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545B1 -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545B1
KR950005545B1 KR1019930005293A KR930005293A KR950005545B1 KR 950005545 B1 KR950005545 B1 KR 950005545B1 KR 1019930005293 A KR1019930005293 A KR 1019930005293A KR 930005293 A KR930005293 A KR 930005293A KR 950005545 B1 KR950005545 B1 KR 95000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gear
mode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458A (ko
Inventor
이두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101993000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545B1/ko
Publication of KR94002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스톱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플레이 모드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플레이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리버스 플레이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레코오드 모드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레코오드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리버스 레코오드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캠기어의 안내경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가)는 솔레노이드레버에 형성된 제1상부돌출핀이 외측상부캠에 안내되는 경로와 절환레버에 형성된 제5상부돌출핀이 내측상부캠에 안내되는 경로를 나타낸 상태도.
나)는 작동레버에 형성된 제2돌출핀이 내측하부캠에 안내되는 경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베이스 2 : 메인기어
3 : 핀치기어 4 : 캠기어
6 : 솔레노이드 7 : 솔레노이드레버
8 : 작동레버 9 : 모드변환스위치
10 : 이동판 12 : 내측상부캠
13 : 외측상부캠 14 : 내측하부캠
15 : 외측하부캠 19 : 절환레버
20 : 절환스위치 21 : 슬라이드판
21a : 장공 22 : 제2스프링
23 : 안내핀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개의 캠기어와 솔레노이드의 사용에 의해서도 모드변환이 가능하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는 테이프에 기록된 음을 재상하거나 외부의 음을 테이프에 기록하는 기기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테이프에 기록된 음중 A면음이나 B면음을 선택해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함께 외부의 음을 테이프의 A면이나 B면에 선택해서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변환장치를 갖게된다.
상기 모드변환장치에 의한 모드변환은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캠기어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의 연관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캠기어와 솔레노이드를 각각 2개씩 구비하였다.
즉, 하나의 캠기어는 모드선택용 캠기어이고 또다른 하나의 캠기어는 스위칭용 캠기어로서 상기 각 캠기어에는 캠기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갖게된다. 따라서 종래의 모드변환장치는 각각의 캠기어와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및 모드변환수단이 이중으로 이루어지므로서 부품수의 증가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따라 소비자가의 상승은 물론 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어려왔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것으로, 하나의 캠기어와 솔레노이드의 사용에 의해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레코오드로의 모드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품을 절감하고, 이에따라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형태에 따르면 상부면으로 내측상부캠과 외측상부캠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면으로는 내측하부캠과 외측하부캠이 형성되어 메인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핀치기어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기어와, 메인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캠기어의 회전시 내측 하부캠의 경로를 따라 작동레버가 회동할때, 좌,우로 이동하면서 선택적 모드에 의해 코오변환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이동판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솔레노이드가 회동할때 이 회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선택된 모드에 의해 절환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절환수단으로 구성하여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레코오드 모드 선택시 모드변환스위치와 절환스위치의 연관동작에 의해 선택된 모드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된 본 발명의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스톱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2도는 플레이 모드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3도는 플레이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4도는 리버스 플레이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제5도는 레코오드 모드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6도는 레코오드 모드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7도는 리버스 레코오드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메인플레이트(1)이 힌지결합되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메인기어(2)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되어 메인기어(2)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핀치기어(3)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함되어 핀치기어(3)의 회전력을 선택전달받아 회전하는 캠기어(4)와, 상기 메인플레이트(2)에 제1스프링(5)으로 탄력설치되어 모드변환시 솔레노이드(6)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면서 캠기어(4)가 핀치기어(3)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초기물림시키는 솔레노이들버(7)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되어 캠기어(4)의 회전에 따라 선택회동하는 작동레버(8)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레버(8)의 회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스톱(Stop), 플레이(Play), 리버스플레이(Reverse play), 레코오드(Record), 리버스 레코오드(Reverse Record)가 가능하도록 모드변환스위치(9)를 동작시키는 이동판(10)과, 상기 메인기어(2)와 동일축상에 힌지결합되어 작동레버(8)의 회동력을 받아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수단과,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되어 솔레노이드레버(7)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회동레버(1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설치되어 모드선택시 솔레노이드레버(7)의 회전력을 받아 플레이(리버스레이 포함)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레코오드(리버스레코오드 포함)가 가능하도록 하는 절환수단과, 상기 메인기어(2)와 동일축상에 힌지결합되어 복동레버(11)의 회동력을 받아 FF/REW가 되도록 동력을 선택전달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핀치기어(3)와 동일축상에 힌지결합되어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 레코오드 선택시 캠기어(4)의 회전력을 받아 선택수단을 규제함과 함께 FF/REW선택시에는 선택수단의 규제를 해제하는 규제수단과,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되어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 플레이, 리버스 레코오드, FF/REW선택시 클러치수단과 선택수단에 의해 메인기어(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테이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선택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으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캠기어(4)에는 상부면에 내측상부캠(12)과 외측상부캠(13)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면에는 내측하부캠(14)과 외부하부캠(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외측상부캠(13)에는 제1걸림턱(13a), 제2걸림턱(13b), 제3걸림턱(13c)이 구비되어 있고 외부하부캠(15)에는 제1단턱(15a), 제2단턱(15b), 제3단턱(15c)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레버(7)에는 캠기어(4)의 회전시 외측상부캠(13)의 제1,2,3,걸림턱(13a)(13b)(13c)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제1상부돌출핀(7a)이 형성됨과 함께 솔레노이드레버(7)의 회동시 회동레버(11)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하부돌출핀(7b)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레버(8)에는 캠기어(4)의 내측하부캠(14)에 안내되도록 제2돌출핀(8a)이 형성됨과 함께 상,하단으로는 식각 상부요입흠(8b)과 하부요입흠(8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판(10)의 상부면 일측에는 작동레버(8)에 형성된 상부요입흠(8b)내로 끼워지게 제3돌출핀(1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수단은 메인기어(2)의 하부면에 일체형성되어 메인기어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16)와, 상기 메인기어(2)와 동일축상에 힌지결합되어 작동레버(8)의 회동력을 받아 회동하는 클러치레버(17)와, 상기 클러치레버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구동기어(16)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 레코오드시에만 동력전달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이등기어(18)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클러치레버(17a)의 상단에는 작동레버(8)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요입흠(8c)내로 삽입되게 제4돌출핀(17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작동레버(8)의 회동시 클러치레버(17)도 회동되도록 한다.
절환수단은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함되어 플레이 및 리버스 플레이시에는 캠기어(4)에 형성된 내측상부캠(12)에 안내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레코오드 및 리버스 레코오드시에는 캠기어(4)에 형성된 내축상부캠(12)에 안내되도록 회동하는 절환레버(19)와, 메인플레이트(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절환레버(19)의 회동시 좌,우로 이동되면서 절환스위치(20)를 플레이 및 리버스플레이가 되도록 함과 함께 레코오드 및 리버스 레코오드가 되도록 절환하는 슬라이딩판(21)과, 일단은 슬라이딩판(21)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베이스(1)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판(21)이 절환스위치(20)를 플레이 및 리버스 플레이 상태로 절환시킬 때는 탄력을 갖도록 하고 레코오드 및 리버스 레코오드 상태로 절환시킬때는 복원되도록 하는 제2스프링(22)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절환레버(19)에는 상단으로 제5상부돌출괸(19a)이 형성됨과 함께 하단으로는 제5하부돌출핀(19b)이 형성되어 절환레버(19)가 회동시 상기 제5상부돌출핀(19a)이 컴기어(4)의 내측상부캠(12)에 안내되도록 하고 제5하부돌출핀(19b)은 슬라이딩판(21)에 끼워 상기 절환레버(19)의 회동시 슬라이딩판(21)이 좌,우로 수평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메인플레이트(1)에는 한쌍의 안내핀(23)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판(21)에는 상기 각 안내핀(23)에 끼워지게 장공(21a)이 형성되어 있어 좌,우로 이동되는 슬라이딩판(21)이 상기 장공(21a)의 범위내에서 한쌍의 안내핀(23)에 안내되므로 수평이동기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수단은 메인기어(2)와 동일축상에 힌지결합되어 상부로는 걸림편(24a)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돌출편(24b)이 형성되어 있는 선택레버(24)와, 상기 선택레버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메인기어(2)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FF/REW 선택시에만 동력전달수단에 동력을 선택전달하는 제2이동기어(25)로 구성되어 있다.
규제수단은 핀치기어(3)와 동일축상에 힌지결합되어 토숀스프링(26)으로 탄력설치된 규제레버(27)와, 상기 규제레버 외측에 일체 형성되어 플레이, 리버스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레코오드 선택시 캠기어(4)의 하부면에 형성된 외측하부캠(15)의 제1단턱(15a), 제2단턱(15b), 제3단턱(15c)에 순차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규제레버(27)를 회동시키는 접촉돌기(28)와, 상기 규제레버(27)의 외측둘레면에 일체형성되어 규제레버의 회동시 선택레버(24)에 형성된 걸린편(24a)에 걸림에 따라 상기 선택레버(24)를 잡아주는 걸림돌기(29)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전달수단은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되어 FF/REW선택시 제2이동기어(25)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중간기어(30) 및 제2중간기어(30a)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되어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 레코오드 선택시 제1이동기어(18)의 회전력을 받아 제1중간기어(30)를 회전시키는 종동기어(3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되어 제1중간기어(3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테이프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릴레이(32) 및 제2중간기어(30a)의 회전력을 받아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릴기어(32a)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스톱상태에서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 레코오드를 선택하면 메인기어(2)가 회전하므로 핀치기어(3)도 회전하는데, 이때 솔레노이드(6)가 작동하여, 캠기어(4)를 회전되는 핀치기어(3)에 맞물림시키므로 상기 캠기어(4)도 회전하고 이에따라 캠기어의 내측상부캠(12) 및 외측상부캠(13)과 내측하부캠(14) 및 외측하부캠(15)의 캠경로를 따라 솔레노이드레버(7), 절환레버(19), 작동레버(8)가 회동하므로 모드변환스위치(9)와 절환스위치(20)가 동작되어 선택된 모드로의 변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스톱 상태로서 이때에는 FF/REW가 가능한데, 상기 제1도에 의해 FF/REW모드 선택에 따라 작용을 먼저 알아보자.
FF모드를 선택하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력을 받아 메인 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된 메인기어(2)와 구동기어(16)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 회전방향에 의해 선택레버(24)는 힌지축을 중심으로하여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므로서 상기 선택레버(24)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메인기어(2)와 맞물림 된 제2이동기어(25)가 제1중간기어(30)와도 맞물림되도록 제1릴기어(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따라 테이프를 정방향으로 하여 고속으로 감는다.
또한 REW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FF모드선택시와 반대로 메인기어(2)와 구동기어(16)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택레버(24)도 힌지축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서 제2이동기어(25)는 제2중간기어(30a)와 맞물리게 되어 제2릴레이(32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고속으로 감는다.
한편 FF/REW모드선택시 메인기어(2) 및 구동기어(16)의 회전방향에 따라 클러치레버(17)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될려는 힘을 받지만 이때에는 캠기어(4)가 회전하지 않고 있으므로 작동레버(8)는 회동되지 못한 상태로 있고 상기 작동레버(8)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요입흠(8c)내로는 클러치레버(17)의 상단에 형성된 제4돌출핀(17a)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클러치레버(17)는 회동하지 못한다.
다음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스톱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레코오드 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플레이모드를 선택하면 도시하지 않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메인기어(2)와 구동기어(16)가 함께 시계방항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메인기어(2)와 맞물린 핀치기어(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와동시에 메인플레이트(1)에 설치된 솔레노이드(6)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력을 상실하므로 제1스프링(5)이 솔레노이드(7)를 끌어당기게 되고 이에따라 솔레노이드레버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레버(7)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부돌출핀(7a)이 캠기어(4)의 외측상부캠(13)에 형성된 제1 걸림턱(13a)에서 이탈되어 경사면을 밀게 되므로 상기 캠기어(4)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면서 핀치기어(3)와 맞물리게되어 상기 핀치기어의 회전력을 계속적으로 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솔레노이드레버(7)의 하단에 형성된 제1하부돌출핀(7b)은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된 회동레버(11)의 일단을 밀어 상기 회동레버를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상태가 첨부도면 제2도와 같은데, 이때 작동레버(8)는 회동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동판(10)이 이동되지 않아 모드변환스위치(9)는 스톱위치에 그대로 있고 전환레버(19)도 회동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슬라이딩판(21)이 이동되지 않아 절환스위치(20)는 플레이 및 리버스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있다. 계속해서 캠기어(4)가 회전하면 규제레버(27)에 형성된 접촉돌기(28)가 상기 캠기어(4)의 하부면에 형성된 외측하부캠(15)의 제1단턱(15a), 제2단턱(15b), 제3단턱(15c), 돌기(156)에 연속적으로 접속되므로 상기 규제레버(27)가 토숀스프링(26)의 탄력을 받으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캠기어(4)의 상부면에 형성된 외측상부캠(13)의 캠경로에 의해 솔레노이드레버(7)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동하면서 회동레버(11)를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 상기 회동레버(11)의 타측의 선택레버(24)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편(24b)을 상부로 밀어 상기 선택레버(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규제레버(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상기 규제레버에 형성된 걸림돌기(29)는 선택레버(24)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편(24a)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된다면 상기 걸림편이 규제레버(27)에 형성된 걸림돌기(29)에 걸리게 된다.
한편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된 작동레버(8)는 일측에 형성된 제2돌출핀(8a)이 캠기어(4)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캠기어(4)의 하부면에 형성된 내측하부캠(14)의 캠경로를 따라 안내되므로 상기 캠기어(4)의 회전이 정지될때까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이때 작동레버(8)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요입홈(8b)내로 이동판(1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제3돌출핀(10a)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이동판(10)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모드변환스위치(9)의 버튼을 중립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작동레버(8)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요입홈(8c)내로는 클러치레버(17)의 상단에 형성된 제4돌출편(17a)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클러치레버(17)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따라 클러치레버(17)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구동기어(16)와 맞물려 있던 제1이동기어(18)가 종동기어(31)와도 맞물린다.
상기에서 캠기어(4)가 회전되다가 정지되는 것은 솔레노이드레버(7)에 형성된 제1상부돌출핀(7a)이 회동치는 캠기어(4)의 외측상부캠(13)에 형성된 제2걸림턱(13b)에 걸림과 함께 캠기어(4)와 핀치기어(3)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가능한데, 이때 솔레노이드(6)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된다.
이와같은 상태가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데, 이때의 솔레노이드레버(7)는 캠기어(4)의 외측상부캠(13)경로에 의해 제1스프링(5)의 탄력을 받으면서 원상태로 회동되어 있으므로 회동레버(11)도 원상태로 회동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기어(2)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구공기어(16)의 회전력이 제1이동기어(18)→종동기어(31)→제1중간기어(30)→제1릴기어(32)로 전달되므로 릴(도시는 생략함)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테이프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플레이가 된다.
상기 플레이 상태에서는 기설명된 바와같이 메인기어(2)와 구동기어(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 회전력방향에 의해 선택레버(24)도 시계방향으로 회동될려는 힘을 받고 있지만 규제레버(27)가 상기 선택레버(24)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회동되지는 못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3도의 플레이 상태에서 리버스 플레이 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상술한 플레이시와 마찬가지로 메인기어(2)와 핀치기어(3)가 함께 회전하는데, 이때 솔레노이드(6)에 다시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력을 상실하므로 제1스프링(5)이 솔레노이드레버(7)를 끌어당기게 되고 이에따라 솔레노이드레버는 힌지축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솔레노이드레버(7)의 상단 제1상부돌출핀(7a)이 캠기어(4)의 외측상부캠(13)에 형성된 제2걸림턱(13b)에서 이탈되어 경사면을 밀게된다.
따라서 캠기어(5)가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면서 핀치기어(3)와 맞물리게 되므로 상기 캠기어(4)가 회전하는데, 이때의 캠기어 회전은 솔레노이드레버(6)가 캠기어(4)의 외측상부캠(13)에 형성된 제3걸림턱(13c)에 걸림과 함께 캠기어(4)와 핀치기어(3)의 기어물림이 해제될때까지 행해진다.
한편 리버스 플레이시 캠기어(4)가 회전할때 메인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된 작동레버(8)는 일측에 형성된 제2돌출편(8a)이 상기 캠기어(4)의 내측하부캠(12)경로를 따라 안내되므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이때 이동판(10)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모드변환스위치(9)의 버튼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클러치 레버(17)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1이동기어(18)를 제2중간기어(30a)에 맞물림 시킨다.
상기 작용에서 절환레버(19)는 회동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절환스위치(20)는 플레이시와 마찬가지로 플레이 및 리버스 플레이가 가능한 상태로 절환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태가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데, 이때에 메인기어(2)와 함께 계속회전되는 구동기어(16)의 회전력은 제1이동기어(18)→제2중간기어(30a)→제2릴기어(32a)로 전달되므로 릴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리버스 플레이가 된다.
상술한 리버스 플레이 모드선택시 작용설명은 플레이 상태에서 부터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시킬 필요는 없고 스톱모드에서도 곧바로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플레이 모드 선택시와 동일한 작용이 일단 이루어진다음 리버스 플레이로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톱상태서 레코오드 모드를 선택하면 플레이시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6)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력을 상실하므로 솔레노이드레버(7)가 제1스프링(5)의 당김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캠기어(4)를 핀치기어(3)에 맞물림시키고 이에따라 캠기어(4)가 핀치기어(3)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데, 이때 솔레노이드(6)에 전원이 한번더 인가되면 솔레노이드레버(7)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레버(7)의 하부가 절환레버(19)의 하부를 밀게되고 이에따라 전환레버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절환레버의 상단에 형성된 제5상부돌출핀(19a)이 회전되는 캠기어(4)의 내측상부캠(12)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절환레버(19)가 캠기어(4)의 상부내측캠(12)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절환레버(19)의 하부에 형성된 제5하부돌출핀(19b)이 메인플레이트(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판(21)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관은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되고 이에따라 상기 슬라이딩판(21)이 절환스위치(20)를 레코오드 및 리버스 레코오드가 가능한 상태로 절환시킨다.
상기에서 슬라이딩판(21)이 수평이동되는 것은 메인플레이트(1)에 한쌍의 안내핀(23)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판(21)에는 상기 각 안내핀(23)에 끼워지게 장공(21a)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판(21)이 이동할때 장공(21a)의 범위내에서 각 안내핀(23)에 안내를 받으므로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상태가 첨부도면 제5도와 같다.
계속해서 캠기어(4)가 회전하다가 상기 캠기어의 외측상부캠(13)에 형성된 제2걸림턱(13b)에 솔레노이드레버(7)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부돌출핀(7a)이 걸림과 동시에 캠기어(4)와 핀치기어(3)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캠기어(4)는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정지되므로 제6도와 같이 레코오드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절환레버(19)의 상단에 형성된 제5상부돌출핀(19a)은 캠기어(4)의 내측 상부캠(12)경로에 안내되어 있으므로 제2도의 플레이 상태와 비교할때 상기 절환레버(19)의 시계방향 회동과 상기 절환레버의 시계방향 회동에 의한 슬라이드판(21)의 좌측이동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좌측이동에 의한 절환스위치(20)의 레코오드 및 리버스 레코오드로 절환만 다를뿐 그의 모드 작용은 동일하다.
또한 리버스레코오드 모드를 선택하면 절환레버(19)의 상단에 형성된 제5상부돌출핀(19a)이 캠기어(4)의 내측상부캠(12)경로에 계속해서 안내되므로 상기 절환레버(19)와 슬라이드판(21) 그리고 절환스위치(20)는 기설명된 레코오드 상태와 동일하게 되어있고 그의 모든 구성품의 작용은 제4도의 리버스 플레이상태와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7도와 같이 리버스 레코오드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레코오드 및 리버스 레코오드중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스톱모드를 선택하면 캠기어(4)의 회전에 따라 절환레버(19)의 상단에 형성된 제5상부돌출핀(19a)이 상기 캠기어(4)의 내측상부캠(12) 경로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절환레버(19)의 시계방향회동에 의한 슬라이드관(21)의 좌측이동력은 해제되고 이에따라 슬라이드판은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베이스(1)에 연결된 제2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절환스위치(20)를 플레이 및 리버스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절환시킨다.
지금까지 설명된 작용에서 레코오드와 리버스 레코오드로의 모드변환시 각 구성품의 작용은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플레이와 리버스 플레이의 모드변환시 각 구성품의 작용을 참고하면 더욱 빠른 이해가 가능하리라 생각되고 솔레노이드레버(7)와 절환레버(19)그리고 작동레버(8)가 캠기어(4)에 형성된 외측상부캠(13)과 내측상부캠(12) 그리고 내측하부캠(14)의 캠경로에 안내되는 것을 첨부도면 제8도를 참고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 레코오드모드를 선택하였을 때의 모드 변환스위치(9)와 절환스위치(20)의 관계를 참고적으로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플레이모드를 선택하면 이동판(10)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중립에 있던 모드변환스위치(9)의 레버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판(21)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절환스위치(20)의 레버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므로 플레이가 가능하게 된다.
리버스 플레이모드를 선택하면 이동판(10)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모드변환 스위치(9)의 레버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판(21)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절환스위치(20)의 레버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므로 리버스 플레이가 가능하게 된다.
레코오드 모드를 선택하면 이동판(10)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모드변환스위치(9)의 레버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관(21)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절환스위치(20)의 레버를 좌측으로 이동 시키므로 레코오드가 가능하게 된다.
리버스 레코오드 모드를 선택하면 이동판(10)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모드변환스위치(9)의 레버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판(21)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절환스위치(20)의 레버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므로 리버스 레코오드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드변환에 사용되는 캠기어와 솔레노이드를 하나만 사용하여도 되므로 부품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됨과 함께 기기의 소형차 및 박형화가 가능하다.

Claims (3)

  1. 상부면으로 내측 상부캠(12)과 외측상부캠(13)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면으로는 내측하부캠(14)과 외측하부캠(15)이 형성되어 메인기어(2)와 함께 회전되는 핀치기어(3)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기어(4)와, 메인플레이트(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캠기어(4)의 회전시 내측하부캠(14)의 경로를 따라 작동레버(8)가 회동할때 좌,우로 이동하면서 선택된 모드에 의해 모드변환스위치 (9)를 동작시키는 이동판(10)과, 상기 메인플레이트(1)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6)의 작동에 따라 솔레노이드 레버(7)가 회동할때 이 회동력을 받아 회동하면서 선택된 모드에 의해 절환스위치(20)를 동작시키는 절환수단으로 구성하여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레코오드, 리버스레코오드 모드선택시 모드변환스위치(9)와 절환스위치(20)의 연관동작에 의해 선택된 모드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절환수단은, 메인베이스(1)에 힌지결합되어 레고오드 및 리버스레코오드 모드선택시 솔레노이드레버(7)의 회동력을 받아 캠기어(4)에 형성된 내측상부캠(12)의 경로에 안내될 수 있도록 회동하는 절환레버(19)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절환레버(19)가 회동하여 회전하는 캠기어(4)의 내측상부캠(12)경로에 안내될때 내측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절환스위치(20)를 레코오드 및 리버스 레코오드가 되도록 절환시켜 주는 슬라이드판(21)과, 상기 슬라이드판에 일단이 연결되고 메인베이스(1)에 타단이 연결되어 플레이 및 리버스플레이모드 선택시 절환레버(19)가 회전하는 캠기어(4)의 내측상부 캠(12)경로에서 벗어날때 절환스위치(20)를 플레이 및 리버스 플레이가 되도록 절환시켜주기 위해 슬라이드판(21)을 다시 위측으로 이동시켜주는 제2스프링(22)으로 구성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떼인베이스(1)에 한쌍의 안내핀(23)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판(21)에는 상기 각 안내핀(23)에 끼워지게 장공(21a)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판(21)이 장공(21a)의 범위내에서 안내핀(23)에 안내됨에 따라 수평이동 되도록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KR1019930005293A 1993-03-31 1993-03-31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KR95000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293A KR950005545B1 (ko) 1993-03-31 1993-03-31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293A KR950005545B1 (ko) 1993-03-31 1993-03-31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458A KR940022458A (ko) 1994-10-20
KR950005545B1 true KR950005545B1 (ko) 1995-05-25

Family

ID=1935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293A KR950005545B1 (ko) 1993-03-31 1993-03-31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623B1 (ko) * 1998-10-22 2001-11-15 이형도 테이프 플레이어의 모드 절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458A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132B1 (ko) 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의 모드전환기구
KR950005545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장치
US5031471A (en) Sequence control mechanism employing gear mechanism
US5691858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master gear and slide member
US4626937A (en) Magnetic-tape apparatus having a disc with two control surfaces
US4638385A (en) Tape recorder having an improved system for controlling tape travel and magnetic head movement
JPH0676414A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ーのモード変換装置及びモード変換方法
KR940004497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 장치 및 방법
KR950003076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초과 이송방지 장치
US5570253A (en) Selection lever sliding means for disengaging the selection gear from the main gear of a cassette tape recorder when selecting a mode
KR950008088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 변환장치
US4641293A (en) Cassette tape player combined with a radio receiver which has multiple push buttons such that the stop push button can be used to turn off either the cassette tape player or the radio receiver
US5816521A (en)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having a deck for magnetic-tape cassettes
JPH0725871Y2 (ja) テープレコーダ
KR100243240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동력전달장치
JPS5822267Y2 (ja) テ−プレコ−ダ−の制御機構
JPS6295757A (ja) モ−ド選択装置
KR0142696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빨리감기, 되감기장치
KR910000952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JPS581870Y2 (ja) テ−プレコ−ダのモ−ド切換え装置
KR940004496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초과이송 방지장치
JPH0216424Y2 (ko)
US6175464B1 (en) Autoreverse mechanism
JPS6319336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505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