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632B1 -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 Google Patents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632B1
KR950005632B1 KR1019920015561A KR920015561A KR950005632B1 KR 950005632 B1 KR950005632 B1 KR 950005632B1 KR 1019920015561 A KR1019920015561 A KR 1019920015561A KR 920015561 A KR920015561 A KR 920015561A KR 950005632 B1 KR950005632 B1 KR 95000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registration
devices
connection
command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996A (ko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632B1/ko
Publication of KR94000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제1도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 내의 휴대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 내의 접속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 내의 제어장치의 블럭도.
제5도는 휴대장치 이동에 따른 위치 등록가능 접속장치의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방법의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n : 휴대장치 2a∼2n : 접속장치
3 : 제어장치 4 : 사설교환기
5 : 가입자루프 6 :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
11, 21 : 안테나 12, 22 : 듀플렉서
13, 23 : 송신부 14, 24 : 수신부
15, 16, 25, 26 : 주파수 17, 27 : 데이터 변조기
18, 28 : 데이터복조기 19, 29 : EEPROM
31 : 스위치부 32 : 제어부
33 : 데이터네트워크제어부 34 : 메모리
35 : 사용자 인터페이스 50, 60 : 제어부
51 : 사용자 인터페이스 61 : 하이브리드
62 : 데이터 인터페이스 100, 200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본 발명은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제어장치의 위치등록명령시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실행하고 이 가변시간 정보를 휴대장치가 알게 함으로서 최적의 위치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설교환기(4)로부터 가입자루프(5)를 통하여 연결된 제어장치(3)와, 상기 제어장치(3)로부터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접속장치(2a∼2n)와, 상기 제어장치(3)로부터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접속장치(2a∼2n), 그리고 상기 접속장치(2a∼2n)와 무선통신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휴대장치(1n∼1n)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장치의 구체적인 블럭도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휴대장치(1a∼1n)는 접속장치(2a∼2n)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송신부(13) 및 수신부(14)를 갖고 있으며, 상기 송수신부(13), (14)는 듀플렉서(duplexer)(12)를 거쳐 안테나(1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통신을 위한 채널은 상기 송수신부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주파수합성기(15, 16)로부터 공급되는 국부발진신호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송수신부에는 데이터통신을 하기 위한 데이터 변조기(17)와 데이터 복조기(18)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변·복조기(17), (18)는 제어부(50)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송수화기 및 키패드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51)에는 송신부(13)의 입력과 수신부(14)의 출력이 각각 결합되어 음성, 데이터 및 듀얼톤 멀티 프리컨시(Dual Tone Multi Frequency : 이하 "DTMF"라고 함) 신호를 변·복조하여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부(50)와 결합된 이이피롬(19)은 그룹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및 휴대장치 식별코드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수신부(14)와 제어부(50) 사이에는 수신부(44)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계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0)가 접속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구체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접속장치는 제2도의 휴대장치와 대응하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휴대장치에서 동일한 역할을 하는 안테나(21), 듀플렉서(22), 송수신부(23), (24), 제3 및 제4주파수합성기(25), (26), 데이터 변·복조기(27), (28), 이이피롬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00) 및 제어부(6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접속장치에는 제1도의 데이터 네트워크(6)와 접속되어 통신하기 위한 하이브리드(61)와 데이터 인터페이스(6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이브리드(61)는 상기 송신부(23)의 입력 및 수신부(24)의 출력과 각각 결합되어 음성 및 DTMF신호를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제어장치(3)와 상호교신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62)는 제어부(60)와 결합되어서 데이터신호를 마찬가지로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제어장치(3)와 상호교신하게 된다.
제4도에는 제1도의 제어장치(3)가 구체적인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장치(3)는 사설교환기(4)와 다수의 접속장치(2a∼2n) 사이의 유선통화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통해 사설교환기(4)와 연결되고 유선통화회로(6)를 통해 다수의 접속장치(2a∼2n)와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부(31)는 제어부(32)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접속장치와 상호 데이터교신을 하기위한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부(33)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그룹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 위치정보, 가입자번호 및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34)와 접속되어 있고,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와 연결되어 시스템 제어 및 데이터 입출력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에서 위치등록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장치(3)에서는 시스템에서 정한 매시간 접속장치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하여 위치등록명령을 그 선택된 접속장치(2a∼2n)로 보낸다.
이때 위치등록명령신호를 받은 접속장치(2a∼2n)는 모든 휴대장치(1a∼1n)를 대상으로 자기 고유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명령을 사용중이 아닌 임의의 채널로 방송한다.
한편, 대기중 위치등록명령방송을 수신한 휴대장치(1a∼1n)는 각각 수신된 접속장치(2a∼2n)의 고유번호가 자신의 메모리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접속장치(2a∼2n)를 등록한 후 대기상태로 들어가고, 등록되어 있다면 그동안 제어장치(3)가 모든 접속장치(2a∼2n)에 한번씩 위치등록명령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지금까지 수신되었던 모든 접속장치들(2a∼2n)중에 현재위치에서 등록되어 있는 접속장치(2a∼2n)가 있는지 판단하여 있다면 대기상태로 돌아가고 만일 없다면 위치이동상황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새로운 위치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중이 아닌 임의의 무선채널으로 통하여 접속장치(로)로 보낸다.
이때에 휴대장치(1a∼1n)로부터 위치등록 요청신호를 받은 모든 접속장치들(2a∼2n)은 수신된 전계강도와 휴대장치(1a∼1n)의 고유번호정보를 제어장치(3)로 보내 위치등록 요청을 한다.
한편, 제어장치(3)는 상기 접속장치들(2a∼2n)로부터 수신된 위치등록 요청신호 중 전계강도가 가장 큰 접속장치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접속장치(2a∼2n)를 통하여 위치등록요청을 한 휴대장치(1a∼1n)에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내린다.
상기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시스템 제어장치(3)는 위치등록 요청을 한 휴대장치(1a∼1n)가 어느 접속장치영역에 있는지를 즉, 휴대장치(1a∼1n)의 위치등록상황을 기록·보관할 수 있다.
한편, 위치등록요청을 한 이후의 휴대장치(1a∼1n)는 상술한 접속장치(2a∼2n)와 제어장치(3)의 판단·결정처리에 의해 위치등록갱신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일정시간동안 기다리다가 시간이 초과하면 대기상태로 가서 이전의 자기위치상황을 갱신하지 않고, 시간내에 위치등록갱신명령이 수신되면 위치등록갱신명령을 송신한 접속장치(2a∼2n)로 자신의 위치를 갱신하고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위치등록방법은 제어장치(3)에서 일정하게 정해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접속장치(2a∼2n)들을 선택하여 위치등록명령을 실행하고 휴대장치(1a∼1n)의 위치등록요청여부는 단지 동일한 접속장치(2a∼2n) 고유번호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한하여 실시되므로 시스템 내에 설치된 접속장치(2a∼2n)의 숫자가 증감하거나 휴대장치(1a∼1n)가 계속하여 다른 접속장치들의 영역으로 이동한다면 휴대장치(1a∼1n)의 위치등록시간이 지연되거나 적절한 위치등록이 이루어지지않아 시스템 제어장치(3)에서 휴대장치(1a∼1n)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5도에서와 같이 종래의 위치등록방법으로 위치등록이 수행된다면 휴대장치가 A의 위치에서 계속하여 B 및 C 그리고 D지역으로 이동한다면 똑같은 접속장치 고유번호가 전혀 휴대장치로 수신될 수 없으므로 휴대장치는 위치등록요청을 할 수 없다.
즉, 종래의 방법은 동일한 휴대장치 고유번호가 수신될 때만 비로서 휴대장치는 시스템 제어장치(3)가 모든 접속장치(2a∼2n)로 한번씩 위치등록명령을 지시했다고 판단한 후 위치등록요청을 하기 때문에 휴대장치가 계속 이동하거나 급격히 위치를 바꾸었을 때 위치등록요청을 하기 때문에 휴대장치가 계속 이동하거나 급격히 위치를 바꾸었을 때 위치등록이 되지않거나 위치등록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수신호(전화)에 대하여 적절한 접속장치를 연결해 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장치가 위치등록을 실행할 판단기준을 시스템에서 알려줌으로써 휴대장치의 위치가 계속하여 변동되는 상황에서 적절한 위치등록이 실행될 수 있으며 처음 위치등록된 접속장치의 고장 또는 그 접속장치가 연속적인 통화상태가 지속될 때에도 휴대장치는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위치등록요청을 하므로 시스템의 제어장치는 항상 휴대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장치와 다수의 접속장치 및 다수의 휴대장치로 구성된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각각의 접속장치로 위치등록명령을 실행시키는 시간간격을 휴대장치가 전채널을 스캔하는 시간으로 결정하고, 전체 접속장치의 숫자를 수시로 파악하여 기본적으로 전체 접속장치가 각각 한번씩 위치등록명령을 수행할 때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시스템 내의 접속장치가 증가하거나 필요에 의해서 빠른 시간내에 전체 시스템에 걸쳐 위치등록을 실행하고자 할 때 복수의 접속장치가 동시에 위치등록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전체 위치등록명령 실행시간을 다시 계산하여 위치등록 실행시간을 가변적으로 운용되도록 하는 제어장치 루틴(L1)과, 상기 제어장치루틴(L1)에 의해 계산된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상기 제어장치는 데이터신호에 포함시켜 접속장치로 보내고 접속장치는 무선회선을 통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휴대장치로 보내고, 모든 휴대 휴대장치는 상기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에 의해 자신의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일정시간 내에 위치등록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여 스스로 위치등록요청으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접속장치루틴(L2)과, 상기 휴대장치는 접속장치로부터 위치등록명령을 수신했을 때 이미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접속장치인가 판단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접속장치이면 다시 수신된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이전의 값과 비교하고 변동이 있으면 변경된 값에 의하여 위치등록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대기상태로 돌아가고, 등록되지 않은 접속장치로부터만 위치등록명령을 받거나 위치등록명령을 일정시간 수신하지 못하면 위치등록타이머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스스로 위치등록을 요청하도록 하고 위치등록요청에 의해 제어장치와 접속장치를 통하여 위치등록갱신신호를 수신했을 때 수신된 접속장치 고유번호로 위치등록을 갱신하고 위치등록 갱신 신호에 포함된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이전의 값과 비교하여 다시 위치등록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대기상태로 돌아가도록 된 휴대장치루틴(L3)으로 이루어지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기본적인 블럭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다수의 휴대장치(1a∼1n)는 무선통신회선을 통해 다수의 접속장치(2a∼2n)와 연결되고, 상기 접속장치(2a∼2n)는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장치(3)와 연결되며, 제어장치(3)는 다수의 가입자 루프(5)를 통해 사설교환기(4)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장치(1a∼1n)의 구체적인 블럭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접속장치(2a∼2n)의 구체적인 블럭도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제어장치(3)는 제4도에 도시된 제어장치 블럭도를 기본으로 한다.
즉, 제어장치(3)는 사설교환기(4)와 접속장치(2a∼2n)간의 유선통화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부(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스위치부(31)는 제어부(32)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접속장치와 상호 데이터 교신을 하기위한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부(33)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그룹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 위치정보, 접속장치 배치정보, 가입자번호 및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34)와 접속되어 있고,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와 연결되어 시스템 제어 및 입출력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은 임의의 휴대장치가 시스템 구역내 임의의 장소에 위치하고 있거나, 시스템 내에서 임의의 접속장치영역으로 이동하더라도 최적의 위치등록방법에 의하여 위치등록을 하므로 제어장치(3)는 항상 휴대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수신호(전화)에 대하여 정확한 접속장치를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동작은 제어장치(3)가 시스템에 설치된 전체 접속장치(2a∼2n)등의 숫자를 알고있고, 또한 휴대장치(1a∼1n)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채널을 스캔하는 시간을 알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접속장치(2a∼2n)에게 위치등록명령을 내리는 주기적인 시간을 계산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원리와, 상기의 위치등록명령시간간격은 접속장치가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가변적으로 운영되고 상기와 같이 결정되어 운영되는 위치등록명령시간간격에 관한 정보가 휴대장치(1a∼1n)로 알려지므로 휴대장치(1a∼1n)는 임의의 시점에서 위치등록을 행한 후 상기의 시간간격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일정시간이 지난 후 스스로 위치등록요청을 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 스스로 판단하게 함으로써 최적의 위치등록이 실현되도록 한다.
즉,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장치가 A의 위치에서 B 및 C 그리고 D 지역에서 계속하여 이동한다 하더라도 시스템에서 정해준 위치등록명령시간간격을 휴대장치가 알게함으로써 휴대장치는 상기 시간동안에 동일한 접속장치로부터 위치등록명령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어느 위치에서든지 위치등록요청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3)는 휴대장치의 위치를 계속하여 정확하게 파악하므로 수신호(전화)를 정확한 접속장치를 통하여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방법의 동작흐름도로서, (a)도는 제어장치의 흐름도이며, (b)도는 접속장치의 흐름도이고, (c)도는 휴대장치에서의 흐름도이다.
제6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장치(3)는 시스템내에 설치된 접속장치(2a∼2n)들의 숫자와 각 휴대장치(1a∼1n)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무선채널을 스캔하는 시간의 곱을 게산한다.
상기와 같이 계산한 시간은 결국 시스템 내의 모든 접속장치(2a∼2n)가 한번씩 위치등록명령을 방송하는 전체시간이므로 이 시간값을 데이터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6도의 (a)와 같이 휴대장치(1a∼1n)가 전체 무선채널을 스캔하는 시간간격을 접속장치(2a∼2n)들에게 주기적으로 위치등록명령을 지시하는 시간으로 정하여 각 접속장치(2a∼2n)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한다(단계 101).
이어서, 상기와 같이 계산하여 메모리에 저장했던 전체 위치등록실행시간 파라미터(이하 "위치등록가변시간 파라미터"라 함)를 포함하는 위치등록명령을 선택된 접속장치(2a∼2n)로 보낸다(단계 102).
한편, (b)도와 같이, 대기중 위치등록명령신호를 제어장치(3)로부터 받은 접속장치(2a∼2n), (단계 201)는 모든 휴대장치(1a∼1n)를 대상으로 자기의 고유번호정보,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등록명령을 사용중이 아닌 임의의 무선채널로 방송한다(단계 202).
이때 상기의 방송시간은 휴대장치(1a∼1n)들이 전체 무선채널을 스캔할 수 있는 시간이며 제어장치(3)가 각각의 접속장치(2a∼2n)를 주기적으로 선택하는 시간이다.
한편, (c)도와 같이, 위치등록명령을 수신한 휴대장치(1a∼1n)(단계 301)는 수신된 접속장치(2a∼2n)의 고유번호가 이미 제어장치(3) 및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단계 302) 등록되어 있으면 수신된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등록 타이머를 초기화시킨다(단계 303).
한편, 상기 단계 301에서 위치등록명령을 수신하지 않았거나 상기 단계 302에서 등록되지 않은 접속장치(2a∼2n) 고유번호가 수신되면 휴대장치(1a∼1n)는 자신의 위치등록 시간이 완료되었는가 확인하여(단계 304) 완료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위치등록 명령을 수신하기 위하여 단계 301로 돌아간다.
그러나, 단계 304에서 위치등록 시간이 완료되면 휴대장치(1a∼1n)는 자신의 위치가 이동되었거나 다른 접속장치로의 위치등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즉시 위치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중이 아닌 임의의 무선채널을 통하여 접속장치(2a∼2n)로 보낸다(단계 305).
제6도의 (b)와 같이, 휴대장치(1a∼1n)로부터 위치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모든 접속장치(2a∼2n)들은 (단계 203) 수신부(24)에서 수신된 신호를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200)로 측정한 전계강도값을 포함하여 휴대장치(1a∼1n) 고유번호 및 무선채널정보 등을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청신호를 제어장치(3)로 보낸다(단계 204).
한편, 제6도의 (a)와 같이, 상기의 접속장치(2a∼2n)들로부터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 제어장치(3)는 (단계 103) 이들 접속장치(2a∼2n)들이 보내온 전계강도세기가 가장 큰 접속장치를 가장 적합한 위치등록접속장치로 선택하여 이 선택된 접속장치(2a∼2n)로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 휴대장치 고유번호 및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보낸다(단계 105).
그러나, 상기 단계 103에서 위치등록 요청신호가 일정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며(단계 104) 제어장치(3)는 위치등록 요청상황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접속장치를 선택한다.
상기 단계 105에서 위치등록 갱신을 명령한 후 제어장치(3)는 결국 위치등록을 요청했던 휴대장치(1a∼1n)가 어느 접속장치 영역에 있는지 알게되고 해당 휴대장치의 위치상황을 수정하여 메모리에 기록·보관한다(단계 106).
이어서, 제어장치(3)는 다음에 위치등록 명령을 지시할 접속장치를 선택하고(단계 107) 단계 102로 돌아간다.
한편, 제6도의 (b)와 같이, 단계 204에서 위치등록 요청을 한 이후 접속장치(2a∼2n)들은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기다리다가(단계 205, 206) 시간내에 위치등록 갱신명령이 제어장치(3)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들어가고 위치등록 갱신명령이 들어오면 위치등록을 요청한 휴대장치(1a∼1n)로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 접속장치 고유번호 등을 포함하는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보낸다(단계 207).
한편, 제6도의 (c)도와 같이, 단계 305에서 위치등록을 요청한 휴대장치(1a∼1n)는 상기와 같이 접속장치(2a∼2n)와 제어장치(3)의 판단·결정 처리에 의해 위치등록 갱신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정해진 일정시간동안 기다리다가(단계 306, 307) 시간이 초과되면 자신의 위치 등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위치등록 상황을 갱신하지 않고 이전에 수신하여 기록했던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에 의해 위치등록 타이머를 초기화시킨 후(단계 310)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한편, 단계 306에서 위치등록 갱신신호를 수신한 휴대장치(1a∼1n)는 자신에게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보낸 접속장치(2a∼2n)로 자신의 위치등록을 갱신하고(단계 308)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에 의하여 위치등록 타이머를 다시 초기화시킨다(단계 309, 310).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장치(3)가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휴대장치(1a∼1n)가 알게 함으로써 휴대장치의 위치이동상화을 최적의 상태에서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내의 접속장치(2a∼2n)들의 숫자가 증가하더라도 제어장치(3)는 그 숫자를 알수 있고 접속장치(2a∼2n)들의 배치를 제어장치(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제어장치(3)는 위치등록 명령을 복수의 접속장치로 동시에 수행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 가변시간 파라미터값은 좀더 줄일 수 있고 빠른 시간내에 휴대장치들의 위치등록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도에서 접속장치(1)와 접속장치(7)는 상호 전파간섭이 미치지 않으므로 동시에 위치등록명령을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값도 작게되며 이 값을 휴대장치가 앎으로 위치등록을 빠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장치가 위치등록을 실행할 판단기준을 시스템에서 알려주므로써 휴대장치의 위치가 계속하여 변동되는 상황에서도 적절한 위치등록이 실행될 수 있으며 처음 위치등록된 접속장치의 고장 또는 연속적인 통화상태가 지속될 때에도 휴대장치는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위치등록요청을 하므로 시스템의 제어장치는 항상 휴대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5도에서와 같이 종래의 위치등록방법으로 위치등록이 수행된다면 휴대장치가 A의 위치에서 계속하여 B 및 C 그리고 D지역으로 이동한다면 똑같은 접속장치 고유번호가 전혀 휴대장치로 수신될 수 없으므로 휴대장치는 위치등록요청을 할 수 없다.
즉, 종래의 방법은 동일한 휴대장치 고유번호가 수신될 때만 비로서 휴대장치는 시스템 제어장치(3)가 모든 접속장치(2a∼2n)로 한번씩 위치등록 명령을 지시했다고 판단한 후 위치등록요청을 하기 때문에 휴대장치가 계속 이동하거나 급격히 위치를 바꾸었을 때 위치등록이 되지 않거나 위치등록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수신호(전화)에 대하여 적절한 접속장치를 연결해 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제어장치와 다수의 접속장치 및 다수의 휴대장치로 구성된 구내무선 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각각의 접속장치로 위치등록명령을 실행시키는 시간간격을 휴대장치가 전채널을 스캔하는 시간으로 결정하고, 전체 접속장치의 숫자를 수시로 파악하여 기본적으로 전체 접속장치가 각각 한번씩 위치등록명령을 수행할 때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시스템 내의 접속장치가 증가하거나 빠른 시간내에 위치등록을 실행하고자 할 때 복수의 접속장치가 동시에 위치등록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전체 위치등록명령실행 시간을 다시 계산하여 위치등록 실행시간을 가변적으로 운용하도록 하는 제어장치루틴(L1)과, 상기 제어장치루틴(L1)에 의해 계산된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상기 제어장치는 데이터신호에 포함시켜 접속장치로 보내고 접속장치는 무선회선을 통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휴대장치로 보내고 모든 휴대장치는 상기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에 의해 자신의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일정시간내에 위치등록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여 스스로 위치등록요청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접속장치루틴(L2)과, 상기 휴대장치는 접속장치로부터 위치등록명령을 수신했을 때 이미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접속장치인가 판단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접속장치이면 다시 수신된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이전의 값과 비교하고 변동이 있으면 변경된 값에 의하여 위치등록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대기상태로 돌아가고, 등록되지 않은 접속장치로부터만 위치등록명령을 받거나 위치등록명령을 일정시간 수신하지 못하면 위치등록타이머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스스로 위치등록을 요청하도록 하고 위치등록요청에 의해 제어장치와 접속장치를 통하여 위치등록 갱신신호를 수신했을 때 수신된 접속장치 고유번호로 위치등록을 갱신하고 위치등록 갱신신호에 포함된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이전의 값과 비교하여 다시 위치등록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대기상태로 돌아가도록 된 휴대장치루틴(L2)으로 이루어지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루틴(L1)은 휴대장치(1a∼1n)가 전체 무선채널을 지시하는 시간마다 각 접속장치(2a∼2n)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하는 단계(101)와, 메모리에 저장했던 전체 위치등록 실행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명령을 선택되어진 접속장치(2a∼2n)로 보내는 단계(102)와, 접속장치(2a∼2n)들로부터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103)와, 접속장치(2a∼2n)들이 보내온 전계강도세시가 가장 큰 접속장치를 가장 적합한 위치등록 접속장치로 선택하여 선택된 접속장치(2a∼2n)로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보내는 단계(105)와, 상기 단계(103)에서 위치등록 요청신호가 일정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제어장치(3)는 위치등록 요청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접속장치를 선택하는 단계(104)와, 상기 단계(105)에서 위치등록 갱신을 명령한 후 제어장치(3)는 휴대장치의 위치상황을 수정하여 메모리에 기록·보관하는 단계(106)와, 상기 단계(106)후 제어장치(3)는 다음에 위치등록 명령을 지시할 접속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107)로 이루어지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루틴(L2)은 대기중 위치등록 명령신호를 제어장치(3)로부터 수신받은 단계(201)와, 모든 휴대장치(1a∼1n)를 대상으로 자기의 고유번호 정보·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명령을 사용중이 아닌 임의의 무선채널로 방송하는 단계(202)와, 휴대장치(1a∼1n)로부터 위치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203)와, 수신부(24)에서 수신된 무선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요청신호를 제어장치(3)로 보내는 단계(204)와, 상기 단계(204)에서 위치등록 요청을 한 이후 접속장치(2a∼2n)는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기다리는 단계(205, 206)와, 시간내에 위치등록 갱신명령이 제어장치(3)로부터 수신되지 않을 경우 대기상태를 들어가고 위치등록 갱신명령이 들어오면 위치등록을 요청한 휴대장치(1a∼1n)로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보내는 단계(207)로 이루어진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휴대장치루틴(L3)은 휴대장치(1a∼1n)에서 위치등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301)와, 수신된 접속장치(2a∼2n)의 고유번호가 이미 제어장치(3) 및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302)와, 등록되어 있으면 수신된 가변시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등록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단계(303)와, 상기 단계(301)에서 위치등록 명령을 수신하지 않았거나, 상기 단계(302)에서 등록되지 않은 접속장치(2a∼2n)의 고유번호가 수신되면 휴대장치(1a∼1n)에서 자신의 위치등록 시간이 완료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304)와, 상기 단계(304)에서 위치등록 시간이 완료되면 휴대장치(1a∼1n)는 위치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중이 아닌 임의의 무선채널을 통하여 접속장치(2a∼2n)로 보내는 단계(305)와, 상기 단계(305)후 휴대장치에서 위치등록 갱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306)와, 상기 단계(306)에서 휴대장치(1a∼1n)는 자신에게 위치등록 갱신명령을 보낸 접속장치(2a∼2n)로 자신의 위치등록을 갱신하는 단계(308)와, 상기 단계(308)후 위치등록 가변시간 파라미터 비교기에 의하여 위치등록 타이머를 다시 초기화시키는 단계(309, 310)로 이루어진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KR1019920015561A 1992-08-28 1992-08-28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KR95000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5561A KR950005632B1 (ko) 1992-08-28 1992-08-28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5561A KR950005632B1 (ko) 1992-08-28 1992-08-28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96A KR940004996A (ko) 1994-03-16
KR950005632B1 true KR950005632B1 (ko) 1995-05-27

Family

ID=1933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561A KR950005632B1 (ko) 1992-08-28 1992-08-28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473B1 (ko) * 1997-07-14 2002-09-3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 원격 유닛을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473B1 (ko) * 1997-07-14 2002-09-3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 원격 유닛을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96A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9920B1 (en) Radio channel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243641A (en)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US4228319A (en) Automatic radio telephone system
US5390366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452872B1 (en) Cordless key telephone system for covering multiple service areas having exclusively assigned control channels
US5722070A (en) Cell of preference check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0299515B2 (en) Method of connecting a cordless telephone by radio
US5384827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capable of quickly establishing connection during call setup phase
AU680755B2 (en) Power saving system for a mobile radio
JP2591831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路切換方法
KR950005632B1 (ko)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위치등록방법
AU633444B2 (en)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WO1995031046A1 (en) System for scanning channels
CN1074618C (zh) 调整通信系统内的基准频率的方法
JPH0563635A (ja) 無線基地局出力制御によるトラヒツク分散方式
JPH0262062B2 (ko)
KR20000014312A (ko) 주파수도약/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파일럿 채널을이용한 초기동기시간 단축방법
CA2046254C (en) Extended range cordless telephone system
KR930011472A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JPS59104840A (ja) 移動無線通信方式
KR960004811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JP4021110B2 (ja) Phsチャネル切替方法
JPH054853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における空きチヤンネル・サーチ方式
CA1286811C (en) Method of connecting a cordless telephone by radio
JP2760309B2 (ja) 移動体通信方式の通信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