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947Y1 - 다이어리 - Google Patents

다이어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947Y1
KR200265947Y1 KR2020010036730U KR20010036730U KR200265947Y1 KR 200265947 Y1 KR200265947 Y1 KR 200265947Y1 KR 2020010036730 U KR2020010036730 U KR 2020010036730U KR 20010036730 U KR20010036730 U KR 20010036730U KR 200265947 Y1 KR200265947 Y1 KR 200265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ry
cover
inlay
inlays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석
Original Assignee
이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석 filed Critical 이해석
Priority to KR2020010036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947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양측 겉표지 사이에 지철된 속지를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2종 혹은 3종의 속지로 분리 구성시켜 매일매일 업무내용을 기록하는 부분과 전화번호 주소등을 기록하는 부분이나 월간계획표 등이 분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한권만의 속지를 사용하던 때 다이어리의 앞뒷부분을 뒤적거리게 되던 불편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각 속지들을 분리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이어리 {diary}
본 고안은 필기용 공책인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에 유리하도록 비닐 또는 합성피혁 등으로 된 겉표지 사이에 필기를 할 수 있는 종이묶음이 고정된 업무용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한 현대에도 다이어리는 직장인들에게 많은 효용가치가 있다. 간단한 메모에서부터 회의시나 출장시에 다이어리는 거의 모든 직장인들에게필수품이 되고 있으며,그 간편성이나 가격 등에서 여전히 개인용 정보통신기기에 비하여 유리한 점이 많은 것이다.
이러한 다이어리는 기능적 특징이 부가된 것으로서, 필기구를 동시 수납하거나 지갑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것, 또는 다수의 카드나 명함을 보관할 수 있는 형태, 또는 지퍼 등의 잠금장치가 있는 것, 등 많은 종류가 있다.
그러나, 공지된 다이어리는 종이부분이 모두 한권으로 이루어진 종이묶음(이하 지철이라 함)으로 되어 하기와 같은 몇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즉, 대부분의 다이어리의 지철은 그 내용 구성에 있어서 앞부분은 월간계획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획된 인쇄부가 있고,중간부분의 많은 종이들은 필기를 할 수 있는 공책부이고,뒷부분은 전화번호나 주소를 기록하는 부분과 우편번호부 또는 도량형표 지하철노선표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이어리를 사용할 때에 중간부분에 필기를 하던 중에도 자주 월간계획이나 전화번호 등을 찾고 확인하기 위하여 앞뒷장을 뒤적거려야 하고 또 다이어리를 다 사용하고 난 뒤에는 새로운 다이어리에 전화번호 등을 다시 옮겨적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과 함께 시간의 낭비,자원의 낭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편리한 다이어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종래 한권으로 이루어져 있던 지철을 평면상으로 2이상의 분리된 구역에 각각의 지철이 구성되어 각각이 별도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을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겉표지를 덮었을 때의 걸침부 작용을 보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에 인용한 주요 부호의 설명 *
1; 겉표지 2a,2b,; 속지 3; 지철부
4; 걸침부 5; 속표지 6; 삽입부
7; 메모지철 8; 제2겉표지 9; 명함꽂이
본 고안의 구성은 양 겉표지 사이에 고정되는 속지(본 명세서상에서 속지란 통상의 수첩 공책류에 사용되는 종이로서,행을 구분하는 줄 등 적절한 인쇄가 되어 통상의 방법으로 묶음된 것을 뜻한다.)가 다이어리의 전체 평면상에서 적어도 2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각각의 구역에 서로 인쇄내용이 다르며 또 그 용도 역시 달리하는 것으로 구분 설치된 데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인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비닐 또는 인조피혁재로 된 양겉표지(1) 사이에 2종의 속지(2a,2b)를 상하로 배치한 것이다. 부호3은 지철부로서 속지(2a,2b)를 묶음하기 위한 것이며 스프링식 또는 접착방식 모두 적용 가능하다.
겉표지(1)는 통상의 다이어리의 그것보다 다소 강도가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겉표지를 형성함에 있어 두장의 비닐재 사이에 보강판을 내삽하여 접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강도를 충분하게 하여 상기와 같이 속지(2a,2b)가 분리 배치됨으로 인한 다이어리의 꺾임 혹은 주름(상하 속지의 경계부분에 생길 수 있는)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1에서 하측에 배치된 속지(2a)는 필기를 하기 위한 공책부이며, 상측에 배치된 속지(2b)는 전화번호부 및 주소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과 도량형표 등이 인쇄된 부분이 철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두종류의 속지는 각각 별도로 인쇄되고 접철된 것이다.
또한, 필기만을 위한 속지(2a)는 다이어리의 주 구성요소이므로 넓은 면적을차지하도록 하며, 상측의 속지(2b)는 좁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측의 속지(2b)는 외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단어나 회화용 문장 등이 인쇄된 것으로 교체 사용할 수도 있다.
지철부(3)는 모두 양 표지의 중앙부에 세로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측의 속지(2b)는 지철부(3)가 윗변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속지(2a,2b)를 표지와 결합하기 위하여 양 표지의 내측에 속표지(6)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6)를 형성한다. 삽입부(6)는 비닐재를 양 표지(1) 내측면에 덧대어 고주파접착등의 방법으로 상기 속표지(5)가 분리 삽입되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포켓을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필기만을 위한 속지는 물론 다른 속지(주소록의 용도나 학습용의 용도,또는 도량형표 등 업무 참고용으로 사용되기 위한 인쇄가 포함되어 있는 속지)들을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속표지(5)는 속지(2a,2b)의 제일 첫장과 마지막장의 쪽으로서 속지보다 두껍고 충분한 강도가 있는 것으로 지철부(3)에 의해 속지와 일체로 철되어 있다.
도2는 속지의 배치를 평면상으로 3개 구역으로 나누고, 좌측으로 열리는 겉표지(1)와 상측으로 열리도록 된 제2겉표지(8)를 구분 형성시킨 것이다.
도2의 하측에 배치된 속지(2a)는 필기용 속지이며, 우상측에 배치된 속지(2b)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도1에서의 상측 속지(2b)와 동일한 용도의 것이며, 좌상단에 배치된 것은 메모지철(7)이다.
메모지철(7)은 낱장을 떼어낼 수 있도록 된 용지이며, 접착식 메모지과 같은 묶일수도 있다.
도2의 겉표지(1)는 필기용 속지(2a)의 크기와 비례하도록 하여 다이어리의 앞표지가 되도록 하며,제2겉표지(8)는 상측에 배치된 속지(2b)와 메모지철(7)의 크기와 비례하는 크기로 하여 다이어리의 뒷쪽 겉표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시킨다.
즉,도2와 같이 구성된 경우 주소록 등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겉표지(1)를 열지 않고서도 제2겉표지(8)만을 상측으로 열고 주소록을 확인하거나 메모지를 떼어 쓸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상기 속지들은 자유롭게 그 배치를 변경시킬 수가 있으며,따라서 제2겉표지(8)가 다이어리 하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부호4는 상기 앞쪽 겉표지(1)에서 상측으로 부분 연장되어 제2겉표지(8)의 하단부 일부를 덮어주는 구실을 하는 걸침부이다. 상기 걸침부(4)는 다이어리 휴대시 제2겉표지(8)가 불필요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침부(4)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겉표지(8)의 하단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게 압착된 형태로 한다.
또한,제2겉표지(8)의 내측에 투명 비닐로 포켓을 접착 구성하여 명함꽂이(9)를 형성하여 둘 수도 있다.
도3은 도2에서의 겉표지(1)와 제2겉표지(8)가 모두 덮어졌을 때의 걸침부(4)상태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3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10과 12는 겉표지의 보강재와 외피를 각각 나타내며, 부호11은 고주파융착부를 나타낸다.
필기를 하는 중에도 주소록 등으로 사용되는 속지를 펼쳐보아 손쉽게 주소나 전화번호 등을 찾을 수 있는 편리성과,다이어리를 교체하게 될 때에는 주소록으로사용되는 속지만을 분리하여 새 다이어리에 끼워 그대로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새 다이어리에 다시 옮겨적는 수고과 시간,자원의 낭비를 줄일수 있으며,외국어 회화 문장 또는 도량형표 등이 인쇄된 속지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이어리를 펼쳐놓고 필기를 하는 중에도 필요한 항목을 찾아 펼쳐볼 수가 있는 효율성이 기대된다.

Claims (3)

  1. 양 겉표지 사이에 지철된 속지가 배치되는 통상의 다이어리에 있어서,다이어리의 전체 평면상에서 적어도 2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각각의 구역에 인쇄내용 및 그 용도를 달리하는 속지가 구분 구성된 특징이 있는,다이어리.
  2. 제1항에 있어서,다이어리의 앞쪽 표지(커버)를 형성함에 있어서 속지들의 면적에 비례한 면적으로 겉표지 및 제2겉표지(8)로 분리 구성된 다이어리.
  3. 제2항에 있어서,제2겉표지는 다이어리의 상측으로 개폐되는 동시에 제2겉표지의 내측에 명함 수납용 포켓이 구성된 다이어리.
KR2020010036730U 2001-11-26 2001-11-26 다이어리 KR200265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730U KR200265947Y1 (ko) 2001-11-26 2001-11-26 다이어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730U KR200265947Y1 (ko) 2001-11-26 2001-11-26 다이어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947Y1 true KR200265947Y1 (ko) 2002-02-25

Family

ID=7311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730U KR200265947Y1 (ko) 2001-11-26 2001-11-26 다이어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9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56B1 (ko) 2011-04-22 2012-01-18 주식회사양지사 수첩다이어리커버내 포켓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56B1 (ko) 2011-04-22 2012-01-18 주식회사양지사 수첩다이어리커버내 포켓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7904A (en) Notebook with selectively changeable, removeable and replaceable information carriers
US4832372A (en) Portfolio
US5494366A (en) Organizer notebook
JP2009507676A (ja) 携帯性および使用性を向上させた多用途カバー支持台
MXPA01002681A (es) Carpeta con refuerzo de tres partes y bolsillos visualizadores.
US7823926B2 (en) Dual notebook
AU763205B2 (en) Business card with peel off labels
US6108953A (en) File folder business card organizer system
KR200265947Y1 (ko) 다이어리
US6390712B1 (en) Airtimer planning system
US20070120360A1 (en) Bound component with sticker sheets
US6315484B1 (en) Information handler and project manager
WO2008143472A2 (en) Post-it private use memo file
WO2006036448A2 (en) Foldable organizer device
EP0636500A2 (en) Pad holder insert
JPH0755100Y2 (ja) 手帳カバー
KR200408891Y1 (ko) 명함보관용 점착쉬트
JP2003072262A (ja) 付箋帳
KR200350143Y1 (ko) 책 케이스
JP2003250618A (ja) ビジネスツール収納バッグ
KR100578992B1 (ko)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 수납되는찬송가
JP2528289B2 (ja) 多用途手帳
JP3006780U (ja) お便りまるごとファイル帳
KR200383581Y1 (ko) 휴대용 메모수첩
KR200372562Y1 (ko) 찬송가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성경책 및 성경책에수납되는 찬송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