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562Y1 -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 Google Patents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562Y1
KR200372562Y1 KR20-2004-0023307U KR20040023307U KR200372562Y1 KR 200372562 Y1 KR200372562 Y1 KR 200372562Y1 KR 20040023307 U KR20040023307 U KR 20040023307U KR 200372562 Y1 KR200372562 Y1 KR 200372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ible
hymns
hymn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철
곽성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가페출판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가페출판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가페출판사
Priority to KR20-2004-0023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5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6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covers are united by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4Book covers loose
    • B42D3/045Protective cases for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0Book covers with lock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2Fasteners; Closur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가 개재된다.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전면에 제공되는 제1 표지, 후면에 제공되는 제2 표지, 제1 및 제2 표지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절첩부, 그리고 제1 및 제2 표지의 나머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퍼부를 포함하는 겉표지부, 겉표지부 내에 내장된 성경 속지부, 성경 속지부의 후면에 제공되며, 성경 속지부 및 제2 표지 사이로 찬송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칸막이 표지부 및 수납 공간에는 찬송가를 결속할 수 있는 결속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결속 수단으로 제1 자성판을 이용할 수 있고,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에 있어서, 일단부에 대응되는 제2 자성판이 부착된다. 따라서, 성경책 및 찬송가를 따로 분리하거나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예배 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BIBLE HAVING A HYMNBOOK AS A SEPARATE BOOKLET AND HYMNBOOK RECEIVED IN THE BIBLE}
본 고안은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성경책에 찬송가를 별도로 분리할 수 있고, 또는 찬송가를 별도로 수납할 있는 성경책 및 그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에 관한 것이다.
보통 교회에서 예배를 할 때는 성경 구절을 읽거나 예배 중간 중간에 찬송을 부르면서 진행되므로 예배에 참여하기 위해서 성경책과 찬송가는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므로 많은 교인들이 성경책 및 찬송가를 구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중에는 성경 내용이 기재된 성경책과 다수의 찬송가가 기재된 찬송가, 성경책과 찬송가가 함께 절첩된 합본용 성경 찬송가가 각각 판매된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예배 시간에 사용하기 편리한 합본용 성경 찬송가를 구매한다.
그러나, 종래의 합본용 성경 찬송가는 구약 및 신약이 총 1700페이지도 넘고, 찬송가까지 합치면 대략 2000페이지 가량되는 두꺼운 책이 된다. 그러므로 예배 이외의 전철이나 버스와 같은 공간에서 성경책을 휴대하여 읽으려는 사람들은 불필요하게 찬송가를 함께 들고 다녀야 하므로 찬송가와 성경책이 분리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또한, 예배 도중 찬송가를 부를 때 자리에서 일어나 부르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때에도 많은 사람들이 찬송가를 부르기 위해 성경 내용이 기재된 두꺼운 성경책을 들고 일어나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성경책과 찬송가를 별도로 구입할 수 있으나 예배 시 2권의 책을 들고 다녀야 하므로 이동 시 불편하고 분실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휴대하기 위해서 두꺼운 합본용 성경 찬송가 보다는 보통 작은 성경책이나 내용별로 나눠진 성경책을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런 성경책은 글씨가 너무 작아서 읽기가 불편하고 예배 시에는 찬송가를 따로 구입해야 되므로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찬송가를 별도로 분리 및 수납할 수 있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찬송가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성경책에 삽입하기에 알맞은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성경책 내부에 주보 및 필기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는 성경책을 수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410,510,610:성경 속지부
120,220,310,420,520,620:겉표지부
130,230,330,430,530,630:절첩부
140,240,340,440,540.640:칸막이 표지부
150,250,350,450,550.650:결속 수단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겉표지부, 성경 속지부, 칸막이 표지부 및 결속 수단을 구비한다.
겉표지부는 성경 속지부의 전면에 제공되는 제1 표지, 후면에 제공되는 제2 표지 및 제1 및 제2 표지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절첩부, 제1 표지 및 제2 표지의 나머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퍼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퍼부를 이용하여 성경책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절첩부는 상기 제1 표지 및 상기 제2 표지의 일모서리가 절곡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따라서, 책을 양쪽 옆으로 펴기 위해서는 제1 표지 및 제2 표지의 인접하는 세 모서리에 지퍼부가 부착되며, 나머지 모서리가 절첩부에 의해 연결된다. 절첩부의 내면에는 성경 속지부가 연결되어 성경책의 내부에 이탈되지 않도록 절첩한다. 성경 속지부는 겉표지부의 내에 내장되고, 성경의 내용이 기재된다. 칸막이 표지부는 성경 속지부의 후면에 제공되고, 절첩부의 내면에 연결되어 소정의 폭을 갖는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칸막이 표지부는 제1 표지 및 제2 표지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성경 속지부 및 상기 제2 표지 사이로 찬송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결속 수단은 수납 공간에 부착되고, 별도로 제작된 찬송가를 결속한다.
종래의 합본용 성경 찬송가는 성경 내용이 기재된 성경 속지부 및 찬송가가 동시에 수납된다. 따라서, 예배 시 찬송가를 부를 때 두껍고 무거운 합본용 성경 찬송가를 들어야 하므로 불편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찬송가를 분리할 수 있고, 찬송가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찬송가를 수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배 시에 찬송을 부를 때 찬송가만 간편하게 들고 부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철이나 버스에서 그리고 다른 장소에서 성경을 읽으려는 사람들도 찬송가를 분리하여 성경책만을 가지고 다닐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결속 수단에 의해서 성경책의 내부에 찬송가가 안정적으로 결속되므로 이동하는 과정이나 책을 펴는 과정에서 성경책이 외부로 찬송가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찬송가의 내용이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찬송가가 증편되어 찬송가가 개정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성경책을 가진 경우에는 성경책 전부를 교체해야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찬송가만 교체하면 되므로 경제적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는 일면에 제1 자성판이 부착된다. 이때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의 결속 수단은 절첩부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고, 찬송가는 제1 자성판에 대응하는 제2 자성판이 장착된다. 따라서, 성경책의 수납 공간과 찬송가는 자기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부착되어 성경책으로부터찬송가를 탈 부착하기가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성경 속지부(110), 겉표지부(120), 절첩부(130), 칸막이 표지부(140) 및 결속 수단(150)을 구비한다.
성경 속지부(110)는 성경의 내용이 기재된다. 성경 속지부(110)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겉표지부(120)는 성경 속지부(110)의 전 후면에 위치하고, 가죽으로 구성되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천 또는 하드 케이스와 같이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겉표지부(120)는 제1 표지(122), 제 2 표지(124), 지퍼부(126) 및 절첩부(130)를 포함한다. 제1 표지(122)는 성경 속지부(110)의 전면에 위치하고, 제2 표지(124)는 성경 속지부(110)의 후면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 표지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표지(122) 및 제2 표지(124)의 일모서리는절첩부(130)와 연결되고 나머지 세 모서리에는 지퍼부(126)가 제공된다. 따라서, 지퍼부(126)는 책의 측면을 덮는 천(128)이 형성되고, 천(128) 중앙부에는 지퍼부(126)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지퍼부(126)를 사용하여 개폐를 할 수 있고, 책 내부에 예배 시 사용되는 주보나 다른 메모지 같은 것을 책 사이에 껴 놓아도 외부로 빠지지 않으므로 보관하기에도 적합하다.
절첩부(130)는 제1 표지(122) 및 제2 표지(124)의 일모서리를 연결시킨다. 따라서, 책의 연결된 부분이 벌어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절첩부(130)의 넓이가 성경책의 두께 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성경 속지부(110)를 접착할 수 있으며, 성경 속지부(110)의 후면 및 제2 표지(124) 사이로는 찬송가(1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칸막이 표지부(140)는 성경 속지부(110) 및 겉표지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절첩부(130)의 내면에 연결되어 성경 속지부(110) 및 찬송가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140a)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칸막이 표지부(140)는 책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칸막이 표지부(140)는 마찬가지로 가죽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결속 수단(150)은 제2 표지(124) 및 칸막이 표지부(140)의 일면에 찬송가(10)의 표지를 삽입할 수 있는 표지 수납부(152)를 포함한다. 표지 수납부(152)는 찬송가(10) 표지의 양 사이드 전체를 삽입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다. 여기서 소정의 폭이란 찬송가(10)의 표지가 표지 수납부(152)에 삽입되어 외부로 빠지지 않을 만한 넓이를 의미한다.
표지 수납부(152)는 칸막이 표지부(140) 및 제2 표지(124)의 단부에 형성되고, 찬송가(10)의 표지를 수납하기 위해 일 모서리는 개방되며, 나머지는 재봉된다. 따라서, 별도로 제작된 찬송가(10)의 표지가 개방된 모서리로 삽입되어 찬송가(10)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구약 책, 신약 책 및 찬송가의 세가지 책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결속 수단(150)의 재질은 가죽으로 구성되지만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는 성경책을 수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지 수납부(152)는 제2 표지(124) 및 칸막이 표지부(14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다. 제2 표지(124) 및 칸막이 표지부(140)의 단부에 세 모서리는 제봉되고, 별도로 제작된 찬송가(10)의 표지가 들어가는 모서리는 개방된다. 따라서, 표지 수납부(152)는 횡 방향의 일 모서리가 개방되어 찬송가(10)을 부분적으로 홀딩 한다. 그러므로 칸막이 표지부(140) 및 제2 표지(124)가 찬송가(10)의 표지 역할을 하게 되어 성경책과 찬송가(10)이 일체로 구성된다. 칸막이 표지부(140)를 중심으로 제1 표지(122) 사이에는 성경책이 위치하며 제2 표지(124)사이에는 찬송가(10)이 위치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지 수납부(152)의 내면에 주보나 필기 도구를 꽂을 수 있는 홀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별도로 찬송가(10)을 분리할 수 있고, 필요할 때는 성경책의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찬송가(10)를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시에성경책 또는 찬송가(10)를 각각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예배 시 찬양대나 반주자와 같이 찬송가(10)만을 필요로 할 때에도 간편하게 찬송가(10)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성경 속지부(210), 겉표지부(220), 절첩부(230), 칸막이 표지부(240) 및 결속 수단(250)을 구비한다.
결속 수단(250)은 제2 표지(224) 및 칸막이 표지부(240)의 마주하는 면에 연결되는 표지 수납부(252)를 포함한다. 표지 수납부(252)는 칸막이 표지부(240) 및 제2 표지(224)의 네 개의 코너에 형성되어 찬송가(10)의 네 코너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모서리 및 모서리가 만나는 부분에 제공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지 수납부(252)는 찬송가(10)의 표지 중 네 코너를 홀딩 하여 최소한의 표지 수납부(252)의 넓이로 찬송가(10)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표지 수납부(252)의 재질이 적게 들고, 표지 수납부(252)에 찬송가(10)을 분리하고 삽입하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의, 성경 속지부(210), 겉표지부(220) 및 칸막이 표지부(240)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성경 속지부(310), 겉표지부(320), 칸막이 표지부(340) 및 결속 수단(350)을 구비한다.
결속 수단(350)은 탄성을 가진 고무로 구성된 고무 밴드(352)를 포함한다. 고무 밴드(352)는 제2 표지부(324) 및 칸막이 표지부(340)의 상하 모서리를 연결하고, 고무 밴드(352)는 제2 표지부(324) 및 칸막이 표지부(34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고무 밴드(352)는 탄성을 가지므로 내면에서 길게 늘어났다가 수축하면서 찬송가(10)의 표지를 홀딩 한다. 고무 밴드(352)의 개수나 크기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무 밴드(352)를 잡아 당겼다가 수축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찬송가(10)의 양 표지를 고정 시키므로 찬송가(10)을 삽입하고 분리하는 데 더욱 편리하다.
그 외의, 성경 속지부(310), 겉표지부(320) 및 칸막이 표지부(340)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성경 속지부(410), 겉표지부(420), 절첩부(430), 칸막이 표지부(440) 및 결속 수단(450)을 구비한다.
결속 수단(450)은 탄성을 가진 고무로 구성된 고무 밴드(452)를 포함한다. 고무 밴드(452)는 절첩부(430)의 상하 양단을 연결하도록 부착되고, 탄성을 가지므로 내면에서 길게 늘어났다가 수축하면서 찬송가(10)의 내부를 홀딩 한다. 고무 밴드(452)의 개수나 크기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무 밴드(452)를 잡아 당겼다가 수축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찬송가(10)을 원하는 페이지에서 홀딩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페이지에 홀딩 할 수 있는 클립 보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클립 보드가 필요치 않다.
그 외의, 성경 속지부(410), 겉표지부(420), 절첩부(430) 및 칸막이 표지부(440)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5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성경 속지부(510), 겉표지부(520), 절첩부(530), 칸막이 표지부(540) 및 결속 수단(550)을 구비하고,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는 제2 자성판(560)을 구비한다.
결속 수단(550)은 탄성을 가진 고무로 구성된 고무 밴드(552) 및 제1 자성판(554)을 포함한다. 고무 밴드(552)는 제2 표지부(524) 및 칸막이 표지부(54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양단부가 내면에 부착된다. 고무 밴드(552)는 탄성을 가지므로 내면에서 길게 늘어났다가 수축하면서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560)의 표지를 홀딩 한다. 그리고, 제1 자성판(554)은 고무 자석으로 구성되고, 절첩부(530)의 내면에 길게 부착된다. 따라서, 절첩부(530)의 내면에는 자기력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고무 밴드는 생략되거나 표지 수납부로 대체될 수도 있다.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560)는 제2 자성판(562)을 구비한다. 제2 자성판(562)은 제1 자성판(554)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고무 자석으로 구성되어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560) 중에 속지 및 겉지가 연결되는 절첩부에 길게 부착된다. 따라서, 제2 자성판(562) 및 제1 자성판(554)은 인력에 의해서 서로 잡아당기고 성경책 내부에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560)을 부착시킨다.
따라서,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의 내부에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560)이 자동적으로 연결되므로 간단하게 분리 및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고무밴드(552)를 이용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홀딩 할 수 있다.
그 외의, 성경 속지부(510), 겉표지부(520) 및 칸막이 표지부(540)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6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성경 속지부(610), 겉표지부(620), 절첩부(630), 칸막이 표지부(640) 및 결속 수단(650)을 구비하고,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는 제2 자성판(660)을 구비한다.
결속 수단(650)은 탄성을 가진 고무로 구성된 표지 수납부(652) 및 제1 자성판(654)을 포함한다. 표지 수납부(652)는 제2 표지(624) 및 칸막이 표지부(640)의 일면에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660)의 표지를 삽입할 수 있는 표지 수납부(652)를 포함한다. 표지 수납부(652)는 찬송가(660) 표지의 양 사이드를 삽입할 수 있는 폭을 갖는다. 그리고, 제1 자성판(654)은 고무 자석으로 구성되고, 절첩부(630)의 내면에 길게 부착된다. 따라서, 절첩부(630)의 내면에는 자기력이 형성된다.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660)는 제2 자성판(662)을 구비한다. 제2 자성판(662)은 제1 자성판(654)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고무 자석으로 구성되어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660) 중에 속지 및 겉지가 연결되는 절첩부에 길게 부착된다. 따라서, 제2 자성판(662) 및 제1 자성판(654)은 인력에 의해서 서로 잡아당기고 성경책 내부에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660)을 부착시킨다.
그 외의, 성경 속지부(610), 겉표지부(620) 및 칸막이 표지부(640)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찬송가를 성경책의 외부로 분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리된 찬송가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배 시에 찬송을 부를 때 찬송가만 간편하게 들거나 이동 중에 성경책만 들고 다니면서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결속 수단에 의해서 성경책의 내부에 찬송가가 안정적으로 결속되므로 이동하는 과정이나 책을 펴는 과정에서 찬송가가 성경책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찬송가의 내용이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찬송가가 증편되어 찬송가가 개정되어도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은 찬송가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결속 수단을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찬송가를 홀딩 하면서 클립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기타 필기구 및 주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다용도의 성경책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는 고무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부착되므로 성경책 및 찬송가를 간단하게 분리 및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전면에 제공되는 제1 표지, 후면에 제공되는 제2 표지, 상기 제1 및 제2 표지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절첩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표지의 나머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퍼부를 포함하는 겉표지부;
    상기 겉표지부 내에 내장된 성경 속지부;
    상기 성경 속지부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성경 속지부 및 상기 제2 표지 사이로 찬송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칸막이 표지부; 및
    상기 수납 공간에는 찬송가를 결속할 수 있는 결속 수단; 을 구비하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수단은 상기 칸막이 표지부 및 상기 제2 표지의 일면에 상기 찬송가 표지의 사이드를 삽입할 수 있는 표지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수단은 상기 칸막이 표지부 및 상기 제2 표지의 일면에 상기 찬송가 표지의 코너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칸막이 표지부 및 상기 제2 표지부의 코너에 형성된 표지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고무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밴드는 상기 찬송가의 표지를 홀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밴드는 상기 칸막이 표지부의 상하 모서리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표지의 내면에 상하 양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밴드는 상기 절첩부의 상하 양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수단은 상기 절첩부의 내면에 장착되는 제1 자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8. 전면에 제공되는 제1 표지, 후면에 제공되는 제2 표지, 상기 제1 및 제2 표지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절첩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표지의 나머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퍼부를 포함하는 겉표지부; 상기 겉표지부 내에 내장된 성경 속지부; 상기 성경 속지부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성경 속지부 및 상기 제2 표지 사이로 찬송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칸막이 표지부; 및 상기 절첩부의 내면에 장착되는 제1 자성판을 포함하는 결속 수단;을 구비하는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판에 대응하여 찬송가 절첩부에 제2 자성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경책에 수납되는 찬송가.
KR20-2004-0023307U 2004-08-16 2004-08-16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KR200372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07U KR200372562Y1 (ko) 2004-08-16 2004-08-16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07U KR200372562Y1 (ko) 2004-08-16 2004-08-16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163A Division KR100578992B1 (ko) 2004-08-16 2004-08-16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찬송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562Y1 true KR200372562Y1 (ko) 2005-01-14

Family

ID=4944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307U KR200372562Y1 (ko) 2004-08-16 2004-08-16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5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234B2 (en) Compact storage device for receipts, coupons and other small paper documents
US5494366A (en) Organizer notebook
WO1999010187A1 (en) Folio having flip-over pad
CN100406363C (zh) 存储介质支承装置和带有存储介质支承装置的书
US5725252A (en) Promotional booklet
US20050194273A1 (en) Wallet with separable linked accordion pockets for storing planar media elements
US20100187803A1 (en) Cover capable of supporting diary or calendar
KR200372562Y1 (ko)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KR100850291B1 (ko) 노트
KR100578992B1 (ko)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찬송가
US4743049A (en) Folder system
EP0636500A2 (en) Pad holder insert
WO2006036448A2 (en) Foldable organizer device
KR200349481Y1 (ko) 홀딩 기능을 포함하는 서적
US3099464A (en) Plastic protectors for sheet material, book and magazine covers, and the like
KR200265947Y1 (ko) 다이어리
KR200350143Y1 (ko) 책 케이스
KR200459150Y1 (ko) 다용도 서류가방
KR200368953Y1 (ko) 증편용 속지 및 이를 이용한 파일
CA2468567C (en) Card supplying and storage system
JP3078073U (ja) 分冊手帳付き手帳
KR200164914Y1 (ko) 삽입별책의탈부착이가능한서적의구조
EP0417151A1 (en) A stiffening means for a paperback book
KR200289165Y1 (ko) 화일홀더의 탈착이 가능한 가방
JP3139828U (ja) 情報冊子部付きブック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