 수 있도록 멜빵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8)은 대차(5)의 용선을 받는 수강대차의 래들이고(51)은 대차(5)의 일측에 설치된 경동체인 이면(52)는 경동모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의해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선준비반의 전방에 위치한 선로(1)상에서 견인되는 대차(5)가 고유코드 감지기(2)를 지나가면 대차(5)의 차량번호를 입력한 고유코드(7)를 고유코드 감지기(2)와 판독한 후, 그 데이터는 철도컴퓨터(A)를 통해 중앙컴퓨터(C)로 송신되며 이는 조업컴퓨터(B)에서 정위치 정보와 차량의 고유코드에 대한 데이터 요구시 전달된다.
그후 견인되는 대차(5)가 수강대차의 상부 위치에 거의 도달하면 정지위치 감지기(4)에서 서서히 진입되는 대차(5)의 위치를 감지하면서 리프팅 장치(3)의 제어(CONTROL) 전원을 인가시킨다.
그러면 실린더(38)가 작동하여 리프팅 장치(3)의 상측 도어(39)가 열리면서 수광기(36)에서 레이저빔의 발사가 시작되는데, 이때 서서히 진입되는 대차(5)의 접속콘넥터(6)측면에 부착된 투광기(66)에서 상기 레이저빔을 인지하거나 수광기(36)로 반사하는 위치까지 대차(5)가 도달되면 그 즉시 대차(5)의 정위치 정지에 대한 데이터를 중앙컴퓨터로 보내면서 에어 노즐(35)로 공기를 분사시켜서 부스바(34) 주변의 이물질과 분진을 제거시켜 준다.
그리고 곧바로 실린더(31)를 작동시켜 전원콘넥터(32)를 상승시키면 제4도(a) 상태에서 전원콘넥터(32)의 부스바(34)가 상승하여 제4도(b)의 실성상태와 같이 접속콘넥터(6)의 부스바(61)와 접지가 되는데, 이때 전원콘넥터(32)가 계속 상승하면 제4도(b)의 쇄선과 같이 접속콘넥터(6)의 부스바(61)가 스프링(63)을 압축하면서 상승을 하게되므로 전원 콘넥터(32)의 부스바(34)와 접속콘넥터(6)의 부스바(61)는 보다 강하게 접촉이 되는 것이며, 그후 상승되는 접속콘넥터(6)가 리밋스위치(67)를 작동시키면 리프팅 장치(3)의 상승작동이 정지되는데, 여기서 상기 리밋스위치(37), (67)들은 위치 감지용 센서로 대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때 대차(5)의 경동을 하기위해 조작자가 휴대하고 있는 제어기(11)는 수광기(36)와 투광기(66)의 매칭이 완료되면 즉시 접속표시등(17)을 점등시켜서 조작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며, 이와같이 제어기(11)의 접속표시등(17)이 점등되면 제어기(11)의 죠이스틱(12)을 중립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키보드(14)로 차량번호를 부여하고 준비위치로 조작하면 제어기(11)에서 그 데이터는 대차(5)에 설치된 무선 송수신장치(8)로 송출이 된다.
그후 상기와 같이 데이터를 송출하여 대차(5) 도착시 이미 고유코드 검지기(2)에 의해 검지된 차량번호등 고유코드와의 일치 유무 확인을 중앙컴퓨터(C)로 부터 전송받은 조업컴퓨터(B)가 검색하여 일치될 경우 무선 송수신장치(8)는 응답신호를 제어기(11)로 다시 보내며, 이때 제어기(11)의 번호일치 표시등(16)이 점등된다.
그러면, 조작자는 이를 확인후 제어기(11)의 파워 인코밍 ON, OFF 보턴(13)을 ON 시키면서 메인전원 스위치를 원격조정에 의해 투입하면 전원콘넥터(32)와 연결된 접속콘넥터(6)를 통해서 전원이 대차(5)의 제어판넬(9)에 인가됨에 따라 대차(5)에 설치된 전원충전기(1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리프팅장치(3)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장소에서의 대차(5) 단독의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와같이 대차(5)에 메인전원이 인가된 후에 조작자가 제어기(11)를 경동위치로 조작하기에 따라 대차 일측의 경동체인(51)과 연결되어 있는 경동모터(52)가, 역전되면서 대차(5)를 회전시켜 주므로 경동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처럼 조작자가 다른 사람의 수신호를 받아 경동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자 혼자서 제어기에 나타나는 정보에 따라 경동조작하는 것이므로 보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동작업이 완료된 후 완료상태 데이터를 대차(5)의 무선 송수신장치(8)가 제어기(11)로 보내오면 제어기(11)를 준비위치로 조작하여 준비위치에서 대차(5)의 제어판넬(9)내에 있는 메인전원의 스위치가 OFF 되게 원격조정을 하며, 그후 제어기(11)의 중립위치에서 실린더(31)를 역작용 시켜서 리프팅장치(3)를 하강되게 조작하면 전원콘넥터(32)는 대차(5)의 접속콘넥터(6)에서 떨어져 하강이 된다.
이때 하강되는 전원콘넥터(32)는 케이스(30)내에 설치된 리밋스위치(37)가 하강위치를 검지하여 제어할 때까지 하강이 되며, 이와같이 리프팅 장치(3)가 원위치되면 에어 노즐(35)의 공기분사는 정지되고 도어(39)가 실린더(38)의 역작용에 의해 닫히게 된 후 메이전원의 스위치는 자동으로 OFF되어 다음 공정의 준비 상태로 유지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와같이 수신호자의 신호에 따라 조작자가 경동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기(11)에 수신되는 각종의 정밀한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각종의 표시등 신호를 보고 조작자가 혼자서 제어기(11)를 조작하여 경동작업을 원활히 수행하는 것이므로 종래에 비해 인력소모를 반으로 줄일수가 있다.
그리고 특히 종래처럼 취약한 작업환경에 의해 수신호자와 운전실의 조작자 상호간에 자주 발생되는 수신호의 의견 불일치 등의 우려가 전혀 없음에 따라 종래와 같이 오조작에 의해 대차에서 쏟아지는 고열(약 1500도)의 용선을 수강대차의 래들이 아닌 작업장 바닥에 붓게되는 경우도 전혀 없게 되므로 불의의 산재사고를 최대한 줄일수 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선로(1)에 의해 이동되는 대차(5)의 경동모터(52)를 구동시켜 대차(5)를 경동시킴에 있어서, 용선준비반 전방의 선로(1)상에는 철도 컴퓨터(A), 조업컴퓨터(B), 중앙컴퓨터(C)로 그 작동여부의 데이타를 보내는 대차의 고유코드 감지기(2)와 전원콘넥터(32)를 승강시키는 리프팅장치(3) 및 차량의 정지위치감지기(4)와 수광기(36)를 설치하고; 대차(5)에는 차량번호가 입력된 고유코드(7), 무선 송수신장치(8), 메인전원 스위치가 내설된 제어판넬(9), 전원충전기(10), 전원콘넥터(32)와 착탈되는 접속콘넥터(6), 레이저빔을 수광기(36)로 반사시키는 투광기(66)를 설치하며; 대차(5)의 무선 송수신장치(8)와 응답되는 조작자 휴대용 제어기(11)에는 죠이스틱(12), 파워 인코밍 ON OFF버튼(13), 대차번호 키보드(14), 대차(5)의 R.S.T상 통전유무 표시등(15), 수광기(36)와 투광기(66)의 접속검지 표시등(17)등 번호일치 표시등(16)를 설치하여 대차에 대한 고유코드 판독, 대차의 정위치 정지, 정지된 대차를 경동시키기 위한 메인전원 공급 여부를 확인하면서 대차의 경동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리프팅장치(3)의 케이스(30)내에는 실린더(31)로 승강되는 전원콘넥터(32)상에 파워케이블(33)과 접속된 부스바(34) 청소용 에어노즐(35)를 설치하고, 케이스(30) 상면에는 실린더(38)로 개폐되는 도어(39)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접속콘넥터(6)에는 파워케이블(60)과 접속된 부스바(61)를 승강되는 전원콘넥터(32)의 부스바(34)와 접면되게 설치하되 스프링(63)이 내설된 상하 가이드봉(64), (65)에 의해 승강 탄지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원콘넥터(32)의 승하강 작동을 리밋스위치(37), (67)에 의해 제어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빔을 발사시키는 수광기(36)는 리프팅 장치(3)내에 설치하고, 레이저빔은 반사시키는 투광기(66)는 접속콘넥터(6)내에 설치하여 대차(5)의 정위치 정지작동 여부를 판독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6. 선로에 의해 이동되는 대차의 경동모터를 구동시켜서 대차를 경동시킴에 있어서, 용선준비반 전방의 선로상에 대차가 도달하는 동안 대차의 고유코드를 판독한후 그 데이타를 철도컴퓨터와 중앙컴퓨터로 보내어 조업컴퓨터와 송신되게 하고, 선로상의 정지위치 감지기 및 수광기와 대차의 투광기에 의해 대차의 정위치 정지 여부가 판독되면 그 데이터를 중앙 컴퓨터로 보내면서 대차에 경동용 메인전원의 공급 준비상태가 되게 하는 제1단계와; 조작자가 대차의 무선 송수신장치와 교신되는 휴대용 제어기를 통해 상기 제1단계가 완료된 사실을 확인한 후 제어기의 키보드로 차량번호를 부여하면 그 데이터를 대차의 무선 송수신장치를 통해 전달받은 조업컴퓨터가 중앙컴퓨터(C)로부터 전송받은 대차의 고유코드를 검지한 초기 데이터와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 검색한 후 일치된 경우 그 응답신호를 제어기로 다시 보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응답신호를 확인한 조작자가 제어기로 대차의 메인전원 스위치를 원격조정에 의해 투입한 후 제어기를 조작함에 따라 대차의 경동이 이루어지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방법.
KR1019930016250A 1993-08-20 1993-08-20 용선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95000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250A KR950005951B1 (ko) 1993-08-20 1993-08-20 용선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250A KR950005951B1 (ko) 1993-08-20 1993-08-20 용선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999A KR950005999A (ko) 1995-03-20
KR950005951B1 true KR950005951B1 (ko) 1995-06-07

Family

ID=1936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250A KR950005951B1 (ko) 1993-08-20 1993-08-20 용선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19A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운반용 장치 및 용선 운반용 장치의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217B1 (ko) * 2001-12-22 2005-10-24 주식회사 포스코 광 신호를 이용한 대차별 트래킹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358B1 (ko) * 2014-12-23 2016-09-05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래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19A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운반용 장치 및 용선 운반용 장치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999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7562C (en) Automated decoupler for rail cars
CN105112589B (zh) 一种高炉出铁及炉下铁水罐对位方法
CN111775983B (zh) 一种列车自动翻车作业系统和方法
US20080190027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Platform Door Located on the Guideway of a Track-Bound Vehicle
KR950005951B1 (ko) 용선 운반용 대차의 경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0255223A (zh) 一种煤炭智能自助装车系统及煤炭装车方法
KR100529791B1 (ko)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JP4879849B2 (ja) 自動芯合わせ式オートカプラ
JP3765638B2 (ja) 給油システム
CN108455202A (zh) 一种医用物流系统及其工作方法
CN211061066U (zh) 一种基于红外热点检测的炼钢厂鱼雷罐车防翻转装置
CN114407941B (zh) 一种高炉炉台电机车自动控制方法及系统
KR200151118Y1 (ko) 혼선차 경동플럭 자동체결장치
CN112427848A (zh) 中厚板机器人焊接工作站的安全操作方法、系统及设备
CN216622994U (zh) 地下矿山电机车遥控装置
CN205826577U (zh) 一种鱼雷罐车的通用型安全检测设备
CN220920862U (zh) 一种铁包车接插电机器人系统
KR015857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코크스 이동기기 무인운전 제어장치
CN216863024U (zh) 一种翻车机用空调机闭锁装置
CN215315690U (zh) 一种用于生产球墨铸管的可定位球化包移动平车
CN219525293U (zh) 一种用于车间滑橇的检测系统
CN105118275B (zh) 一种高炉铁水罐牵引车遥控系统及遥控方法
KR20170052041A (ko) 용선운반차의 정차 제어장치
JP2012045588A (ja) 溶融金属搬送車両
CN220867453U (zh) 钢渣风淬技术除尘、倾翻、轨道车和收集联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