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470Y1 -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 Google Patents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470Y1
KR200332470Y1 KR20-2003-0020426U KR20030020426U KR200332470Y1 KR 200332470 Y1 KR200332470 Y1 KR 200332470Y1 KR 20030020426 U KR20030020426 U KR 20030020426U KR 200332470 Y1 KR200332470 Y1 KR 200332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ok
memo
auxiliary
book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학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학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학사
Priority to KR20-2003-0020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지를 비롯하여 소설, 잡지 등 모든 책에 책갈피를 사용할 수 있는 보조표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책에 관한 것으로, 앞표지와 뒷표지 및 앞,뒷표지 사이에 여러 장으로 된 내지를 끼워넣고 제본하여서 되는 책에 있어서,
상기 뒷표지의 끝단에서 연장된 채 내지들의 개방단 전체의 폭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앞표지를 덮어주는 보조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과, 또한 상기 보조표지의 내면에 메모지를 꽂아줄 수 있는 메모꽂이를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또한 상기 보조표지의 내면에 여러장으로 된 메모노트를 부착해 놓은 것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Book having a spacer}
본 고안은 학습지를 비롯하여 소설, 잡지 등 모든 책에 책갈피를 사용할 수 있는 보조표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책은 책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여러 장의 내지(책장)와 상기한 내지의 앞과 뒤를 보호하는 앞표지 및 뒷표지로 이루어져 있다.
책의 앞표지와 뒷표지는 그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내지들이 접착되거나 또는 꿰메어지는 접합부의 접합단에 접착되는 접착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작되어 내지와 함께 제본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본된 책은 앞표지와 뒷표지 각각의 끝단은 내지들의 개방단 끝부분까지만 덮어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지들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책을 펼치고 책장을 넘기면서 내지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읽거나 학습을 하다가 잠시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 또는 책 보는 것을 일시적으로 멈추고자 할 때에는 앞서 보고 있는 책장을 기억하기 위해 표시를 해주게 되는데, 책장을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보고 있던 책장을 전체를 접거나 또는 모서리부분을 접어주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방법과, 별도로 준비하고 있던 책갈피를 책장 사이에 꽂아주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책장을 접어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책을 다시 보고자 할 때 책장을 접어놓은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책장에 접혀진 흔적이 오래동안 남아 있게 되고 또한 접혀진 부분이 쉽게 찢어지는 일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으며,
후자의 방법은 책갈피를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되며, 또한 책을 들고다니는 도중에 책장 사이에 끼워놓은 책갈피가 빠지게 될 때에는 책갈피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잇었으며, 또한 책갈피가 책장에서 이탈되었을 경우에는 앞서 표시해 놓은 책장의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을 격을 수 있다는 점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책의 표지 자체에 책갈피의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표지를 일체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책을 보다가 책장을 덮어주고자 할 때에는 표지에 일체로 형성된 보조표지를 보고 있던 책장 사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책을 덮어줄 수 있도록 하여 보고 있던 책장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또 책장 사이에 끼인 보조표지가 보고 있었던 책장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책을 보는 도중에 중요한 내용을 메모할 수 있는 메모지를 제공하거나 또는 메모한 내용을 적어놓은 메모지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앞표지와 뒷표지 및 앞,뒷표지 사이에 여러 장으로 된 내지를 끼워넣고 제본하여서 되는 책에 있어서,
상기 뒷표지의 끝단에서 연장된 채 내지들의 개방단 전체의 폭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앞표지를 덮어주는 보조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보조표지의 내면에 메모지를 꽂아줄 수 있는 메모꽂이를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보조표지의 내면에 여러장으로 된 메모노트를 부착해 놓은 것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책을 펼치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앞표지와 책갈피용 보조표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책갈피용 보조표지의 내면에 메모꽂이를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및 A-A선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책갈피용 보조표지의 내면에 메모지를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및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책 2 : 내지
3 : 앞표지 4 : 뒷표지
5 : 접착부 6 : 커버부
7 : 보조표지 8 : 절곡선
9a : 메모꽂이 9b : 메모노트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책을 펼치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앞표지와 책갈피용 보조표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책갈피용 보조표지의 내면에 메모꽂이를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및 A-A선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책갈피용 보조표지의 내면에 메모지를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및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책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책(1)은 여러 장의 일단이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또는 꿰메어진 상태로 형성된 내지(책장)(2)와 상기한 내지를 커버하는 표지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표지는 앞표지(3)와 뒷표지(4) 및 상기한 앞표지와 뒷표지를 연결하면서 내지(2)의 접합단(21)에 접착되는 접착부(5)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뒷표지(4)의 끝단에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내지(2)의 개방단(22) 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부(6)와 상기 앞표지(3)의 덮어줄 수 있는 보조표지(7)를 형성한 것에 있다.
상기 커버부(6)와 보조표지(7)는 종이 원단으로 앞표지(3), 접착부(5) 및 뒷표지(4)를 제작할 때 상기 뒷표지(4)의 끝단에서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작되는 것인데, 상기 커버부(6)는 내기(2)의 개방단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보조표지(7)는 앞표지(3)의 일부를 덮어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의 보조표지(7)는 내지(2) 사이에 삽입시켰을 때 쉽게 빠지지 않는 규격으로 형성되는 충분한 구조인데, 본 고안에서는 앞표지(3)의 3/4 정도를 덮어줄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뒷표지(4)와 커버부(6)의 경계부위 및 상기 커버부(6)와 보조표지(7)의 경계부위에는 절곡선(8)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부(6)와 보조표지(7)를 펼치고 절곡시키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표지(7)의 내면에 메모지를 꽂아넣을 수 있는 주머니 형상의 메모꽂이(9a)를 형성한 것에 있으며, 상기 메모꽂이(9a)는 하여 책(1)을 보는 도중 중요한 내용을 적은 메모지 또는 책과는 관련이 없지만 기억해야될 내용이 적힌 메모지를 보관할 수 잇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표지(7)의 내면에 여러 장의 메모지로 형성된 메모노트(9b)를 부착해 놓은 것에 있으며, 상기 메모노트(9b)는 책을 보면서 메모한 내용이 있으면 그때 그때 메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메모노트(9b)는 낱장씩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책(1)을 펼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앞표지(3) 위에 보조표지(7)를 덮어주게 되면 커버부(6)가 앞표지(3)와 뒷표지(4) 각각의 끝단과 내지(2)의 개방단(22)을 보호하게 되므로서 책꽂이에의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가방에 넣거나 손에 들고 다닐 때 내지(2)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내지(2)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책(1)을 보고자 할 때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먼저 보조표지(7)를 펼치고, 이어서 앞표지(3)를 펼친 상태에서 내지(2)를 한장씩 넘기면서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게 되는데, 책을 다 보지않고 도중에 책을 덮고자 할 때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보조표지(7)를 펼쳐놓은 내지(2) 위에 접어준 다음 도 5의 도시와 같이 펼쳐놓았던 내지와 앞표지(3)를 덮어주게 되면 상기 보조표지(7)는 내지(2)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책갈피를 끼워놓은 것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지(2) 사이에 보조표지(7)를 끼워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보지않은 부분은 커버부(6)가 커버하고 있게 되는데, 이때의 커버부(6)는 내지(2)의 개방단(22)에서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이미 보았던 부분과 보지않은 부분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함과 동시 보조표지(7)가 끼워진 부분을 신속하게 펼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표조표지(7)의 내면에 메모꽂이(9a)를 형성한 것으로서, 소설이나 잡지 등의 책(1)을 보는 도중에 따로 메모한 메모지를 보관하고자 할 때, 학습지 등의 책(1)을 보는 도중에 학습한 내용을 메모한 메모지를 보관하고자 할 때 또는 책(1)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예를 들면, 전화번호 따위)을 기록한 메모지를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메모한 내용들이 기록된 메모지를 보조표지(7)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메모꽂이(9a)에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기억해야 될 내용이 기록된 메모지를 책(1)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보조표지(7)의 내면에 여러장의 메모지로 구성된 메모노트(9b)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책(1)을 볼 때 내지(2)의 개방단(22) 옆에 펼쳐놓은 보조표지(7)의 내면에 메모노트(9b)가 펼쳐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책(1)을 보면서 메모노트(9b)에 중요한 내용을 그때그때 기록하거나 또는 학습 내용 예를 들면, 문제풀이를 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책의 뒷표지 끝단에 커버부와 보조표지를 연장되게 형성시키는 수단으로, 책의 앞,뒷표지 및 내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책을 보다가 일시적으로 책을 덮고자 할 때에는 보조표지를 펼쳐진 내지 사이에 끼워주므로서 책갈피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지 사이에 끼워준 보조표지는 뒷표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실될 염려가 없어 사용자는 안심하고 책을 휴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책을 다시 보고자 할 때 앞서 보았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책을 보는 도중에 메모한 메모지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또 별도의 노트를 준비하지 않고도 책을 보면서 노트할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앞표지와 뒷표지 및 앞,뒷표지 사이에 여러 장으로 된 내지를 끼워넣고 제본하여서 되는 책에 있어서,
    상기 뒷표지의 끝단에서 연장된 채 내지들의 개방단 전체의 폭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앞표지를 덮어주는 보조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표지의 내면에 메모지를 꽂아줄 수 있는 메모꽂이를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표지의 내면에 여러장으로 된 메모노트를 부착해 놓은 것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KR20-2003-0020426U 2003-06-27 2003-06-27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KR200332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26U KR200332470Y1 (ko) 2003-06-27 2003-06-27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26U KR200332470Y1 (ko) 2003-06-27 2003-06-27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470Y1 true KR200332470Y1 (ko) 2003-11-07

Family

ID=4941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426U KR200332470Y1 (ko) 2003-06-27 2003-06-27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4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7509A (en) Cocoon pocket
US5494366A (en) Organizer notebook
CA2541113C (en) Dual notebook
US5725252A (en) Promotional booklet
WO2001019619A1 (en) Folder with overlapping windows
KR200332470Y1 (ko) 책갈피용 보조표지가 일체로 형성된 책
KR100850291B1 (ko) 노트
KR200318576Y1 (ko) 책표지 구조
US3099464A (en) Plastic protectors for sheet material, book and magazine covers, and the like
US20110114710A1 (en) Step index file folder
WO1998024640A1 (en) Tri-pocket
JP3138130U (ja) カードホルダー
KR200494801Y1 (ko) 필기구 꽂이를 구비한 서책
KR200221881Y1 (ko) 서류보관용 파일
JP2002019350A (ja) ファイル
KR20170000718U (ko) 메모지보관부가 구비된 북마크
KR200203719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KR960010512Y1 (ko) 책자보호를 겸한 책갈피끼우개
CA2478972C (en) Report folder
KR20220027655A (ko) 수첩 및 그 포켓블록
KR950005666Y1 (ko) 책표지
KR200371966Y1 (ko) 휴대성이 향상된 탁상용 달력 겸용 수첩
JPS6014609Y2 (ja) 書物用栞
KR101364857B1 (ko) 다단식 파일시트
KR200372562Y1 (ko)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