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811B1 -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 Google Patents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811B1
KR960004811B1 KR1019910011183A KR910011183A KR960004811B1 KR 960004811 B1 KR960004811 B1 KR 960004811B1 KR 1019910011183 A KR1019910011183 A KR 1019910011183A KR 910011183 A KR910011183 A KR 910011183A KR 960004811 B1 KR960004811 B1 KR 96000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ortable device
scan
channels
o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587A (ko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811B1/ko
Publication of KR93000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제1도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중 휴대장치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중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
제4도는 종래의 접속장치 및 휴대장치의 채널스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종래의 접속장치 채널스캔을 나타내는 예시도.
제6도는 종래의 휴대장치 채널스캔을 나타내는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의 채널스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장치의 채널스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 채널스캔을 나타내는 예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장치 채널스캔을 나타내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1n: 휴대장치 21, 22…2n: 접속장치
3 : 제어장치 4 : 교환기
5 : 가입자 루프(Loop) 6 : 유선통화 회로 및 데이타 네트워크
101, 201 : 안테나 102, 202 : 듀플렉서
103, 203 : 송신부 104, 204 : 수신부
105, 106, 205, 206 : 주파수 합성부
107, 207 : 데이타 변조기
108, 208 : 데이타 복조기 109, 209 : EEPROM
110, 210 : 제어부 11 : 사용자 인터페이스
211 : 하이브리드 212 : 데이타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임의의 휴대장치가 시스템내의 임의의 어떤 접속장치를 통하여 사설교환기 또는 국설교환기와 연결되므로써 무선전화기 사용자가 건물 및 구역내의 어느곳에서든지 무선을 통화할 수 있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장치와 접속장치간의 무선 접속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며 구역내의 임의의 장소에서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장치(11-1n)와 이중 무선 통신회로를 구성하며 제어장치(3)와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대의 접속장치(21-2n)와 유선 통화회로 및 데이타 네트워크(6)를 연결하고 교환기(4)와 다수의 가입자 루프(5)가 연결되어 스위칭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3)등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장치(11-1n)는 무선 통신회로를 통해 접속장치(21-2n)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접속장치(21-2n)는 유선 통화회로 및 데이타 네트워크(6)를 통해 제어장치(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3)와 교환기(4) 사이에는 다수의 가입자루프(5)로 연결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휴대장치(11-1n)의 보다 상세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장치(11-1n)는 접속장치(21-2n)와 무선 통신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송신부(103) 및 수신부(104)를 갖고 있다.
송신부(103) 및 수신부(104)는 듀플렉서(102)를 거쳐 안테나(101)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103) 및 수신부(104)의 채널을 각각의 주파수 합성기(105, 106)로부터의 국부발진신호에 의해 설정된다.
제어부(110)는 접속장치(21-2n)와의 데이타 교신을 하기 위한 데이타 변조기(107) 및 데이타 복조기(108)와 연결되어져 있으며, 또한 데이타 변조기(107) 및 데이타 복조기(108)는 각각 송신부(103) 및 수신기(104)에 연결되어져 있다.
송신부(103)의 입력 및 수신부(104)의 출력은 또한 송수화기 및 키패드(도시 생략)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11)에 연결되어 음성, 데이타 및 듀얼 톤 다중주파수(DTMF)신호를 변복조하여 출력한다.
EEPROM(109)은 그룹 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및 휴대장치 식별코드 등을 저장하고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접속장치(21-2n)의 보다 상세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접속장치(21-2n)는 제2도에 도시된 휴대장치(11-1n)에 대응하는 안테나(201), 듀플렉서(202), 주파수 합성기(205, 206), 데이타 변조기(207), 데이타 복조기(208), EEPROM(209) 및 제어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하이브리드(211)로부터의 음성 및 DTMF신호와 데이타 인터페이스(212)로부터의 데이타 신호는 유선 통화회로 및 데이타 네트워크(6)를 통하여 제어장치(3)와 상호 교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속장치(21-2n)는 휴대장치(11-1n)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 있어, 접속장치(21-2n)와 휴대장치(11-1n)의 스캔동작은 제4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와 같다. 스캔동작(스텝 S1)에 있어서 휴대장치(1) 및 접속장치(2)의 제어부(110, 210)는 주파수 합성기(106, 206)를 첫번째 채널에 세트시키고(스텝 S2), 주파수 합성기(106, 206)가 원하는 주파수에 안정되었는가를 확인한다(스텝 S3).
이어서, 수신부(104, 204)는 수신 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수신된 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큰가를 확인한후(스텝 S4), 기준치보다 작으면 송신시 사용 가능한 채널로써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기억시킨다(스텝 S5).
반면에, 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크면 데이타 복조기(108, 208)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신호동기가 검출되었는가를 확인하고(스텝 S6), 이어서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확인한다(스텝 S7).
이때,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면 시그널링 신호에 따른 동작을 위해 신호처리를 하게 되며(스텝 S8), 만일 신호동기 또는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10, 210)는 주파수 합성기(106, 206)로 다음 채널을 세트시킨다(스텝 S9).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스텝(S2)로부터 스텝(S9)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므로써 전체 채널의 스캔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한 접속장치(21-2n)와 휴대장치(11-1n)는 대기상태에서 각각의 상대로부터의 시그널링 신호를 수신하고, 필요시 각각의 상대방으로 시그널링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빈 채널을 찾기 위해 제어부(110, 21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주파수 합성기(105, 106, 205, 206)를 주어진 각 채널의 주파수로 순차적으로 세트하고 시그널링 신호 유무 및 전계강도 크기를 확인하는 스캔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접속장치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40번 부터 채널 1번의 순으로 한 채널씩 스캔을 하는데 이때 주파수 합성기는 각 채널에서 일정시간(T1)동안 고정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일정시간(T1)은 제어부로부터 주파수 합성기로의 데이타 주입시간, 주파수 합성기의 주파수 안정화시간 및 시그널링 신호의 유무 확인시간 등으로 이루어진다.
예로서, 일정시간(T1)이 약 100m초로 가정한다면 접속장치가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 스캔주기(T2)는 100m초×40채널=4초가 된다.
마찬가지로 휴대장치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1번 부터 채널 40번의 순으로 스캔을 하게 되는데 이 역시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데 소요시간은 접속장치와 마찬가지로 약 4초가 되며 여기서 휴대장치의 전지 절약을 위해 주파수합성기를 오프하는 시간을 고려하면 실제로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데 소요시간은 4초 이상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장치와 휴대장치가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접속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시그널링 신호를 무선통화회로가 연결되는 시간은 최악의 경우 4초 이상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접속장치가 40번 채널을 스캔하는 동안 휴대장치가 39번 채널을 통하여 시그널링 신호를 송신한다면 상기 접속장치가 휴대장치로부터의 시그널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채널 1번부터 채널 39번까지의 스캔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써 휴대장치 사용자는 약 4초후에 접속장치로부터의 발신음을 듣게 되어 사용시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접속장치와 휴대장치가 대기시 각각의 상대방으로부터 시그널링 신호를 수신하거나 빈 채널을 찾기 위해 전계강도의 크기를 확인하는 스캔 동작을 채널 1부터 채널 40까지 또는 채널 40부터 채널 1까지 한 채널씩 수행하므로써 야기되는 장시간의 지연을 줄이기 위한 스캔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접속장치가 시그널링 신호를 송신할때에는 채널 1부터 채널 39까지의 홀수 채널중에서 임의의 한 채널을 통하여 송신을 하고, 휴대장치가 시그널링 신호를 송신할때에는 채널 2부터 채널 40까지의 짝수 채널중에서 임의의 한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고자 한다면, 접속장치가 휴대장치로부터의 시그널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스캔은 짝수 채널에 대해서만 수행하면 되고, 휴대장치가 접속장치로부터의 시그널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스캔은 홀수 채널에 대해서만 수행하면 된다.
이로써, 접속장치 및 휴대장치 각각의 수신 스캔주기는 절반으로 줄게 되며, 또한 각각의 상대로부터의 시그널링 신호에 대한 평균 수신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시킬 수 있어 유선전화기와 거의 유사한 정도의 감각으로 발신음 및 호출신호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의 채널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장치의 채널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이는 각각의 상대방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접속장치는 짝수 채널만을 수신 스캔하고, 상기 휴대장치는 홀수 채널만을 수신 스캔하거나 또는 이와는 역으로 접속장치는 홀수 채널만을 수신 스캔하고 휴대장치는 짝수 채널만을 수신 스캔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속장치와 휴대장치가 각각의 상대로 시그널링 신호의 송신시에 있어서의 필요한 빈 채널을 찾는 송신 스캔시 짝수 채널만 수신 스캔하는 접속장치는 하나의 수신 스캔 주기에 홀수 채널을 한 채널씩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캔하고, 홀수 채널만 수신 스캔하는 휴대장치는 하나의 수신 스캔 주기에 짝수 채널을 한 채널씩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캔하며, 이와는 역으로 홀수채널만 수신 스캔하는 접속장치는 하나의 수신 스캔주기에 짝수 채널을 한 채널씩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캔하고, 짝수 채널만 수신 스캔하는 휴대장치는 하나의 수신 스캔주기에 홀수 채널을 한 채널씩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7도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의 채널 스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캔동작(스텝 S11)에 있어서 접속장치내의 제어부(210)는 스캔의 횟수를 나타내는 변수 스캔순서를 0으로 세트시킨다(스텝 S12).
이어서 채널의 2채널 간격 순서를 나타내는 변수 채널 순서를 0으로 세트시키고, 주파수 합성기(206)를 첫번째 채널인 채널 40에 세트시킨후(스텝 S13), 주파수 합성기(206)가 원하는 주파수로 안정되었는가를 확인한다(스텝 S14).
다음에, 현재의 채널번호가 홀수 또는 짝수인가를 비교하여(스텝 S15) 홀수이면 수신부(204)에서는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수신된 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큰 가를 확인한 후(스텝 S16), 기준치 보다 작으면 향후 접속장치가 휴대장치로의 송신시 사용가능 채널로써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기준치 보다 크면 접속장치가 휴대장치로의 송신시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스텝으로 넘어간다(스텝 S17).
한편, 채널번호가 짝수이면 수신부(204)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큰가를 확인하고(스텝 S18), 이어서 제어부(210)는 데이타 복조기(208)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신호동기가 검출되었는가를 확인하여(스텝 S19) 검출되면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확인한다(스텝 S20).
이때,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면 시그널링 신호에 따른 동작을 위해 신호처리를 행하게 되며(스텝 S21), 만일 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작거나 신호동기 또는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음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에 들어가게 된다.
먼저, 채널순서와 스캔순서가 같은가를 비교하여(스텝 S22), 같으면 수신 스캔의 동작을 위한 채널 선택을 하게 되고 다르면 송신 스캔 동작을 위한 채널 선택을 하게 된다.
수신 스캔시에는 채널 순서의 변수를 하나 증가시키고(스텝 S23), (40-2*채널순서)의 수식에 의해 다음 채널을 선택하게 되는데(스텝 S24)이는 40, 38, 36 등의 순서로 채널을 선택하게 할 수가 있다.
한편, 송신 스캔시에는 (39-2*스캔순서)의 수식에 의해 다음 채널을 선택하게 되는데(스텝 S25) 이는 39, 37, 35 등의 순서로 채널을 선택하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채널 순서가 20인가를 비교하여(스텝 S26) 같으면 하나의 수신 스캔 주기가 끝났으므로 스캔 순서의 변수를 하나 증가시키고(스텝 S27), 이어서 스캔 순서가 20인가를 비교하여(스텝 S28) 같으면 20회의 스캔주기, 즉 1회의 송신 스캔주기가 끝나게 되며, 만일 접속장치가 대기상태에 있다면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다음에, 제8도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장치의 채널 스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캔동작(스텝 S31)에 있어서 휴대장치내의 제어부(110)는 스캔의 횟수를 나타내는 변수 스캔 순서를 0으로 세트시킨다(스텝 S32).
이어서 채널의 2채널 간격순서를 나타내는 변수 채널 순서를 0으로 세트시키고, 주파수 합성기(106)를 첫번째 채널인 채널 1에 세트시킨후(스텝 S33), 주파수 합성기(106)가 원하는 주파수로 안정되었는가를 확인한다(S34).
다음에, 현재의 채널번호가 홀수 또는 짝수인가를 비교하여(S35) 짝수이면 수신부(104)는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수신된 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큰가를 확인한 후(스텝 S36), 기준치보다 작으면 향후 휴대장치가 접속장치로의 송신시 사용 가능 채널로써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기준치보다 크면 휴대장치가 접속장치로의 송신시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스텝으로 넘어간다(스텝 S37).
한편, 채널번호가 홀수이면 수신부(104)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큰가를 확인하고(스텝 S38), 이어서 제어부(110)는 데이타 복조기(108)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 동기가 검출되었는가를 확인하여(스텝 S39), 검출되면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확인한다(스텝 S40).
이때,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면 시그널링 신호에 따른 동작을 위해 신호처리를 행하게 되며(스텝 S41), 만일 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작거나 신호 동기 또는 시그널링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음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에 들어가게 된다.
먼저, 채널순서와 스캔순서가 같은가를 비교하여(스텝 S42), 같으면 수신 스캔의 동작을 위한 채널 선택을 하게 되고 다르면 송신 스캔동작을 위한 채널 선택을 하게 된다.
수신 스캔시에는 채널순서의 변수를 하나 증가시키고(스텝 S43), (1+2*채널순서)의 수식에 의해 다음 채널을 선택하게 되는데(스텝 S44) 이는 1, 3, 5 등의 순서로 채널을 선택하게 할 수가 있다.
한편, 송신 스캔시에는 (2+2*스캔순서)의 수식에 의해 다음 채널을 선택하게 되는데(스텝 S45) 이는 2, 4, 6 등의 순서로 채널을 선택하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채널 순서가 20인가를 비교하여(스텝 S46) 같으면 하나의 수신 스캔 주기가 끝났으므로 스캔순서의 변수를 하나 증가시키고(스텝 S47), 이어서 스캔 순서가 20인가를 비교하여(스텝 S48) 같으면 20회의 수신 스캔주기, 즉 1회의 송신 스캔주기가 끝나게 되며, 만일 휴대장치가 대기상태에 있다면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즉,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장치는 휴대장치로부터의 시그널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스캔은 채널 40, 채널 38, 채널 36등의 순으로 채널 2까지 짝수 채널만 스캔하고, 시그널링 신호의 송신시 필요한 빈 채널을 찾는 송신 스캔은 한 수신 스캔주기(T3)에 홀수 채널 한 채널씩, 즉 매 수신 스캔주기마다 채널 39, 채널 37, 채널 35등의 순으로 채널 1까지 홀수 채널을 스캔한다.
여기서, 한 채널에 고정되는 일정시간(T1)은 같으나 수신 스캔은 짝수 채널만 스캔하므로 수신 스캔주기(T3)는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 스캔주기(T2)의 약 절반이 된다.
마찬가지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장치는 접속장치로부터의 시그널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스캔은 채널 1, 채널 3, 채널 5등의 순서로 채널 39까지 홀수 채널만 스캔하고, 시그널링 신호의 송신시 필요한 빈 채널을 찾는 송신스캔은 한 수신 스캔주기(T3)에 짝수 채널 한 채널씩, 즉 매 수신 스캔주기마다 채널 2, 채널 4, 채널 6등의 순으로 채널 40까지 짝수 채널을 스캔한다.
여기서, 한 채널에 고정되는 일정시간(T1)은 같으나 수신 스캔은 홀수 채널만 스캔하므로 수신 스캔주기(T3)는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 스캔주기(T2)의 약 절반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접속장치와 휴대장치가 대기시 각각의 상대방으로부터 시그널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스캔동작을 접속장치는 짝수 채널만, 휴대장치는 홀수채널만 스캔하거나 또는 그와는 반대로 스캔동작을 하므로써 각각의 수신 스캔주기를 절반으로 줄이고, 또한 각각의 상대방으로부터의 시그널링 신호에 대한 평균 수신 시간을 절반으로 줄여 접속장치와 휴대장치간의 접속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는 것이어서 무선 전화기 사용자가 발신음 및 호출신호의 청취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휴대하며 구역내의 임의의 장소에서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장치와, 상기 휴대장치와 이중 무선통신회로를 구성하며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대의 접속장치와, 상기 접속장치와 유선 통화 회로 및 데이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교환기와 다수의 가입자 루프가 연결되어 스위치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가 구비된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휴대장치로부터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장치는 짝수 채널만 수신 스캔하고, 휴대장치는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 스캔에 의해 짝수 채널중의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와는 역으로 접속장치는 홀수 채널만 수신스캔하고, 휴대장치는 홀수 채널중의 하나를 송신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2. 사용자가 휴대하며 구역내의 임의의 장소에서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장치와, 상기 휴대장치와 이중 무선통신회로를 구성하며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대의 접속장치와, 상기 접속장치와 유선 통화 회로 및 데이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교환기와 다수의 가입자 루프가 연결되어 스위치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가 구비된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접속장치로부터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휴대장치는 홀수 채널만 수신 스캔하고, 접속장치는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 스캔에 의해 홀수 채널중의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와는 역으로 휴대장치는 짝수 채널만 수신 스캔하고, 휴대장치는 짝수 채널중의 하나를 송신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3. 접속장치와 휴대장치가 각각의 상대로 시그널링 신호의 송신시에 있어서의 필요한 빈 채널을 찾는 송신 스캔시 짝수 채널만 스캔하는 접속장치는 하나의 수신 스캔주기에 홀수 채널을 한 채널씩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캔하고, 홀수 채널만 수신 스캔하는 휴대장치는 하나의 수신 스캔주기에 짝수 채널을 한 채널씩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캔하거나 또는 이와는 역으로 홀수 채널만 수신 스캔하는 접속장치는 하나의 수신 스캔주기에 짝수 채널을 한 채널씩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캔하고, 짝수채널만 수신 스캔하는 휴대장치는 하나의 수신 스캔 주기에 홀수 채널을 한 채널씩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서의 채널 스캔방법.
KR1019910011183A 1991-07-02 1991-07-02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KR96000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183A KR960004811B1 (ko) 1991-07-02 1991-07-02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183A KR960004811B1 (ko) 1991-07-02 1991-07-02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87A KR930003587A (ko) 1993-02-24
KR960004811B1 true KR960004811B1 (ko) 1996-04-13

Family

ID=1931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183A KR960004811B1 (ko) 1991-07-02 1991-07-02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8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87A (ko) 199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409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for providing set-up communications between subsidiary units through a master unit
US4744101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WO19930165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ternative radiotelephone system selection
WO1993016534A1 (en) Frequency sharing in multiple radiotelephone systems
US5210752A (e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hannel access scheme
EP0454080B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capable of quickly establishing connection during call setup phase
EP0299515B2 (en) Method of connecting a cordless telephone by radio
US6205338B1 (en) Inter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ortable units in TDMA cordless telephone system
EP0297914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519476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insertion of an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um causes the mobile to interact with the system
JP3278505B2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KR960004811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EP0882348B1 (e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a channel selection protocol, and a radio station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970011432B1 (ko)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방법
EP0897237A2 (en) TDM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950012580B1 (ko) 무선전화시스템 및 그의 채널변경방법
KR960013980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KR950004748B1 (ko)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의 채널스캔 방법
KR100566997B1 (ko) 디이시티 시스템의 단말기능 및 베이스기능 겸용 무선장치
KR100389833B1 (ko) 디지탈 무선 전화기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 제어 방법
JP2601245B2 (ja) 送受信装置
KR910004402B1 (ko) 무선 전화기 접속 방법
KR0135963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휴대장치 제어방법
JP3236153B2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