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913B1 -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913B1
KR950005913B1 KR1019880001782A KR880001782A KR950005913B1 KR 950005913 B1 KR950005913 B1 KR 950005913B1 KR 1019880001782 A KR1019880001782 A KR 1019880001782A KR 880001782 A KR880001782 A KR 880001782A KR 950005913 B1 KR950005913 B1 KR 95000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compound
mentioned
acet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921A (ko
Inventor
이사오 사다
가즈노리 간
노보루 우에야마
모또 신고 마쓰
다께히사 오하시
기요시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가네가후찌가가꾸 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니이노 마비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42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00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2863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6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네가후찌가가꾸 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니이노 마비또 filed Critical 가네가후찌가가꾸 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0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05/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e oxy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e.g. beta-lact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히드록시기가 보호되는 히드록시에틸기를 C3-위치에 갖고, 아세톡실기를 C4-위치에 갖는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신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가 티에나마이신과 같은 카르바페냄 β-락탐 항생제 및 페냄 β-락탐 항생제의 제조에 중간체로 유용하다는 것은 공지이다. [참조. 예를들면, 레이더등에 의해 트테라헤드론 레터(vo1. 23, 2293 페이지, l982) 및 요시다등에 의해 Chem. Pham, Bull(vo1. 29, 2899 페이지, 1981)에 기 재]
지금까지는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합성방법으로, 예를들면, 6-아미노페닐실란산으로 부터의 합성 [참조. 요시 다등에 의해 Chem. Pharm. Bull.(vol. 29, 2899 페이지, 1981)에 기재], 트레오닌으로 부터의 합성[참조. 시오자끼등에 의해 테트라헤드론(vo1 39, 2399 폐이지, 1983)에기재] 및 아스파르트 산으로 부터의 합성[참조. 레이더 등에 의해 테트라헤드론 레터(vol 23, 2293 페이지, 1982에 기재]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수은 아세테이트 및 납 테트라아세테이트와 같이 공업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중금속이 β-락탐고리의 C4- 위치에 아세톡실기를 도입하기위해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자들은 N인 보호되지 않고, O-보호 히드록시에틸기를 C3-위치에 갖고, 실릴에테르기를 C4-위치에 갖는 β-락탐화합물을 사용하여 저온에서 β-락탐고리의 C4-위치에 아세톡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일본국 특허 공개 제 258353/1987호).
산 할로겐화아실 화합물, 할로겐화 술포닐화합물 또는 하기 일반식(VI) :
(R10) 4-n- Si (X' )n(VI)
(상기식에서, Rl0은 1 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가는 저급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 또는 CF3SO2O기 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다. ) 을 갖는 화합물을 촉매양으로 반응계에 가함으로써, 실온 근처에서 고수율로 β-락탐 고리의 C4-위치에 아세톡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기 일반식(I) :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히드록실기의 보호기이며, R2, R3및 R4는 같거나 다르고, 각각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기이거나 또는 아르알킬기이다.)을 갖는 β-락탐 화합물과 아세트산 무수물을 유기강산, 무기산, 루이스산, 하기 일반식(IV) :
R8- CO - X (IV )
(상기식에서, R8은 알킬기,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다.)을 갖는 할로겐화 아실 화합물, 하기 일반식(V) :
R9- SO2- X (V)
(상기식에서, R9는 알킬기,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다.)을 갖는 할로겐화 아실 화합물, 하기 일반식(VI) :
(R10)4-n- Si(X')n(VI)
(상기식에서, Rl0은 1 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가는 저급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 또는 CF3SO2O기 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다.) 을 갖는 화합물을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촉매 및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I) :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은 히드록실기의 보호기이다.)을 갖는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의 특허출원에 기재된 바와같이(일본국 특허 공개 제 18791/1986호), C4-위치에 실릴에테르기를 갖는 일반식(I)의 β-락탐 화합물은 히기의 반응도식 I의 방법에 의해 쉽게 수득될 수 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C3-위치에서 히드록시에틸기에 대한 R1의 O-보호기 즉, β-락탐 화합물(I)의 히드록실기의보호기의 예에는 하기 일반식(III) :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5, R6및 R7은 같거나 서로 다르고, 각각은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기이나, 단 R5, R6및 R7가 모두 하나의 탄소원자를 갖는 경우는 없다.)을 갖는 트리알킬실릴기가 있다. 상기기(III)의 예에는, 3차-부틸디메틸실릴기, 트리이소프로필실릴기, 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기, 이소부틸디메틸실릴기, 디메틸-(1, 2-디메틸프로필)실릴기 및 디메틸-(1, 1, 2-트리메틸프로필)실릴기가 있다. 게다가 상기 (III)의 또 다른 예로는 3차-부틸기, 벤질기, 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기, 3차-부톡시카르보닐기,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이 있다. 그들중, 3차-부톡시카르보닐기, 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기, 디메틸-(1, 1, 2-트리메틸프로필)실릴기 및 디메틸-(l, 2-디메틸프로필)실릴기가 바람직한데, 그들이 반응 동안 안정하고, 산 처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식(I)을 갖는 β-락탐 화합물의 기 R2, R3및 R4는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고, 메틸, 에틸, 이소부틸 및 1, 1, 2-트리메틸프로필기와 같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기 및 벤질기, p-니트로벤질기와 같은 아로알칼기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R2, R3및 R4모두가 같고, 각각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조된 하기 일반식(I) :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l, R2, R3및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을 갖는 β-락탐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하에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β-락탐 화합물(I)을 하기 일반식(II) :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l)은 상기 정의된 바와같다.)을 갖는 목적하는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로 전환시킨다. 상기 반응에서, 유기강산, 무기산, 루이스산, 하기 일반식(IV) :
R8- CO - X (IV)
(상기식에서, R8및 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을 갖는 할로겐화 아실 화합물,하기 일반식(V) :
R9- SO2- X (V)
(상기식에서, R9및 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을 할로겐화 술포닐 화합물, 또는 하기 일반식(VI)
(Rl0)4-n-Si(X')n(VI)
(상기식에서, R10, X′및 n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을 갖는 화합물을 촉매로서 사용하면 목적화합물의 수율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유기 강산으로는, 예를들면, p-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크실렌술폰산, 메시틸렌술폰산, 트리풀루오로메탄술폰산, 캄퍼술폰산 및 피리딘 술폰산과 같은 유기술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트리클로로아세트산과 같은 강산성을 갖는 유기 양성자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 중, 유기술폰산, 예를들면 p-톨루엔술폰산 트 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그리고 유기 양성 자산, 예를들면, 트리풀푸오로아세트산 및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무기산으로는, 예를들면,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요오드화 수소, 인산, 질산, 황산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의 수용액도 또한 사용가능하다. 그들 중, 염화수소 및 인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이스산으로는,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및 브론 트리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IV)을 갖는 할로겐화아실 화합물로는, 예를들면, 아세틸 클로라이드, 아세틸 브로마이드, 아세틸요오다이드,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들 중, 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V)을 갖는할로겐화 술포닐 화합물로는, 예를들면,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 메시틸렌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들 중, p-톨루엔 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VI)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들면, 트리메틸실릴트리풀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트리메틸클로로실란 또는 트리메틸요오도실린과 같은 트리메틸할로실란, 트리에틸할로실란, 트리이소프로필할로실란, 트리프로필할로실란, 트러페닐할로실란, 디페닐 메틸할로실란, 3차 - 부틸디페닐할로실란, 3차 - 부틸디메틸할로실란, 이소부틸디메 틸할로실란, 이소프로필디메틸할로실란, 디메틸- (1, 1, 2 -트리메틸프로필) 할로실란, 디메틸-(1, 2 - 디메틸프로필) 할로실란, 3차 - 부틸메틸페닐할로실란, 부틸메틸디할로실란, 디페닐디할로실란, 메틸프로필디할로실란, 메틸트리할로실란, 예틸트리할로실 란, 프로필트리할로실란, 부틸트리할로실란, 테트라클로로실란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들중,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 메탄솔포네이트, 트리메틸클로로실란 및 트리메틸요오도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의 아세톡실화의 반응이 염기의 존재하에, 그러나 상기 언급된 촉매, 즉 유기강산, 무기산, 루이스산, 일반식(IV)을 갖는 할로겐화 아실화합물, 일반식(V)을 갖는 할로겐화술포닐 화합물의 부재하에 아세트산 무수물과만 수행되는 경우에, 수득된 대부분의 생성물은 화합물의 β-락탐 고리가 파열된 분해 화합물이며, 그에 의해 일반식(II)를 갖는 목적화합물이 충분한 수율로 수득될 수 없다.
상기 언급된 촉매의 존재하에,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의 C4-위치를 아세톡실화 하는 반응에서, 촉매, 염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양, 용매 및 염기의 종류, 그리고 반응 온도와 같은 요인들이 목적화합물의 수율에 영향을 미친다.
염기로는, 피리딘, 피콜린 및 루티딘과 같은 피리딘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 중, 피리딘 및 피콜린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상기 언급된 염기나, 또는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 및 촉매, 염기 및 아세트산 무수물과 같은 시약과는 반응하지 않는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예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헥산, 톨루엔, 디메틴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이 있다. 그들 중, 피리딘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촉매는 일반식(I)을 갖는 β-락탐 화합물의 0.05 내지 1배몰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염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은 일반식(I)을 갖는 β-락탐 화합물에 대해 각각 1 내지 30배몰 및 1 내지 15배몰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이 온도에서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은 예를들면, C4-위치에서 실릴에테르기를 갖는 일반식(I)의 β-락탐 화합물을 피리딘과 같은 염기내에서만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및 피리딘과 같은 염기의 혼합물내에서 용해시킨후, 아세트산 무수물 및 촉매, 즉 유기강산, 무기산, 루이스산, 일반식(IV)을 갖는 할로겐화아실 화합물, 일반식(V)을 갖는 할로겐화 술포닐 화합물, 또는 일반식(VI)을 갖는 화합물을 한번에 또는 몇번으로 나누어 가함으로써 수행된다.
반응 혼합물은 반응 과정동안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되고, 출발물질, 즉 일반식(I)을 갖는 β-락탐 화합물이 반응 혼합물내에서 소거되거나 또는 거의 소거될때 물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n-헥산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유기층은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 무수물로 건조한 후, 유기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조 결정을 수득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 결정을 재결정하여 목적하는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를 수득한다.
추출용매로서 n-헥산을 사용하는 경우에,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후, 냉각시킴으로써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가 결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또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4一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가 유기 용매를 증류 제거시킨 결과 혼합물로 부터 수득된다.
본 발명을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로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수정 또는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1]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제조]
309㎎의 (3R, 4R)-3-[(R)-3차-부틸디에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융점 : 95 내지 96℃,
Figure kpo00009
= -9.5。(c=1.0, CHCl3)]을 1 .55㎖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0℃로 냉각시켜, 0.51㎖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56㎎의 p-톨루엔술폰산 ·H2O을 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36.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30㎖의 물에 붓고 30㎖의 n-헥산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NaHCO3의 5%수용액 다음에 포화염 용액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생성물을 여과한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하여 288㎎의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백색 고체는 n-헥산으로 용해시키고, 불용성 물질을 여과제거한 후, 생성물을 -15℃에서 냉각되는 동안 방치하여 195㎎의 침상 결정(수율 : 69.7%)을 수득한다. 수득된 결정을 하기의 물리적 성질가로 부터 목적하는(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으로 확인한다.
Figure kpo00010
= +50。(C=0.5, CHCl3)
융점 : 107℃
lH NMR(90㎒, CDCI3)∂ (ppm) 0.08(6H,s), 0.84(9H,s), 1.20(3H,d), 2. 01(3H,s), 3. 04(lH, dd), 4.12(1H, m), 5.76(lH, d), 6.73(NH)
[실시예 2]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6㎎의 (3R, 4R)-3-[(R)-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一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융점 : 95 내지 96℃,
Figure kpo00011
= -9.5。(c=1.0, CHC13)]을 1.54㎖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5℃로 냉각시켜, 0.51㎖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55㎎의 p-톨루엔술폰산 ·H2O을 가하고 혼합물을 -5℃에서 48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30㎖의 물에 붓고 30㎖의 n-헥산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NaHCO3의 5% 수용액 다음에 포화 염용액으로 세척한,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생성물을 여과한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하여 303㎎의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백색 고체를 고성능의 액제 크로마토그래피로(컬럼 : YMC-충전 컬럼 A-303 ODS, Yamamura Chennca1 회사 시판, 4.6×250㎜ ; 컬럼온도 : 15℃ , 용매 : 아세토니트릴/물=6/4(v/v) ; 유속 : 1l㎖/분 ; 검출 ; 210㎚)로 분석하여, 217㎎의 (3R, 4R) -4-아세톡시 -3-[(R) -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 아제티딘-2-온(수율 78%)을 확인한다.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팩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3]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제조]
30l㎎의 (3R, 4R)-3-[(R)-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융점 : 95 내지 96℃,
Figure kpo00012
=-9 5。(c=1.0, CHCl3)]을 1.51㎖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9℃로 냉각시켜, 0.27㎖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8μl의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을 가하고, 혼합물을 -9℃에서 3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및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처리를 완결한 후에, 수득된 백색 고체를 고성능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고, 179㎎의(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66%)을 확인한다.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팩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4]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1㎎의 (3R, 4R)-3-[(R)-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융점 : 95 내지 96℃,
Figure kpo00013
=-9.5℃(c=1.0, CHC13)]을 1. 50㎖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51㎖외 아세트산 무수물 및 34μ1의 디옥산내 2.75N 염화수소 용액을 가하여, 혼합물을 2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및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처리를 완료한 후, 수득된 백색 고체를 고성능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168㎎의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62%)을 확인한다.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5]
[(3R, 4R) -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08㎎의 (3R, 4R)-3-[(R)-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융점 : 95 내지 96℃,
Figure kpo00014
=-9.5。(c=1.0, CHCl3)]을 1.53㎖의 피리딘에 용해시켜, 1.34㎖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30.9㎎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질소 대기하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5℃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30㎖의 물에 붓고 80㎖의 n-헥산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NaHCO3의 5% 수용액 다음에 포화염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생성물을 여과한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274.1㎎의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백색 고체를 고성능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241.6㎎의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89%)을 확인한다.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6]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1㎎의 (3R, 4R)-3-[(R)-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융점 : 95 내지 96℃,
Figure kpo00015
=-9.5。(c=1.0, CHCl3)]을 1. 51㎖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51㎖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2μl의 인산을 가하여, 혼힙물을 20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및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처리를 완결한 후, 수득된 백색 고체를 고성능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158㎎의(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62%)을 확인한다.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팩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1]
[(3R, 4R) -4 - 아세톡시-3 -[(R) -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표1에 기재한 여러가지의 산을 촉매로서 사용하며, 아세트산 무수물을 5.6몰로 사용하고, 피리딘을 1몰의 (3R, 4R) -3 - [(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하기의 (I')]에 대해서 19.7몰의 양으로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을 반복하여,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하기의 (II')]을 제조한다. 또한, 반응온도 및 사용 시간은 표1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대조로서, 산을 사용하지 않은 채로 상기와 같은 제조를 수행한다. 결과는 표1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각각의 실시예 7 내지 12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 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표 1]
Figure kpo00018
[실시예 13 내지 15]
[(3R, 4R)-4-아세톡시 -3-[(R) -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표1에 기재한 아세틴 클로라이드, p-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 또는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를 촉매로서사용하고, 아세트산 무수물울 8몰의 양으로 사용하고, 피리딘을 1몰의 (3R, 4R)-3-[(R)-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디딘-2-온[하기의(I')]에 대해서 19.7몰의 양으로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을 반복하여,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은[하기의 (II')]을 제조한다. 반응온도 및 사용시간을 표2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각각의 실시예 13 내지 15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 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표 2]
Figure kpo00021
[실시예 16 내지 18]
[(3R, 4R)-4-아세톡시-3-[(R) -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표1에 기재한 여러가지의 염기를 사용하고, 아세트산 무수물을 5.6몰의 양으로 사용하며 p-톨루엔술폰산 ·H2O를 1몰의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밀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하기의 (I')]에 대해 0.2몰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을 반복하여,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하기의(II')]을 제조한다. 반응 온도 및 사용 시간을 표3에 나타낸다. 결과는 표3이 나타낸다.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각각의 실시예 16 내지 18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표 3]
Figure kpo00024
[실시예 19 내지 24]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표4에 기재한 여러가지의 용매를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3R, 4R)-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하기의 (I')]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하기의 (II')]을 제조한다. 또한, 아세트산 무수물, 피리딘, p-톨루엔술폰산, 반응온도 및 시간은 표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25
각각의 실시예 19 내지 24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표 4]
Figure kpo00026
[실시예 25]
[(3R, 4R)-4-아세톡시-3-[(R)-1-[디메틸(1, 1, 2-트리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21㎎의 (3R, 4R)-3-[(R)-1-[디메틸(1, 1, 2-트리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단-2-온을 1.51㎖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9℃로 냉각하여, 0.50㎖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36㎎의 p-톨루엔술폰산 ·H2O를 가한후, 혼합물을 90℃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을 완결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250㎎의 반고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반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헥산/에닐 아세테이트=10/1(v/v)]로 처리하고, n-헥산으로부터 더 재결화하여 209㎎의 목적하는(3R, 4R)-4-아세톡시-3-[(R)-1-[디메틸-(1, 2, 3-트리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713%)을 백색침상 결정으로 수득한다. 그의 물리적 성질가는 하기와 같다.
Figure kpo00027
= +41. 57℃(c= 0.5, CHCl3)
융점 : 80。 내지 81℃
1H NMR(90㎒, CDC13)δ(ppm) : 0.08(6H, s), 0.75(6H, s), 0.83(6H, d), 1 .20(3H, d), 1.50(lH, m), 2.00(3H, s), 3.10(lH, dd), 4.l2(lH, m), 5.75(lH, d), 6.73(NH).
[실시예 26]
[4-아세톡시-3-[1-[디메틸(1, 2-디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154㎎의 3-[1-[디메틸-(1, 2-디메틸프로필)실리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시틴-2-온을 0.75㎎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9℃로 냉각시켜, 0.25㎖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18㎎의 P=톨루엔술폰산 ·H2O를 가하고, 혼합물을 9℃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을 완결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120㎎의 기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기름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v/v)]로 처리하여, 100㎎의 4-아세톡시-3-[1-(디메틸-(1, 2-디메틸프로필)실리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71.4%)을 백색고체로 수득한다. 그의 물리적 성질가는 하기와 같다.
1H NMR(90㎒, CDCl3)δ(ppm) : 0.08(6H, S), 0.70(lH, m), 0.85(9H, d, d, d), 1.20(3H, d), 1.80(lH, m), 2.02(3H, s), 3.10(lH, dd), 4.15(lH, m), 5.80(1H, d), 7 .20(NH).
[실시예 27]
[(3R, 4R)-4-아세톡시-3-[(R)-1-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4㎎의 (3R, 4R)-3-[(R)-1-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을 1.60㎖이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9℃로 냉각하여, 0. 53㎖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30㎎의 p-톨루엔술폰산 ·H2O르 가하고, 혼합물을 9℃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을 완결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210㎎의 기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기름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v/v)]로 처리하고 n-헥산으로 부터 더 재결정화하여 164㎎의 목적하는 (3R, 4R)-4-아세톡시-3-[(R)-1-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59.9%)을 백색 결정으로 수득한다. 그의 물리적 성질가는 하기와 같다.
Figure kpo00028
= +54.6℃(c=0.5, CHCl3)
융점 : 92。 내지 94℃
1H NMR(90㎒, CDCl3)δ(ppm) : 0.08(6H, s), 1.75(lH, m), 1. 98(6H, d), 1.29(3H, d), 2.12(3H, s), 3.20(lH, dd), 4.23(lH, m), 5.86(lH, d), 6.50(NH).
[실시예 28]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리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1.514g의 (3R, 4R)-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융점 : 95 내지 96℃,
Figure kpo00029
=-9.5℃(c=1.0, CHCl3)]을 7. 6㎖의 피리던에 용해시켜, 2.5㎖으 아세트산 무수물 및 0.12㎖의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을 가하고, 혼합물을 9℃에서 4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50㎖의 물에 붓고, 150㎖의 n-헥산으로 추출한다. 기층을 NaHCO3의 5% 수용액 다음에 포화 염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여과후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하여 1.250g의 백색고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백색 고체로 부터 1.000g의 고체를 취하여 n-헥산에 용해시킨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 제거한 후에, 생성물을 -15℃에 냉각되는 동안 방치시켜 690㎎의 침상 결정(수율 : 62.9%)을 수득한다. 수득된 결정은 하기의 물리적 성질가로 부터 목적하는[(3R, 4R)-4-아세톡시-3-[(R) -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세티딘-2-온임을 확인한다.
Figure kpo00030
= +50℃(c=0.5, CHCl3)
융점 : 107℃
1H NMR(90㎒, CDC13)δ(ppm) : 0.08(6H, s), 0.84(9H, s), 1.20(3H, c), 2.01(3H, s), 3.04(lH, dd), 4.12(1H, m), 5.76(lH, d), 6.73(NH).
또한 상기 백색 고체의 일부를 고성능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컬럼 : YMC-충전 컬럼 A-303(ODS), 4.6×250㎜, 컬럼온도 ; 15℃, 용매 아세토니트릴/물=6/4(v/v), 유속 1.1㎖/분, 검출 : 210㎜]로 분석하여 1.014g의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74%)임을 확인한다.
[실시 예 29]
[(3R, 4R)-4-아세톡시-3-[(R) -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2㎎의 (3R, 4R)-3-[(R)-1-3차-부틸디메틸실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리옥시아제티딘-2-온을 0.74㎖의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0.77㎖의 피리딘 및 0. 27㎖의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을 질소 대기하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17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30㎖의 물에 붓고 30㎖의 n-헥산으로 추출한 후에, 유기층을 NaHCO3의 5%수용액, 및 포화 염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 무수물을 건조시킨다.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하여 262㎎의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고체를 고성능의 액체 크로마토그레피로 분석하여 98㎎의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리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366%)을 확인한다.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28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30 내지 35 및 비교예 2]
[(3R, 4R)-4-아세톡시-3-[(R)-1-3차ㅏ-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표5에 기재한 여러가지 화합물(VI)을 촉매로 사용하고, 아세트산 무수물을 5.6몰의 양으로 사용하고 피리딘을 1몰의 (3R, 4R)-3-[(R)-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하기의 [I')]에 대해 19.7몰의 양으로 사용하고, 반응 온도 및 시간은 표5에 나타낸 바와 같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예 28의 방법을 반복하여(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메틸실옥시에틸]아세티딘-2-온[하기익 (II')을 제조한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화합물(VI)를 첨가하지 않으면서 상기와 동일한 제조를 수행한다. 그 결과로 표5에 기재한다.
Figure kpo00031
각각의 실시예 30 내지 35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28과 동일하다.
[표 5]
Figure kpo00032
[실시예 36 내지 38]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표6에 기재한 여러가지 염기를 사용하고 아세트산 무수물을 5.6몰의 양으로 사용하며,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을 (3R, 4R)-3-[(R)-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세티딘-2-온[하기의(I')에 대해 0.2몰의 양으로 사용하고, 반응 온도 및 시간은 표6에 나타낸 바와같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에 28의 방법을 반복하여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옥시에틸]아제티딘-2-온[하기의 (II')]을 제조한다. 결과를 표6에 기재한다.
Figure kpo00033
각각의 실시예 36 내지 38에서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28에서와 동일하다.
[표 6]
Figure kpo00034
[실시예 39]
[(3R, 4R)-4-아세톡시-3[(R)-1-[디메틸(1, 1, 2-트리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520㎎의 (3R, 4R)-3-[(R)-1-[디메틸(1, 1, 2-트리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을 2.44㎖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9℃로 질소 대기하에서 냉각시켜, 0.81㎖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0.039㎖의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을 가하여, 혼합물을 9℃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을 완결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2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40l㎎의 반 고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반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v/v)]로 처리하여 338㎎의 목적[3R, 4R)-4-아세톡시-3-[(R)-1-[디메틸-(1, 1, 2-트리메틸프로필)실리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71.2%/을 백색 침상 결정으로 수득한다.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25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40]
[(3R, 4R)-4-아세톡시-3-[(R)-1-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l㎎의 (3R, 4R)-3-[(R)-1-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을 1.58㎖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9℃로 질소 대기하에서 냉각시켜, 0.52㎖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0.025㎖의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을 가하여 혼합물을 9℃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을 완결한 후에, 반응혼합물을 실시예 2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229㎎의 반 고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반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v/v)]로 처리하여 176㎎의 목적하는 (3R, 4R)-4-아세톡시-3-1(R)-1-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64.6%)을 백색 침상 결정으로 수득한다.
수득된 화합물의 고유 광 회전도, 융점 및 NMR스펙트럼의 결과는 실시예 27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41]
[4-아세톡시-3-[1-[디메틸-(1, 2-디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0㎎의 3-[1-[디메틸-(1, 2-디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을 1.47㎖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9℃로 질소 대기하에서 냉각시켜, 0.49㎖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0.023㎖의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을 가하고, 혼합물을 9℃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을 완결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시예 2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20l㎎의 반 고체를 수득한다. 수득된 반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0/1v/v)]로 처리하여 175㎎의 목적하는 4-아세톡시-3-[1-디메틸-(1, 2-디메틸프로필)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64.2%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다. 그의 물리적 성질가를 하기와 같이 나타낸다.
1H NMR(90㎒, CDCl3)δ(ppm) : 0.08(6H, s), 0.70(1H, m), 0.85(9H, d, d, d, 1.20(3H, d), 1.80(1H, m), 2.02(3H, s), 3.10(lH, dd), 4.15(lH, m), 5.80[lH, d), 7. 20(NH).
실시예에서 사용된 성분에 추가적으로, 기타 다른 성분을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
[비교예 3]
[(3R, 4R)-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300의㎎ (3R, 4R)-[(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을 3㎖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다. 여기에, 0.27㎖의 무수 아세트산 및 이어서 350㎎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농도 : 7.1중량%)를 가하고 혼합물은 -35℃에서 12∼2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을 종결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5% NaHCO3수용액을 가하고, 혼합물을 분리한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200㎎의 고체를 수득한다. 반응 혼합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컬럼 : YMC-pak CA-303 ODS, 4.6×250㎜, 컬럼 온도 15℃ ; 용매 ; CH3CN/물=6/4(v/v) ; 유속 ; 1㎖/분 ; 검출 ; 210㎚)로 분석하여, 8.2㎎의 (3R, 4R)-4-아세톡시-3-[(R)-1-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12시간 동안 2몰%, 22시간 동안 3몰%)을 확인하였다.
고성능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반응 생성물중의 다른 화합물의 분석으로 주 생성물은 (3R, 4R)-1-아세틸-4-아세톡시-3-[(R)-1-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187㎎)임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4]
[(3R, 4R)-4-아세톡시-3-[(R)-1-tert-부틸디틸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의 제조]
157㎎의 (3R, 4R)-3-[(R)-1-3차-부틸메틸실릴옥시에틸]-4-트리메틸실릴옥시아제티딘-2-온을 0.9㎖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35℃로 냉각시킨다. 여기에, 544㎎의 무수 아세트산 및 이어서 99.8㎎(농도 : 6 : 3중량%)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가하고, 혼합물을 -3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을 종결한후, 5% NaHCO3수용액을 가하고 혼합물을 분리한다. 유기층을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강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110㎎의 왁스형 고체를 수득한다.
반응 혼합물을 고성능 액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컬럼 : YMC-pak CA-303 ODS, 4.6×250㎜, 컬럼온도 50℃ ; 용매 ; 메탄올/물=7/3(v/v) : 유속 ; lml/분; 검출 ; 210㎚), 1.4㎎의 (3R, 4R)-4-아세톡시-3-[(R)-1-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제티딘-2-온(수율 : 1몰%)을 확인하였다.
반응 생성물의 주생성물은 (3R, 4R)-1-아세틸-4-아세톡시-3-[(R)-1-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 아제티딘-2-온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20)

  1. 하기 일반식(I) :
    Figure kpo00035
    (상기식에서, R1은 히드록실기의 보호기이며, R2, R3밋 R4는 같거나 다르고, 각각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기이거나 또는 아르알킬이다.)을 갖는 β-락탐 화합물괴 아세트산 무수물을 유기강산, 무기산, 루이스산, 하기 일반식(IV) :
    R8-CO-X (IV)
    (상기식에서, R8은 알킬기,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다.)을 갖는 할로겐화 아실 화합물, 하기 일반식(V) :
    R9-SO2-X (V)
    (상기식에서, R9는 알킬기,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다.)을 갖는 할로겐화 술포닐 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V1) :
    (Rl0)4-n-Si(X')n(VI)
    (상기식에서, R10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 또는 CF2SO2O기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다.)을 갖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촉매 및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I) :
    Figure kpo00036
    (상기식에서, R1은 히드록실기의 보호기이다.)을 갖는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하기 일반식(III) :
    Figure kpo00037
    (III)
    (상기식에서, R5, R6및 R7은 같거나 다르고, 각각은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기이나, 단R5, R6및 R7가 모두 하나의 탄소원자를 갖는 경우는 없다.)의 기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3차-부틸디메틸실릴기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Rl이 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기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Rl이 디메틸-(1, 1, 2-트리메틸프로필)실릴기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R1이 디메틸-(1, 2-디메틸프로필)실릴기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R2, R3및 R4가같고, 각각은 메틸기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유기강산이 유기 술폰산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언급된 유기술폰산이 p-톨루엔술폰산이거나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유기강산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시, 언급된 유기강산이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무기산이 염화수소이거나 또는 인산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루이스산이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이거나 또는 보론 트리클로라이드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할로겐화 아실 화합물이 아세틸클로라이드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할로겐화 아실 화합물이 p-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일반식(VI)의 화합물이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일반식(VI)의 화합물이 트리메틸요오도실란인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일반식(VI)의 화합물이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메탄술로네이트인 방법.
  19. 제1항에있어서, 언급된 염기가 피리딘인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염기가 피콜린인 방법.
KR1019880001782A 1987-02-20 1988-02-20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50005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38855 1987-02-20
JP62-38855 1987-02-20
JP3885587 1987-02-20
JP62-42205 1987-02-25
JP87-42205 1987-02-25
JP62042205A JPH0730016B2 (ja) 1987-02-25 1987-02-25 4−アセトキシ−3−ヒドロキシエチルアゼチジン−2−オ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62-128630 1987-05-26
JP87-128630 1987-05-26
JP62128630A JPS6467A (en) 1987-02-20 1987-05-26 Production of 4-acetoxy-3-hydroxyethylazetidin-2-one deriva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921A KR880009921A (ko) 1988-10-05
KR950005913B1 true KR950005913B1 (ko) 1995-06-07

Family

ID=6823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782A KR950005913B1 (ko) 1987-02-20 1988-02-20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9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921A (ko) 198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4200A (en) Process for preparing 4-acetoxy-3-hydroxyethylazetidin-2-one derivatives
EP0167154B1 (en) Process for preparing 4-acetoxy-3-hydroxyethylazetizin-2-one derivatives
KR950005913B1 (ko)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HU193959B (en) Process for producing anhydropenicillin derivatives
EP0018594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1-hydroxyethyl)-azetidinones
EP0000645A1 (en) Isopenicillin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914199A (en) Process for preparing 4-acetoxy-3-hydroxyethylazetidin-2-one derivatives
JPH066570B2 (ja) 4−アセトキシ−3−ヒドロキシエチルアゼチジン−2−オン誘導体の製造法
US4772683A (en) High percentage beta-yield synthesis of carbapenem intermediates
JPH0479333B2 (ko)
JPH0557264B2 (ko)
US4861877A (en) Process for preparing 4-acetoxy-3-hydroxyethylazetidin-2-one derivatives
KR910003612B1 (ko)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딘-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604794B2 (ja) 4−アセトキシ−3−ヒドロキシエチルアゼチジン−2−オンの製造法
JPH0699387B2 (ja) アゼチジノン中間体の製造方法
JP2652047B2 (ja) 4−ベンゾイルオキシ−3−ヒドロキシエチルアゼチジン−2−オ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H0730016B2 (ja) 4−アセトキシ−3−ヒドロキシエチルアゼチジン−2−オ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H0167A (ja) 4−アセトキシ−3−ヒドロキシエチルアゼチジン−2−オン誘導体の製造法
US4895939A (en) High percentage β-yield synthesis of carbapenem intermediates
RU204978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метоксиметилпенемов
JPH0830057B2 (ja) 4―アセトキシ―3―ヒドロキシエチルアゼチジン―2―オ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H05239020A (ja) 3−[(r)−1−(置換オキシカルボニルオキシ)エチル−4−置換−2−アゼチジノンの製造法
JP2832356B2 (ja) ハイグロマイシン類の合成中間体および製造法
US5399679A (en) (1'R,3S,4R)4-acylthio azetidinones
JP4213229B2 (ja) アゼチジノン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