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779B1 - 라인절단기의 헤드조립체 - Google Patents

라인절단기의 헤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779B1
KR950005779B1 KR1019870014411A KR870014411A KR950005779B1 KR 950005779 B1 KR950005779 B1 KR 950005779B1 KR 1019870014411 A KR1019870014411 A KR 1019870014411A KR 870014411 A KR870014411 A KR 870014411A KR 950005779 B1 KR950005779 B1 KR 95000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spool
spr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977A (ko
Inventor
엘. 콜린즈 아이맥
Original Assignee
화이트 콘졸리 데이티드 인더스트리이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스탠리 아알. 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트 콘졸리 데이티드 인더스트리이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스탠리 아알. 밀러 filed Critical 화이트 콘졸리 데이티드 인더스트리이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1Means for feeding cutter line
    • A01D34/4163Means for feeding cutter line by triggered line feedout, e.g. bump-fee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Servomotor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Turn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인절단기의 헤드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조립체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른 종단면도로 축방향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을 따른 컵부재와 하우징부재의 저면도.
제5도는 제3도의 5-5선을 따른 스풀의 평면도.
제5a도는 제5도의 5b-5a선을 따른부분 단면도.
제5b도는 제5도의 5a-5b선을 따른 부분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6-6선을 따른 커버링과 버튼부재의 평면도.
제 7도는 제2도와 동일한 선에서 본 종단면도.
제8a도, 제8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로 제8a도는 범프위치를, 제8b도는 정상작동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9a도, 제9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또 다른 조립체를 종단면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제9a도는 범프위치를, 제9b도는 정상작동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조립체 14 : 컵부재
16 : 스풀 20 : 버튼부재
30 : 스프링 32 : 개구
본 발명은 가용성의 라인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가 헤드조립체를 땅에 내려놓을 때 라인의 공급과 급송을 제어방식으로 행할 수 있는 라인절단기의 헤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지난 십여년간, 풀, 나무의 가지치기등에 가요성의 라인절단기가 매우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3000-8000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헤드의 개구로 부터 잔유단부를 갖고 수풀상에 감겨진 나일론제의 단일 필리멘트라인을 공급하는 것을 기능으로 하고 있다. 각기 다른 동력을 발생하는 여러가지 전동기에 적합하도록 12-20인치의 직경을 갖는 절단부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시스템이 적용된다 스풀과 하우징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라인이 추가로 풀려나오지는 않는다. 그러나 스풀이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거나 하우징이 스풀에 대해 회전하는경우는 마모나 파괴등에 의해 손실된 라인을 보충할 수 있도록 추가로 라인이 풀려나온다.
이른바 범프급송시스템은 소정의 절단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풀려나오는 라인을 제어하는 데 폭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전형적인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4,183,138호 및 제4,274,201호를 들 수 있으며, 여기서는 하우징이 원동기의 구동축에 의해 구동되고, 스풀은 하우징에 대해 회전축을 따라서 왕복운동할수 있도록 설치되며, 첫번째 위치는 스풀에 연결된 부재를 태핑하는 것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고, 다음에는 스풀을 정상작동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에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탈기구는 하우징과 스풀사이의 최대상대적회전을 제한하여 라인이 풀려나오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장치가 땅과 접촉하여 상부위치로 가압되면, 상기 스풀은 제1잠금 치차세트로부터 분리되어 절단면에서는 회전되는 라인에서의 원심력에 의해 약간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고, 이 회전은 이탈치차세트와 결합할때까지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프링에 의해 하부위치까지 복귀하면 상기 스풀은 다시 하부 이탈치차와 결합할때까지 소정량만큼 회전하여, 요구되는 양만큼의 라인이 풀려나오도록한다. 작업자는 작업도중에 필요에 따라서 이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7,189,833호에서는 유사한 또다른 장치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장치에서는 스풀이 원동기로 구동되고, 하우징은 스풀에 대해 축방향에서 왕복운동하면서 풀려나오는 줄의 양을 통제하는 형식으로되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236,390호에서는 또 다른 형식의 범프 급송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스풀이나 하우징이 모두 축방향의 왕복운동을 하지 않고, 제3의 부재만이 왕복운동하면서 라인을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장치는 매우 복잡하고 제조비가 높으며 조립이 난해해서 라인을 교체하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가장 먼저 설명한 종래의 시스템에서 동력은 축으로부터 하우징으로 연결되고, 이탈치차를 통해서 스풀에 전달되며, 다시 범프기구에 전달된다. 두번째 시스템에서 동력은 축에서 수풀로, 다시 치차를 거쳐 하우징에 전달된다. 그러나 2가지 시트템모두에서 스프링은 하우징과 스풀사이에 위치하여 두가지 부품중 하나를 다른 하나로부터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스풀상에서 절단라인의 공급이 모두 소모되면, 상기 장치를 피동하우징으로부터 스풀을 분리하거나 혹은 피동스풀로부터 하우징을 분리해서 분해해야만 한다. 이 경우 역시 스프링도 분해된다. 그리고 나서 스풀상에 라인을 새로 감거나 또는 라인이 감겨진 수풀로 교체하면 된다. 상기 라인은 하우징에 있는 개구를 통해서 우선 풀려나오고, 하우징과 스풀은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정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수프링력에 반하면서 스풀을 하우징속에 삽입하는 동안 개구를 통해서 스풀로부터 라인을 끌어내는데의 어려움은 상당히 큰것이었으며, 이로부터 사용자는 불편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아울러 제조비를 경제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어떤방향으로 회전하든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헤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헤드를 땅에 대해 내려놓는 것에 따라 단일필라멘트의 라인을 풀어낼수 있는 개선된 헤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조립체는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하고 그 비용이 저렴하며, 동시에 스프링등을 포함한 장치유니트를 해체하지 않고, 스풀위에 라인을 용이하게 새로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에 있어서도 스프링을 강하게 가압하지 않아도 되는 형식의 것이다. 아울러 상기 장치에서의 각구성부품의 배치는 헤드축으로 부터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캠작동면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자치의 마모 및 파괴를 발생시키는 힘을 최소화시키는 최대의 레버작동력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축에 의해 원동기의 연결구동되는 하우징부재와 압축스프링을 수용하는 중앙원통벽을 갖는 하우징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통벽주위에는 컵부재가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정상작동위치로 가압한다.
상기 정상작동위치에 적당한 유지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스프링이 하우징부재에 대해 위치확보를 한다. 스풀은 컵부재의 컵부위 주위에 설치되어 있어서 만약 아무런 제약이 없는 경우는 하우징 부재에 대해 스풀이 자유롭게 회전하여 하우징부재의 개구를 통해서 라인이 풀려나온다. 커버링은 하우징수단의 구성을 완성하는 부품이며, 하우징부재에 연결된 중앙개구를 갖고 컵부재의 하단부에 대해 버튼부재를 지지한다. 이 경우 컵부재와 버튼부재 모두가 아래위치에 있을 경우 즉, 정상작동위치에서는 버튼부재가 컵부재에 대해 위쪽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스프링을 가압한다. 이때 버튼부재는 땅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다. 상기 컵부재는 하우징 부재에 의해 구동되며, 이때 이 컵부재는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허용되고 있으며, 동시에 버튼부재와 하우징부재에 의해서 커버링으로 구동된다. 이때 버튼부재는 축방향으로 왕복운동된다.
스풀은 축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것이 커버부재와 하우징부재에 의해 억제되며, 이때 상기 스풀은 하우징에 대해 회전된다.
스풀의 상, 하부면은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는 리브를 갖고 있으며, 상기 리브는 잠금판의 하부면에 있는 잠금치차 및 버튼 부재의 상부 가장자리에 있는 이탈치차와 결합해서 잠금판 및 컵부재가 하부위치에 있는경우, 즉 정상작동위치에서 스풀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버튼이 땅에 접촉하여 잠금판을 따라 왕복운동하고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위,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는 상기 스풀이 회전하게 된다. 이 스풀은 커버링과 버튼부재를 하우징으로 부터 떼어내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서, 컵부재는 하우징수단의 의부벽에 지지되는 유지수단으로 최하부위치에서 정확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하우징부재의 개구내에 장치되어 여기를 통해서 라인이 절단면으로 뻗어나가는 금속제의 개구를 설치하는데 도움을 준다. 공지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라인을 위한 금속재의 베어링면에서는 상기플라스틱라인이 플라스틱재의 하우징부재에 마찰열에 의해 용융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풀은 교체되는 것이 용이하고, 버튼부재를 구비하는 커버는 스프링의 반발력에 대항하지 않고도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은 기술적인 지식이 별로 요구되지 않으며, 더우기 작업자의 특별한 숙련도도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부재의 중앙부위에는 또 다른 형식의 유지수단을 연결시키고, 컴부재에 있는 중앙개구를 통해서 통과시켜 커버링과 버튼 부재가 스풀과 라인의 교체를 위해서 분리될때 컵부재를 제위치에 유지시킬 수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중요점중 하나로는 본 시스템이 원동기에 적절히 연결됨으로써 어떤방향으로든 임의로 회전될수 있고, 라인이 스풀상에 감겨진 방향이 작업조건과는 상관없다는 점이다.
첨부한 도면에서 헤드조립(10)는 5개의 사출성형제 플라스틱부품, 즉 주하우징부재(12), 컵부재(14), 스풀(16), 하부 커버부재(18), 그리고 지반정착용 버튼부재(20)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금속부재, 즉 축(28), 코일형압축스프링(30) 그리고 아이릿구멍(32)이 추가된다.
상기 하우징부재(12)에는 축(28)을 수용하는 중앙개구(33)가 있다. 상기 축(28)은 내부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통사의 라인 절삭기의 구동축(도시생략) 위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외부의 스풀라인(35)은 하우징(12)의 연결부에 끼워져서 확실한 구동력전달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갖는 중요장점의 하나는 각 부품들의 배치가 여러가지 원동기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라도 축(28)의 나사부(34) 방향만을 반전시켜서 헤드조립체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원통형으로된 내부 및 외부벽(36, 38)이 있으며, 이것은 이중벽(40a)의 좁은 부위속에 위치하여 금속제의 개구(32)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개구(32)를 통해서는 절단라인(44)이 절단면으로 뻗어나가게 된다. 상기 원통형내벽은 챔버(46)를 만들어서 스프링(30)을 수용한다. 또한 컵부재(14)에는 컵처럼생긴 부위(50)가 포함되는데, 이 부위(50)는 하우징의 관형벽(46)주위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위치하여 이 부위(50)의 하부폐쇄단(52)과 축(28)의 하부사이에서 스프링(30)이 압축되어 있도록 해준다. 상기 부재(14)에는 또한 디스크형상의 상부누름판(53)이 있으며, 이판(53)은 개구(32)의 플랜지(32a) 바로 위의 지점인탭부위(54)까지 뻗어있다.
상기 플랜지(32a)는 누름판(53)의 탭부위(54)가 하향이동하여 유니트가 분해되는 경우라도 컵부재(14)가 제3도에 도시된 조립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커버링(18)에는 하우징의 실린더벽(36)의 하단주위에 위치된 플랜지(55)를 갖고 있으며, 적절한 고정수단을 써서 위치보전을 하게 된다. 제4도에서는 이 고정수단으로 상기 벽(36)의 하단부로 부터 커버링(18)에 있는 3개의 체결홈(58)속으로 뻗어나간 3개의 탭(56)을 적용한 것을 보여준다. 상기탭(56)은 커버링(18)이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에서 이동회전하는 경우, 개구(60)속으로 들어가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로 들어간다. 상기탭이 개구(60)속으로 들어가도록 힘을 받는 경우, 잠금탭(62)은 내부쪽으로 가압되며, 스프링은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하고, 탭(56)은 홈속에 끼워지게 된다. 커버링(18)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탭(62)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여 커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음 이 탭을 홈(58)으로부터 개구(60)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조는 여러해동안 이용되어 온 것이며 본 발명의 신규부분과는 관계없는 것이다. 따라서 커버를 하우징에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서 하면 되는 것이다.
지반정착용 버튼부재(20)는 커버링(18)의 중앙개구(60)를 통해서 돌출해있으며, 여기에는 컵부재(14)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적용된 컵형상의 부위(6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재(20)에는 개구(60)의 외곽을 벗어나 돌출해있는 원주플랜지부(64)가 마련되어있다.
상기 부품은 커버링(18)이 홈(58)속에 탭(56)을 끼워서 하우징(12)에 부착되고, 버튼부재(20)가 컵부재(14)의 하단부와 결속하는 경우 커버링(18)이 플랜지(64)와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20)를 컵부재(14)에 대해 가압하고 이에따라 스프링을 가압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이 가압되면, 탭(54)은 개구(32)와의 접촉관계에서 벗어나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약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컵부재(14)는 제4도에 도시되는 것처럼, 누름판에 있는 홈(72)속에 수용되는 6개의 리브(7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 형식에 의하면, 하우징으로부터 컵부재(14)로 토오크를 전달하면서 상기 부재(14)를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6도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버튼부재(20)는 이 부재(20)의 홈(78)내에 끼워지는 커버링(18)의 리브(76) 6개를 구비하여 커버링(1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에 있는 리브(70)의 하단부와 상기 커버링(18)이 갖는 리브(76)의 하단부가 갖는 각각의 크기는 이 부품들이 조립되었을때, 스풀(16)의 플랜지(80, 82)와 각각 접촉하여서 하우징에 대해 스풀(16)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정해진다. 이러한 조건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스풀(16)이 하우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야 장치의 작동 상태가 좋아지기 때문이다.
제5도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상기 스풀(16)에는 상부플랜지(80) 위에서 중앙의 리브(89)와 외곽의 플랜지(80) 사이에 형성되는 6개의 리브(84)가 마련된다. 상기 스풀(16)의 하부플랜지(87)의 하부면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동일한 수의 하부리브(88)가 마련되는데, 상기 리브(84, 88)를 설치하는 경우 각 리브사이의 각은 요구에 따라 동일하게 결정하면 된다. 물론 스풀(16)위에 있는 리브는 잠금부(86)가 제어치차(90)와 각동상으로 상관관계에 있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스풀(16)은 허브(89)의 돌출부(89a)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하부플랜지(82)나 리브(88)보다도 휠씬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있어서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를 분해할때 작업자가 장치의 구조를 좀더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하고, 스풀(16)을 하우징(12)로 부터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부리브(84)의 가장자리(84a)는 스풀의 축에 완전히 평행하기 때문에 제5a도에 도시된 것처럼 양호한 감금면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컵부재(14)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6개의 돌출면을 갖고 있으며, 이 돌출면은 잠금판이 하부위치에 있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스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풀의 가장자리(84a)에 평행한 체결면으로 상기 리브(84)와 결합하는 잠금부(86)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20)는 이부재(20)의 가장자리주위에 설치되는 이탈제어장치(90)를 형성하는 보스를 6개 구비한다. 상기 제어치차(90)는 버튼부재(20)가 스프링에 의해 아래쪽의 잠금위치로 가압될 때 테이퍼형의 면(88a, 제5b도 참조)과 결합하는 경우 마찰력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양측에 테이퍼형의 가장자리(90a)를 갖는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하부치차(90)와 상부잠금치차(86) 사이의 간격은 잠금치차(86) 또는 이탈치차(90)가 스풀(16)의 상부리브(84)나 하부리브(88)중 어느 하나와 항상 결합되어 있도록 정해진다. 스프링 컵(50)을 가압하여 버튼부재(20)가 제2도에 도시된 최저위치가지 하강해서 플랜지(64)가 커버링(18)과 결합하게 되면, 잠금치차(86)는 버튼부재(20)의 상부에서 리브(88)와 결합한다. 반대로, 버튼부재(20)가 땅에 접촉하여 조립체가 제7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따라 잠금치차(86)가 리브(84)의 위쪽으로 이동하면, 이탈치차(90)는 하부리브(88)에 대해 간섭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커버링(18)이 하우징(12)에 연결되면, 잠금치차(86)는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60도의 간격을 띄우고 위치한다. 상기 잠금치차(86)는 시계방향으로 1, 3, 5, 7, 9, 11의 홀수로 번호를 부여하고, 이탈치차(90)는 상기 잠금치차(86)에 대해 2, 4, 6, 8, 10, 12의 짝수번호를 부여한다. 상기 이탈치차(90)의 이격상태는 60도의 간격이며, 다만 잠금치차(86)에 대해 30도의 엇갈림각을 갖는다. 이러한 관계에 대해서는 제4도와 제6도에서 설명하고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헤드(10)는 5개의 사출성형제 플라스틱 부품과 3개의 금속부품으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부품들은 구조가 간단하며,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하우징(12)속에 축(28)을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상기 축(28)을 하우징(12)의 제조시에 동시에 하우징(12)내에 성형해도 된다. 이울러 스프링(30)은 벽(46)과 이 벽(46)위에 신축가능한 위치하는 컵부재(14)로 만들어지는 스프링챔버속에 삽입되는데, 상기 스프링은 개구(32)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어느정도 가압된다. 이때, 탭(54)이 개구(32)의 플랜지와 결합하여 개구(32)의 마찰고정이 발생하는데, 이 힘에 의해 조립된 45개의 부품들이 서로 분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스풀(16)로 부터 나오는 라인은 개구(32)를 통해서 나오며, 스풀(16)은 컵부재(14)의 컵부위(50)위에서 미끄러짐운동만을 한다. 이것은 스풀(16)의 가장자리와 개구(32)의 플랜지사이에 생기는 간격때문에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하우징의 내벽(38)과 스풀(16)의 가장자리 사이에 생긴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스풀과 하우징 사이에서 라인이 들어박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풀을 삽입하는 경우 작업자는 스프링의 힘이나 하우징과 컵부재의 분해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조립은 버튼(20)을 커버링(18) 내에 위치시키고, 탭(56)위의 커버를 개구(60)속으로 가압시켜서 잠금탭(62)을 안쪽으로 가압하고 탭(62)을 홈(58)속에 회전 삽입하면 된다.
최종적으로 조립된 조립체에 대해서는 그 정상적인 작동위치에 있을 경우가 제2도에 하강위치에 있을 경우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7도에서는 본 장치가 정상적작동 상태에 있을때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버튼의 플랜지(64)가 커버링(18)에 접촉할때까지 스프링이 컵부재(14)를 버튼(20)에 대해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루우프의 측부인장력은 플랜지(56)와 홈(58)에 의해 만들어지는 하우징(12)과 커버부재사이의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 위치에서, 상기 스풀(16)은 커버(18) 내에서 리브(76)에 의한 하향축방향이동에 대항하여 유지되어 잠금치차(86)가 스풀상에서 상부리브(84)와 결합하여 스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리브(84)와 잠금치차(86)의 접촉면은 모두 헤드의 축에 평행하며, 따라서 스프링(30)의 가압력에 대항하면서 잠근판과 컵부재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가압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결국 라인이 엉키거나 하는 경우 가끔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힘이 라인상에 가해지는 경우라도 라인이 풀려나오지는 않는 것이다.
라인이 마모되거나 파괴되어 헤드로 부터 나오는 라인의 길이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헤드를 땅에 대해 밀고, 버튼(20)과 컵부재(14)를 스프링(30)의 힘에 대항하면서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잠금치차(86)가 스풀(16)의 위쪽에서 리브(84)와의 결합을 풀면, 스풀(16)은 바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잔디와 같은 식물에 접촉하고 있는 라인에 의해 생기는 힘이나 원심력등에 의해 장력이 라인에 생기게 된다. 이 힘은 상당히 크며, 따라서 스풀의 회전은 상당한 속도로 발생하고, 그 정도는 잠금치차(86)가 리브(84)와 결합상태로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을 초과하는 정도이다. 그러나 상기치차(86)가 리브(84)와의 결합관계에서 해제되기전에 이탈치차(90)가 위쪽으로 이동해서 스풀의 하부 플랜지상에서 리브(88)의 회전을 억제하기 때문에 스풀(16)은 이탈치차(90)와 결합할때까지 30도 이상 회전하지는 못한다. 스프링(30)의 힘은 헤드를 위쪽으로 튀게할 정도로 충분히 세므로 버튼(20)이 컵부재(14)와 계속 접속상태에 있게되며, 잠금치차(86)와 이탈치차(90)는 적당한 간격을 서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풀의 하부플랜지에 있는 테이퍼형의 치차와 테이퍼형의 이탈치차는 태핑작업이 종료된후 컵부재를 아랫쪽으로 이동시킨다. 헤드가 땅으로 부터 다시 되튀면, 스프링이 컵부재(14)와 버튼(20)을 아랫쪽으로 가압해서 이탈치차(90)가 하부플랜지상의 리브(88)로 부터 벗어나게 한다.
2가지 종류의 치차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잠금치차는 이탈치차(90)가 하부리브(88)와 분리되기전에 상부리브(84)와 결합상태가 되도록 이동한다. 그러면 스풀은 리브(84)가 치차(86)와 다시 결합할때까지 추가로 30도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범프사이클마다 총합 60도의 스풀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범프사이클은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라인증가가 요구될 때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만약 작업자가 초과량의 라인을 끌어내야한다면 종래형식의 절단기(도시생략)를 쉬일드상에 부착시켜 라인을 절단할 수도 있다.
라인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잠근탭(62)를 안쪽으로 밀어서 탭(56)이 홈(58)으로 부터 빠져나와 커버링(18)과 버튼(20)이 제거되고 스풀(16)이 노출될때까지 커버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하면 된다. 스풀(16)의 허브(86a)는 사용자가 하우징 조립체로부터 스풀이 분리되었는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개구(32)는 다시 컵부재(13)를 제위치에 유지시키고 탭(54)은 개구(32)의 플랜지와 결합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컵부재(14)와 스프링을 하우징부재로 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작업자가 스풀위에 새로운 라인을 감는 것도 가능하며, 이미 감겨진 라인을 갖는 스풀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헤드조립체가 수선되는 경우도 라인은 개구(32)를 통해 풀려나올 수 있으면, 스풀은 스프링(32)의 힘에 대항하거나 또는 동시에 여러개의 부품을 조립히야할 필요없이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커버(18)와 버튼(20)을 제위치에 설치하고 나면 장치는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스풀(16)의 리브가 갖는 대칭성과 잠금치차(86) 및 이탈치차(90)가 서로 30도의 어긋남을 제외하고 대칭하다는 것 때문에 헤드 조립체가 스풀위에 라인이 어떤 방향으로 감겨있든, 또는 헤드가 원동기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든지에 관계없이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부터 한가지의 기계가공세트만으로 축(28)을 제외한 모든 부품에 적용할 수 있고, 나선가공부(34)의 방향은 장치의 회전방향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절삭하여 정상작동에 결합상태가 항상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8a도 및 8b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식의 헤드(100)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헤드(100)는 전술한 헤드(10)와 모두 유사한 부품이나 다만 플랜지(53)가 없다는 것만이 다르다. 또한 부재(14)의 컵(50)은 위쪽으로 뻗은 보스(102)를 구비하는 것으로 변형했다. 상기 보스는 축(28)의 단부근처지점까지 위쪽으로 뻗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배치된 개구주위에 쇼울더(10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축(28)은 상기 쇼울더(104)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해 뻗어 나가며 그 크기는 쇼울더(104)에 대해 미끄럼운동이 가능할 정도로 한다. 스크류(108)가 상기 연장부(106) 속으로 끼워지고, 이 스크류(108)는 쇼율더(104)에 있는 개구보다 더 큰 머리가 마련된다.
아울러 스프링(110)은 그 직경이 더 크고 길이가 짧아서 하우징(12)의 벽(112)하단부와 결합한다. 상기 스프링(110)은 상기 벽의 하단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성형가공의 필요상 약간 테이퍼가공된 컵의 벽(50)의 최소내경에 거의 근사하는 외경을 갖는다.
헤드(100)의 조립에 있어서는 개구(32)가 컵부재(14)와 하우징이 조립되기전에 앞서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된다. 그리고나서 스프링(110)이 컵(50)내에 위치되고 축방향연장부(106)상의 쇼율더(104)에 있는 개구와 일치되도록 밀려진다. 상기 스크류(108)는 제위치에 끼워져서 이 스크류(108)의 머리가 제8b도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위치에서 컵부재(14)를 정확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서 커버링(18)과 버튼부재(20)는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가 아니라도 관계없다. 커버링(18)과 버튼부재(20)가 조립되어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는 상기 컵부재(12)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8b도에 도시한 위치로 간다. 이때 쇼율더(104)는 연장부(106)를 따라 이동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스풀(16)의 인덱싱(indexing)을 허용한다.
제9a도 및 제9b도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120)는 제8a도 및 제8b도의 장치(100)와 유사한 것이며, 따라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이 실시예의 우선 다른점은 축의 보스(106)에 직경이 작은 연장부(106a)를 마련하고, 통상의 푸쉬너트(122)를 사용해서 연장부(106a)를 조립하여 스크류(108)를 대치했다는 점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컵부재(14)를 하우징(12)으로 부터 떼어낼필요가 없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분해하지 않도록된 잠금너트(122)가 사용되며, 따라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스프링(110)의 크기가 너트(122)에 최소한의 힘만을 가하도록 적용될때 매우 유효하다. 또한 정상적작동시에 버튼부재(20)와 커버링(18)의 조합은 쇼울더(104)가 푸쉬너트와 결합하기전에 잠금판과 컵부재(12)의 하향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의 푸쉬너트는 라인을 재공급하는 정적인 조건의 경우에만 기능하도록 사용되며,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정상적작동시에 처해지는 심각한 동적인 조건을 견뎌내지 못할 것이다.
본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헤드는 가요성 구동축을 통해 헤드를 구동시키는 가솔린동력의 원동기를 적용하는 것으로 했다. 상기 헤드는 축을 전동기의 구동축에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전력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 처럼 전동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원심휀을 구성하도록 하우징부재의 상부면에 주형휜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비록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만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 실시예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는 것은 가능하다.

Claims (18)

  1. 상부 및 하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 부재중 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개구를 구비하는 원통측벽을 갖고 다른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내부에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하우징수단과, 상기 상부 하우징수단을 구동축에 연결시켜 이 하우징수단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하우징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상, 하 위치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수단에 대해 왕복이동 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하우징수단의 상부부재와 상기 잠금수단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잠금수단을 하부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고, 하우징수단내에서 가요성 절단라인을 갖고, 상기 하우징수단에 대한 축방향운동이 억제되어 있는 스풀수단과, 상기 스풀위에 감겨지고 헤드조립체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수단에 있는 개구를 통해 절단면으로 그의 자유단부가 뻗어나가는 절단라인과, 상기 잠금수단과 스풀수단위에 설치되어 잠금수단이 하부위치에 있을 때 스풀이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잠금수단이 하부위치에서 상부위치로 이동할 때 제1소정량만큼 상대적회전을 허용하고, 잠금수단이 상부위치로 부터 하부위치로 이동할 때 제2소정량 만큼 상대적회전을 허용하는 연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작업자가 헤드조립체를 지면에 내려놓고 스프링력으로 하부 위치까지 복귀시켜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서 절단면까지 연장된 라인상의 원심력에 따라 제1 및 제2소정량만큼 스풀이 회전하도록 하여 정해진만큼 라인을 유출시킬 때 하부위치로 부터 상부 위치로 잠금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하우징 수단의 바닥으로 부터 돌출한 범핑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절단라인을 새로운 라인으로 대치하기 위해 상기 스풀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 하부재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수단은 잠금수단의 상부부재와 하우징수단의 상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이 하부 부재들이 상기 하우징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상부 부재들로 부터 각각 분리될 때 그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수단으로 상기 하우징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상부 부재들을 소정의 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부 잠금수단의 축방향초과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우징수단위에 설치되는 억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개구를 형성하는 금속제부품과 상부 잠금부재사이에 설치되는 억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수단과 상부 잠금수단에 연결된 연결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연결수단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뻗어있으며, 규격이 상기 개부보다 더 큰 확대부를 구비하고 하우징 수단에 대해 상부 잠금수단과 스프링을 작동위치로 조립한 후 상기 하우징수단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는 스크류의 머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는 푸쉬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의 상부 부재는 상부 하우징부재에 형성된 축방향 연장상부리브에 의해 구동되고, 잠금수단의 상부 부재에 있는 홈과 상관작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의 하부 부재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축방향 연장하부 리브에 의해 구동되고, 잠금수단의 하부 부재에 있는 홈과 상관작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가 조립되어 스풀의 축방향운동을 억제할 때 상부 리브의 하단부와 하부리브의 상단부가 축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아랫쪽으로 돌출한 여러개의 잠금치차수단을 갖는 스풀위에 설치된 상부 잠금판과, 위쪽으로 돌출한 여러개의 이탈치차수단을 갖으며 땅과 접촉하는 하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스풀은 잠금수단이 하부위치에서 상부위치로 왕복하고 라인의 추출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잠금 치차수단 또는 이탈치차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상, 하 돌출리브수단을 갖는 상부 및 하부 반경방향 연장플랜지와 원통형 허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하부 부재가 상부 부재로 부터 분리될 때, 상기 스풀을 작동위치로 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관찰하는 것이 용이하게 하부 플랜지의 하부에 허브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13. 상부 단부벽, 상기 단부벽을 구동축에 연결시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연결수단, 상기 축과 동심이며 코일스프링을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내부 원통벽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대해 사, 하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 왕복운동을 위한 내부 원통벽 및 하부 폐쇄단부를 구비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을 하부위치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잠금수단과 하우징부재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수단과 ; 상기 챔버내에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잠금부재를 내부 원통벽 위에 유지시키기 위해 하우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지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컵부위 주위에 위치된 허브와 상기 허브로 부터 반경방향에서 외곽으로 뻗어있는 상, 하 플랜지를 갖는 스풀과,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부 개방단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중강개구를 갖는 커버부재와, 상기 스풀에 감기고 상기 하우징부재중 하나에 있는 개구를 통해서 절단면으로 뻗어있는 절단라인과, 지면에 접촉함에 따라 스프링의 가압력에 반하면서 상기 잠금부재를 하부위치로부터 상부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중앙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버튼 수단과, 상기 잠금부재가 상, 하 위치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하우징부재로 부터 잠금부재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수단과, 상기 버튼부재를 지면과 접촉시킴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가 하부위치로 부터 상부위치로 왕복이동될 때 하우징부재에 대해 소정량만큼 스풀이 회전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잠금 수단과 스풀상에 위치되는 연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14. 상부 단부벽으로 상부단이 막히고 하부단이 개방된 외부 원통력, 상기 원통벽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단부벽을 구동축에 연결하는 연결수단, 상기 외부 원통벽에 동심인 내부 원통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대해 상, 하 위치사이에서 왕복운동 하도록 판 아래에서 내부 원통벽주위에 설치된 컵부재와 폐쇄하부단을 갖는 잠금부재와, 내부 벽내의 잠금부재와 하우징부재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하부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수단과, 하우징부재위에 잠금부재를 유지시켜 챔버내에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지수단과, 상기 잠금판아래에서 잠금부재의 컵부위주위에 위치된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반향 외곽으로 뻗어있는 상,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는 스풀과,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부 개방단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속에 중앙개구를 갖는 커버부재와, 지면에 놓여짐에 따라 스프링의 가압력에 반하여 잠금부재에 하부위치에서 상부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범프부재가 상부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헤드내에서 잠금부재의 하부단에 대해 헤드내의 하부위치에서 버튼부재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위에 위치된 플랜지를 구비하는 중앙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버튼부재와, 하우징부재내에 설치되고 잠금판의 가장자리에 있는 홈과 결합하여 잠금부재가 상, 하 위치사이에서 왕복이동 하는 동안 하우징 부재로 부터 잠금부재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리브수단과, 커버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버튼부재의 플랜지 가장자리에 있는 홈과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가 상, 하 위치사이에서 왕복운동 하는 동안 커버부재로 부터 버트부재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리브수단과, 상기 스풀의 상, 하 플랜지위에 형성된 상, 하 리브수단과, 상기 리브수단과 결합하도록 잠금판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잠금치차 수단과, 상기 하부 리브수단과 결합하도록 버튼부재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이탈치차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치차수단은 버튼부재가 땅에 접촉하여 버튼부재 및 잠금부재가 하부위치에서 상부위치로 왕복이동하면 스풀이 하우징부재에 대한 소정량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탈치차 수단에 대해 축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
  15. 가요성 라인절단기의 헤드 조립체에 쓰이는 스풀에 있어서 ; 상기 헤드는 ; 상단부 벽에 의해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외부 원통벽, 상기 상단부 벽을 구동축에 연결시켜 원통벽의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외부 원통벽과 동심인 내부 원통벽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에 대해 상, 하 위치사이에서 왕복운동 하도록 판아래에서 내부 원통벽부위에 설치된 컵부재와 폐쇄 하부단을 갖는 잠금부재와, 내부 벽내의 잠금부재와 하우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하부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수단과, 하우징부재위에 잠금부재를 유지시켜 챔버내에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지수단과, 상기 하우징부재와 하부 개방단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속에 중앙개구를 갖는 커버부재와, 지면에 놓여짐에 따라 스프링의 가압력에 반하여 잠금부재가 하부위체서 상부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범프부재가 상부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헤드내에서 잠금부재의 하부단에 대해 헤드 내의 하부위치에서 버튼부재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위에 위치된 플랜지를 구비하는 중앙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버튼부재와, 하우징부재내에 설치되고 잠금판의 가장자리에 있는 홈과 결합하여 잠금부재가 상, 하 위치사이에서 왕복이동 하는 동안 하우징 부재로 부터 잠금부재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상부 리스수단과, 커버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버튼부재의 플랜지 가장자리에 있는 홈과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가 상, 하 위치사이에 왕복이동 하는 동안 커버부재로 부터 버튼 부재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하부 리브수단과, 상기 상부 리브수단과 결합하도록 잠금판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잠금치차수단과, 상기 하부 리브수단과 결합하도록 버튼부재의 상부며에 설치되는 이탈치차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풀은, 컵수단주위에 배치하기 위한 허브와, 상기 허브로 부터 반경방향 외곽으로 연장되고, 스풀이 회전할 때 스풀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상, 하 리브의 단부와 결합할 수 있게 위치된 상, 하 플랜지와, 버튼부재가 지면과 접촉하여 잠금수단과 버튼부재가 하부위치에서 상부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스풀이 하우징부재에 대해 소정량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치차수단 및 이타치차수단과 각각 결합하게 상기 상, 하 플랜지의 상부 및 하부면에 위치하는 상, 하 리브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스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작업자가 스풀을 헤드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연장된 부위를 관할할 수 있게 일정한 거리만큼 상, 하 플랜지중 하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스풀.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치차수단과 결합하는 상부 리브수단의 면은 상기 스풀의 축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스풀.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치차수단과 결합하는 하부 리브수단의 면은 상기 잠금부재가 상부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회전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절단기의 스풀.
KR1019870014411A 1986-12-17 1987-12-15 라인절단기의 헤드조립체 KR950005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330986A 1986-12-17 1986-12-17
US943309 1986-12-17
US943,309 1986-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977A KR880006977A (ko) 1988-08-26
KR950005779B1 true KR950005779B1 (ko) 1995-05-31

Family

ID=2547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411A KR950005779B1 (ko) 1986-12-17 1987-12-15 라인절단기의 헤드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271762B1 (ko)
JP (2) JPH0722452B2 (ko)
KR (1) KR950005779B1 (ko)
AT (1) ATE76555T1 (ko)
AU (2) AU612998B2 (ko)
CA (1) CA1298977C (ko)
DE (1) DE3779408D1 (ko)
MX (1) MX169713B (ko)
NZ (1) NZ222748A (ko)
ZA (1) ZA8788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6009C5 (de) * 1989-05-17 2007-11-22 Fa. Andreas Stihl Schneidkopf für ein Pflanzenschneidgerät
JP3113270B2 (ja) * 1990-11-16 2000-11-27 杉原林機株式会社 コード型草刈機の刈刃装置におけるコード繰出し機構
GB9110125D0 (en) * 1991-05-10 1991-07-03 Black & Decker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getation cutters
JP2008263854A (ja) * 2007-04-20 2008-11-06 Isao Kohama 草刈り・稲刈り用の刃物台
EP2641461B1 (en) * 2012-03-19 2018-12-19 Robert Bosch GmbH Line trimmer
AU2014337577A1 (en) 2014-03-24 2015-10-08 Husqvarna Ab Quick loading trimmer head
EP2923549B1 (en) * 2014-03-24 2018-01-10 Husqvarna AB Quick loading trimmer head
CN105815028B (zh) * 2014-05-30 2017-12-0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打草机及打草机的放线方法
US20160183452A1 (en) 2014-12-29 2016-06-30 Husqvarna Ab Quick loading trimmer head
CN109691289B (zh) * 2017-10-20 2020-10-23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打草机及其控制方法
WO2019105789A1 (en) 2017-11-30 2019-06-06 Husqvarna Ab Trimmer head with improved line release feature
WO2020253679A1 (zh) * 2019-06-17 2020-12-24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打草机及其打草头
EP3785518B1 (de) 2019-08-30 2023-07-05 Andreas Stihl AG & Co. KG Fadenmähkopf zur montage an einer antriebswelle eines freischneid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3588A (en) * 1976-08-10 1987-01-06 Pittinger Jr Charles B Bump-feed filament vegetation trimmer means and method
US4161820A (en) * 1977-10-28 1979-07-24 Weed Eater, Inc. Apparatus for cutting vegetation
US4183138A (en) * 1978-03-08 1980-01-15 Weed Eater, Inc. Apparatus for cutting vegetation
EP0005540B1 (de) * 1978-05-24 1982-04-21 Wolf-Geräte GmbH Fadenschneider zum Beschneiden von Rasenkanten
US4189833A (en) * 1978-08-15 1980-02-26 Weed Eater, Inc. Apparatus for cutting vegetation
JPS575608A (en) * 1980-06-14 1982-01-12 Komatsu Zenoa Kk Bush cutter
US4259782A (en) * 1979-09-14 1981-04-07 Proulx Raymond E Flail feedout mechanism for a rotary mower
DE3005968C2 (de) * 1980-02-16 1990-08-23 Gardena Kress + Kastner Gmbh, 7900 Ulm Fadenschneider
US4490910A (en) * 1982-07-21 1985-01-01 Allegretti & Co. Cutting head for string trimmer
JPS6033788U (ja) * 1983-08-15 1985-03-07 株式会社東芝 電磁調理器
JPS6083508A (ja) * 1983-10-15 1985-05-11 タナカ工業株式会社 ナイロンコ−ド型刈払機
DE3413336C2 (de) * 1984-04-09 1986-11-20 Wolf-Geräte GmbH, 5240 Betzdorf Fadenschneider
US4672798A (en) * 1985-05-24 1987-06-16 Shingu Shoko, Ltd. Apparatus for cutting grass
EP0215416A1 (de) * 1985-09-19 1987-03-25 Todesco, Andreina Automatischer Mähkopf für ein Buschmä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46418B2 (en) 1994-02-24
EP0271762A1 (en) 1988-06-22
ATE76555T1 (de) 1992-06-15
JPH07213135A (ja) 1995-08-15
CA1298977C (en) 1992-04-21
KR880006977A (ko) 1988-08-26
NZ222748A (en) 1989-07-27
MX169713B (es) 1993-07-20
AU612998B2 (en) 1991-07-25
DE3779408D1 (de) 1992-07-02
AU8252287A (en) 1988-06-23
EP0271762B1 (en) 1992-05-27
JPH0722452B2 (ja) 1995-03-15
AU6810590A (en) 1991-02-21
ZA878894B (en) 1988-09-28
JPS63226207A (ja) 198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465A (en) Line feed mechanism for line trimmers
KR950005779B1 (ko) 라인절단기의 헤드조립체
EP1670305B1 (en) Trimmer head for use in flexible line rotary trimmers
US4349962A (en) Cutting down machine
JP2948895B2 (ja) トリマ等の草刈装置
JPH0620351Y2 (ja) 可撓性フイラメント式草刈機のヘツド構造
EP2319288B1 (en) String head for a trimmer
US4760646A (en) Tree pruner and hedge trimmer
US8549827B2 (en) Rotary cutter for mower
US5615543A (en) Rotary cutting head
US4660286A (en) Apparatus with automatic line feeding
US4236309A (en) Flexible line trimmer with line feeding apparatus
IL102887A (en) Release mechanism for rotating head for pruning machines
US4738085A (en) Rotary cutter for mowers
US10405489B2 (en) Flexible line trimmer head
JP2020178675A (ja) 草刈り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り機
JPS6188813A (ja) 植物刈込み用の糸式トリマ
GB1576174A (en) Apparatus for cutting vegetation
JP2519943Y2 (ja) 刈払機の刈刃回転体
JPH08149915A (ja) コードカッタ式刈払機
DE3825001A1 (de) Zugseilstarter fuer brennkraftmaschinen
JPS63198915A (ja) 刈払機のコ−ド繰出し装置
JPH022692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