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666Y1 - 책표지 - Google Patents

책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666Y1
KR950005666Y1 KR2019930007670U KR930007670U KR950005666Y1 KR 950005666 Y1 KR950005666 Y1 KR 950005666Y1 KR 2019930007670 U KR2019930007670 U KR 2019930007670U KR 930007670 U KR930007670 U KR 930007670U KR 950005666 Y1 KR950005666 Y1 KR 950005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ok
folded
bookle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470U (ko
Inventor
윤주관
Original Assignee
윤주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관 filed Critical 윤주관
Priority to KR2019930007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666Y1/ko
Publication of KR940026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4Book covers loose
    • B42D3/045Protective cases for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20Protecting; Reinforcing; Preventing deformatio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책표지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책표지를 갖는 책자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책표지에 있어서, 각 접힘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그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책표지를 갖는 책자에 있어서, 책자의 사용을 위한 책표지의 접힘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책표지를 갖는 책자에 있어서, 책자의 휴대 및 보관을 위한 책표지의 접힘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책표지를 갖는 책자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책표지를 갖는 책자에 있어서, 책자의 휴대 및 보관을 위한 책표지의 접힘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책표지 4 : 책자본체
10, 20, 30 : 측면덮개부 11, 21, 31 : 제1연장부
12, 22, 32 : 제2연장부 13, 23, 33 : 제1접힘부
14, 24, 34 : 제2접힘부 15, 16, 25, 26 : 절결부
40, 50 : 모서리 덮개부
본 고안은 각종 도서나 일기장 및 두꺼운 노트 등과 같은 책자의 겉표지 또는 속표지로 제본되는 책표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자본체의 측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는 책표지에 관한 것이다.
대개 한 번 읽고 난 서적류는 책장이나 책꽂이 꽂아서 오래도록 보관하게 된다. 또한 일기장이나 중요한 사항을 기록해 둔 노트 등도 오래도록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서적류나 일기장 및 노트 등의 책자는 그 본래의 기능과 함게 보관상의 장식적 가치를 고려하여, 깨끗이 사용하고 원형을 보존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자는 내용물이 인쇄된 책자 본체와 이 책자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접절되는 표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 표지는 또한 책자에 따라서 겉표지와 속표지로 구분된 것도 있다. 이와같은 책자에 있어서, 표지, 특히 겉표지는 책자 본체의 지질보다 대체로 좋은 지질로 되어 있어 그 원형이 잘 보존되지만, 책자 본체는 표지에 비하여 손상되기 쉬운 결점을 갖고 있었다. 즉, 책자 본체의 낱장이 쉽게 구겨지거나 찢어지고 먼지나 오물에 의하여 더럽혀짐은 물론, 보관시에도 그 본체의 측면이 장기간 빛에 노출됨으로써 변색되어 그 장식적 가치를 상실하게 되었던 것이다.
종래에, 책자를 깨끗이 보관하기 위해 후지(厚紙)로 제작된 상자형의 책갑(冊 匣)이 있었다. 그러나 책갑은 값이 비싸므로 주로 전집류와 같은 고급 책자에만 국한 사용되고 있을 뿐, 자주 휴대하는 소책자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책갑은 또한 철편이 노출되어 있어서 미관이 그다지 좋지 못하고, 휴대 및 사용상의 불편과 보관시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와 사용에 편리한 동시에 그 휴대와 보관시에 책자 본체의 측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개선된 책표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면표지부와 후면표지부로 이루어지고, 각각 책자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접철되도록 제본되는 책표지에 있어서, 상기 전면표지부와 후면표지부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상기 책자 본체의 측면부를 덮기 위한 덮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별고의 책갑을 사용하지 않고 책자에 절첩되도록 제본되는 표지를 이용 그 책자 본체의 측면부를 덮어 보호할 수 있게함으로써, 책자의 휴대 및 사용시에 책자 본체의 측면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책표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전면표지와 후면표지의 가장자리를 연장하는 것으로 간단히 실시 할수 있는 고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본 고안에 의한 책표지를 갖는 책자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부호 1은 본 고안의 책표지 전체를 나타낸다. 그 책표지(1)는 전면표지부(2)와 후면표지부(3)로 되어 있다. 이 전면표지부(2)와 후면표지부(3)사이에 책자 본체(4)가 제본되어 그 두께(T)만큼의 폭으로 되는 상하의 세로측면(5)(6)과 가로측면(7)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그 상하의 세로측면(5)(6)과 가로측면(7)의 덮개수단을 위하여 후면표지부(3)의 상하측 가로변과 세로변에 가로용측면덮개부(10)(20)와 세로용 측면덮개부(30)를 각각 연장하였다. 그 가로용 측면덮개부(10)(20)와 세로용 측면덮개부(30)는 각각 후면표지부(3)로부터 연장된 제1연장부(11)(21)(31)와 이 제1연장부(11)(21)(31)로부터 더 연장된 제2연장부(12)(22)(32)로 이루어졌으며 그 후면표지부(3)와 제1연장부(11)(21)(31)사이에는 제1접힘부(13)(23)(33)가, 그리고 제1연장부(11)(21)(31)와 제2연장부(12)(22)(32)사이에는 제2접힘부(14)(24)(34)가 각각 형성되어 된 것이다. 제1연장부(11)(21)(31)는 책자 본체(4)의 두께(T)만큼 연장되었다. 제1 및 제2접힘부(13)(23)(33) 및 (14)(24)(34)는 제 2 도에 보인 바와같이, 본래의 두께보다 얇은 부분으로서 적어도 안쪽으로 그 굽힘이 가능하도록 압축 또는 칼자국등에 의해 간단히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연장부(11)(21)(31) 및 (12)(22)(32)는 각각의 접힘부(13)(23)(33) 및 (14)(24)(34)를 중심으로 하여 충분한 각도범위의 절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용 측면덮개부(10)(20)에 세로용 측면덮개부(30)의 상하 모퉁이(35)(36)를 끼워서 상호 흩어지는 않도록 하는 2개씩의 절결부(15)(16) 및 (25)(26)을 각각 형성하였다. 후술된 바와같이, 일측의 절결부(15)(25)는 책자를 펼쳐사용할 때, 그리고 타측의 절결부(16)(26)는 책자를 접어서 휴대 또는 보관할 때 각각 그 편리를 도모할 것이다.
다음, 제 3 도 및 제 4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책표지를 갖는 책자의 사용시와 그 휴대 및 보관시의 각 상태를 설명한다.
제 3 도는 책자 본체(4)를 펼쳐서 그 인쇄된 내용을 읽거나 또는 그에 기록하고자 하는 등 사용시의 상태를 보인다. 즉, 사용시에는 후면표지(3)의 가로변과 세로변에 연장된 덮배구(10)(20)(30)의 제 1 및 제2연장부(11)(21)(31) 및 (12)(22)(32)가 그 후면표지부(3)의 안쪽면(부호생략)에 접혀 있도록, 제1접힘부(13)(23)(33)를 접어둔다. 그러면 전면표지부(2)와 후면표지부(3)는 보통의 표지처럼 책자 본체(4)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되고, 그 사이의 책자 본체(4)를 펼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세로용 덮개부(30)의 모퉁이(35)(36)를 가료용 덮개부(10)(20)의 일측 절결부(15)(25)에 끼워두면, 그 덮개부(10)(20)(30)들의 접합상태가 흩어지지 않고 고정되어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
제 4 도는 책자를 휴대하거나 또는 보관할 때의 상태이다. 이때에는 후면표지(3)의 각 덮개부(10)(20)(30)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책자 본체(4)를 그 후면표지부(3)에 절첩시킨 다음, 각 덮개부(10)(20)(30)의 제2연장주(12)(22)(32)를 전면표지부(2)와 책자본체(4)사이로 접으면 된다. 그러면 각 덮개부(10)(20)(30)의 제1연장부(11)(21)(31)가 책자 본체 (4)의 측면을 감싸게 된다. 무릇 이때에도 세로용 덮개부(30)의 모퉁이(35) (35)를 가로용 덮게부(10) (20)의 타측 절결부 (16)(26)에 끼워두면 그 덮개부 (10)(20)(30)들의 접합상태가 흩어지지 않게 되므로 휴대에 불편이 없는 것이다.
한편,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책표지를 갖는 책자의 사시도이다. 그 책표지(1)는 책자 본체(4)의 가로측면 (5) (6)과 세로측면(7) 사이의 모서리 (8) (9)를 덮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3개의 덮개부(10)(20)(30)사이에 형성한 모서리 덮개부(40)(50)를 구비한다. 도면에 있어서, 그 모서리 덮개부(40)(50)는 각 측면덮개부(10)(20)(30)의 제1연장부(11)(31)와 (21)(31)의 각 사이에 연장된 것이며, 각 덮개부(10)(20)(30)를 접을 때, 각각 그 연장부위가 함께 접히고 동시에 그 대각선 방향으로도 접히도록 하는 3개씩의 접힘부(41)(42)(43) 및 (51)(52)(53)를 갖는다. 따라서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용 측면덮개부(10)(20)가 접힌 상태에서 세로용 측면덮개부(30)를 접으면 모서리 덮개부(40)(50)는 대각선 방향의 접힘부(43)(53)가 안쪽으로 자연히 굽어져서 책자 본체(4)의 모서리(8)(9)를 감싸게된다. 여기서 모서리 덮개부(40)(50)는 그 가로와 세로방향의 두개의 접힘부(41)(42) 및 (51)(52)중 어느 한쪽이 절결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일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책자 본체의 측면과 모서리 등을 덮어 보호하기 위하여 책표지에 덮개부를 연장형성하는 고안으로서, 책자의 사용에 전혀 불편이 없으면서, 그 휴대시에 책자 본체의 측면이 더럽혀지거나 손상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장기간 보관할 때에 그 측면이 먼지나 오물로 부터 완전차단되고 또 빛에 노출되지 않아 변색되지 않게 오래도록 보관할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한번 읽고 난 서적류나 일기장, 중요 노트 등의 책자를 깨끗이 사용하고 그 원형을 보존할 수 있으므로 책자의 장식적 가치를 높여주는 효과가 기대되며, 특히 종래의 값비싼 책갑 대신 사용가능하여 실질적인 책자의 생산가를 낮추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 책표지의 덮개부를 전면표지부에 형성하거나, 또는 겉표지와 책자 본체 사이에 제본되는 속표지에 형성하는 등, 다음에 기재된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에 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책자본체(4)의 전면과 후면에 접철되도록 제본되는 전면표지부(2)와 후면표지부(2)로 이루어지고 이중 한 표지부의 상측 가로변과 하측 가로변 및 세로변 각각에 연장되어 그 책자본체의 측면부(5)(6)(7)를 각각 덮도록 접을 수 있는 측면덮개부(10)(20)(30)를 가지는 책표지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가로변에 연장된 각각의 측면덮개부(10)(20)와 상기 세로변에 연장된 측면덮개부(30)의 각 사이에 연장되어 각각 상기 책자본체(4)의 상하 모서리(8)(9)를 덮도록 접을 수 있게 된 모서리 덮개부(40)(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표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가로변에 연장된 측면덮개부(10)(20)에 상기 세로변에 연장된 측면덮개부(30)의 상하모퉁이를 각각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표지.
KR2019930007670U 1993-05-08 1993-05-08 책표지 KR950005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670U KR950005666Y1 (ko) 1993-05-08 1993-05-08 책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670U KR950005666Y1 (ko) 1993-05-08 1993-05-08 책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470U KR940026470U (ko) 1994-12-08
KR950005666Y1 true KR950005666Y1 (ko) 1995-07-20

Family

ID=1935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670U KR950005666Y1 (ko) 1993-05-08 1993-05-08 책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6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470U (ko)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9349A (en) Flexible transparent notebook and the like
US4420112A (en) Portfolio construction
US5029900A (en) Wrap-around cover for a bound book
CA1332334C (en) Perforated interior binder pocket
CA2086354A1 (en) Display box simulating a book
US6047879A (en) Expanding envelope with a utility pocket
US20010013698A1 (en) Children's book with dispenser
KR950005666Y1 (ko) 책표지
JP2006507955A (ja) 少なくとも2つのフラップを有する書類分類用ホルダー
US5316211A (en) Hand carrying case
KR100490255B1 (ko) 책표지 구조
KR960010512Y1 (ko) 책자보호를 겸한 책갈피끼우개
KR20050074264A (ko) 밴드형 파일용 속지
JP4034554B2 (ja) 額縁等包装箱
WO1989010846A1 (en) A stiffening means for a paperback book
JP2003312165A (ja) 収納部付きブックカバーと収納部付き本
KR200416435Y1 (ko) 달력
KR940006018Y1 (ko) 책보호용 책표지
GB2263885A (en) Cover with closure for booklet or map
KR0112047Y1 (ko)
JPH01316293A (ja) 外折りカバー
JP3086109B2 (ja) ファイル
KR200332470Y1 (ko)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KR200254328Y1 (ko) 컴팩트 디스크 케이스
JP3006501U (ja) レンタルブック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