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848Y1 -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848Y1
KR950004848Y1 KR92020487U KR920020487U KR950004848Y1 KR 950004848 Y1 KR950004848 Y1 KR 950004848Y1 KR 92020487 U KR92020487 U KR 92020487U KR 920020487 U KR920020487 U KR 920020487U KR 950004848 Y1 KR950004848 Y1 KR 950004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alarm
alarm sound
ampl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0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828U (ko
Inventor
정광원
Original Assignee
정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원 filed Critical 정광원
Priority to KR92020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848Y1/ko
Publication of KR940010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3Materials or fluids with special properties
    • B60Y2410/132Magnetic,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의 구성블럭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칭 장치의 설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수신장치의 구성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NT1 : 안테나 SP : 스피커
10 : 충격센서 20 : 도어센서
30 : 비교회로 40 : 감도설정회로
50 : 스위칭장치 60 : 타이밍회로
70 : 경보시간설정회로 80 : 자체경보회로
90 : 경보음신호발생회로 100 : 경보음설정회로
110 : 유선/무선선택회로 120 : 변조회로
130 : 채널설정회로 140 : 전력증폭회로
150 : 충전회로 160 : 전원공급회로
170 : 고주파증폭회로 180 : 국부발진회로
190 : 동조회로 200 : 중간 주파수 증폭회로
210 : 복조회로 220 : 저주파 증폭회로
230 : 저주파 필터회로 240 : 전력증폭회로
250 : 충전회로 260 : 전원공급회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본 고안과 유사한 운전자 호출장치가 제시된바 있다.
즉, 자동차의 도난을 알려주기 위한 도난방지장치가 일예이다.
종래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자동차의 도어(door)를 잠그고 용무를 보기위해 자동차를 떠난 상태에서, 타인(예로서, 도둑)이 자동차도어를 인위적으로 열게되면 도어감지센서가 이를 감거하여 경보음 발생장치(예로서, 부져 : buzzer)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경보음이 발생되고 운전자는 자신의 자동차가 도난중임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예로서, 운전자가 자동차로 부터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경우, 그 경보음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도난방지장치의 설치가 무의미하였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자동차의 공급이 늘어남에 따라 도난방지외에도 타인이 운전자를 특별히 호출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주차중 타인의 자동차를 본의 아니게 가로막는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장시간 자동차를 떠나있게 되면, 가로막힌 타인의 자동차는 주차장을 빠져나갈수 없게된다.
또한, 주차중인 차가 사람 또는 물건에 의해 고의적으로나 우연히 충격받아 파손될 수가 있다.
이때에도, 운전자가 자동차로 부터 원거리에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이런 사실을 전혀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타인의 자동차의 운전자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무선으로 운전자를 호출할 수 있는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운전자의 무선호출기능 외에 자동차의 도난 및 파손을 운전자에게 무선 또는 유선으로 알릴수 있는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스위칭 장치는 자동차의 글래스에 부착설치되고, 이 스위칭을 타인이 누르면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경보발생신호가 발생한다.
타이밍 회로는 스위칭 장치로 부터 경보발생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콘트롤 신호를 발생한다.
자체경보회로는 콘트롤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차 자체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경보음 신호발생 회로는 콘트롤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경보음 신호를 발생 시킨다.
유/무선 선택회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무선호출시는 콘트롤 신호를 경보음 신호발생 회로에, 유선 호출시는 콘트롤 신호를 자체 경보회로에 인가한다.
변조회로는 무선호출시 발생된 경보음 신호를 설정된 채널내의 주파수로 변조하고, 전력 증폭회로는 이 변조된 경보음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경보음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로서 공중 전파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르는, 안테나는 공중전파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고주파 증폭회로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다.
국부발전회로는 증폭된 신호중 설정된 채널의 것만을 통과시키고, 동조회로는 걸정된 주파수 신호만을 동조한다.
동조된 경보음 신호를 중간주파수 증폭된후, 복근 회로에서 원상태로 복조되고 저주파 증폭 회로에서 다시 증폭된다.
저주파 증폭된 경보음 신호는 저주파 필터회로에서 잡음이 제거되고 전력 증폭회로에서 전력 증폭된후 스피커에서 해당 경보음으로서 출력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의 구성블럭도로서, 자동차 바디(budy)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센서(sensor)(10); 자동차 도어의 열림에 해당하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센서(20); 충격센서(10)와 도어센서(20)로 부터 감지되는 충격의 감도와 설정된 기준충격의 감도를 비교하여 감지된 충격 감도가 더 크면 경보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비교회로(30); 비교회로(30)에 기준 충격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감도설정회로(40); 자동차 글래스(glass)에 부착되고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경보발생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장치(50); 스위칭 장치(50)와 비교회로(30)로 부터 경보발생신호가 출력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콘트롤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회로(60); 타이밍 회로(60)에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시간 설정회로(70); 타이밍 회로(60)의 콘트롤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차 자체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자체경보회로(80); 타이밍 회로(60)의 콘트롤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무선 경보음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음 신호 발생회로(90); 경보음 신호 발생회로(90)에 원하는 경보음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음 설정회로(100);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유선 호출이 결정되면 타이밍회로(60)의 콘트롤 신호를 자체경보회로(80)에 인가하고, 무선 호출이 결정되면 콘트롤 신호를 경보음 신호 발생 회로(90)에 인가하기 위한 유/무선 선택회로(110); 사용자의 무선 호출 선택에 의해 경보음 신호 발생회로(90)로 부터 출력된 경보음 신호를 무선 송출이 가능토록 설정된 채널의 주파수로 변조(FM : Frequency Modulation)하기 위한 변조 회로(120); 변조회로(120)에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설정 회로(130); 주파수 변조된 경보음 신호를 원거리 전송 가능토록 전력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회로(140); 전력 증폭된 경보음 신호를 공중에 전파하기 위한 안테나(ANT1); 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제1도에서는 교류전원을 입력하여 충전하는 충전회로(150); 소정 직류(DC) 전압원 또는 충전회로(150)로 부터 각 회로(10-140)에 필요한 전압을 만들고, 이들을 각 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회로(160); 가 구비된다.
제1도의 구성에 따른 동작 설명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a)도, 제2(b)도는 제1도중 스위칭 장치(5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자동차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2(a)도, 제2(b)도에 따르면, 사용자가 영구자석을 누르므로써 영구자석이 리드스위치에 근접되면 글래스 내측 표면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의 두단자가 접촉된다.
반도로 사용자가 영구자석에서 손을 떼면 리드스위치의 두단자는 떨어진다. 즉, 본 고안에서의 스위칭 장치(50)에 따르면, 자동차 글래스 외측 표면에 부착된 자성체 박판, 즉, 영구자석이 자화되면 리드스위치의 두단자는 서로 흡인하여 접촉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촉과 동시에 운전자 호출 신호가 발생된다.
이러한 스위칭 장치(50)를 사용하므로 인해, 자동차 외부까지 푸쉬버튼(Push-button)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와 권선등을 인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위칭 회로의 부식이 방지되고, 미관상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어, 제3도를 참조하여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수신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공중에 전파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ANT2)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고주파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회로(170); 고주파 증폭된 신호중 경보음 신호에 상응하는 설정된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하는 국부발진회로(180); 선택된 채널 신호중 송신측에서 주파수 변조된 신호만을 동조하기 위한 동조회로(190); 동조된 신호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중간 주파수 증폭회로(200); 증폭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원래의 경보음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회로(210); 복조된 저주파 경보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저주파 증폭회로(220); 증폭된 저주파 경보음 신호로 부터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저주파 필터회로(230); 잡음 제거된 저주파 경보음 신호를 소정 증폭으로 증폭하는 전력증폭회로(240); 증폭된 경보음 신호를 입력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SP); 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제3도에는 교류(A)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회로(250); 와 직류(DC) 전원 또는 충전회로(250)로 부터 각 회로에 필요한 전압을 만들고 이들을 각 회로에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260); 가 구비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로 이루어진 자동차 운전자 호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가 자동차 도어를 잠그고 주차시킨후, 자동차를 떠난 상태에서 제1도의 충격센서(10)와 도어센서(20)는 각각 자동차 바디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도어가 열리는 가를 감지한다.
도어가 열리는 것 역시 충격에 해당되며, 비교회로(30)는 충격센서(10)와 도어센서(20)에서 감지된 충격 감도와 설정된 기준 충격 감도를 비교하여, 감지된 충격 감도는 기준 감도 보다 크면, 자동차가 비상상태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발생신호를 출력한다.
비교회로(30)에 설정된 기준 충격감도는, 운전자의 조작으로 감도설정회로(40)를 통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주차장의 상태 및 주위 여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예로서, 공사장 주위에서는 흔들림이 많으므로, 너무 작게 기준 충격을 설정하면, 불필요하게 경보음이 발생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때는 어느 정도 큰 값으로 기준 충격을 설정하여야 한다.
타이밍 회로(60)는 비교회로(30)의 경보 발생 신호에 의해 설정된 경보음 발생 시간동안(예로서, 5초-30초) 콘트롤 신호를 출력하여, 유/무선 선택회로(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 콘트롤 신호를 자체경보회로(80) 또는 경보음 신호발생회로(90)에 인가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유선을 선택할 경우, 자체경보회로(80)는 경보음을 울려운전자로 하여금 자동차가 비상상태임을 인식하게 한다.
이 유선기능은 유전자가 주차시 가까운 거리에서 용무를 볼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운전자가 무선을 선택할 경우, 경보음 신호발생회로(90)는 입력된 콘트롤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설정된 음색에 해당하는 경보음 신호를 발생한다.
설정된 음색의 경보음은 사전에 운전자가 경보음 설정회로(100)를 통해 결정한다.
변조회로(12)는 설정된 채널의 주파수로 경보음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변조회로(120)에 채널을 설정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사전에 채널설정회로(130)를 조작한다. 이 주파수 변조된 경보음 신호는 미약하므로 이를 공중에 전파하여 수신장치에 전송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 변조된 경보음신호는 전력증폭회로(140)를 통해 원거리 전송 가능토록 증폭된후 안테나(ANT1)를 통해 공중에 전파된다.
이때, 설정시간이 경과되어 타이밍 회로(60)로 부터의 콘트롤 신호의 출력이 중단되며 안테나(ANT1)를 통해 출력되는 경보음 신호는 끊기게 되고, 송신 장치는 다시 충격 또는 도난감시상테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충전회로(150) 및 전원공급회로(160)에 대한 설정은 지극히 통상적인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비교회로(30)로 부터의 경보발생신호 외에도, 스위칭 장치(50)로 부터 운전자 호출용 경보발생신호가 입력하면, 타이밍회로(60)는 동일하게 콘트롤 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출력한다.
이하의 동작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 스우칭장치(50)는 차량의 파손과 도난외에 타인이 주차중인 해당 자동차로 인해 자신의 차를 주차시키거나 또는 주차전 자신의 차를 빼낼수 없을 경우에, 타인에 의해서 눌러진다.
타인은 이 경우 글래스 외부 표면에 부착된 스위칭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제1도는 송신장치의 안테나(ANT1)를 통해 공중 전파된 경보음 신호는 수신장치의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다.
안테나(ANT1)에서 수신된 경보음 신호를 미약해진 상태이므로, 고주파 증폭회로(170)에서 증폭된후 출력된다.
국부발진회로(180)는 증폭된 신호중 송신장치에서 설정된 채널신호만을 통과시키며, 동조회로(190)는 해당 주파수 신호만을 동조한다.
중간 주파수 증폭회로(200)는 동조된 경보음 신호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고, 복조회로(210)는 증폭된 중간 주파수 증폭회로(200)의 출력신호를 원래의 경보음 신호로 복조시킨다.
즉, 이 복조된 신호는 원래의 가청 가능한 저주파의 경보음 신호이다.
이어, 이 복조된 신호는 매우 약한 상태이므로, 저주파 증폭회로(220)에서 소정증폭도로 증폭된후 저주파 필터회로(230)에 입력된다.
저주파 필터회로(230)는 증폭된 저주파의 경보음 신호로 부터 섞여 있는 다른 무선기능의 잡음 신호를 제거한다.
여과된 저주파 경보음 신호는 전력 증폭회로(240)의 소정증폭도로 증폭된후 스피커(SP)에 입력되고, 스피커(SP)는 해당 크기의 경보음을 발생한다.
따라서, 이 수신 장치를 휴대하고 있는 운전자는 자신의 차가 비상상태 즉, 도난, 파손 및 호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선으로 자돛차의 비상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휴대용 수신장치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라도 차량의 도난과 파손 및 주차불량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둘재, 운전자 호출용 스위칭 회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주차 감시인과 같은 타인이 운전자에게 잘못 주차된 사항을 알릴 수 있다.
셋째, 유/무선 선택회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유선선택시는 자동차 자체에서도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네째, 도난과 파손 및 호출감지기, 설정된 시간동안만 경보음을 발한후 다시 감시상태로 동작하므로 주위에 불편함을 주지않는다.
다섯째, 충전회로와 전원공급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건전지나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는다.
여섯째, 수신장치에 저주파 필터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기기로 인한 잡음을 제거하므로 깨끗한 경보음을 들을 수 있다.
일곱째, 휴대용 수신장치를 송신장치 위에 올려 놓으면 자동으로 충전됨과 동시에 차량 감시상태가 해제되고, 휴대용 수신장치를 송신장치로 부터 분리시키면 충전상태를 해제되고 차량감시상태가 되도록 기구적으로의 호출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 경우는 기구적인 내용이므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생략하였다.

Claims (8)

  1. 자동차의 글래스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에 부착설치된 스위칭를 누르면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경보발생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장치; 스위칭 장치로 부터 경보발생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콘트롤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회로; 상기 콘트롤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차 자체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자체경보회로; 상기 콘트롤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경보음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음 신호발생회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무선 호출시 상기 콘트롤 신호를 경보음 신호발생 회로에, 유선 호출시 콘트롤 신호를 자체 경보회로에 인가하는 무선/유선 선택회로; 무선 호출시 발생된 경보음ㅈ 신호를 설정된 채널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회로; 변조된 경보음 신호를 소정 증폭도로 증폭하는 전력증폭회로; 증폭된 경보음을 공중 전파하여 수신장치에 보내는 안테나;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밍 회로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시간 설정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경보음 신호발생회로에서 원하는 경보음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경보음 설정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충격센서와 도어센서로 부터 감지된 충격감도와 설정된 기준충격감도를 비교하여, 감지된 충격감도가 더 클 경우 경보발생 신호를 상기 타이밍회로에 출력하는 비교회로; 상기 비교회로의 기준 충격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감도 설정 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장치는, 자동차 글래스 외측표면에 부착된 영구자석; 자동차 글래서 내측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영구자석이 근접하면 접촉하는 두단자를 글래스 내부 표면에 갖는 리드스위치;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변조회로에 원하는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설정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교류전원으로 부터 소정 직류전압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와 직류전원으로 부터 각 회로의 필요한 전압을 만들어 제공하는 전원공급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자 호출용 송신장치.
  8. 공중 전파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회로; 고주파 증폭된 신호중 설정된 채널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국부발진회로; 통과된 채널신호중 설정된 주파수 신호만을 동조하는 동조회로; 동조된 신호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 주파수 증폭회로; 중간 주파수 증폭된 신호를 원래의 저주파 경보음 신호로 복조하는 복조회로; 복조된 저주파 경보음 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 증폭회로; 증폭된 저주파 경보음 신호로 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저주파 필터회로; 잡음 제거된 경보음 신호를 가청 가능토록 소정 증폭도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회로; 전력-증폭된 경보음 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자 휴대용 수신장치.
KR92020487U 1992-10-23 1992-10-23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KR950004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487U KR950004848Y1 (ko) 1992-10-23 1992-10-23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487U KR950004848Y1 (ko) 1992-10-23 1992-10-23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828U KR940010828U (ko) 1994-05-27
KR950004848Y1 true KR950004848Y1 (ko) 1995-06-16

Family

ID=1934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0487U KR950004848Y1 (ko) 1992-10-23 1992-10-23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8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001A (ko) 2017-11-11 2019-05-21 권용진 수정 테이프가 포함된 컴퓨터용 수성 사인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828U (ko) 199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1360A (ja) 自動車の盗難防止方法
WO1996005659A1 (en) Position enhanced cellular telephone system
JPS6211359A (ja) 盗難防止システムの状態識別方法
US6150923A (en) Alarm system
US6563421B1 (en) Security system with remote indication
KR830004992A (ko) 차량용 침입 경보장치
US6335679B1 (en) Vehicle alarm and pager system
US3551906A (en) Remote control alarm system
NZ556049A (en) Marine personal locator apparatus
KR950004848Y1 (ko)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US4337454A (en) Alarm unit for preventing theft of vehicles
JP3321590B2 (ja) 駐車車輛と運転者との間の通信装置
US6246315B1 (en) Vehicle alarm
JPS6211361A (ja) 車内音声聴取方法
KR100345239B1 (ko) 운전자간 도난차량 정보통신시스템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WO1996005688A2 (en) Integrat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for intercom and alarm
KR960003018Y1 (ko) 차량 교신기
KR200208007Y1 (ko) 운전자간 도난차량 정보통신시스템
EP0850159B1 (en) Alarm system
JPH0355304Y2 (ko)
KR20010087829A (ko) Fm 라디오를 이용한 차량도난 경보장치
JP2001202575A (ja) 警報装置
JPH05201286A (ja) 取外し可能な操作部を有する車載用リモコン装置
KR0124541Y1 (ko) 자동차의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