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541Y1 - 자동차의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경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541Y1
KR0124541Y1 KR2019950047130U KR19950047130U KR0124541Y1 KR 0124541 Y1 KR0124541 Y1 KR 0124541Y1 KR 2019950047130 U KR2019950047130 U KR 2019950047130U KR 19950047130 U KR19950047130 U KR 19950047130U KR 0124541 Y1 KR0124541 Y1 KR 0124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transmitter
vehicle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228U (ko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7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541Y1/ko
Publication of KR970033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2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가 휴대한 송신기를 작동시켜 자동차에 설치된 수신기를 통하여 차량외부의 인근에서 발생한 위험상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운전자가 휴대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는 싸이렌톤을 발생하는 톤발진부와, 상기 톤발진부와 병렬연결되어 마이크에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증폭부와, 상기 톤발진부 및 상기 마이크증폭부의 출력신호를 반송파와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로 공급되는 반송파의 신호를 발생하는 반송파발진부와, 상기 변조부에서 출력된 변조파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고주파송신부로 이루어지고, 차량내에 설치한 수신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한 변조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고주파수신부와, 상기 고주파수신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검파하여 저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검파부, 상기 검파부에서 출력된 자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와, 상기 저주파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피커로 이루어져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경보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경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신감지전원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송신기 S1,S2,S3;스위치
MC;마이크 110;톤발진부
120;마이크증폭부 130;반송파발진부
140;변조부 150;고주파송신부
200;수신기 210;고주파수신부
220;검파부 230;저주파증폭부
240;수신감지전원부 SP;스피커
본 고안은 자동차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운전자가 휴대한 송신기를 작동시켜 자동차에 설치된 수신기를 통하여 차량외부의 인근에서 발생한 위험상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보장치는 주로 도난 및 차실내로의 침입방지와 차량훼손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하며, 센서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경보장치는 자동차의 상황을 인근사람 또는 차주에게 알려주는 기능이 있지만, 차량 운전자의 상황을 외부로 전달할 수가 없었다.
예를 들어 차량운전자 특히, 여성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속출하는 만큼, 외곽의 지역에서 차량운전자의 하차시에는 위험한 상황을 접하게 될수도 있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중 사고가 발생하여 수림이 울창한 지역과 같이 타인의 눈에 뜨이지 않는 도로밖으로 자동차가 탈로하였을 경우에 운전자가 부상으로 인하여 긴급상황을 전달하지 못할 경우라면 외부로 그 위급상황을 전달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기능의 송신기를 운전자가 휴대하고 출력레벨이 큰 스피커가 구비된 수신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외부의 인근에서 발생된 위험상황 및 긴급상황을 자동차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운전자가 휴대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는 싸이렌톤을 발생하는 톤발진부와, 상기 톤발진부와 병렬연결되어 마이크에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증폭부와, 상기 톤발진부 및 상기 마이크증폭부의 출력신호를 반송파와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로 공급되는 반송파의 신호를 발생하는 반송파발진부와, 상기 변조부에서 출력된 변조파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고주파송신부로 이루어지고, 차량내에 설치한 수신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한 변조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고주파수신부와, 상기 고주파수신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검파하여 저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검파부, 상기 검파부에서 출력된 저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와, 상기 저주파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피커로 이루어져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경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며,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의 경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신감지전원부의 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로 구성되어 송신기(100)는 운전자가 휴대하고 수신기(200)는 차량내에 설치된다.
상기 송신기(100)는 스위치 S1에 의해 작동되며 마이크(MC)가 접속된 마이크증폭부(120)와, 스위치 S2에 의해 작동되어 싸이렌톤을 발생하는 톤발진부(110)와, 상기 각 스위치(S1)(S2)와 연동작동되는 스위치(S3)에 의해 작동되어 반송파를 발진하여 출력하는 반송파발진부(130)는 입력된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140)에 접속되고, 상기 변조부(140)는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고주파송신부(150)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신기(200)는 상기 송신기(100)에서 송신한 변조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고주파수신부(210)는 증폭된 신호를 검파하여 저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검파부(220)에 접속되고, 상기 검파부(220)는 저주파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저주파증폭부(230)에 접속되고, 상기 저주파증폭부(230)의 출력단은 스피커(SP)에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기(200)의 스피커(SP)는 입력음압레벨이 높게 설계된 혼스피커(SP)를 사용하며, 상기 검파부(220)의 후단에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기(C), 트랜지스터(TR) 및 릴레이(RY)의 접속으로 이루어진 수신감지전원부(240)를 설치하여 검파부(220)에 수신신호가 검출될 때만 수신기(200)의 저주파증폭부(2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신감지전원부(240)를 검파부(220)의 후단에 설치하면 외부의 유사주파부에 의해 저주파증폭부(230)가 작동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작용과 효과를 갖는다.
운전자의 차량외부에서 가해자로 인해 발생한 위험상황을 송신기(100)에 구비된 스위치 S2를 통하여 입력하면, 송신기(100)의 톤발진부(110)에서는 싸이렌의 톤신호예를 들어 페트롤카의 싸이렌신호를 발진하여 변조부(140)로 전달하고, 반송파발진부(130)는 상기 스위치 S2에 연동되어 스위치온되는 스위치 S3에 의해 작동되어 반송파 예를 들어 27MHz의 신호를 변조부(14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조부(140)는 27MHz의 반송파에 패트롤카의 싸이렌신호음을 실어 고주파송신부(150)로 전달하여 공중전파로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송신된 변조전파가 전달된 차량에 설치된 수신기(200)의 고주파수신부(210)는 수신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여 검파부(220)로 전달하고 또한, 수신신호가 소정레벨(Vref)이상일 경우 수신감지전원부는 수신기(200) 각 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검파부(220)에서는 변조파에서 27MHz의 반송파를 제거하고 페트롤카의 싸이렌 신호만을 채배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가 입력된 저주파증폭부(230)는 그 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스피커(SP)로 전달하여 페트롤카의 싸이렌신호음을 외부로 발하게 되며, 이러한 신호음을 발하게 되면 가해자는 도주하게 될 것이다.
한편, 사고로 인하여 부상을 입은 상황의 메시지를 외부로 전달하고자 할 때에는 스위치 S1을 온시키고 음성을 마이크(MC)로 입력하면 마이크(MC)에서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증폭부(120)로 전달하여 증폭시키고, 이렇게 증폭된 음성신호는 변조부(140)로 전달되어 전술한 싸이렌톤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할 때와 같이 반송파에 실려 고주파송신부(150)를 통하여 차량에 설치된 수신기(200)로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파를 수신한 수신기(20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으로 작동되어 스피커(SP)를 통하여 상기 송신기(100)의 마이크(MC)로 입력된 메시지의 음성을 외부로 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송신기 휴대자의 긴급상황 및 위급상황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차량운전자를 위험으로부터 구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운전자가 휴대하는 송신기(100); 상기 송신기(100)는 싸이렌톤을 발생하는 톤발진부(110)와, 상기 톤발진부(110)와 별렬연결되어 마이크(MC)에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증폭부(120)와, 상기 톤발진부(110) 및 상기 마이크증폭부(120)의 출력신호를 반송파와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140)와, 상기 변조부(140)로 공급되는 반송파의 신호를 발생하는 반송파발진부(130)와, 상기 변조부(140)에서 출력된 변조파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고주파송신부(150)로 이루어지고, 차량내에 설치한 수신기(200); 상기 수신기(200)는 상기 송신기(100)에서 송신한 변조파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고주파수신부(210)와, 상기 고주파수신부(210)에서 증폭된 신호를 검파하여 저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검파부(220)와, 상기 검파부(220)에서 출력된 자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230)와, 상기 저주파증폭부(230)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피커(SP)로 이루어져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파부(220)의 후단에 접속되며 상기 저주파증폭부(2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수신감지전원부(24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보장치.
KR2019950047130U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경보장치 KR0124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30U KR0124541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30U KR0124541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228U KR970033228U (ko) 1997-07-26
KR0124541Y1 true KR0124541Y1 (ko) 1998-08-17

Family

ID=1943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130U KR0124541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5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228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9700857A (es) Dispositivo de alerta y sistema para situaciones anormales.
JPS6211360A (ja) 自動車の盗難防止方法
KR0124541Y1 (ko) 자동차의 경보장치
JP2007182195A (ja) 車両用警笛装置、警笛音報知装置、警笛音報知システム
JP2605422Y2 (ja) 車内音監視装置
KR960024454A (ko) 차량의 긴급상황 신호 전송장치
KR0150397B1 (ko) 차량용 도난경보장치
GB2328053A (en) Vehicle security system
JPH0355304Y2 (ko)
KR200304337Y1 (ko) 자전거용 무선경보장치
KR950004848Y1 (ko) 자동차의 운전자 호출장치
JPS5920751A (ja) 自動車盗難防止システム
KR940003077B1 (ko) 차량용 도난 경보시스템
KR20010087829A (ko) Fm 라디오를 이용한 차량도난 경보장치
JPH0634191Y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960000627A (ko) 차량 이동 요청 장치
ES2117583A1 (es) Instalacion de aviso de robo
KR20000007671A (ko) 차량용 도난 경보기
CN2160579Y (zh) 呼叫器
KR100338054B1 (ko) 운전자 이동전화 통화상태 경보등 점등장치
JP3074320U (ja) 盗難防止用警報蛍光発煙装置
JP2001202575A (ja) 警報装置
JPH01259490A (ja) 警報装置
KR19990034170A (ko) 자동차의 오디오 도난방지장치
JPH05201286A (ja) 取外し可能な操作部を有する車載用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