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82Y1 - 곡물세척기 - Google Patents

곡물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82Y1
KR950004982Y1 KR92022582U KR920022582U KR950004982Y1 KR 950004982 Y1 KR950004982 Y1 KR 950004982Y1 KR 92022582 U KR92022582 U KR 92022582U KR 920022582 U KR920022582 U KR 920022582U KR 950004982 Y1 KR950004982 Y1 KR 950004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ipe
water supply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2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822U (ko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이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천 filed Critical 이재천
Priority to KR92022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982Y1/ko
Publication of KR9400118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8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물세척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단면도.
제4도는 구동부의 회동을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드래인관 6 : 재치대
8 : 감속모우터 9 : 축부
21 : 살수관 22 : 수직관
51 : 배출변 61 : 경첩
81 : 모우터축 91 : 축허브
92 : 급수회동축 93 : 급수호오스
94 : 지관 95 : 수평통공
96 : 수직공 98 : O링
본 고안은 쌀, 보리, 콩 등의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곡물세척기에 대한 것으로서 주로 식당이라든지 방앗간등지에서 다량의 곡물의 단시간내에 세척해주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본인의 선출원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2-6221호(공고번호 95-423)를 개량 고안한 것이다.
상기 선등록 고안은 세척용기의 상부 양측을 축핀으로 지지시켜 핸들로서 기울여줄 수 있게 하되, 세척용기의 상단 외주연에 배수로와 배수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가로로 배치한 살수관을 상측의 동력수단으로서 회전시켜주므로서 세척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이 지적되었다.
즉, 곡물을 담은 세척용기를 인위적인 힘으로 기울여서 내용물을 쏟아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비교적 힘이 많이 들고, 또한 선고안이 동력전달 수단에서는 모우터의 축과 살수관의 축이 직교하는 형태로 만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베벨기어의 전동구조와 회동각 조절을 위한 호형간 등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제작이 어려워짐은 물론, 사용하기에도 번거로운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선고안이 미비점을 보완하고자 개량을 시도한 것이며, 주된 목적은 곡물이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동력전달수단도 보다 간편하게 구성하며, 회전하고 있는 살수관의 측에 물에 공급하는데 있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고, 또 세척용기의 저면부에 드래인관을 형성한 후 배출변을 구비시키고, 또 살수관의 축과 모우터의 축은 일직선으로 결합하며, 그 축은 회전을 하면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축수의 상하부에 0링으로서 씨일링을 하여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다.
기대(1)에 설치되는 세척용기(2)의 상단주연부에 환테형의 배수로(4)를 준비하고, 상기 배수로(4)의 벽 좌, 우측에서 힌지축(3)(3')를 꽂아 기대(1)에 설치한다.
이때의 일측 힌지축(3)은 파이프형으로 하여 배수로(4)에 범람한 물이 배수관(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의 세척용기(2)의 바닥에 배출변(51)이 구비된 드래인관(5)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변(51)의 손잡이(53)는 기대(1)의 일측외부까지 연장된 장축(52)에 착설하여 조작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세척용기(2)내에 위치시키는 살수관(21)은 그 수지관(22)을 기대(1) 위에 가로질러 구비한 재치판(6)상의 축부(9)에 연결하며 재치판(6)의 일단은 경첩(61)을 사용해 기대(1)와 결착하고, 그 타단은 반대측 기대의 상단에 걸리도록 해 놓은 후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이 이 재치판(6)의 중앙상부에 감속기능을 가진 동력모우터(8)를 직립된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모우터축(81)을 재치판(6) 저면측에 고정시킨 축허브(91) 내의 급수회동축(92)에 나삽연결하고, 그 급수회동축(92)의 하단에는 상기한 살수관(21)의 수직관(22)을 나삽연결한다.
이때 축허브(91)에는 급수호오스(93)와 연결된 지관(94)을 통해 급수를 받을 수 있는 것이며, 또 축허브(91)내의 급수회동축(92)은 지관(94)과 같은 높이에서 "+"자 형으로 수평통공(95)이 형성되고 그 아랫쪽으로는 수직공(96)이 형성되며 여기에 나삽된 상기의 수집관(22)과 급수통공(23)은 연통되어 물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급수회동축(92) 상,하에는 O링(98)으로서 씨일링해 축허브(91) 내면에서 회전하더라도 물의 누수가 없도록 한다.
제1도 도면중 미설명부호 (71)은 곡물받이 용기이며, (72)는 급수량조절용 콕크이고, (63)은 재치판용 손잡이이다. 또 제3도 도면중 미설명부호(73)은 보강용 고정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용기(2)내에 세척하고자 하는 곡물을 적당량 부어넣고, 급수호오스(93)에 구비된 급수콕크(72)를 열어 살수관(21)내로 물이 공급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동력모우터(8)를 구동시키면 상기의 살수관(21)이 회전을 하면서 물을 살수하게 되므로 세척용기(2)내의 곡물을 서로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반전되어 비벼짐은 물론, 살숭되는 물의 충격에 의해 곡물의 표면이 씻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축허브(91)의 지관(94)을 통해 축부에 공급되는 물은 축수(92)가 계속 회전하더라도 급수회동축(92)에 "+"자로 관통된 수평통고(95)을 통해 수직공(96)쪽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고, 수직공으로부터 살수관(21)까지는 수직관(22)내의 급수통공(23)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다.
이상에서와 같이 지속적으로 공급된 물은 살수관으로부터 살수된 다음 곡물로부터 나온 이물질을 함유한채 세척용기(2)의 상단을 범랑하여 환테형의 배수로(4)에서 파이프형으로 된 힌지축(3)과 배수관(31)을 따라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세척작업이 끝난후에는 세척용기(2) 내의 곡물을 꺼내야 하는데 이때는 종래와 같이 세척용기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장축(52) 외단의 손잡이(53)로서 배출변(51)을 조작해 곡물이 드래인관(5)을 통해 그 아래에 대기시킨 곡물받이 용기(71)에 쏟아지게 하면 간단히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의 세척용기 내에는 물과 곡물이 같이 있으므로 배출변을 먼저 조금 열어 물을 어느정도 먼저 배출시킨 후, 완전히 열어 곡물을 받아내면 작업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동력 수단부분을 제4도에서와 같이 손잡이(63)를 잡고 경첩부(61)를 구비한 재치판(6)을 들어 올릴 수도 있어 청소가 용이하다.
위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동력전달수단에 있어서 감속기능을 가진 동력 모우터를 축부에 직접 연결토록 한 것이기 때문에 베벨기어 등 다른 기구가 불필요한 것이고, 이때 물의 공급 역시 급수회동축(92)의 수평통공(95)과 수직공(96)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상,하에서 O링(98)으로 씨일링한 것이어서 회전중에도 물의 누수없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게 된 것이며, 또한 세척용기(2)내의 곡물의 회수하는데 있어서도 그 저면에 형성한 드래인관(5)을 통해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세척용기(2)의 상단 주연부에 구비된 배수로(4)의 좌,우측을 힌지축(3)(3')으로 기대(1)에 설치하고 상기 세척용기(2) 내부에 살수관(21)을 회전되게 설치한 곡물 세척기르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의 세척용기(2) 바닥에는 배출변(51)을 가진 드레인관(5)을 형성하고, 모우터(8)는 기대(1) 상부를 가로지른 재치대(6) 위에 설치하며 모우터 축(81)은 지관(94)을 구비한 축허브(91) 내의 급수회동축(92)에 결착하고, 상기 급수회동축(92)에는 수평통공(95)과 수직공(96)을 천공해 급수된 물을 급수회동축(92)이 회전시에도 수직관(22)과 살수관(21)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
KR92022582U 1992-11-17 1992-11-17 곡물세척기 KR950004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582U KR950004982Y1 (ko) 1992-11-17 1992-11-17 곡물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582U KR950004982Y1 (ko) 1992-11-17 1992-11-17 곡물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822U KR940011822U (ko) 1994-06-15
KR950004982Y1 true KR950004982Y1 (ko) 1995-06-20

Family

ID=1934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582U KR950004982Y1 (ko) 1992-11-17 1992-11-17 곡물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9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822U (ko) 199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76206A (zh) 一种水槽洗碗机
CN206997177U (zh) 一种水槽式清洗机
KR950004982Y1 (ko) 곡물세척기
WO2018040935A1 (zh) 一种内外桶间无水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208757560U (zh) 一种带自动投料的新型化工反应釜
CN216064543U (zh) 一种用于橡胶制品的清洗装置
JPH04161303A (ja) セメントミルク等の混練容器の洗浄装置
JP4160710B2 (ja) 洗米装置
CN2137992Y (zh) 一种冲洗瓶子的装置
CN212664325U (zh) 滚筒式中药材清洗机
CN213640683U (zh) 一种公众消毒洗手机
CN210096327U (zh) 一种使用舒适性高的洗眼器
JPH0315193Y2 (ko)
JP3794954B2 (ja) 節水型洗米機
CN116444010B (zh) 一种重金属絮凝剂的制备装置及方法
CN110593359A (zh) 一种冲刷自洁的智能盥洗盆
JP4549251B2 (ja) 洗米槽
JPS5924248Y2 (ja) 洗米供給装置
CN214235248U (zh) 一种玫瑰花清洗设备
CN209611055U (zh) 一种波轮机构及清洗机
JP3737991B2 (ja) 洗米方法及び洗米装置
CN213435904U (zh) 一种过滤袋冲洗装置
CN219423284U (zh) 旋转可调式洗眼器
KR950000423Y1 (ko) 곡물세척기
CN213644548U (zh) 一种鹅去氧胆酸生产用离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