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710B1 - 복합사출 성형방법, 장치 및 그 성형체 - Google Patents

복합사출 성형방법, 장치 및 그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710B1
KR950005710B1 KR1019890006217A KR890006217A KR950005710B1 KR 950005710 B1 KR950005710 B1 KR 950005710B1 KR 1019890006217 A KR1019890006217 A KR 1019890006217A KR 890006217 A KR890006217 A KR 890006217A KR 950005710 B1 KR950005710 B1 KR 95000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body
primary molded
mold
resin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060A (ko
Inventor
도시유끼 가나이
노부오 신노
Original Assignee
닛세이 쥬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요다 쯔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쥬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요다 쯔까사 filed Critical 닛세이 쥬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exchangeable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29C2045/1667Deformation b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1Gas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1Circular sheet or circular blank
    • Y10T428/215Seal, gasket, or p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 Y10T428/24339Key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488Differential nonuniformity at mar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10T428/2453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or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65Inorganic-containing or next to inorganic-cont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사출 성형방법, 장치 및 그 성형체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복합사출 성형체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제2a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복합사출 성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6a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복합사출 성형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9도 내지 제16c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복합사출 성형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일차 성형체 B : 2차 성형체
W, Y, Y', Z : 금형 3 : 오목부
5 : 언더커트부 6 : 돌기
7 : 공동 9 : 볼록부
13 : 적은 홈 20 : 사출장치
22 : 고정판 24 : 가동판
30 : 기대 33 : 스풀
52 : 곡면 55 : 돌출부
56 : 저부 인접부 57 : 핀
130 : 큰 홈
본 발명은 복합사출 성형방법, 장치 및 그 성형체,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로 형성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 장치 및 그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있어서는, 자동차, 가정용 전기기기, 카메라, 용기 등의 경량화의 요청에서 각종 기계, 장치 등을 구성하는 부품이 금속제에서 수지제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재의 부품은, 통상, 복수 개의 성형체(이하, 일차 성형체라 칭함)가 설치되어서 구성되어 있으며, 일차 성형체의 조립 부분에는, 그것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혹은 쿳션셩 또는 방활성을 부여하기 위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스틸렌브타디엔 고무 등의 탄성중합체로 형성되는 밀봉부재(이하, 2차 성형체라 칭함)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이와 같은 2차 성형체는, 일차 성형체와는 별도로 성형되어서 사람의 손에 의해 일차 성형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정확도가 떨어지고 또한 설치 공수가 매우 커지는 등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소60-52322호 혹은 특허공개 공보 소63-104809호에는, 사출형성에 의해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를 얻고, 이어서 상기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에 2차 성형체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를 사출충전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복합사출 성형방법에 의하면, 일차 성형체와 밀봉부재 등의 2차 성형체가 조립되어 있는 복합성형체가 사출성형에 의해 한번에 성형할 수가 있으므로, 설치 정확도의 대폭적인 향상 및 설치 공수의 현저한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일차 성형체는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사출성형기로부터의 성형품 인출 등의 조작성을 유지하도록, 얻어지는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는, 그 벽면이 지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상태로 되도록 형성이 된다.
이와 같은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에 사출충전된 2차 성형체는 상기 오목부 벽면에 어떠한 빠져나감 방지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뽑히기 쉽다.
이로 인하여, 이와 같은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에 2차 성형체를 튼튼하게 고착시키기 위해서는 앞에 든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소63-104809호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 저면과 2차 성형체 사이에 반응성 에라스토머층이나 플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양자를 접착시키는 것을 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차 성형체와 2차 성형으로 형성되는 복합성형체가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또한 2차 성형체가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에 접착층을 거치지 아니하고 튼튼하게 고착되어 있는 복합사출 성형체 및 그것의 성형방법 및 복합사출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각종 검토를 겸한 결과, 사출성형으로 얻어지는 일차 성형체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주변부를 가압해가면서 오목부 벽면을 오목부내로 돌출시켜서 언더커트부를 형성하여, 이어서 상기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에 2차 성형체를 형성하는 수지를 사출충전하므로서, 일차 성형체 오목부 벽면에 2차 성형체의 빠짐 멈춤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2차 성형체가 일차 성형체에 튼튼하게 고착되어지는 것을 보고,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은, 최소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로 형성이 되며, 제1의 수지로 형성되는 일차 성형체(A)와 제2의 수지로 형성되는 2차 성형체(B)에 의해 구성이 되는 복합사출 성형체에 있어서, 이 2차 성형체(B)와의 접합면에 설치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3)에는, 오목부 벽면의 최소한 일부가 오목부내로 돌출하여 언더커트부(5)가 형성되어, 또한 제2의 수지가 충전되어서 2차 성형체(B)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은, 최소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로 형성이 되며, 제1의 수지로 형성되는 일차 성형체(A)와 제2의 수지로 형성되는 2차 성형체(B)에 의해 구성되는 복합성형체를 사출성형할 때에, 먼저 2차 성형체(B)와의 접합면이 되는 부위에 오목부를 갖는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며, 이어서 이 일차 성형체(A)의 상기 오목부의 주변부의 최소한 일부를 가압하여 오목부 벽면을 오목부내로 돌출시켜서 오목부에 언더커트부(5)를 설치하여, 그후, 사이 오목부 및 금형(Y)의 공동(7)내에 제2의 수지를 사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이다.
또다시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은, 최소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로 형성이 되며, 제1의 수지로 형성되는 일차 성형체(A)와 제2의 수지로 형성되는 2차 성형체(B)에 의해 구성되는 복합성형체를 사출성형하는 장치로서, 2차 성형체(B)와의 접합면과 이루는 부위에 오목부를 갖는 일차 성형체(A)를 성형하는 한쌍의 금형(Z, W)과, 얻어지는 일차 성형체(A)의 상기 오목부의 주변의 최소한 일부를 가압하여 오목부 벽면을 오목부내로 돌출시켜서 오목부에 언더커트부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부를 갖는 금형(Y 또는 Y')과, 상기 일차 성형체(A)를 수용 또는 2차 성형체(B)를 형성하는 공동(7)을 가지고, 이 공동(7)내 및 일차 성형체(A)의 상기 오목부내에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는 한쌍의 금형(Y, Z)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인 복합사출 성형방법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주변부의 가압이 금형(Y 또는 Y')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6)에 의한 가압, 또는 오목부 주변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9)의 가압, 혹은 오목부측 벽의 최소한 한편의 가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에 언더커트부(5)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다시, 2차 성형체(B)를 형성하는 제2의 수지의 사출충전이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개구부의 전 주변을 가압해가면서 이루어지는 일이, 실리콘 고무 등의 표면장력이 매우 적은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2차 성형체(B)의 주변에 발생하기 쉬운 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의 발명인 복합사출장치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주변을 가압하는 금형(Y 또는 Y')의 가압부가 돌기부(6), 또는 상기 오목부 측벽의 최소한 한편을 가압하는 가압부이므로 일차 성형체(A)의 언더커트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혹은 일차 성형체(A)를 성형하는 한쌍의 금형(Z, W)이 오목부 주변에 볼록부(9)를 갖는 일차 성형체(A)를 얻을 수가 있는 공동을 형성하는 것이라도, 얻어지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주변에 형성되는 볼록부(9)를 가압하므로서, 상기 오목부내에 용이하게 언더커트부(5)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다시,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는 한쌍의 금형(Z, W)중,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여서 틀을 개방하는 때에 일차 성형체가 부착 잔류하는 쪽의 금형(Z)을,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에 언더커트부(5)를 형성하는 가압부를 갖는 금형(Y 또는 Y')과 조합되는 금형의 한편에 공용 또는 2차 성형체(B)를 성형하는 한쌍의 금형(Y, Z)중 한편을 일차 성형체(A)를 수용하는 금형과 공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특히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여서 또한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는 금형(Y)내에,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개구부의 전 주변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개구부의 전 주변부를 가압하면서 제2의 수지를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에 사출충전할 수가 있기 때문에 2차 성형체(B)의 성형시에 발생하기 쉬운 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2종류의 제1 및 제2수지가 비상용성 수지, 혹은 제2의 수지가 밀봉부재, 쿠션부재, 혹은 방활부재 등으로 사용이 되는 탄성중합체인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특히 가장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언더커트부"란, 오목부 개구면과 저면사이의 오목부내에 오목부 저면의 폭보다 좁은 부분이 최소한 한 곳이 존재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성형된 일차성형체(A)의 오목부의 주변에 외력 등을 가하므로서 오목부 벽면을 오목부내로 돌출시켜서 오목부에 언더커트부(5)를 형성하여 2차 성형체(B)의 빠짐 방지부로 하고, 이어서 상기 오목부에 2차 성형체(B)를 형성하는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복합사출 성형체의 2차 성형체(B)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에 튼튼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일차 성형체(A)는 오목부의 언더커트부(5)는, 일차 성형체(A)를 수용하는 금형(Z)과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 주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는 금형(Y 또는 Y')을 틀죔하므로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도면을 사용하면서 설명을 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복합사출 성형체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하는 복합사출 성형체의 X-X면에 있어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제1a도 및 제1b도에 있어서, 유리섬유 함유의 나일론(6)으로 형성되는 제2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A)의 플랜지에,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제2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시일링인 2차 성형체(B)와 복수개의 볼트구멍(1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차 성형체(A)의 2차 성형체(B)와의 접합면에는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3)를 형성하는 측벽은 상방일수록 오목부(3)내로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3)의 단면 형상은 제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3)의 개구부 인접부(4)가 가장 좁아서 또한 개구부 인접부(4)에서 오목부(3)의 저부에 접근할수록 넓어지는, 말하자면 역 테이퍼형으로서 저부근처가 언더커트부(5)로 된다.
이와 같은 오목부(3)에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제2의 수지가 충전되어 있으며, 오목부(3)에 충전된 제2의 수지는 2차 성형체(B)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2차 성형체(B)의 일부는 저부근처에 언더커트부(5)가 형성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3)에 감합되어 있으며, 오목부(3)의 개구부 인접부(4)의 돌출부가 2차 성형체(B)의 빠짐방지부로 되기 때문에, 2차 성형체(B)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3)에 튼튼하게 고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하는 복합사출 성형체는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하는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얻을 수가 있다.
즉, 먼저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A)를 일차 성형체(A)가 성형되는 한쌍의 금형의 한쪽인 금형(Z)에 잔류시킨다[제2a도]. 이와 같은 금형(Z)에 잔류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는, 일차 성형체(A)의 윗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오목부(13)의 단면 형상은, 제2(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3)의 측벽이 저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장방형 형상이기 때문에, 금형(Z)과 마주하고 있는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는 다른 편의 금형은, 틀 개방시에 일차 성형체(A)에서 용이하게 이형할 수가 있어, 일차 성형체(A)를 금형(Z)에 잔류시킬 수가 있다.
이어서, 돌기(6)와 2차 성형체용 공동(7)이 구비되어 있는 금형(Y)과 일차 성형체(A)가 잔류되어 있는 금형(Z)을 틀죔하므로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을 가압한다[제2a도 및 제2b도].
이와 같은 오목부(13)의 주변부에 가압에 의해, 오목부(13)의 양측 벽면이 오목부(13)내로 돌출한다. 이 돌출의 정도는, 제2(b)도의 사선부(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의 위편일수록 크기 때문에, 오목부의 단면형상은 역테이퍼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와 같이 단면형상이 변형한 오목부(3)에는, 저부근처에 언더커트부(5)가 형성되어, 개구부 인접부(4)에는 빠짐방지가 형성된다.
또다시, 이와 같은 오목부(3) 및 금형(Y)의 공동(7)에 제2수지를 사출충전하여서 금형(Y)과 금형(Z)을 틀개방하므로서, 2차 성형체(B)가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3)에 튼튼하게 고착되어 있는 복합성형체를 얻을 수가 있다[제2(b)도 및 제2(c)도].
본 실시예와 같이, 2차 성형체(B)를 형성하는 제2의 수지로서, 실리콘 고무와 같이, 표면장력이 매우 낮은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수지는 5μ 정도의 극히 좁은 간극에도 진입하기 때문에, 2차 성형체(B)의 주변에 휨이 발생하기 쉬운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3)의 개구부 전주위에 걸쳐서, 그 주변부를 금형(Y)의 돌기(6)에서 가압해가면서 오목부(30 및 공동(7)에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므로서, 오목부(3)의 전 주변의 밀봉이 현저히 향상하기 때문에, 2차 성형체(B)의 주변부에 발생하는 휨을 방지할 수가 있다.
금형(Z)에 잔류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A)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3)의 주변을 가압하여 언더커트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하는 금형(Y)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6)로 오목부(13)의 주변을 가압하는 방법외에, 제3(a)도 내지 제3(c)도에 도시하는 방법에 따라서도 오목부(13)에 언더커트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제3a도 내지 제3c도에 도시하는 방법은, 미리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에 볼록부(9)를 설치하여 두고[제3a도], 상기 오목부(9)를 2차 성형체용 공동이 설치되어 있는 금형(Y)의 아래면에서 가압하는 방법이다[제3a도 및 제3b도].
이 방법에 의하면, 일차 성형체(A)의 윗면에 잔존하는 가압혼이,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하는 금형(Y)의 돌기(6)로 가압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적게할 수가 있다[제3b도 및 제3c도].
이와 같은 제2a도 내지 제3c도에 도시하는 방법을 병용하여도 좋고, 그 예를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다.
제4도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을, 미리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9)와 금형(Y)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6)에 의해, 2중으로 가압하는 방법이다.
또한, 제5도는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의 각쪽을 미리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에 형성이 되어 있는 볼록부(9) 또는 금형(Y)의 돌기(6)에 의해 가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가압방법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하는 방법이 오목부(13)의 벽면의 오목부내로 돌출하는 정도를 가장 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목부(13)의 단면형상을 거의 장방형상으로 하였으나, 금형(Z)과 마주하여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는 금형이 틀 개방시에, 일차 성형체(A)에서 용이하게 이형이 가능한한, 오목부(13)의 단면형상을 뽑아서 테이퍼형상, 반원, 반타원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금형(Y)에 설치하는 돌기(6)의 단면상은 쐐기형, 반원형, 반타원형, 틀형 등의 것이라도 좋고, 특히 쐐기형으로 하는 것이 일차 성형체(A)의 주변에 돌기(6)가 끼어들어 오목부 벽면을 용이하게 돌출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다시, 미리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주변에 형성하는 볼록부(9)의 단면형상도, 동일하게, 쐐기형, 반원형, 반타원형, 틀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이들 돌기(6) 및/또는 오목부(9)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개구부 전 주위에 걸쳐서, 그 주변을 가압하도록 설치하여도 좋고, 오목부(13)의 주변이 최소한 일부를 가압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요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의 주변을 가압하여 오목부 주변을 돌출시키는 것이면 좋다.
이와 같이,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주변을 가압하여 언더커트부를 갖는 오목부(3)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금형(Y)이 금형(Z)에 잔류부착하여 있는 일차 성형체(A)의 면과 그것의 오목부를 제거하고 밀착하는 것이 금형(Y)과 금형(Z)을 틀죔할 때에, 용이하게 오목부 벽면을 돌출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금형(Y)에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동(7)내에 2차 성형체(B)를 형성하는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는 사출공(11)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분출공(11)은 금형(Y)과는 별개의 금형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실시예의 복합사출 성형체를 성형할 수가 있는 복합사출 성형장치를 도시한다.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하는 사출성형장치는 기대(30)위에 일차 성형용 사출장치(20)와 2차 성형용 사출장치가 병설되어 있으며, 가동판(24)과 고정판(22)사이에 금형(W, Y, Z)이 설치되어 있다.
금형(Z)은 틀죔 실린더(27)에 직결하는 틀죔 피스톤(26)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가동판(24)에 볼트고정되어 있으며, 금형(Z)은 슬라이드판에 볼트고정되어 있는 금형(W) 또는 금형(Y)과 연결·틀죔되거나, 혹은 틀개방된다.
또한, 슬라이드판(25)은 고정판(22)위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23)에 슬라이드하여, 금형(W) 또는 금형(Y)이 금형(Z)과 연결·틀죔할 수 있는 위치에 슬라이드된다.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하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제6(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틀죔 실린더(27) 및 틀죔 피스톤(26)에 의해 가동판(24)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금형(Z)과 금형(W)이 틀죔된 후, 일차 성형용 사출장치(30)가 전진하여 금형(Z)과 금형(W)으로 형성되는 일차 성형용 공동에 유리섬유 함유의 용융 나일론(6)이 사출된다.
이와 같은 유리섬유 함유의 용융 나일론(6)은, 일차 성형용 사출장치(20)위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29)에서 공급되는 고형의 페레이트 형상 나일론(6) 수지(유리섬유함유)가 일차 성형용 사출장치(20)내에서 용융된 것이다.
사출충전된 나일론(6)이 냉각·고화하여, 일차 성형용 사출장치(20)가 후퇴한 후, 가동판(24)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금형(Z)과 금형(W)이 틀전개된다. 이때에, 일차 성형체(A)는, 오목부(13)가 일차 성형체(A)의 윗면에로 개구하면서 금형(Z)에 잔류한다.
이어서, 금형(Z)에 잔류하는 일차 성형체(A)는, 제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25)의 슬라이드에 의해 이동된 금형(Y)과 연결·틀죔된다.
금형(Y)은, 제6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차 성형체용 공동(7)의 주변에 돌기(6)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제2의 수지의 사출공(11)이 상기 공동(7)에 연결되어 있다.
또다시, 금형(Y)의 중앙부 근처에 오목부(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오목부(40)는, 제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차 성형체(A)에 형성되는 스풀(33)을, 금형(Z)과 금형(Y)의 틀죔시에, 수납하는 것이다.
또한 스풀(33)은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할 때에, 일차 성형용 사출장치(20)의 노즐선단에서 일차 성형체용 공동간에 설치되어 있는 용융 수지 통로(133)에 충전된 제1의 수지가 냉각·고화한 것이다.
금형(Z)과 금형(Y)의 틀죔시에, 금형(Y)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6)가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을 가압하여, 오목부(13)를 역테이퍼 형상의 오목부(3)로 변형시킨다.
이와 같은 오목부(3) 및 공동(7)에, 2차 성형용 사출장치(21)가 전진하여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제2의 수지를 주입하여 2차 성형체(B)를 성형한다.
제2의 수지는, 밀봉재 공급장치(28)의 포트(31)로부터 실리콘 고무를, 포트(32)에서 경화재등을 각각 2차 성형용 사출장치(21)에 공급하여, 2차 성형용 사출장치(21)내에서 양자를 혼합하여서 오목부(3) 및 공동(7)에 사출충전된다. 사출충전된 제2의 수지는 오목부(3) 및 공동(7)내에서 경화한다.
이와 같은 제2의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이기 때문에, 2차 성형용 사출장치(21)를 냉각하여, 금형(Y)을 120 내지 150℃정도로 가열하여 두는 것이, 제2의 수지를 2차 성형용 사출장치(21)내에서 경화시키지 아니하고 오목부(3) 및 공동(7)내에서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금형(Y)의 상기 온도의 범위에서는 제1의 수지로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인 나일론(6)에 대해서는 특히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한편,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는 금형(W)은, 열가소성 수지인 제1의 수지를 신속하게 냉각·고화시키기 때문에 80 내지 90℃정도로 유지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a도 및 제6b도의 장치에서는, 일차 성형체(A)에 형성되는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의 가압이 금형(Y)의 돌기(6)로 형성이 되어 있으나, 일차 성형체(A)의 개구부주변에 미리 형성되는 볼록부(6)의 가압에 의한 예를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한다.
또한,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하는 장치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하는 장치와 같이, 틀죔·틀개방시에 금형(Z) 및 노즐(120), (121)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횡형장치이며, 도면위에서의 상하방향의 이동은 실제로는 가로방향으로의 이동이다.
제7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Z)과 금형(W)에 형성되는 일차 성형체용 공동에 일차 성형용 사출장치(20)의 노즐(120)에서 용융되어 있는 제1의 수지가 사출되어,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개구부주변에는 볼록부(9)가 형성된다.
이어서, 금형(W)과 금형(Z)이 틀개방된 후, 볼록부(9)가 형성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A)가 잔류하는 금형(Z)과, 슬라이드판(25)의 이동에 의해 이동한 금형(Y)이 틀죔됨으로서, 일차 성형체(A)의 볼록부(9)는 금형(Y)의 아래면에서 가압되어, 오목부(13)의 단면형상이 역테이퍼 형상으로 변형하여 언더커트부를 갖는 오목부(3)가 형성된다. 또다시 이와 같은 오목부(3) 및 2차 성형체용 공동에,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여, 2차 성형체(B)를 작성한다.
이와 같은 제2의 수지는, 2차 성형용 사출기(21)의 노즐(121)에서 사출공(11)을 거쳐서 사출충전된다[제7(b)도].
금형(Y)에는, 제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차 성형체(A)에 형성되는 스풀(33)을 수납하는 오목부(40)가 설치되어 있으며, 금형(Z)과 금형(Y)과의 틀죔을 할 때에, 스풀(33)을 절단하지 않고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금형(W) 및 금형(Y)이 개개로 슬라이드판(25)에 볼트고정되어 있으나,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W)과 금형(Y)을 일체구조로 슬라이드판(25)에 볼트고정을 시켜도 좋다.
또한, 이같은 슬라이드판(25)을 로타리 타이프의 것으로 대신하여도 좋고, 로타리 타이프의 것에서는 금형(X, Y)이 회전하면서 금형(Z)과 연결·틀죔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제까지 설명해온 실시예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의 양측부 윗면을 가압하여, 오목부(13)의 단면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이었으나, 오목부(13)의 양측 또는 그 한편이 엷기 때문에, 양측의 윗면을 가압하므로서 오목부(13)의 단면형상을 변형시킬 수 없는 것의 예를 설명한다.
제9도, 제10도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13)를 형성하는 한편(제9도의 50)이 엷어서, 그 윗면을 가압할 수 없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가압할 수 있는 측(51)의 뒷면만을 가압하므로서도, 오목부(31)에 언더커트부를 설치할 수가 있다.
혹은,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면을 가압할 수가 없는 측(50)에 접하는 금형(Y)의 면(52)에 접하는 경사시켜, 이같은 (52)면에서 측(50)을 오목부(13)내로 가압하면서 다른편의 측(51)의 윗면을 금형(Y)의 돌기(6)로 가압하는 것으로도, 오목부(13)를 역테이퍼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제9도에 도시하는 방법은,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부에 밀봉부재(220)가 설치되어 있는 캡(100)을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때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일차 성형체의 오목부(13)를 형성하는 측(50, 51)은 모두 엷어서 그 윗면을 가압할 수는 없기 때문에, 다른 편의 측(110)의 윗면을 가압하므로서, 오목부(13)의 벽면의 한편을 변형시켜 언더커트부를 갖는 오목부(3)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다시, 제10도에 도시하는 방법은,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엷은 측(50, 51)의 윗편을, 금형(Y)의 곡면(52)에 의해 함께 오목부(13)내로 가압하여, 언더커트부를 갖는 오목부(3)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제13도 및 제14도는, 2중관에 있어서, 외관과 내관사이에 2차 성형체(B)를 사출성형코져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3도와 같이 내관의 일부를 변경할 수가 있을 때에는, 금형(Y)의 봉형상 돌출부(55)의 저부 인접부(56)를 테이퍼형상으로 하여, 이와 같은 테이퍼형상의 저부인접부(56)에 의해, 내관의 일부를 오목부(13)내로 변형시켜, 언더커트부를 갖는 오목부(3)로 한다.
한편, 제14도와 같이, 내관을 변형할 수가 없을 때에는, 금형(Y)에 설치되어 있는 핀(57)을 돌출시켜, 외관의 일부를 변형시켜서 오목부(3)에 언더커트부를 설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하는 방법을,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병용할 수가 있다.
제15도에 도시하는 방법에 의하면, 또다시 한층 확실하게 언더커트부를 오목부(3)에 설치할 수가 있고, 또한 2차 성형체를 사출충전할 때에,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오목부(13)의 양측 또는 한편을 가압하는 경우에 있어서, 오목부 전 주위에 걸쳐서 가압하여도 좋고, 혹은 그것의 일부라도 좋다.
또다시, 제16a도 내지 제16b도에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가 큰 홈(130)과 적은 홈(13)의 2단 홈으로 되어 있으며, 적은 홈(13)의 개구부주변만을 가압하여 언더커트부를 갖는 오목부(3)로 하여서 큰 홈(130) 및 오목부(3)에 2차 성형체를 형성하는 수지를 사출충전하려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제6a도 및 제6b도에 있어서, 금형(Y)에 설치되어 있는 사출구멍(11)을 금형(Y)과는 별개의 금형(Y')에 설치하는 것, 즉 금형(W, Y, Z)에 더해서 사출구멍(11)이 설치되어 있는 금형(Y)을 설치하므로서 달성할 수 있다.
즉, 금형(W), 먼저 (Z)에서 제16a도에 도시하는 2단홈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A)를 성형한다.
이어서 제1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Z)에 부착잔류하여 있는 일차 성형체(A)의 적은 홈(13)의주변을 금형(Y)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6)로 가압하여 적은 홈(13)의 벽면만을 오목부내로 돌출시켜 언더커트부를 형성한다.
그후, 금형(Y)과 금형(Z)이 마주하여 금형(Y')에 설치되어 있는 사출구멍(11)에서 2차 성형체(B)를 형성하는 제2의 수지를 제16b도와 같이, 오목부 및 공동내로 사출전용하므로서, 일차 성형체(A)와 2차 성형체(B)를 일체화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는 제1의 수지로서 열가소성인 수지인 나일론(6)을, 2차 성형체(B)를 형성하는 제2의 수지로서 열경화성 수지인 실리콘 고무를 각각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다시 많은 수지를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자면,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범용 수지를 사용할 수가 있고,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열결화성 수지와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에 있어서도, 폴리에스텔과 폴리프로펠렌과 같이, 서로 비상용성의 수지를 사용해서 복합성형체를 사출성형코져 할 때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잡한 형상의 일차 성형체(A)로, 2차 성형체(B)인 탄성중합체로 형성되는 밀봉부재가 튼튼하게 고착되어 있는 복합성형체를,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제17도에 도시하는 2차 성형체(B)는 밀봉부재로서 사용하였으나, 그 탄성을 이용하여 쿳션부재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고, 또다시 방활부재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때에는, 각 부재에 가장 적합한 중합체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판(24)들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로형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였으나, 가동판(24)등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로형 사출성형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형상을 갖는 일차 성형체, 2차 성형체인 밀봉부재, 쿠션부재, 혹는 방활부재 등이 튼튼하게 고착되어 있는 복합성형체를, 휨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밀봉부재 등을 일차 성형체에 사람손으로 조립하는 일 혹은 발생하는 휨을 제거하는 등의 공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어, 성형의 공정을 매우 간략화 할 수가 있다.

Claims (19)

  1. 최소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제1의 수지로 형성되는 일차 성형체(A)와 제2의 수지로 형성되는 2차 성형체(B)로 구성되는 복합사출 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2차 성형체(B)와의 접합면에 설치되어 있는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3)에는, 오목부 벽면의 최소한의 일부가 오목부내로 돌출하여 언더커트부(5)가 형성되고, 또한 제2의 수지가 충전되어서 2차 성형체(B)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가 비상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체.
  3.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수지가 탄성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체.
  4. 최소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로 형성되며, 제1의 수지로 형성되는 일차 성형체(A)와 제2의 수지로 형성되는 2차 성형체(B)에 의해 구성되는 복합성형체를 사출성형할 때에, 먼저 2차 성형체(B)와의 접합면과 이루는 부위에 오목부를 갖는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여, 이어서 이 일차 성형체(A)의 상기 오목부의 주변의 최소한 일부를 가압하여 오목부 벽면을 오목부내로 돌출시켜서 오목부에 언더커트부(5)를 설치하여, 그후, 상기 오목부 및 금형(Y 또는 Y')의 공동(7)내에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주변부의 가압이 금형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6)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주변부의 가압이 상기 오목부 주변부에 미리 형성이 되어 있는 볼록부(9)를 가압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주변의 가압이 상기 오목부측벽의 최소한 한편의 가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제2의 수지의 사출충전이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개구부의 전 주변을 가압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가 비상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제2의 수지가 탄성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방법.
  11. 최소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로 형성이 되며, 제1의 수지로 형성되는 일차 성형체(A)와 제2의 수지로 형성되는 2차 성형체(B)에 의해 구성되는 복합성형체를 사출성형하는 장치로서, 2차 성형체(B)와의 접합면을 이루는 부위에 오목부를 갖는 일차 성형체(A)를 성형하는 1쌍의 금형(Z, W)과, 얻어지는 일차 성형체(A)의 상기 오목부의 주변부의 최소한 일부를 가압하여 오목부 벽면을 오목부내로 돌출시켜서 오목부에 언더커트부(5)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부를 갖는 금형(Y 또는 Y')과, 상기 일차 성형체(A)를 수용하고 또한 2차 성형체(B)를 형성하는 공동(7)을 갖고, 이 공동(7)내 및 일차 성형체(A)의 상기 오목부내에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는 1상이 금형(Y, Z)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주변을 가압하는 금형(Y 또는 Y')의 가압부가 돌기(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를 성형하는 한쌍의 금형 (Z, W)이 오목부 주변에 볼록부(9)를 갖는 일차 성형체(A)를 얻을 수 있는 공동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주변을 가압하는 금형(Y 또는 Y')의 가압부가 상기 오목부측 벽의 최소한 한편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는 한쌍의 금형(Z, W)중,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고서 틀개방을 할 때에 일차 성형체(A)가 부착잔류하는 쪽의 금형(Z)을,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에 언더커트부(5)를 형성하는 가압부를 갖는 금형(Y 또는 Y')과, 조합시키는 금형의 한편에 공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는 한쌍의 금형(Z, W)중 일차 성형체(A)를 형성하여서 틀 전개할 때에 일차 성형체(A)가 부착잔류하는 쪽의 금형(Z)을, 2차 성형체(B)를 성형하는 한쌍의 금형중 일차 성형체(A)를 수용하는 금형에 공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제2의 수지를 사출충전하는 금형(Y)내에, 일차 성형체(A)의 오목부 개구부의 전주변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2종류의 제1 및 제2의 수지가 비상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제2의 수지가 탄성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출 성형장치.
KR1019890006217A 1988-05-11 1989-05-10 복합사출 성형방법, 장치 및 그 성형체 KR950005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453 1988-05-11
JP63114453 1988-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060A KR890017060A (ko) 1989-12-15
KR950005710B1 true KR950005710B1 (ko) 1995-05-29

Family

ID=1463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217A KR950005710B1 (ko) 1988-05-11 1989-05-10 복합사출 성형방법, 장치 및 그 성형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5008060A (ko)
EP (1) EP0341880B1 (ko)
KR (1) KR950005710B1 (ko)
CN (1) CN1033149C (ko)
AU (1) AU616751B2 (ko)
CA (1) CA1328158C (ko)
DE (1) DE68914713T2 (ko)
HK (1) HK1451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52B1 (ko) * 2009-11-20 2012-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국부 이중성형 금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474A (en) * 1990-12-21 1992-11-03 Cadillac Rubber & Plastics, Inc. Overmolded gasket, heat exchanger tank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246065A (en) * 1990-12-21 1993-09-21 Cadillac Rubber & Plastics, Inc. Heat exchanger tank incorporating an overmolded gasket
FR2677296A1 (fr) * 1991-06-07 1992-12-11 Allibert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 objet composite notamment un plateau de table, par injection moulage de matieres plastiques, presse a mouler pour la mise en óoeuvre dudit procede et objet ainsi obtenu.
JP2594813Y2 (ja) * 1991-09-13 1999-05-1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接着部材
AU648967B2 (en) * 1991-10-10 1994-05-05 Gencorp Inc. Shuttle assembly for use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5209889A (en) * 1991-10-10 1993-05-11 Gencorp Inc. Method for operation of shuttle assembly for use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5814252A (en) * 1991-10-17 1998-09-29 Spotless Plastics Pty. Ltd. Method of molding coinjected plastic garment hangers
US5255022A (en) * 1992-04-02 1993-10-19 Xerox Corporation Ink manifold having elastomer channel plate for ink jet printhead and process for making
US5316351A (en) * 1992-08-06 1994-05-31 Precision General, Inc. Hose swivel
DE4227336C1 (de) * 1992-08-18 1994-03-31 Karl Hehl Kunststoff-Spritzgießmaschine
US5447446A (en) * 1992-11-05 1995-09-05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 having secured seal
US5497136A (en) * 1992-11-30 1996-03-05 Dana Corporation Locating ring for encapsulating a coil
JP3421075B2 (ja) * 1993-03-24 2003-06-30 日本発条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部材のかしめ方法及び締結体
US5490680A (en) * 1993-04-06 1996-02-13 Parker-Hannifin Corporation Captive O-ring face seal
US6042364A (en) * 1993-06-29 2000-03-28 The Japan Steel Works, Ltd. Mold assembly for manufacturing hollow parts
FR2710033B1 (fr) * 1993-09-17 1995-11-17 Oreal Elément de fermeture pour emprisonner un produit dans un pot de manière inviolabl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élément de fermeture.
JP3214197B2 (ja) * 1993-11-17 2001-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ケット製造方法およびガスケット製造装置
JP3003912B2 (ja) * 1994-07-22 2000-01-3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003913B2 (ja) * 1994-07-26 2000-01-3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ハウジング並びに装置
US5595692A (en) * 1994-09-13 1997-01-2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repairing resin impregnated articles
JP2980154B2 (ja) * 1994-12-05 1999-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ハウジング、そ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US6238610B1 (en) 1995-05-02 2001-05-29 Calsonic Kansei Corporation Heat exchanger tank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980230A (en) * 1997-04-11 1999-11-09 Velcro Industries B.V. Forming fastener products
US6692245B1 (en) 1997-08-18 2004-02-17 Ipl Inc. Mold for making a window frame
AU4211199A (en) * 1998-06-03 1999-12-20 Federal Mogul Corporation Backplate assembly with seal
US6146565A (en) * 1998-07-15 2000-11-14 Noble Polymers, L.L.C. Method of forming a heat expandable acoustic baffle
JP3865024B2 (ja) * 1998-09-18 2007-01-10 Nok株式会社 ガスケット
US6210619B1 (en) * 1998-10-19 2001-04-03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two-piece plastic assembly
DE19848246A1 (de) * 1998-10-20 2000-04-27 Krauss Maffei Kunststofftech Thermoplastteil mit eingespritzter Elastomerdichtung
JP3045157B1 (ja) * 1998-11-25 2000-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ウトサート成型品
FR2787056B1 (fr) * 1998-12-10 2001-05-11 Coutier Moulage Gen Ind Procede de moulage par injection d'elements mobiles en rotation les uns par rapport aux autres
FR2787054A1 (fr) * 1998-12-10 2000-06-16 Coutier Moulage Gen Ind Procede de moulage par injection d'elements mobiles en rotation les uns par rapport aux autres
DE19906870C1 (de) * 1999-02-18 2000-05-11 Hummel Anton Verwaltung Anschlußarmatur mit einem Armaturkörper mit drehbarer Befestigung
US6558587B1 (en) * 1999-02-19 2003-05-06 O'so, Inc. In situ low pressure gasket molding method
EP1614517A1 (en) 1999-06-01 2006-01-11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a venting apparatus for a fuel tank
GB9913648D0 (en) * 1999-06-11 1999-08-11 Forsheda Limited Fabrication of articles
FR2796590B1 (fr) * 1999-07-21 2002-08-16 Freudenberg Sa Piece mecanique pourvue d'une garniture surmoulee en matiere plas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iece mecanique
DE19936419A1 (de) * 1999-08-03 2001-02-08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Tür für ein Kältegerät oder ein Gefrierfach
US6712593B2 (en) * 2000-11-02 2004-03-30 Kioritz Corporation Combination of split bodies for use in assembling blower fan by hollow article molding process
DE10164900B4 (de) * 2001-08-03 2009-09-03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Form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Spritzgießmaschine
US6756004B2 (en) * 2002-04-24 2004-06-29 Lear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cockpit-type instrument panels
US20050189841A1 (en) * 2002-10-28 2005-09-01 Joze Potocnik Commutator for an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4112866A2 (en) * 2003-06-17 2004-12-29 Filtertek Inc. Flu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40262851A1 (en) * 2003-06-25 2004-12-30 Matt Tones Rebuildable composite seal
US7186105B2 (en) * 2003-07-29 2007-03-06 Crs Srl Centro Ricerche E Sperimentazioni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rticle made of thermoplastic and thermosetting materials
US7021677B2 (en) * 2003-10-20 2006-04-04 National Coupling Company, Inc. Seal retainer with metal seal members for undersea hydraulic coupling
JP4131232B2 (ja) * 2003-12-02 2008-08-13 豊田合成株式会社 型内塗装成形品、その製造方法及び型内塗装成形用金型
CN100522569C (zh) * 2004-12-24 2009-08-05 丰田合成株式会社 制造模内涂敷制品的方法
JP4758205B2 (ja) * 2005-11-18 2011-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形体の製造方法
US20090081407A1 (en) * 2006-05-04 2009-03-26 Jean-Pierre Giraud Injection Molding Process for Molding Mechanical Interlocks Between Molded Components
US20070289936A1 (en) * 2006-06-15 2007-12-20 Owens-Illinois Closure Inc.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388923B2 (en) * 2007-05-31 2016-07-12 Caterpillar Inc. Hose assembly with anti-rotational coupling and crimping section
CN101555966B (zh) * 2008-12-31 2013-06-12 浙江华夏阀门有限公司 微观锯齿环密封对接结构
US20110278759A1 (en) * 2010-05-17 2011-11-17 Motorola, Inc. Anti-Delamination Feature For Double Injection Mold Parts
FR2973353B1 (fr) * 2011-03-29 2014-07-11 Bericap Bouchon bi-injec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bouchon
DE102012203636A1 (de) * 2011-03-30 2012-10-04 Robert Bosch Gmbh Spritzgussverfahren und Bauteil
DE102011111582A1 (de) * 2011-08-20 2013-02-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uteil mit einem Grundkörper und einem Ansatzkörp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Bauteils
EP2943142B1 (en) * 2013-01-11 2019-08-28 DENTSPLY SIRONA Inc. Apparatus and method usable with an injection molder for producing orthodontic brackets
US9218020B1 (en) 2014-03-03 2015-12-22 Amazon Technologies, Inc. Computing device assembly
EP2927471A1 (en) * 2014-04-04 2015-10-07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KG Double-walled fuel supply line element and connecting flange for the same
CN106687346B (zh) * 2014-09-10 2019-07-02 康斯博格汽车股份公司 排液阀
DE102015106960A1 (de) * 2015-05-05 2016-11-10 Bodo Richt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großvolumiger Behälter mit Flansch durch Kunststoff-Blasformen
CN106003568B (zh) * 2016-05-13 2018-10-09 郑州大学 一种利用注射成型技术制备均匀多取向层自增强聚乙烯制品的方法
CN113427702A (zh) * 2020-03-23 2021-09-24 恒耀工业股份有限公司 零组件组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439A (en) * 1910-02-26 1911-03-14 Thomas E Camp Tongue-and-groove joint.
US1912255A (en) * 1932-01-19 1933-05-30 Clark Stewart Harvey Gasket
US2086133A (en) * 1935-07-24 1937-07-06 Frank J Kennedy Connection or joint
US2609570A (en) * 1951-01-22 1952-09-09 Elmer L Danielson Method for forming a multipart plastic article
US3599169A (en) * 1969-03-10 1971-08-10 Lewis Detch Lamp lock means
DE2119321C3 (de) * 1971-04-21 1980-05-29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rmschlüssigen Verbindungen zwischen profilierter und ebener Foli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CA978712A (en) * 1971-06-15 1975-12-02 Katashi Aoki Multicolor injection molding machine
US3747963A (en) * 1972-05-17 1973-07-24 Cajon Co High vacuum flange assembly with o-ring gasket
US4214507A (en) * 1977-08-24 1980-07-29 Vries Donald S Jr De One-piece plastic piston
DE2844932A1 (de) * 1978-10-16 1980-04-30 Hilti Ag Vorrichtung zum schmelzen von thermoplastischen klebstoffkoerpern
US4228575A (en) * 1978-11-27 1980-10-21 Structural Fibers, Inc. Tank closure assembly
US4253481A (en) * 1979-05-07 1981-03-03 Gilmore Valve Company Cushioned shuttle valve
US4563374A (en) * 1981-10-19 1986-01-07 Gebr, Happich Gmbh Blow molded decorative or protective strip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US4468427A (en) * 1981-11-09 1984-08-28 Allied Corporation Blends of polyamide and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s
FR2528534B1 (fr) * 1982-06-14 1986-05-02 Polva Nederland Bv Raccord pour tuyaux en matiere thermoplastique
FR2550848B1 (fr) * 1983-08-18 1988-08-12 Valeo Volet, en particulier pour installation de chauffage ou de climatisation d'un habitacle de vehicu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S6052322A (ja) * 1983-09-01 1985-03-25 Suriibondo:Kk 複合物品の成型法
US4588213A (en) * 1983-10-05 1986-05-13 Thread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Threaded pipe connection
US4703518A (en) * 1985-08-27 1987-10-27 Minigrip, Inc. Attachment of plastic zipper to the outside of incompatible bag wall web
JPS63104809A (ja) * 1986-10-23 1988-05-10 Three Bond Co Ltd 複合樹脂製品の金型成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52B1 (ko) * 2009-11-20 2012-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국부 이중성형 금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08060A (en) 1991-04-16
DE68914713T2 (de) 1994-09-15
HK145194A (en) 1994-12-30
AU616751B2 (en) 1991-11-07
AU3391389A (en) 1989-11-16
KR890017060A (ko) 1989-12-15
CN1033149C (zh) 1996-10-30
DE68914713D1 (de) 1994-05-26
US5087504A (en) 1992-02-11
US5026265A (en) 1991-06-25
EP0341880B1 (en) 1994-04-20
EP0341880A2 (en) 1989-11-15
CN1037676A (zh) 1989-12-06
EP0341880A3 (en) 1991-07-03
CA1328158C (en) 199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710B1 (ko) 복합사출 성형방법, 장치 및 그 성형체
EP0625418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esin moulded product including a moulded body and a moulded coating
US7309221B2 (en) Internally coated mold, and internal mold coating forming method
JPH0732424A (ja) 射出圧縮成形用金型
JP2851321B2 (ja) 射出成形金型
JPH02139215A (ja) 複合射出成形体及びその成形方法並びに複合射出成形装置
JP2959084B2 (ja) インモールドコーティング用金型
US20060202390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nents
JP2770535B2 (ja) 多色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
JP3559259B2 (ja) 積層成形品の製造方法
JPH0939012A (ja) 積層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金型
JPS59127740A (ja) プラスチツク射出成型装置
JP2019006017A (ja) 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H0939030A (ja) 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79752A (ja) インモールドコーティング法およびインモールドコーティング用射出成形金型
JPH0757501B2 (ja) 複合射出成形方法
JP4051216B2 (ja) 成形用金型
JPS6315888B2 (ko)
EP202798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of two plastic materials
JP2604870B2 (ja) 二重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ための金型構造
JPH0457172B2 (ko)
JPH03187718A (ja) 複合物品の製造方法
JPH06328503A (ja) 型内部分塗装方法
JPH0788913A (ja) 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用金型
JP2989713B2 (ja) 樹脂成形品の型内被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